summaryrefslogtreecommitdiffstats
path: root/po/ko/archive
diff options
context:
space:
mode:
authorDaniel Baumann <daniel.baumann@progress-linux.org>2024-04-15 19:43:11 +0000
committerDaniel Baumann <daniel.baumann@progress-linux.org>2024-04-15 19:43:11 +0000
commitfc22b3d6507c6745911b9dfcc68f1e665ae13dbc (patch)
treece1e3bce06471410239a6f41282e328770aa404a /po/ko/archive
parentInitial commit. (diff)
downloadmanpages-l10n-fc22b3d6507c6745911b9dfcc68f1e665ae13dbc.tar.xz
manpages-l10n-fc22b3d6507c6745911b9dfcc68f1e665ae13dbc.zip
Adding upstream version 4.22.0.upstream/4.22.0
Signed-off-by: Daniel Baumann <daniel.baumann@progress-linux.org>
Diffstat (limited to 'po/ko/archive')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1/xterm.1x1488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5/ftpaccess.51171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8/ab.8215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8/ftpd.8455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8/init.8225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8/ipfwadm.8393
-rw-r--r--po/ko/archive/plain/man8/pppd.8900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apm.1.po234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apmsleep.1.po331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builtins2.1.po75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cdparanoia.1.po923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chfn.1.po278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chkdupexe.1.po83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chsh.1.po217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dsplit.1.po194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efax.1.po2443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free.1.po165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ftpcount.1.po87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ftpwho.1.po85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man2html.1.po663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minicom.1.po1950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newgrp.1.po174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pidof.1.po161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python.1.po771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readprofile.1.po372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runscript.1.po487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1/yacc.1.po252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fdatasync.2.po199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ioctl_list.2.po1469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mlockall.2.po292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munlock.2.po183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munlockall.2.po145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obsolete.2.po121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2/undocumented.2.po120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3/strcat.3.po410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4/console.4.po181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ftpconversions.5.po116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ftphosts.5.po129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ftpservers.5.po218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initscript.5.po164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inittab.5.po608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ipc.5.po730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5/xferlog.5.po422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ftprestart.8.po98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ftpshut.8.po215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proftpd.8.po299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proftpshut.8.po342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pump.8.po547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rdev.8.po358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setfdprm.8.po207
-rw-r--r--po/ko/archive/po/man8/umount.8.po246
51 files changed, 22611 insertions, 0 deletions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1/xterm.1x b/po/ko/archive/plain/man1/xterm.1x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522576a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1/xterm.1x
@@ -0,0 +1,1488 @@
+.\" $XConsortium: xterm.man,v 1.80 94/04/17 19:01:03 rws Exp $
+.\" Copyright (c) 1989 X Consortium
+.\"
+.\" Permission is hereby granted, free of charge, to any person obtaining
+.\" a copy of this software and associated documentation files (the
+.\" "Software"), to deal in the Software without restriction, including
+.\" without limitation the rights to use, copy, modify, merge, publish,
+.\" distribute, sublicense, and/or sell copies of the Software, and to
+.\" permit persons to whom the Software is furnished to do so, subject to
+.\" the following conditions:
+.\"
+.\" The above copyright notice and this permission notice shall be included
+.\" in all copies or substantial portions of the Software.
+.\"
+.\" THE SOFTWARE IS PROVIDED "AS IS", WITHOUT WARRANTY OF ANY KIND, EXPRESS
+.\" OR IMPLIED,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WARRANTIES OF
+.\" MERCHANTABILITY,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AND NONINFRINGEMENT.
+.\" IN NO EVENT SHALL THE X CONSORTIUM BE LIABLE FOR ANY CLAIM, DAMAGES OR
+.\" OTHER LIABILITY, WHETHER IN AN ACTION OF CONTRACT, TORT OR OTHERWISE,
+.\" ARISING FROM, OUT OF OR IN CONNECTION WITH THE SOFTWARE OR THE USE OR
+.\" OTHER DEALINGS IN THE SOFTWARE.
+.\"
+.\" Except as contained in this notice, the name of the X Consortium shall
+.\" not be used in advertising or otherwise to promote the sale, use or
+.\" other dealings in this Software without prior written authorization
+.\" from the X Consortium.
+.TH XTERM 1 "Release 6" "X Version 11"
+.SH 이름
+xterm \- X 용 터미날 에뮬레이터
+.SH 사용법
+.B xterm
+[\-\fI툴킷옵션\fP ...] [\-\fI옵션\fP ...]
+.SH 설명
+\fIxterm\fP 풀그림은 X 윈도우 시스템을 위한 터미날 에뮬레이터이다.
+이것은 윈도우 시스템을 바로 사용할 수 없는 풀그림들을 위해,
+DEC VT102나 Tektronix 4014 호환 터미날을 제공한다.
+underlying operating system(?)이 터미날 크기변경 기능을 지원한다면
+(예를 들어, 4.3bsd 시스템을 바탕으로 개발된 시스템에서의 SIGWINCH 시그날),
+\fIxterm\fP은 창 크기가 바뀔 때 마다, 그 창에서 실행중인 풀그림을 알리기위해
+편의를 제공한다.
+.PP
+VT102와 Tektronix 4014 터미날은 각각 자신의 창을 가지고 있어,
+하나의 창에서 텍스트 편집을 하고, 다른 창에서 그래픽 형식으로
+동시에 볼 수 있다.
+창의 적당한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하려면,
+Tektronix 그래픽은 그 창에 채워질 4014의 가로 세로 비율 만큼의 가장 큰
+상자로 제한될 것이다.
+이 상자는 창의 좌측 상단에 있다.
+.PP
+두 창을 동시에 볼 수는 있지만, 글쇠판 입력과 출력을 위한 창은
+그들 중 하나만이 활상화 된다.
+활성화 된 창이란 커서가 있는 창을 말한다.
+활성화 된 창을 바꾸는 방법은 ctrl글쇠를 누르고
+다람쥐 중간 단추를 누르면 VT102 창에서는 "VT Options" 차림표가,
+4014 창에서는 "Tek Options" 차림표가 나타나는데,
+여기서 활성화된 창을 바꾼다.
+.SH EMULATIONS
+VT102 에뮬레이션은 거의 완벽하지만,
+부드러운 스크롤 기능, VT52 모드,
+두배 넓거나, 두배 큰 문자 셋이 아닌 문자들의 깜빡임 속성들은
+지원하지 않는다.
+.IR Termcap (5)
+파일에서 \fBxterm\fR이 사용하는 부분은
+``xterm,'' ``vt102,'' ``vt100'' and ``ansi,''이며,
+자동으로 ``TERM'' 환경변수와 ``TERMCAP'' 환경 변수를 사용해
+적당한 터미날값을 찾는다.
+.PP
+\fIxterm\fP의 특별한 기능들 중 대부분은 풀그림 실행중에,
+ctrl글쇠를 누른 상태에서 다람쥐 가운데 단추를 눌러 보여지는 차림표
+항목에서 바꿀 수 있다.
+(자세한 이야기는
+.I "Xterm Control Sequences"
+문서를 참조한다.)
+.PP
+Tektronix 4014 에뮬레이션 또한 좋은 편이다.
+여기서는 12비트 그래픽 주소 처리와 창 크기 변경 기능도 지원한다.
+또한 네가지 다른 글꼴 크기와 다섯가지 다른 줄 형태를 지원하다.
+쓰기 금지 기능이나, 백그라운드 실행모드(defacused mode)도 지원한다.
+Tektronix 텍스트와 그래픽 명령들은 내부적으로 \fIxterm\fP에 의해서
+기록되고, "Tek Options" 차림표 항목의 \fICOPY\fP 명령으로
+파일로 쓰여질 수 있다.
+파일의 이름은
+``\fBCOPY\fIyy\fB\-\fIMM\fB\-\fIdd\fB.\fIhh\fB:\fImm\fB:\fIss\fR''
+이런 형태를 가 되며,
+.IR yy ,
+.IR MM ,
+.IR dd ,
+.IR hh ,
+.IR mm ,
+.I ss
+에는 COPY 명령이 수행될 당시 시스템의 시간이 기록된다.
+그 파일의 위치는 \fIxterm\fP을 시작한 그 경로안에 있게 된다.
+.SH "OTHER FEATURES"
+\fIxterm\fP은 현재 창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
+커서에 있는 문자가 역상이되고 비활성화 상태에는 다시 보통
+문자로 바뀐다.
+.PP
+VT102 모드에서는, 궁극적인 스크린 버퍼에서 메뉴가 호출되거나,
+다시 원상복귀한다. 궁극적인 스크린 버퍼란, 현재 창의 디스플레이
+영역 만큼의 크기를 가진 버퍼를 말한다.
+메뉴가 호출되면, 현제 스크린은 저정되고, 궁극적인 스크린으로
+바뀐다.
+일반적인 문서 편집기인 \fIvi\fP (1)를 사용할 때, 문서 편집을 위한 화면
+전환을 하도록 하고, \fIvi\fP (1)가 종료되었을 때, 화면을 복귀하도록
+처리하는 부분은
+.IR termcap (5)
+파일 안에 있다.
+.PP
+VT102 모드나, Tektronix 모드에서, 창의 이름을 바꾸는
+기능도 제공하고 있다. 자세한 이야기는
+.I Xterm Control Sequences
+문서를 참조한다.
+.SH OPTIONS
+\fIxterm\fP에서는 표준 X 툴킷 명령행 옵션과 함께 다음 옵션들을
+사용할 수 있다.
+(만약, 아래 옵션에서
+.RB ` \- '
+대신에,
+.RB ` + '
+옵션이 사용되면, 그것은 초기값을 반대로 함을 의미한다.)
+.TP 8
+.B \-help
+\fIxterm\fP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과 그것에 대한 설명을 보여주고
+마친다.
+.TP 8
+.B \-132
+일반적으로 80칸과 132칸을 전환하는 VT102 DECCOLM 기능을 전환한다.
+이 옵션은 DECCOLM 기능을 인식하며, 창 크기는 적당하게 조절된다.
+.TP 8
+.B \-ah
+항상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를 역상 시킨다.
+이렇게 하면, 창이 활성화 상태건 비활성화 상태건 상관없이
+항상 커서가 있는 곳은 역상된다.
+.TP 8
+.B \+ah
+이 옵션은 창이 활성화 되었을 때면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를
+역상 시킨다.
+.TP 8
+.BI \-b " number"
+창의 테두리 두께를 지정한 "숫자"의 픽셀만큼으로 지정한다.
+초기값은 2이다.
+.TP 8
+.B "\-cb"
+\fIvt100\fP 리소스 \fBcutToBeginningOfLine\fP의 값을 FALSE로 지정한다.
+.TP 8
+.B "\+cb"
+\fIvt100\fP 리소스 \fBcutToBeginningOfLine\fP의 값을 TRUE로 지정한다.
+.TP 8
+.B "\-cc \fIcharacterclassrange\fP:\fIvalue\fP[,...]"
+This sets classes indicated by the given ranges for using in selecting by
+words.
+아래
+.B CHARACTER CLASSES
+부분을 참조한다.
+.TP 8
+.B "\-cn"
+line-mode 선택에서 새 줄이 잘려지지 않게 지정한다.
+.TP 8
+.B \+cn
+line-mode 선택에서 새 줄이 짤려지게 지정한다.
+.TP 8
+.BI \-cr " color"
+텍스트 커서의 색깔을 지정한다. 초기값은 텍스트의 전경색(글자색)이다.
+.TP 8
+.B \-cu
+옛 버전의
+.IR curses (3x)
+함수를 사용하는
+.IR more (1)
+에서 한 줄의 길이가 창의 가로 길이와 똑같을 경우와,
+첫칸에 탭 문자이 있을 경우 그 라인들을 제대로 못하는 벌레가
+있는데, 이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 옵션을 사용한다.
+.TP 8
+.B \+cu
+이 옵션은 그냥
+.TR curses (3x)
+벌레에 대해서 무시한다.
+.TP 8
+.BI \-e " program \fP[ \fIarguments \fP.\|.\|. ]\fI"
+이 옵션은 \fIxterm\fP이 실행될 때 \fIxterm\fP에서 실행될 풀그림을
+지정한다. 이러면, 바로 지정한 풀그림이 실행되고, 그 풀그림을
+끝내면 \fIxterm\fP도 끝나게 된다.
+또한 \fI\-n\fP이나, \fI\-T\fP 옵션을 사용해서,
+창의 이름을 따로 지정할 수도 있다.
+\fB이 옵션(-e)은 받드시 명령행의 가장 마지막에 와야한다.\fP
+.TP 8
+.BI \-fb " font"
+이 옵션은 \fIxterm\fP에서 사용할 굵은 글자의 글꼴을 지정한다.
+이 글꼴은 보통 글자 글꼴의 세로, 가로 길이가 같아야한다.
+만약, 보통 글꼴이나, 굵은 글꼴 중 하나만을 지정하면,
+지정된 그 글꼴은 보통 글자 글꼴로 지정되고, 굵은 글자는
+그 글꼴을 확대해서 사용한다.
+초기값은 굵은 글자 글꼴을 따로 지정하지 않고,
+보통 글자 글꼴을 확대해서 사용한다.
+.TP 8
+.B \-im
+\fBuseInsertMode\fP 리소스 on
+.TP 8
+.B +im
+\fBuseInsertMode\fP 리소스 off
+.TP 8
+.B \-j
+이 옵션은 \fIxterm\fP이 점프 스크롤을 할 수 있게 한다.
+보통, 텍스트는 한번에 한 줄씩 스크롤 된다; 이 옵션은
+\fIxterm\fP에서 한번에 여러 줄을 스크롤할 수 있게 한다.
+이것은 많은 양의 문서를 읽을 때, 해당 부분으로 건더 뛰기 할 때,
+보다 빠르게 작동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
+또한 이 기능은 "VT Options" 차림표에서 실행중에도 직접 제어 할 수 있다.
+.TP 8
+.B \+j
+점프 스크롤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.
+.TP 8
+.B \-ls
+이 옵션은 \fIxterm\fP이 로그인 쉘로써 사용되게 한다.
+이 말은 로그인 할 때에 실행되는 .login, .profile 같은 초기화
+파일들을 함께 실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
+.TP 8
+.B \+ls
+이 옵션은 로그인 쉘로 사용하지 않고 단지 하위 쉘로 사용할 때 사용된다.
+(초기값)
+.TP 8
+.B \-mb
+이 옵션은 커서가 줄의 오른쪽 끝에 오게 되면 벨 소리를 나게한다.
+"VT Options" 차림표에서 이옵션은 제어 할 수 있다.
+.TP 8
+.B \+mb
+이 옵션은 윗 기능을 불가 상태로 한다(초기값).
+.TP 8
+.B "\-mc milliseconds"
+다람쥐의 두번 연속 찍기 인식 최대 시간을 지정한다.
+.TP 8
+.BI \-ms " color"
+다람쥐 커서의 색깔을 지정한다. 초기값은 전경색(글자색)이다.
+.TP 8
+.BI \-nb " number"
+커서가 줄의 오른쪽 끝에 왔을 때, 소리를 낼 문자의 숫자를 지정한다.
+\fI\-mb\fP 옵션이 지정된 경우, 여기서 지정한 문자를 표준 출력으로
+보낸다. 초기값은 10(bell)이다.
+.TP 8
+.B \-rw
+reverse-wraparound(?)를 사용 가능 상태로 지시한다.
+이것은 커서가 어떤 줄의 첫 칸에 있을 때, 이때,
+왼쪽으로 이동하거나, 그 왼쪽 글자를 삭제하는 명령이 있을 경우,
+그 윗줄의 맨 끝을 대상으로 이루워지게 한다.
+이 옵션은 명령행에서 아주 긴 명령조합을 편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.
+이 옵션은 "VT Option" 차림표에서도 지정할 수 있다.
+.TP 8
+.B \+rw
+reverse-wraparound 기능 사용을 금지 한다.
+.TP 8
+.B \-aw
+이 옵션은 자동 줄바꿈 기능 사용을 허용한다.
+한 문장의 길이가 화면의 최대 가로길이보다 클 경우,
+단어 별로 잘려 나머지는 다음 줄에 표시하게 한다.
+.TP 8
+.B \+aw
+이 옵션은 자동 줄바꿈 기능 사용을 금지 한다.
+.TP 8
+.B \-s
+이옵션은 스크롤을 비동기적으로(asynchronously)으로 하게 한다.
+이 말은 화면이 스크롤 되는 동안 계속해서 갱신되지 않게 한다.
+이 옵션은 네트워킹에서 사용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.
+즉, 전송속도가 늦을 경우에 전형적으로 쓰인다.
+.TP 8
+.B \+s
+윗 옵션의 반대 기능으로 스크롤을 동기적으로 하게 한다.
+.TP 8
+.B \-sb
+창 한편에 스크롤 막대를 보인다.
+지나간 화면은 메모리에 저장되고, 스크롤 막대로 지나간 화면을 볼 수 있다.
+이 옵션은 ``VT Options'' 차림표에서 바꿀 수 있다.
+.TP 8
+.B \+sb
+스크롤 막대를 보이지 않게 한다.
+.TP 8
+.B \-sf
+이 옵션은 기능글쇠(Function key)를 위해, Sun 기능글쇠 escape code 가
+만들어지도록 한다.
+.TP 8
+.B \+sf
+이 옵션은 기능글쇠(Function key)를 위해, 표준 기능글쇠 escape code 가
+만들어지도록 한다.
+.TP 8
+.B \-si
+이 옵션은 자동 스크롤 기능을 금지 시킨다.
+화면이 맨 밑에서 글이 나타나더라도 스크롤 되지 않는다.
+이 옵션은 "VT Options" 차림표에서도 지정할 수 있다.
+.TP 8
+.B \+si
+이 옵션은 자동 스크롤 기능 사용을 허용한다.
+.TP 8
+.B \-sk
+이 옵션은 스크롤 막대를 사용해 지나간 글을 볼 때,
+글쇠가 눌려지면, 자동으로 현재 화면으로 돌아오게 한다.
+.TP 8
+.B \+sk
+이 옵션은 스크롤 막대를 사용해 지나간 글을 볼 때,
+글쇠가 눌려져도 화면 이동을 하지 않는다.
+.TP 8
+.BI \-sl " number"
+스크롤할 때 지나간 화면의 기억량을 줄 수로 지정한다.
+초기값은 64줄이다.
+.TP 8
+.B \-t
+이 옵션은 \fIxterm\fP 시작 시, VT102 모드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,
+Tektronix 모드로 시작하도록 한다.
+물론 다람쥐 가운데 단추와 Ctrl 글쇠를 함께 눌러 만들어지는
+차림표에서 이 두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다.
+.TP 8
+.B \+t
+이 옵션은 \fIxterm\fP 시작 시, VT102 모드로 시작하도록 한다.
+.TP 8
+.BI \-tm " string"
+이 옵션은 \fIstring\fR인 터미날 설정 키워드를 사용해 터미날 환경을
+지정한다. 이 옵션은 \fBstty\fR 명령과 비슷한 역활을 한다.
+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는 intr, quit, erase, kill, eof,
+eol, swtch, start, stop, brk, susp, dsusp, rprnt, flush, weras, lnext
+이다. 제어 문자는 ^글자와 함께 지정된다(예, ^c, ^u). ^?는
+delete를 지시하게 될 것이다.
+.TP 8
+.BI \-tn " 이름"
+이 옵션은 환경 변수 TERM 값을 \fI이름\fR으로 바꾼다.
+즉 터미날 형태를 \fI이름\fR으로 지정한 터미날 형태로 바꾼다.
+이 \fI이름\fR은 반드시 \fItermcap(5)\fP 파일안에
+\fIli#\fP 와 \fIco#\fP 항목에서 정의되어 있는 것이여야 한다.
+.TP 8
+.B \-ut
+이 옵션은 시스템 기록 파일인 \fI/etc/utmp\fP 파일의 기록을 생각하게 한다.
+.TP 8
+.B \+ut
+이 옵션은 시스템 기록 파일인 \fI/etc/utmp\fP 파일의 기록을 하게 한다.
+.TP 8
+.B \-vb
+Ctrl-G 문자인 벨 소리를 나게 한다.
+즉, ^G 출력 있을 경우 이것을 스피커 소리로 나게 한다.
+.TP 8
+.B \+vb
+벨 소리를 나지 않게 한다.
+.TP 8
+.B \-wf
+이 옵션은 서브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전에 첫번째로 창이 map되기를(창의
+크기와 위치를 정하고 메모리를 할당하는 작업)
+기다린다. 그래서, 초기의 터미날 환경과 환경 변수들이 바뀌어진다.
+이 옵션은 \fBxterm\fR에서 실행되는 풀그림들이 그 바뀐 터미날의
+크기에 대해서 반응하도록 한다.
+.TP 8
+.B \+wf
+서브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전에 \fBxterm\fR은 기다리지 않는다.
+.TP 8
+.B \-C
+이 옵션은 이 창이 콘솔 출력을 받도록 한다.
+이 옵션은 모든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것은 아니다.
+콘솔 출력을 얻으려면, 먼저 사용자가 콘솔 장치의(/dev/console) 소유주여야하며,
+그 장치가 쓰기 권한이 부여되어 있어야한다. 콘솔 화면의
+\fBxdm\fR 상태에서 \fBxterm\fR을 실행킨다면,
+먼저 세션 startup을 실행해야하고, 콘솔 장치의 파일 권한과 소유주 관계를
+다시 정의하는 부분이 있어야한다.
+.TP 8
+.B \-S\fIccn\fP
+이 옵션에서 사용되는 앞의 두 글자는 문자형으로 slave 모드에서
+사용되는 의사터미날(pseudoterminal)의 이름을 뜻하고,
+마지막에 오는 한 글자는 숫자형으로 상속받는 파일 기술자(descriptor)의
+번호를 뜻한다. 즉 이옵션의 인자 형식은 ``%c%c%d''이다.
+이 옵션은 \fBxterm\fR이 존재하는 풀그림을 위해 입출력 채널로서
+사용되는 것을 허락하고, 가끔, 특정 풀그림 안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+.PP
+다음의 명령행 인자들은 옛버전의 호환을 위해서 제공하고 있다.
+만일 최신 버전의 X Toolkit에서는 이런 옵션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.
+.TP 8
+.B "%\fIgeom\fP"
+Tektronix 창의 크기와 위치 지정.
+``\fI*tekGeometry\fP'' 리소스로도 지정이 가능하다.
+.TP 8
+.B "#\fIgeom\fP"
+아이콘 창의 크기와 위치 지정.
+``\fI*iconGeometry\fP'' 리소스로도 지정이 가능하다.
+.TP 8
+.BI \-T " string"
+윈도우 관리자에서 실행될 경우 창 제목을 \fIstring\fR으로 지정한다.
+이 옵션은 \fB\-title\fP 옵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.
+.TP 8
+.BI \-n " string"
+윈도우 관리자로 \fBxterm\fR을 실행시켜, 아이콘화 했을 경우,
+그 아이콘의 이름으로 나타날 것을 \fIstring\fR으로 지정한다.
+``\fI*iconName\fP'' 리소스로도 이 문자열을 지정할 수 있다.
+이 옵션은 아래에서 설명할 \fB\-name\fP 툴킷 옵션과는 다르다는 것을
+주의. 초기값은 풀그림의 이름을 아이콘 이름으로 사용한다.
+.TP 8
+.B \-r
+글자색과 배경색을 바꾼다(역상시킨다). 이 옵션은 \fB\-rv\fP 옵션과 같은 기능을
+한다.
+.TP 8
+.BI \-w " number"
+창의 테두리 폭을 \fInumber\fR 픽셀로 지정한다.
+이 옵션은 \fB\-borderwidth\fP나 \fB\-bw\fP 옵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.
+(참고: 윈도우 관리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옵션은 무시된다 \- 옮긴이 말)
+.PP
+다음은 \fIxterm\fR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X 툴킷 옵션들이다:
+.TP 8
+.B \-bg \fIcolor\fP
+배경색을 \fIcolor\fP로 지정. 초기값은 ``white''
+.TP 8
+.B \-bd \fIcolor\fP
+창 테두리 색을 \fIcolor\fP로 지정. 초기값은 ``black.''
+.TP 8
+.B \-bw \fInumber\fP
+창 테두리 넓이를 \fInumber\fP 픽셀로 지정.
+.TP 8
+.B \-fg \fIcolor\fP
+글자색을 \fIcolor\fP로 지정. 초기값은 ``black.''
+.TP 8
+.B \-fn \fIfont\fP
+사용할 글꼴을 \fIfont\fP로 지정. 초기값은 \fIfixed\fP.
+.TP 8
+.B \-name \fIname\fP
+실행 파일 이름 대신 사용할 이름을 \fIname\fP으로 지정.
+\fIname\fP에는 ``.'' 또는 ``*'' 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.
+.TP 8
+.B \-title \fIstring\fP
+윈도우 관리자에서 실행될 때 보여질 창 제목을 \fIstring\fP으로 지정.
+초기값은 실행파일 이름이다. 즉 \fB\-e\fP 옵션 다음에 사용될 실행파일 이름이나,
+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, 이 풀그림의 실행때 사용한 실행파일이름이다.
+.TP 8
+.B \-rv
+전경색(글자색)과 배경색을 바꾼다.
+.TP 8
+.B \-geometry \fIgeometry\fP
+VT102 창 크기와 위치를 \fIgeometry\fP로 지정.
+자세한 사항은 \fIX(1)\fP 매뉴얼 참조.
+.TP 8
+.B \-display \fIdisplay\fP
+연결한 X 서버를 \fIdisplay\fP로 지정. 자세한 사항은 \fIX(1)\fP 매뉴얼 참조.
+.TP 8
+.B \-xrm \fIresourcestring\fP
+사용할 리소스를 \fIresourcestring\fP으로 지정.
+.TP 8
+.B \-iconic
+윈도우 관리자에서 실행될 경우 아이콘 형식으로 실행되게 한다.
+.SH 리소스
+대부분의 기본 X 툴킷 리소스를 다음과 같이 지원한다:
+.\".in +1in
+.TP 8
+.B "iconGeometry (\fPclass\fB IconGeometry)"
+풀그림이 아이콘형태로 실행될 때의 그 크기와 위치.
+이값은 모든 윈도우 관리자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다.
+.TP 8
+.B "iconName (\fPclass\fB IconName)"
+아이콘 이름 지정. 초기값은 풀그림 이름.
+.TP 8
+.B "termName (\fPclass\fB TermName)"
+환경변수 TERM 값을 지정한다.
+.TP 8
+.B "title (\fPclass\fB Title)"
+이 풀그림이 윈도우 관리자에 의해서 실행될 때 그 창 제목을 지정한다.
+.TP 8
+.B "ttyModes (\fPclass\fB TtyModes)"
+명령행 옵션 \fB\-tm\fR 기능을 한다.
+자세한 이야기는 이 옵션 설명을 참조한다.
+.TP 8
+.B "useInsertMode (\fPclass\fB UseInsertMode)"
+TERMCAP 환경 변수 값을 강제로 바꾸어 insert 모드를 사용한다.
+이것은 시스템 termcap이 손상되었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utmpInhibit (\fPclass\fB UtmpInhibit)"
+\fI/etc/utmp\fP 파일에 현재 사용을 기록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.TP 8
+.B "sunFunctionKeys (\fPclass\fB SunFunctionKeys)"
+표준 escape 처리 대신에 Sun Function Key escape 코드값을
+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.\".in -1in
+.TP 8
+.B "waitForMap (\fPclass\fB WaitForMap)"
+하위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전에 창의 map을 초기화하기 위해 기다릴 것인지를
+지정한다. 초기값은 ``false.''
+.\".in 11in
+.sp
+.PP
+다음 리소스들은 \fIvt100\fP 위젯 (\fIVT100\fP 클래스)에서 사용된다.
+.\".in +1in
+.TP 8
+.B "allowSendEvents (\fPclass\fB AllowSendEvents)"
+글쇠가 눌려지는 것이나 다람쥐 단추가 눌려지는 여러 이벤트들이
+(X 프로토콜 SendEvent 조사를 사용함으로 생성됨) 외부에 알릴 것인지를
+지정한다. 초기값은 ``false.'' 이것은 자체적으로 해결한다는 뜻이다.
+이 값은 ``true''로 지정된다면, 심각한 보안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.
+.sp
+.TP 8
+.B "alwaysHighlight (\fPclass\fB AlwaysHighlight)"
+커서가 있는 곳을 항상 밝게 보여줄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으로는 \fBxterm\fR 창이 활성화 되거나 입력가능상태일때만,
+커서가 밝게 나타난다.
+.TP 8
+.B "appcursorDefault (\fPclass\fB AppcursorDefault)"
+이 값이 ``true''면, 커서 키가 원래, 풀그림 모드안에 있게 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appkeypadDefault (\fPclass\fB AppkeypadDefault)"
+이 값이 ``true''면, keypad key가 원래, 풀그림 모드안에
+있게 된다. 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autoWrap (\fPclass\fB AutoWrap)"
+자동 줄바꿈 기능 지정. 초기값은 "true"
+.TP 8
+.B "bellSuppressTime (\fPclass\fB BellSuppressTime)"
+벨 소리가 나기 시작한후 몇초 뒤에 다시 벨 소리를 나게 할 것인가를
+지정한다. 단위는 밀리초. 이 말은 연속해서 벨 소리가 날 때,
+그 간격을 말한다. 이런 값이 지정되는 이유는 앞의 벨 소리가
+미치 나기도 전에 다음 벨 소리가 나고, 또 그다음...
+이런 식으로 해서 벨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
+위해서다.
+.TP 8
+.B "boldFont (\fPclass\fB BoldFont)"
+글자 속성이 굵은 문자인 경우 그것을 보여줄 글꼴 지정.
+.TP 8
+.B "c132 (\fPclass\fB C132)"
+VT102 DECCOLM escape 처리를 지원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cutNewline (\fPclass\fB CutNewline)"
+false면, 화면을 초과하는 줄일을 보일 때, 줄나눔을 하지 않는다.
+true면, 줄나눔을 한다.
+초기값은 ``true.''
+.TP 8
+.B "cutToBeginningOfLine (\fPclass\fB CutToBeginningOfLine)"
+다람쥐 단추를 세번 연속해서 누를 경우, 그 전체를 선택, 복사할 것인지를
+지정. false면, 현재 커서가 있는 단어부터 그줄 끝까지만 선택된다.
+초기값은 ``true.''
+.TP 8
+.B "charClass (\fPclass\fB CharClass)"
+[\fIlow\fP\-]\fIhigh\fP:\fIvalue\fP 형식으로 지정되는 문자 클래스의
+쉼표(,)로 나열된 목록을 지정한다.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의
+\fBCHARACTER CLASSES\fR 부분을 참조한다.
+.TP 8
+.B "curses (\fPclass\fB Curses)"
+.B more (1)
+안의 벌레를 무시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지정한다.
+.B more (1)
+벌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\fB\-cu\fP 옵션에서 다루고 있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background (\fPclass\fB Background)"
+창 배경색 지정. 초기값은 ``white.''
+.TP 8
+.B "foreground (\fPclass\fB Foreground)"
+글자색(전경색) 지정. 초기값은 ``black.''
+.TP 8
+.B "cursorColor (\fPclass\fB Foreground)"
+텍스트 커서의 색깔 지정. 초기값은 ``black.''
+.TP 8
+.B "eightBitInput (\fPclass\fB EightBitInput\fP)"
+true면, 글쇠판으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문자들을 단일문자(1바이트),
+8비트로 그대로 처리하고,
+false면, 메타문자를 ESC 문자를 앞세운 2바이트문자로 처리한다.
+초기값은 ``true.''
+.TP 8
+.B "eightBitOutput (\fPclass\fB EightBitOutput\fP)"
+8비트 문자 출력 허용 여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true.''
+.TP 8
+.B "font (\fPclass\fB Font)"
+보통 글꼴 지정. 초기값은 ``fixed.''
+.TP 8
+.B "font1 (\fPclass\fB Font1)"
+첫번째 다른 글꼴 지정.
+.TP 8
+.B "font2 (\fPclass\fB Font2)"
+두번째 다른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3 (\fPclass\fB Font3)"
+세번째 다른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4 (\fPclass\fB Font4)"
+네번째 다른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5 (\fPclass\fB Font5)"
+다섯번째 다른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6 (\fPclass\fB Font6)"
+여섯번째 다른 글꼴 지정
+.TP 8
+.B "geometry (\fPclass\fB Geometry)"
+VT102 창의 위치와 크기를 지정.
+.TP 8
+.B "hpLowerleftBugCompat (\fPclass\fB HpLowerleftBugCompat)"
+이 값이 ``true''면,
+HP의 \fIxdb\fP 벌레인 termcap 관련 문제에서 termcap의
+지정값을 무시고, 아래 왼쪽으로 이동하기 위해 항상 ESC F를 보낸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internalBorder (\fPclass\fB BorderWidth)"
+글자들과 창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픽셀값으로 지정. 초기값은 2
+.TP 8
+.B "jumpScroll (\fPclass\fB JumpScroll)"
+점프 스크롤을 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 초기값은 ``true.''
+자세한 이야기는 \fB\-j\fR 옵션 설명을 참조한다.
+.TP 8
+.B "loginShell (\fPclass\fB LoginShell)"
+로그인 쉘로 실행하게 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marginBell (\fPclass\fB MarginBell)"
+창의 오른쪽 경계에 오면 벨 소리를 낼 것인지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multiClickTime (\fPclass\fB MultiClickTime)"
+두번 연속해서 찍기(multi-click) 이벤트로 인식하게 하는 최대 시간값 지정.
+초기값은 250 밀리초.
+.TP 8
+.B "multiScroll (\fPclass\fB MultiScroll)"
+비동기적으로(asynchronously) 스크롤 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nMarginBell (\fPclass\fB Column)"
+벨 소리를 낼 수 있을 때, 벨 소리를 나게할 오른쪽 경계 칸
+숫자를 지정한다.
+.TP 8
+.B "pointerColor (\fPclass\fB Foreground)"
+창이 활성화 될 때의 전경색(글자색)을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XtDefaultForeground.''
+.TP 8
+.B "pointerColorBackground (\fPclass\fB Background)"
+창이 활성화 될 때의 배경색을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XtDefaultBackground.''
+.TP 8
+.B "pointerShape (\fPclass\fB Cursor)"
+창이 활성화 될 때의 이름. 초기값은 ``xterm.''
+.TP 8
+.B "resizeGravity (\fPclass\fB ResizeGravity)"
+이것은 창 크기가 바뀌었을 때, 창 안에 있는 내용이
+어떻게 다시 보여질 것인가에 대해서 지정한다.
+사용되는 값은 \fBNorthWest\fP, \fBSouthWest\fP (초기값)인데,
+\fBNorthWest\fP 인 경우는 창이 줄어들 경우 윗줄이 가려지고,
+창이 크질 경우 빈줄이 아래에 추가 된다.
+\fBSouthWest\fP 인 경우는 창이 줄어들 경우 아랫줄이 가려지고,
+창이 크질 경우 윗줄의 내용이 더 보여진다.
+.TP 8
+.B "reverseVideo (\fPclass\fB ReverseVideo)"
+역상시킬 것인지를 지정한다. 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reverseWrap (\fPclass\fB ReverseWrap)"
+reverse-wraparound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saveLines (\fPclass\fB SaveLines)"
+스크롤 최대 저장 줄 수. 초기값은 64줄.
+.TP 8
+.B "scrollBar (\fPclass\fB ScrollBar)"
+스크롤막대를 보일 것인지 지정. 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scrollTtyOutput (\fPclass\fB ScrollCond)"
+지나간 화면을 보는 중에 화면 출력이 있으면,
+현재 작업 화면으로 돌아올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true.''
+.TP 8
+.B "scrollKey (\fPclass\fB ScrollCond)"
+지나간 화면을 보는 중에 입력이 있으면, 자동으로
+현재 작업 화면으로 돌아올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scrollLines (\fPclass\fB ScrollLines)"
+\fIscroll-forw\fP, \fIscroll-back\fP 액션으로 스크롤 되는
+줄 수. 초기값은 1줄.
+.TP 8
+.B "signalInhibit (\fPclass\fB SignalInhibit)"
+시그날 금지. ``Main Options'' 차림표에서 이값을 바꿀 수 있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tekGeometry (\fPclass\fB Geometry)"
+Tektronix 창의 크기와 위치 지정.
+.TP 8
+.B "tekInhibit (\fPclass\fB TekInhibit)"
+true면 Tektronix 모드 접근을 금지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tekSmall (\fPclass\fB TekSmall)"
+true 면,
+Tektronix 모드 창이 그 크기와 위치가 지정되지 않았다면,
+가장 작은 크기로 보여지게 한다. 이것은 \fBxterm\fR을 작게
+보이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. 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tekStartup (\fPclass\fB TekStartup)"
+\fIxterm\fP을 Tektronix 모드로 시작할 것인지 지정. 초기값은 ``false.''
+.TP 8
+.B "titeInhibit (\fPclass\fB TiteInhibit)"
+TERMCAP 값에 의해 \fIti\fP, \fIte\fP 문자열이 사용되면, 이것을
+없앨 것인지를 지정한다.
+.TP 8
+.B "translations (\fPclass\fB Translations)"
+글쇠와 다람쥐 단추 지정 리소스. 자세한 사항은 아래,
+\fBACTIONS\fP 부분을 참조한다.
+.TP 8
+.B "visualBell (\fPclass\fB VisualBell)"
+벨 소리 대신 화면 깜빡임을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
+초기값은 ``false.''
+.sp
+.PP
+다음 리소스들은 \fItek4014\fP 위젯에서 사용된다.
+.\".in +1in
+.TP 8
+.B "width (\fPclass\fB Width)"
+Tektronix 창의 가로 길이를 픽셀값으로 지정.
+.TP 8
+.B "height (\fPclass\fB Height)"
+Tektronix 창의 세로 길이를 픽셀값으로 지정.
+.TP 8
+.B "fontLarge (\fPclass\fB Font)"
+Tektronix 창의 큰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2 (\fPclass\fB Font)"
+두번째 글꼴 지정
+.TP 8
+.B "font3 (\fPclass\fB Font)"
+세번째 글골 지정
+.TP 8
+.B "fontSmall (\fPclass\fB Font)"
+작은 글꼴 지정.
+.TP 8
+.B "initialFont (\fPclass\fB InitialFont)"
+초기값으로 사용될 글꼴 지정. 초기값은 ``large.''
+이 값은 \fIset-tek-text\fP 액션으로 바꿀 수 있다.
+.TP 8
+.B "ginTerminator (\fPclass\fB GinTerminator)"
+이 리소스는 GIN 보고나, 상태 보고를 할 때 사용할
+문자를 지정하는데, 사용할 수 있는 값은 ``none,'' ``CRonly,'' ``CR&EOT''
+이다. none은 마침 문자 없음, CRonly는 CR만 보냄, CR&EOT는 CR과 EOT 함께
+보냄을 의미한다. 초기값은 ``none.''
+.\".in -1in
+.sp
+.PP
+다음에 오는 리소스들은 \fBxterm\fR 창에서 Ctrl 글쇠를 누르고
+다람쥐 단추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각종 차림표 항목들과 관련된 것들이다.
+자세한 이야기는 Athena \fBSimpleMenu\fP 위젯에서 다루고 있다.
+.PP
+\fImainMenu\fP 부분:
+.\".in +1in
+.TP 8
+.B "securekbd (\fPclass\fB SmeBSB)"
+\fBsecure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llowsends (\fPclass\fB SmeBSB)"
+\fBallow-send-events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redraw (\fPclass\fB SmeBSB)"
+\fBredraw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line1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첨가.
+.TP 8
+.B "suspend (\fPclass\fB SmeBSB)"
+job 제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
+\fBsend-signal(tstp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continu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nd-signal(cont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interrupt (\fPclass\fB SmeBSB)"
+\fBsend-signal(int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hangup (\fPclass\fB SmeBSB)"
+\fBsend-signal(hup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rminat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nd-signal(term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kil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nd-signal(kill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line2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첨가.
+.TP 8
+.B "quit (\fPclass\fB SmeBSB)"
+\fBquit()\fP 액션 호출.
+.\".in -1in
+.sp
+.PP
+\fIvtMenu\fP 부분:
+.\".in +1in
+.TP 8
+.B "scrollbar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scrollbar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jumpscrol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jumpscroll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reversevideo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reverse-video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utowrap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autowrap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reversewrap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reversewrap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utolinefeed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autolinefeed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ppcursor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appcursor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ppkeypad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appkeypad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scrollkey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scroll-on-key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scrollttyoutput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scroll-on-tty-output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llow132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allow132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cursesemu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cursesemul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visualbel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isualbell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marginbel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marginbell(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altscreen (\fPclass\fB SmeBSB)"
+이 부분은 현재 사용불가 상태이다.
+.TP 8
+.B "line1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삽입.
+.TP 8
+.B "softreset (\fPclass\fB SmeBSB)"
+\fBsoft-reset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hardreset (\fPclass\fB SmeBSB)"
+\fBhard-reset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clearsavedlines" (\fPclass\fB SmeBSB)"
+\fBclear-saved-lines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line2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삽입.
+.TP 8
+.B "tekshow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isibility(tek,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mod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rminal-type(tek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vthid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isibility(vt,off)\fP 액션 호출.
+.\".in -1in
+.sp
+.PP
+\fIfontMenu\fP 부분:
+.\".in +1in
+.TP 8
+.B "fontdefault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d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1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1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2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2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3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3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4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4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5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5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6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6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escap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fontse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t-font(s)\fP 액션 호출.
+.\".in -1in
+.sp
+.PP
+\fItekMenu\fP 부분:
+.\".in +1in
+.TP 8
+.B "tektextlarg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k-text(l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text2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k-text(2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text3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k-text(3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textsmall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k-text(s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line1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삽입.
+.TP 8
+.B "tekpage (\fPclass\fB SmeBSB)"
+\fBtek-page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reset (\fPclass\fB SmeBSB)"
+\fBtek-reset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copy (\fPclass\fB SmeBSB)"
+\fBtek-copy(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line2 (\fPclass\fB SmeLine)"
+줄 삽입.
+.TP 8
+.B "vtshow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isibility(vt,toggle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vtmod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terminal-type(vt)\fP 액션 호출.
+.TP 8
+.B "tekhide (\fPclass\fB SmeBSB)"
+\fBset-visibility(tek,toggle)\fP 액션 호출.
+.\".in -1in
+.sp
+.PP
+Athena Scrollbar 위젯을 위한 유용한 리소스들:
+.\".in +1in
+.TP 8
+.B "thickness (\fPclass\fB Thickness)"
+스크롤 막대의 가로 길이 픽셀값 지정.
+.TP 8
+.B "background (\fPclass\fB Background)"
+스크롤 막대의 배경색 지정.
+.TP 8
+.B "foreground (\fPclass\fB Foreground)"
+스크롤 막대의 전경색 지정. Xaw일 경우는 이 전경색과 배경색이
+서로 섞겨서 스크롤 막대의 색이 된다.
+.\".in -1in
+.SH "다람쥐 사용법"
+.PP
+\fBxterm\fR의 VT102 창에서는 그 창에 보여지는 내용들(글자들)을
+선택하고, 복사해서 다른 창에 붙히기를 할 수 있다.
+.PP
+선택 기능은 다람쥐를 사용할 때 글쇠 조합을 하지 않고 사용할 때나,
+``shift'' 글쇠를 사용할 때 호출된다.
+이런 각 글쇠나 다람쥐 단추의 그 기능별 지정은 리소스 데이터베이스를
+통해 바꿀 수 있다. 자세한 이야기는 \fBACTIONS\fP 부분에서 하고 있다.
+.PP
+다람쥐 왼쪽 단추는 텍스트를 cut 버퍼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.
+영역의 선택은 다람쥐 왼쪽 단추를 눌러 끌어 놓기를 하면된다.
+이렇게 하면, 끌려진 부분은 역상으로 보여지며, 그 부분이 버퍼에 저장된다.
+왼쪽 단추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, 한 단어가 선택, 복사되고,
+세번 연속해서 누르면 다람쥐 커서가 있는 그줄 전체가 선택, 복사된다.
+연속 누름인지 판단하는 것은 그 연속해서 누르는 시간에 의해서
+정해진다. 이런 부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\fBX (3)\fR 매뉴얼 페이지를
+참조한다. 이렇게 선택되어 역상으로 보여지는 부분은 다른 선택 영역이
+지정되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된다.
+.PP
+다람쥐 가운데 단추는 선택 영역의 내용을 입력 부분에서 그대로
+복사한다. 즉, 마치 직접 사용자가 그 내용을 입력한것 처럼 할 수 있다.
+.PP
+다람쥐 오른쪽 단추는 현재 영역을 확장하는데 사용된다.
+눈에 보이지는 않지만, 다람쥐 왼쪽 단추가 처음 한번 눌려진 장소가
+선택 영역의 시작점이 된다. 그리고, 다람쥐 오른쪽 단추가 눌려지는
+장소가 선택 영역의 마지막 점이 된다.
+즉, 이미 선택 영역이 있다면, 그 선택영역의 확장이나 축소하는데,
+다람쥐 오른쪽 단추를 사용할 수 있다.
+.PP
+이런 선택, 복사, 붙히기 기능은 텍스트 기반으로 하는 각종 다른 풀그림에서도
+사용되어 질 수 있다. 굳이 같은 창이 아니어도 된다. 즉, 한쪽 창에서의
+출력 글과를 다람쥐로 사용해서 선택 복사한 후, 그것을 다른 쪽 창에서
+편집기를 열어, 그곳에 붙힐 수 있다.
+이때 줄 바꿈 문자(일반적으로 Enter)도 그대로 복사, 붙히기가 된다.
+이말은 한 명령이 텍스트에 보여질 때, 줄 바꿈 문자로 끝나게 된다면,
+그 줄바꿈 문자까지 복사를 해서 쉘 프롬프트 상에서 붙히기를 하면,
+그대로 실행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.
+.PP
+그러면, 하나의 팁으로 이미 스크롤 되어 화면에 보여지지 않는 내용부터
+현재까지의 내용을 모두 복사해서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을 구현해 보자.
+.PP
+먼저 스크롤 막대를 다람쥐로 눌러 스크롤 영역의 시작점으로 간뒤,
+그 부분의 첫줄 컷칸에 다람쥐 왼쪽 단추를 한번만 누른다.
+.PP
+다음 스크롤 막대를 움직여 다시 현재 화면으로 돌아온 후,
+다람쥐 오른쪽 단추를 한번만 누르면,
+스크롤 전제 영역이 선택된다. (이때 주의할 점은
+왼쪽 단추를 한번 누른 후 다시 다른 곳에서 왼쪽 다르면 그 선택
+영역의 시작점이 바뀌어 버린다.)
+.PP
+다음 편집기를 열어서 그곳에서 다람쥐 가운데 단추를 누르면,
+스크롤의 전체 영역이 편집기에 나타난다.
+.PP
+Tektronix 창에서는 VT102 창과 달리, 이 선택, 복사, 붙히기 기능을
+제공하지 않는다.
+이것은 Tektronix GIN 모드를 허락하고, 이 모드에서는
+다람쥐 커서가 화살표로 보여진다.
+이 창에서는 다람쥐의 단추가 각각 `l', `m', `r' 문자로 처리되고,
+`shift'를 누르고 단추를 누르면, 각각 대문자로 처리된다.
+그런데, 일반 글쇠와 다람쥐 단추 누름으로 생성되는 문자들의 구분은
+최상위 비트로 판단한다. 하지만, Tektronix 터미날 모드에서는
+사용될 수 없기에 이런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.
+자세한 이야기는
+.IR tty (4)
+매뉴얼을 참조한다.
+.SH 차림표
+.PP
+\fBXterm\fR에서는
+.IR mainMenu ,
+.IR vtMenu ,
+.IR fontMenu ,
+.IR tekMenu
+이름을 가진 네개의 차림표를 제공하고 있다.
+각 차림표는 Ctrl 글쇠와 각 다람쥐 단추를 함께 누름으로 호출된다.
+대부분의 항목들은 \fBxterm\fR의 환경들을 전환(On/Off)하는 기능을 하고
+있으며, \fImainMenu\fP의 항목목들은 VT102, Tektronix 창 모두에서
+사용된다.
+The
+.B Secure Keyboard
+모드는 보안이 보장되지 않는 환경에서 비밀번호나, 기타 비밀이 보장되어야
+하는 내용을 입력할 때 사용된다.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
+.B 보안
+부분을 참조.
+.B Allow SendEvents
+모드는 \fBxterm\fR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들을 외부에 알릴 것인지를 지정한다.
+다음에 나는
+.BR Continue ,
+.BR Suspend ,
+.BR Interrupt ,
+.BR Hangup ,
+.BR Terminate ,
+.B Kill
+항목들은 각각 SIGCONT, SIGTSTP, SIGINT, SIGHUP, SIGTERM, SIGKILL
+시그날을 \fBxterm\fR을 상위 프로세스 그룹으로한 각각의 하위 프로세스들에게
+보낸다.
+.B Continue(SIGCONT)
+기능은 프로세스 보류기능인 Ctrl-Z 가 눌려져 현재 보류되고 있는
+프로세스를 다시 진행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.
+.PP
+.I vtMenu
+차림표에서는 VT102 에뮬래이션에 대한 각종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.
+이 차림표는 Ctrl 글쇠를 누르고 다람쥐 가운데 단추를 누름으로 호출된다.
+이 차림표에 있는 각종 기능들은 \fBxterm\fR에서 실행되는 각 풀그림들에
+따라 자주 바뀌어야 하는 하는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.
+가령, 어떤 풀그림에서는 역상(reverse) 일때가 보다 보기 좋고,
+어떤 풀그림에서는 보통일 때가 보기 좋을 때가 있다. 이럴 때,
+\fBxterm\fR 실행 도중에 언제든지 이 값을 바꿀 수 있도록 여기서 제공하고
+있다.
+.PP
+\fIfontMenu\fP 차림표에서는 VT102 창에서 사용할 글꼴을 바꿀 수 있다.
+이 차림표는 Ctrl 글쇠를 누르고 다람쥐 오른쪽 단추를 누름으로 호출 된다.
+.PP
+.I tekMenu
+차림표에서는 Tektronix 에뮬래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기능들을
+제어할 수 있다. 이 차림표는 Ctrl 글쇠를 누르고 Tektronix 창에서
+다람쥐 가운데 단추를 누름으로 호출된다.
+차림표 안의
+.B PAGE
+항목은 화면을 깨끗이 지우는데 사용된다.
+.SH 보안
+.PP
+X 시스템에서는 보안문제에 대해서 개념이 약간 다르다.
+\fIxdm\fP으로 돌아가는 대부분의 서버는 권한 부여에 대해서
+``magic cookie''라는 것을 사용하는데, 이것은,
+많은 사람들을 위한 각각의 보안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다.
+만약에 서버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host-based mechanism(?) 만을
+사용한다면(\fIxhost(1)\fP 매뉴얼 참조), 그리고, 현재 사용자도
+현재 호스트에 접근이 가능하고, 다른 사용자도 같은 호스트에서
+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다면, 다른 사용자가,
+현재 자신이 X 프로토콜로 보내는 신호를 훔쳐볼 수 있게 된다.
+이런 상태에서 비밀번호나, 아니면, 보안상의 문제가 있는 내용을
+입력해야 할 경우에, xterm에서는 이런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해서,
+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글쇠입력을 훔쳐보지 못하게 할 수 있다.
+.PP
+\fBxterm\fP 차림표에는 (위의 \fB차림표\fR 참조) \fBSecure Keyboard\fP
+항목이 있는데, 이것이 사용가능 상태가 되어 있으면,
+글쇠 입력의 내용은 GrabKeyboard protocol 조사를 사용해서,
+자체적으로 모든 것을 해결한다.
+한 풀그림을 실행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물어본다든지, 아니면,
+보안상의 내용을 입력해야 할 경우에, \fBSecure Keyboard\fP 항목을 선택하고,
+그 내용을 입력하고, 다시 \fBSecure Keyboard\fP 항목을 선택해서
+이 기능을 사용불가 상태로 만들어 놓아야한다.
+만약 이 기능을 계속 사용가능 상태로 해 놓고, 사용하게 된다면,
+X 서버와 통신을 하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,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
+경우가 발생하기 한다.
+이 기능이 사용가능 상태가 되면, 화면은 역상이 된다(전경색과 배경색이 바뀜).
+만약에 역상으로 되지 않는다면,
+일단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고 의심할 필요가 있다.
+이런 경우에는 창을 아이콘으로 만든 후 다시 원래대로 해서
+실행해 보기 바란다.
+.PP
+\fBSecure Keyboard\fP 모드는 xterm이 아이콘화 되었을 경우에는
+자동으로 사용불가 상태가 된다. 또한 다시 원래 창 크기로 바뀌면,
+지정한 대로 그 값이 지정된다. (이것은 xterm에서도 어쩔 수 없는
+X 프로토콜의 기능이기 때문이다)
+.SH "CHARACTER CLASSES"
+다람쥐 왼쪽 단추를 연속해서 두번 찍으면, 초기값으로,
+하나의 단어가 선택된다. \- 이 말은 공백문자나, 구두점같은 것이
+없는 상태의 연속하는 문자열만을 선택한다는 뜻이다.
+그런데, 사용자마다 이 두번찍기로 해서 선택하고자 하는 것이
+다를 것이다. 예를 들어, 파일이름에서 이런 공백문자나, 구두점같은
+것이 있을 경우, 어떤 사람은 그 파일 전체 이름의 일부분만,
+선택되기를 원하고, 또 어떤 사람은 파일 전체가 선택되기를 원할
+것이다. 바로 이런 것을 지정하는 것이 \fIcharClass\fP
+리소스이다.
+.PP
+이 리소스의 값은 \fIrange\fP:\fIvalue\fP 형식으로, 쉼표를
+구분해서 여러개 지정할 수 있다.
+\fIrange\fP에는 하나의 숫자나, 시작숫자-끝숫자 형식이 올 수있으며,
+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숫자는 ASCII 코드값과 관련이 있다. (아래 테이블 참조)
+\fIvalue\fP에는 하나의 숫자가 사용되는데,
+이것은 \fIrange\fP에서 지정한 문자들과 함께 처리될 문자를 지정한다.
+(일반적으로 알파벳만을 지정한다.)
+.PP
+초기값으로 지정된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.
+.sp
+.in +8
+.ft C \" Courier
+.nf
+static int charClass[128] = {
+/* NUL SOH STX ETX EOT ENQ ACK BEL */
+ 32, 1, 1, 1, 1, 1, 1, 1,
+/* BS HT NL VT NP CR SO SI */
+ 1, 32, 1, 1, 1, 1, 1, 1,
+/* DLE DC1 DC2 DC3 DC4 NAK SYN ETB */
+ 1, 1, 1, 1, 1, 1, 1, 1,
+/* CAN EM SUB ESC FS GS RS US */
+ 1, 1, 1, 1, 1, 1, 1, 1,
+/* SP ! " # $ % & ' */
+ 32, 33, 34, 35, 36, 37, 38, 39,
+/* ( ) * + , \- . / */
+ 40, 41, 42, 43, 44, 45, 46, 47,
+/* 0 1 2 3 4 5 6 7 */
+ 48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8 9 : ; < = > ? */
+ 48, 48, 58, 59, 60, 61, 62, 63,
+/* @ A B C D E F G */
+ 64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H I J K L M N O */
+ 48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P Q R S T U V W */
+ 48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X Y Z [ \\ ] ^ _ */
+ 48, 48, 48, 91, 92, 93, 94, 48,
+/* ` a b c d e f g */
+ 96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h i j k l m n o */
+ 48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p q r s t u v w */
+ 48, 48, 48, 48, 48, 48, 48, 48,
+/* x y z { | } ~ DEL */
+ 48, 48, 48, 123, 124, 125, 126, 1};
+.fi
+.ft P
+.in -8
+.sp
+예를 들어, ``33:48,37:48,45-47:48,64:48'' 이런 값이 지정된다면,
+문자(알파벳)와 함께, !, %, \-, ., /, @ 기호들도 함께
+선택된다. 이것은 파일이름이나, e\-mail 주소 같은 것을
+선택하는데 유용하다. (참고로, 아쉽게도 한글 코드에 대한 지정이
+없다. 한글에서도 이런 두번찍기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려면,
+소스를 수정하던지, 아니면, 로케일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
+해결책이 있어야 할 것 같다 - 옮긴이 말)
+.SH ACTIONS
+액션이라는 \fBxterm\fR 안에서 일어나는 각종 반응들에 대한 것을 설명한다.
+이 액션의 글쇠지정을 바꿈으로 단출글쇠나 다람쥐 단추를 바꿀 수 있으며,
+자신만의 고유한 \fBxterm\fR을 꾸밀 수도 있다.
+다음에 나오는 액션들은 \fIvt100\fP, \fItek4014\fP, \fB변환\fR 리소스에서
+사용되어 진다:
+.TP 8
+.B "bell([\fIpercent\fP])"
+벨 소리를 냄(^G 문자를 출력한다)
+.TP 8
+.B "ignore()"
+이벤트를 무시하지만, escape 처리의 특별 포인터 위치를 검사한다.
+.TP 8
+.B "insert()"
+문자나, 글쇠가 눌려져 조합되는 문자열을 삽입.
+.TP 8
+.B "insert-seven-bit()"
+\fBinsert()\fP와 같은 역활을 하지만 7bit 문자로 처리.
+.TP 8
+.B "insert-eight-bit()"
+8bit 문자로 삽입. 이 액션은 \fBeightBitInput\fP 리소스값에 따라,
+다르게 동작할 수도 있다.
+.TP 8
+.B "insert-selection(\fIsourcename\fP [, ...])"
+지정한 cutbuffer의 내용을 삽입.
+선택영역으로 사용할 영역은 주로 \fIPRIMARY\fP, \fISECONDARY\fP, \fICLIPBOARD\fP
+값이 사용되고, cutbuffer의 이름은 주로 \fICUT_BUFFER0\fP에서
+\fICUT_BUFFER7\fP 값을 가진다.
+.TP 8
+.B "keymap(\fIname\fP)"
+글쇠지정. \fIname\fP 값이 \fINone\fP이면, 초기값으로 되돌림.
+.TP 8
+.B "popup-menu(\fImenuname\fP)"
+차림표 호출. \fImenuname\fP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은,
+\fImainMenu\fP, \fIvtMenu\fP, \fIfontMenu\fP, \fItekMenu\fP.
+.TP 8
+.B "secure()"
+mainMenu에서 지정한는 \fISecure Keyboard\fP 모드를 토클한다.
+.TP 8
+.B "select-start()"
+현재 포인터를 선택영역의 시작으로 지정.
+.TP 8
+.B "select-extend()"
+선택영역 확장. 이 액션은 다람쥐가 움직이고 있을 때 가능하다.
+.TP 8
+.B "select-end(\fIdestname\fP [, ...])"
+현재 포인터를 선택영역의 끝으로 지정. 그리고 선택 영역을
+\fIdestname\fP으로 cut 버퍼에 저장한다.
+.TP 8
+.B "select-cursor-start()"
+\fBselect-start\fP와 비슷하나, 여기서는 텍스트 커서가 있는 곳을
+시작으로 한다.
+.TP 8
+.B "select-cursor-end(\fIdestname\fP [, ...])"
+\fBselect-start\fP와 비슷하나, 여기서는 텍스트 커서가 있는 곳을
+선택의 끝으로 하고, \fIdestname\fP으로 cut 버퍼에 저장한다.
+.TP 8
+.B "set-vt-font(\fId/1/2/3/4/5/6/e/s\fP [,\fInormalfont\fP [, \fIboldfont\fP]])"
+VT102 창에서 사용할 글꼴 지정.
+첫번째 인자는 글꼴 번호. D, 또는 d는 초기값.
+1-6이 지정되면, 리소스에서 지정된 각각의 글꼴을 이용한다.
+E 또는 e는 보통 글씨의 글꼴과 굵은 글씨의 글꼴을 직접 지정해 준다.
+S 또는 s는 \fIxfontsel(1)\fP과 같은 직접 글꼴 고르기 풀그림을
+실행시켜 글꼴을 고른다.
+.TP 8
+.B "start-extend()"
+\fBselect-start\fP 액션과 비슷하나, 그 시작점을 현재
+포인터 위치로 확장한다.
+.TP 8
+.B "start-cursor-extend()"
+\fBselect-start\fP 액션과 비슷하나, 그 시작점을 현재
+텍스트 커서가 있는 위치로 확장한다.
+.TP 8
+.B "string(\fI문자열\fP)"
+\fI문자열\fR을 삽입한다. 문자열 사이 공백문자가 있다면,
+따움표로 묶어준다. 문자열이 ``0x'' 글자로 시작한다면,
+그것은 16진수로 처리된다.
+.TP 8
+.B "scroll-back(\fIcount\fP [,\fIunits\fP])"
+화면을 \fIcount\fR 단위만큼 스크롤 한다.
+\fIunits\fP 인자가 그 단위인데,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값은,
+\fIpage\fP, 또는 \fIhalfpage\fP, \fIpixel\fP, \fIline\fP 이다.
+.TP 8
+.B "scroll-forw(\fIcount\fP [,\fIunits\fP])"
+\fBscroll-back\fP 액션과 같은 기능을 하나, 그 방향이 반대이다.
+\fBscroll-back\fP 액션은 이전(위, 뒤)으로 스크롤하며,
+\fBscroll-forw\fP 액션은 다음(아래, 앞)으로 스크롤 한다.
+.TP 8
+.B "allow-send-events(\fIon/off/toggle\fP)"
+\fBallowSendEvents\fP 리소스 값을 토클시킴.
+.TP 8
+.B "redraw()"
+\fImainMenu\fP 안의 \fIredraw\fP 항목이 호출 될 때 실행할 화면 갱신.
+.TP 8
+.B "send-signal(\fIsigname\fP)"
+시그날 보내기. \fIsigname\fP 값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.
+.BR suspend ,
+.BR continue ,
+.BR interrupt ,
+.BR hangup ,
+.BR terminate ,
+.BR kill
+이다.
+.TP 8
+.B "quit()"
+SIGHUP 시그날을 보내서 하위 풀그림을 종료시킨다.
+.TP 8
+.B "set-scrollbar(\fIon/off/toggle\fP)"
+\fBscrollbar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jumpscroll(\fIon/off/toggle\fP)"
+\fBjumpscroll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reverse-video(\fIon/off/toggle\fP)"
+\fIreverseVideo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utowrap(\fIon/off/toggle\fP)"
+자동 줄 바꿈 기능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reversewrap(\fIon/off/toggle\fP)"
+\fBreverseWrap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utolinefeed(\fIon/off/toggle\fP)"
+자동으로 linefeed 문자를 삽입하는 기능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ppcursor(\fIon/off/toggle\fP)"
+Application Cursor Key mode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ppkeypad(\fIon/off/toggle\fP)"
+Application Keypad mode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scroll-on-key(\fIon/off/toggle\fP)"
+\fBscrollKey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scroll-on-tty-output(\fIon/off/toggle\fP)"
+\fBscrollTtyOutput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llow132(\fIon/off/toggle\fP)"
+\fBc132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cursesemul(\fIon/off/toggle\fP)"
+\fBcurses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visual-bell(\fIon/off/toggle\fP)"
+\fBvisualBell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marginbell(\fIon/off/toggle\fP)"
+\fBmarginBell\fP 리소스 값을 지정하거나 전환한다.
+.TP 8
+.B "set-altscreen(\fIon/off/toggle\fP)"
+지난 화면과 현재 화면 사이를 전환한다.
+.TP 8
+.B "soft-reset()"
+스크롤 영역을 재 설정한다. 이 기능은 \fIvtMenu\fP의 \fBsoftreset\fP
+항목에서도 호출될 수 있다.
+.TP 8
+.B "hard-reset()"
+스크롤 영역, 탭, 창크기, 커서 글쇠를 재설정하고, 화면을 모두 지운다.
+이 기능은 \fIvtMenu\fP의 \fBhardreset\fP 항목에서도 호출될 수 있다.
+.TP 8
+.B "clear-saved-lines()"
+\fBhard-reset()\fP 액션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, 스크롤 영역에 남아
+내용까지 모두 지워버린다. 이 기능은 \fIvtMenu\fP의 \fBclearsavedlines\fP
+항목에서도 호출될 수 있다.
+.TP 8
+.B "set-terminal-type(\fItype\fP)"
+터미날 형태를 지정하는 것으로 \fItype\fP 값에는
+\fIvt\fP 또는 \fItek\fP 값이 사용된다.
+이 기능은 \fIvtMenu\fP의 \fBtekmode\fP 항목이나,
+\fItekMenu\fP의 \fBvtmode\fP 항목에서 호출된다.
+.TP 8
+.B "set-visibility(\fIvt/tek\fP,\fIon/off/toggle\fP)"
+\fIvt\fP 또는 \fItek\fP 창을 보일 것인지를 지정한다.
+\fIvtMenu\fP의 \fBtekshow\fP, \fBvthide\fP 항목과
+\fItekMenu\fP의 \fBvtshow\fP, \fBtekhide\fP 항목에서 호출된다.
+.TP 8
+.B "set-tek-text(\fIlarge/2/3/small\fP)"
+Tektronix 창에서 사용할 글꼴을 지정한다. 이것은
+\fBtektextlarge\fP, \fBtektext2\fP, \fBtektext3\fP 리소스 값들을
+각각 바꾼다. 이 액션은 Tektronix 창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.
+.TP 8
+.B "tek-page()"
+Tektronix 창 화면을 모두 지운다. 이 기능은
+\fItekMenu\fP의 \fBtekpage\fP 항목에서도 호출 될 수 있다.
+.TP 8
+.B "tek-reset()"
+Tektronix 창을 재설정한다.
+.TP 8
+.B "tek-copy()"
+현재 창에 나타난 내용을 현재 경로에서 COPY라는 이름으로 시작하는
+파일로 저장한다. (위의 \fBEMULATIONS\fR 부분 참조)
+.TP 8
+.B "visual-bell()"
+창 화면을 반짝인다. 이것은 벨 소리를 나게하는 것 대신에,
+화면을 깜박거리게 한다.
+.PP
+Tektronix 창에서는 다음의 액션을 사용할 수 있다:
+.TP 8
+.B "gin-press(\fIl/L/m/M/r/R\fP)"
+그래픽 입력 코드를 보낸다.
+.PP
+VT102 창에서의 글쇠지정 초기값은 다음과 같다:
+.sp
+.in +4
+.DS
+.TA 2.5i
+.ta 2.5i
+.nf
+ Shift <KeyPress> Prior: scroll-back(1,halfpage) \\n\\
+ Shift <KeyPress> Next: scroll-forw(1,halfpage) \\n\\
+Shift <KeyPress> Select: select-cursor-start() \\
+ select-cursor-end(PRIMARY, CUT_BUFFER0) \\n\\
+Shift <KeyPress> Insert: insert-selection(PRIMARY, CUT_BUFFER0) \\n\\
+ ~Meta<KeyPress>: insert-seven-bit() \\n\\
+ Meta<KeyPress>: insert-eight-bit() \\n\\
+ !Ctrl <Btn1Down>: popup-menu(mainMenu) \\n\\
+ !Lock Ctrl <Btn1Down>: popup-menu(mainMenu) \\n\\
+ ~Meta <Btn1Down>: select-start() \\n\\
+ ~Meta <Btn1Motion>: select-extend() \\n\\
+ !Ctrl <Btn2Down>: popup-menu(vtMenu) \\n\\
+ !Lock Ctrl <Btn2Down>: popup-menu(vtMenu) \\n\\
+ ~Ctrl ~Meta <Btn2Down>: ignore() \\n\\
+ ~Ctrl ~Meta <Btn2Up>: insert-selection(PRIMARY, CUT_BUFFER0) \\n\\
+ !Ctrl <Btn3Down>: popup-menu(fontMenu) \\n\\
+ !Lock Ctrl <Btn3Down>: popup-menu(fontMenu) \\n\\
+ ~Ctrl ~Meta <Btn3Down>: start-extend() \\n\\
+ ~Meta <Btn3Motion>: select-extend() \\n\\
+ <BtnUp>: select-end(PRIMARY, CUT_BUFFER0) \\n\\
+ <BtnDown>: bell(0)
+.fi
+.DE
+.sp
+.in -4
+.PP
+Tektronix 창에서의 글쇠지정 초기값은 다음과 같다:
+.sp
+.in +4
+.DS
+.TA 2.5i
+.ta 2.5i
+.nf
+ ~Meta<KeyPress>: insert-seven-bit() \\n\\
+ Meta<KeyPress>: insert-eight-bit() \\n\\
+ !Ctrl <Btn1Down>: popup-menu(mainMenu) \\n\\
+!Lock Ctrl <Btn1Down>: popup-menu(mainMenu) \\n\\
+ !Ctrl <Btn2Down>: popup-menu(tekMenu) \\n\\
+!Lock Ctrl <Btn2Down>: popup-menu(tekMenu) \\n\\
+Shift ~Meta<Btn1Down>: gin-press(L) \\n\\
+ ~Meta<Btn1Down>: gin-press(l) \\n\\
+Shift ~Meta<Btn2Down>: gin-press(M) \\n\\
+ ~Meta<Btn2Down>: gin-press(m) \\n\\
+Shift ~Meta<Btn3Down>: gin-press(R) \\n\\
+ ~Meta<Btn3Down>: gin-press(r)
+.fi
+.DE
+.sp
+.in -4
+.PP
+다음은 \fBkeymap()\fP 기능의 사용법과 상용구(commonly-typed works)
+지정에 대한 예제이다:
+.sp
+.in +4
+.nf
+.DS
+.TA .5i 1.5i
+.ta .5i 1.5i
+.nf
+*VT100.Translations: #override <Key>F13: keymap(dbx)
+*VT100.dbxKeymap.translations: \\
+ <Key>F14: keymap(None) \\n\\
+ <Key>F17: string("next") string(0x0d) \\n\\
+ <Key>F18: string("step") string(0x0d) \\n\\
+ <Key>F19: string("continue") string(0x0d) \\n\\
+ <Key>F20: string("print ") insert-selection(PRIMARY, CUT_BUFFER0)
+.fi
+.DE
+.sp
+.in -4
+.SH 환경변수
+\fIXterm\fR에서는 창의 모양에 대한 "TERM", "TERMCAP" 환경 변수를
+제공하고,
+창을 어디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"DISPLAY" 변수를 제공하고,
+.I xterm
+창의 ID를 위해서 "WINDOWID" 변수를 제공한다.
+.SH "관련 항목"
+resize(1), X(1), pty(4), tty(4)
+.br
+\fIXterm Control Sequences\fP
+.SH 벌레
+.PP
+Large pastes 기능은 어떤 시스템에서는 작동되지 않는다.
+이것은 \fIxterm\fP의 버그가 아니라, 그 시스템의 pseudo 터미날 드라이버
+벌레이다. \fIxterm\fP은 pty그 그 처리할 수 있는 데이타 처리 속도만큼만
+large pastes를 pty에 공급한다. 이때, 어떤 pty 드라이버는 그 자료를
+성공적으로 기록했는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리턴하지 못한다.
+.PP
+많은 옵션은 \fIxterm\fP이 실행된 후에는 다시 지정되지 못한다.
+.PP
+사용할 수 있는 글꼴은 fixed-width, character-cell 형태의 글꼴 뿐이다.
+.PP
+이 풀그림은 아직 고칠점이 많다.
+각 함수(섹션, 루틴)들이 보다 세분화 되어야하며, 여러가지 터미날들을
+위젯 수준으로 지원해야할 것이다.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여러 터미날
+흉네내기를 위젯 수준으로 하나의 리소스 지정으로 그 터미날을 구현
+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.
+.PP
+Tek 복사 파일 이름 지정을 하는 대화상자가 필요하다.
+.SH 만든이
+아랫 사람들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풀그림 제작에 참가했다:
+.sp
+Loretta Guarino Reid (DEC-UEG-WSL),
+Joel McCormack (DEC-UEG-WSL), Terry Weissman (DEC-UEG-WSL),
+Edward Moy (Berkeley), Ralph R. Swick (MIT-Athena),
+Mark Vandevoorde (MIT-Athena), Bob McNamara (DEC-MAD),
+Jim Gettys (MIT-Athena), Bob Scheifler (MIT X Consortium), Doug Mink (SAO),
+Steve Pitschke (Stellar), Ron Newman (MIT-Athena), Jim Fulton (MIT X
+Consortium), Dave Serisky (HP), Jonathan Kamens (MIT-Athena)
+.SH "한텀 이야기"
+\fBhanterm\fR도 \fBxterm\fR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에, 거의 모든 옵션과
+리소스와 액션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. 단지 차이점이라면,
+.PP
+Tektronix 창 기능이 없다는 것과,
+.br
+한글 폰트를 위한 \fB\-hfn\fR 옵션과 \fBhangulFont\fR 리소스가 추가되었고,
+.br
+한글 자판을 위한 \fBhangulKeyboard\fR 리소스가 추가되었다. 이 리소스의 인자는
+\fB2\fR(두벌식)또는 \fB3\fR(세벌식)이다.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5/ftpaccess.5 b/po/ko/archive/plain/man5/ftpaccess.5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98c17a61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5/ftpaccess.5
@@ -0,0 +1,1171 @@
+.\"
+.\" Copyright (c) 1999,2000 WU-FTPD Development Group.
+.\" All rights reserved.
+.\"
+.\" Portions Copyright (c) 1980, 1985, 1988, 1989, 1990, 1991, 1993, 1994
+.\"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. Portions Copyright (c)
+.\" 1993, 1994 Washington University in Saint Louis. Portions Copyright
+.\" (c) 1996, 1998 Berkeley Software Design, Inc. Portions Copyright (c)
+.\" 1998 Sendmail, Inc. Portions Copyright (c) 1983, 1995, 1996, 1997 Eric
+.\" P. Allman. Portions Copyright (c) 1989 Massachusetts Institute of
+.\" Technology. Portions Copyright (c) 1997 Stan Barber. Portions
+.\" Copyright (C) 1991, 1992, 1993, 1994, 1995, 1996, 1997 Free Software
+.\" Foundation, Inc. Portions Copyright (c) 1997 Kent Landfield.
+.\"
+.\" Use and distribution of this software and its source code are governed
+.\" by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WU-FTPD Software License ("LICENSE").
+.\"
+.\" $Id: ftpaccess.5,v 1.1.1.1 2002/07/18 10:40:12 hhyoon Exp $
+.\"
+.TH ftpaccess 5
+.SH 이름
+ftpaccess \- ftpd 설정 file
+.SH 설명
+ftpaccess file은
+.BR ftpd(1)
+의 운영을 설정하는데 사용한다.
+.SH 접근 방법 설정
+.TP 0.5i
+.B autogroup <groupname> <class> [<class> ...]
+
+Anonymous user가 특정 <class>의 member일때, ftp server는 <groupname>에
+setegid()를 실행할 것이다. 이것은 특정 group의 anonymous user들에게
+file과 directory를 group-and-owner-read-only의 권한으로 접근을 허락
+하는 것을 말한다. <groupname>은 /etc/group에 존재하는 group이어야 한다.
+.TP 0.5i
+.B class <class> <typelist> <addrglob> [<addrglob> ...]
+
+<addrglob> 형식의 source address들로 user의 <class>를 정의한다.
+<class>는 중복되어 설정을 할수 있으며 "class"를 중복되게 나열하여
+class의 추가 member를 정의할수 있다. 이 중복된 "class"들이 현재
+session에 적용이 된다면 access file에 나열되어 있는 것들중 가장
+먼저 나오는 것이 사용되어 진다. class의 설정을 잘못하면 접속 거부를
+당하게 된다. <typelist>는 "anonymous", "guest", "real"의 keyword가
+존재하며 이 3개의 keyword는 comma(컴마)로서 구분을 한다. "real"은
+real account로 ftp를 사용하는 user를 말하며, "anonymous"는 anonymous
+FTP를 위한 user(anonymous, ftp)를 말한다. "guest"는 손님 사용자로
+처리되는 user를 말한다. ( "guestgroup"을 참조 하면 더 많은 정보를
+얻을수 있다.)
+
+<addrglob>는 도메인네임 또는 ip address로 설정을 하며, 슬래쉬('/')
+로 시작을 하는 file 이름일수도 있다. 이 파일은 address:netmask 또는
+address/cidr의 형식과 같은 추가 주소를 포함한다.
+
+<addrglob> 앞에 "!"를 위치시키면, 예를 들어
+.nf
+ class rmtuser real !*.example.com
+.fi
+rmtuser class처럼 example.com 도메인 외에서 접근할수 있는 실제 유저를 지정
+할수 있다.
+
+.TP 0.5i
+.B deny <addrglob> <message_file>
+
+<addrglob>와 비교하여 매치도는 host의 접근을 거절하며 <message_file>
+에서 지정할 file의 내용을 출력한다. <addrglob>는 nameserver에 등록되어
+있지 않은 site들의 접속을 거부하기 위한 nameser의 역할을 하며
+<addrglob>와 같이 슬래쉬('/')로 시작하는 file의 이름을 지정할수도
+있으며 이 파일에는 address:netmask 또는 address/cidr의 형식과 같은
+추가 주소를 포함한다.
+
+.TP 0.5i
+.B guestgroup <groupname> [<groupname> ...]
+.TP 0.5i
+.B guestuser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.TP 0.5i
+.B realgroup <groupname> [<groupname> ...]
+.TP 0.5i
+.B realuser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
+REAL user가 <groupname>의 한 member라면, guestgroup을 위한 session은
+anonymous FTP와 같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. 다시 말해, chroot()가
+실행되어 져야 하며, USER와 PASS 명령이 제공되어져야 한다.
+<groupname>은 /etc/group에 존재하는 group이어야 한다.
+.PP
+user의 home directory는 anonymous FTP가 그러한 것 처럼 정확하게 설정
+되어야 한다. passwd entry의 home directory field는 두개의 directory
+들로 나뉘어져 있다. 첫번째 field는
+.IR chroot(2)가
+부르는 인자가 될 root directory이다. 두번째 반은 root directory로
+연관된 user의 home directory이다. 두 디렉토리의 구분은 "/./"로서
+한다.
+
+예를 들어 /etc/passwd에서, real entry:
+.nf
+ guest1:<passwd>:100:92:Guest Account:/ftp/./incoming:/etc/ftponly
+.fi
+guest1이 log in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을때 ftp server는
+.B chroot("/ftp")
+를 한다음
+.B chdir("/incoming")
+을 할 것이다. guest user는 anonymous FTP user가 그러하듯이오직
+.B /ftp
+하위의 directory 구조에 접근이 가능하다.
+(guest1에게는 /로서 보이며 작동한다.)
+.PP
+group name은 이름이나 숫자 ID로 지정되어야 한다. 숫자로 된 group
+I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, 숫자 이전에 '%'를 위치시켜야 한다. 모든
+goup을 나타내는 asterisk(*)-를 사용하는 것 처럼 영역을 지정할수도
+있다.
+
+guestuser는 user name(또는 숫자 ID)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
+guestgroup처럼 작동한다.
+
+realuser와 realgroup은 동일한 문법을 가지지만, guestuser와
+guestgroup의 영향과는 반대이다. relauser와 realgroup은 원격 접속
+user가 guest로 결정 되어지는 것이 아닐때 real user 접속을 허락한다.
+
+예를 들어:
+.nf
+ guestuser *
+ realgroup admin
+.fi
+와 같이 설정을 했을때 유일하게 real user 접근을 허락받은 admin
+group에 있는 user들을 제외 하고는 모든 non-anonymous user들은
+guest로 취급이 되어지기 때문이다.
+
+.TP 0.5i
+.B nice <nice-delta> [<class>]
+원격 user가 <class>에 정의된 멤버라면 지정된 <nice-dalta> 의해
+ftp server process의 process nice value를 조절 한다. 만약 <class>가
+지정되지 않으면, ftp server process nice value 는 기본으로 지정된
+<nice-delta> 를 사용한다. 이 기본 nice value 조정은 ftpaccess file에
+존재하는 class-specific 'nice' 지시자에 대해 어떤 class에도 속하지
+않는 user들을 위해 server process의 nice value를 조정하기 위하여
+사용되어 진다.
+
+.TP 0.5i
+.B defumask <umask> [<class>]
+
+원격 user가 class에 정의된 멤버라면, daemon에 의해 만들어진 file들의
+umask를 지정한다. <class>가 지정되지 않으면, 어떤 것도 지정되지 않은
+class들을 위해 umask는 기본값으로 사용이 된다.
+
+.TP 0.5i
+.B tcpwindow <size> [<class>]
+
+data connection에 대한 TCP window size를 지정한다. 이것은 network
+traffic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할수 있다. 예를 들어 느린 PPP dialin
+link들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더 작은 TCP window들이 필요하게 된다.
+이것에 대해 잘 모르겠다면 그냥 나두도록 한다.
+
+.TP 0.5i
+.B keepalive <yes|no>
+
+data socket을 위하여 TCP SO_KEEPALIVE를 지정하여 네트워크를 끊는 것을
+조절할수 있다. Yes: 는 사용을 하는 것이며 No는 system의 기본값을 사용
+하겠다는 것을 의미 한다(보통 off이다). 당신은 아마도 이것을 셋팅하는
+것을 원할것이다.
+
+.TP 0.5i
+.B timeout accept <seconds>
+.TP 0.5i
+.B timeout connect <seconds>
+.TP 0.5i
+.B timeout data <seconds>
+.TP 0.5i
+.B timeout idle <seconds>
+.TP 0.5i
+.B timeout maxidle <seconds>
+.TP 0.5i
+.B timeout RFC931 <seconds>
+
+다양하게 timeout을 지정할수 있다.
+
+Accept (기본 120초) : 데몬이 얼마나 incoming(PASV) data 접속을
+기다릴지를 설정한다.
+
+Connect (기본 120초) : 데몬이 얼마나 outgong(PORT) data 접속을
+이루기 위해 위해 시도 하는 것을 기다릴지를 설정하며, 실제 접속
+시도에 영향을 미친다. 데몬은 여러번 시도를 하게 되며, 완전히 접속이
+되기 전까지 각각의 시도 사이에 텀을 가지게 된다.
+
+Data (기본 1200초): 데몬이 어떤 실제 data접속을 이루기 위해 기다리는
+시간을 지정한다. 원격 접속자들이 클라이언트를 통해 아주 작은 데이타
+큐와 느린 결합을 가질수 있도록 길게 잡아 줘야 한다.
+
+Idle (기본 900초): 데몬이 새로운 명령을 수행할때 까지 얼마나
+기다릴지를 설정한다. 기본으로 ftp 데몬을 실행할때 -a 옵션을 사용하여
+지정할수 지정할수 있으며 이때에는 설정파일에서의 값은 무시되어 진다.
+
+MaxIdle (기본 1200초): SITE IDLE 명령은 원격 유저가 idle 시간 초과를
+통하여 높은 값을 형성하도록한다.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것들을
+제한하는 최대값을 지정한다. ftpd 시작시에 -A 옵션으로 지정할수
+있으며 이때에는 설정파일에서의 값은 무시되어 진다.
+
+RFC931 (기본 10초): 데몬이 전체 RFC931(AUTH/ident) 소통을 허락할 최대
+사간을 지정한다. 0으로 설정을 하면 데몬이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
+완전히 막는다. RFC931을 통해 얻는 정보들은 시스템 로그에 기록이 되고,
+실제로 어떠한 인증에도 사용이 되지는 않는다.
+
+
+.TP 0.5i
+.B file-limit [<raw>] <in|out|total> <count> [<class>]
+
+지정된 class에서 user가 전송할수 있는 data file들의 수를 제한한다.
+limit는 in, out 또는 둘다 file안에 위치한다. class가 지장되지
+않았다면, limit는 limit가 지정되지 않은 class들을 위한 기본값으로
+사용된다. 부가적으로
+.B raw
+parameter는 단지 date file들 보다는 total traffic을 제한하는데 적용을
+한다.
+
+.TP 0.5i
+.B data-limit [<raw>] <in|out|total> <count> [<class>]
+
+class에 지정된 user가 전송하는 data를 byte 단위로 제한한다. limit는
+in, out 또는 둘다를 byte를 기준으로 한다. class를 지정하지 않으면,
+limit 는 limit를 지정하지 않은 class들을 위한 기본값으로 사용된다.
+limit를 지정을 하면 지정한 이상을 초과하여 전송을 할수 없다. 하지만
+진행중인 전송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. 부가적으로
+.B raw
+parameter는 단지 date file들 보다는 total traffic을 제한하는데 적용을
+한다.
+
+.TP 0.5i
+.B limit-time {*|anonymous|guest} <minutes>
+
+session이 가질수 있는 총 시간을 제한한다. 기본적으로 제한이 걸려있지
+않다. real user들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.
+
+.TP 0.5i
+.B guestserver [<hostname>]
+
+anonymous 또는 guest 접속을 위해 사용되어 지는 host들을 조정한다.
+<hostmane> 없이 사용을 한다면, 모든 guest 나 anonymous 접속은 접근을
+거부당한다. 하나 이상의 <hostname>을 지정해야 한다. guest와
+anonymolus 접속은 machain들의 이름에 기반해서 허락되어 진다. 접근이
+거절되면, user는 먼저 <hostname> list에 등록이 되어져야만 사용이
+가능하다.
+
+.TP 0.5i
+.B limit <class> <n> <times> <message_file>
+
+<class>에서 접근을 하는 <n> user들을 <times> 시간에 제한하며,
+user가 접근을 거절 당할때 <message_file>을 출력한다. Limit check는
+login시에만 수행된다. 다중 "limit" 명령이 현재의 session에 적용이
+된다면 먼저 설정된 것이 사용되어 진다. limit 정의가 빠지거나 limit가
+-1로 설정이 되면 unlimit로 작동을 한다. <times>는 UUCP L.sys
+file에서의 time과 같은 형식이다.
+
+.TP 0.5i
+.B noretrieve [absolute|relative] [class=<classname>] ... [-] <filename> <filename> ...
+
+설정된 file들의 상대적 기능을 제한한다. file들이 절대 경로 설정을
+사용 ('/' character로 시작하는 것 처럼) 한다면, 이 file들은 얻을수
+없는 것으로 표기가 되어진다. 다시말해 filename과 매치되는 모든
+file들은 전송이 거절된다. 예를들어
+.nf
+ noretrieve /etc/passwd core
+.fi
+설정은 /etc/passwd file을 얻어갈수 없게 한다. 이에 반해 이것이
+/etc에 있지 않는 다면 'passwd' file을 전송 받아 갈수가 있다.
+다른 면에서 'core'라는 이름을 가진 file은 어디서도 전송을 받을수가
+없다.
+.PP
+슬래쉬('/')로 끝나는 절대 경로는 그 directory안의 모든 file들을
+전송 할수 없게 표기되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. <filename>은 file golb
+처럼 지정을 해야 한다. 예를 들어
+.nf
+ noretrieve /etc /home/*/.htaccess
+.fi
+/etc 에 있는 어떠한 file들이나 하위 디렉토리들을 제한하도록 정의 하는
+것이다. 또한, /home 디렉토리 하위의 어느곳에서나 '.htaccess'의 파일
+이름을 가진 파일을 제한한다.
+.PP
+부가적인 첫번째의 매개변수는 현재의 chroot'd 환경에 절대적 또는
+상대적으로 해석되어지는 이름들인지 아닌지를 선택한다. 기본은
+slash로 시작하는 절대경로로 해석을 한다.
+.PP
+noretrieve 제한은 특정 class들의 member들을 기반으로 한다.
+어떤 class가 지정되어져 있고 현재 user가 어떤 주어진 class들의
+member들이라면 지정된 file들은 상대적인 것이 아니다.
+
+.TP 0.5i
+.B allow-retrieve [absolute|relative] [class=<classname>]... [-] <filename> ...
+
+noretrieve에 의해 거부 되어진 file들의 복구를 허락한다.
+
+.TP 0.5i
+.B loginfails <number>
+
+<number> login 실패후에, "repeated login failusers" message를
+출력한 후, FTP 연결을 종료한다. 기본값은 5이다.
+
+.TP 0.5i
+.B private <yes|no>
+
+user login 후, SITE GROUP과 SITE GPASS 명령은 강화된 접속 group과
+연결된 password를 지정 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. group name과
+password가 지정되면, user는 setgid()를 통해서 group 접근 file
+/etc/ftpgroups 에 정의된 group의 member가 된다.
+.PP
+group access file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.
+.nf
+ access_group_name:encrypted_password:real_group_name
+.fi
+access_group_name은 문자 숫자식(alphanumeric)과 구둣점(punctuation)
+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문자열이며, encrypted_password는
+.B /etc/passwd
+와 같이 정확하게
+.IR crypt(3)
+를 통해서 암호화 되어진 password이다.
+.B real_group_name
+은
+.B /etc/group
+에 속해있는 유효한 group 이름이다.
+.PP
+주의:anonymous FTP user들에 대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이 option들을
+통해 ftp server는
+.B /etc/group
+을 계속 참고를 하며, group access file은 memory에 load가 되어져
+있어야 한다. 이것은 (1) ftp server는 additional file descriptor
+open을 가져야 하며, (2) necessary password들과 접근 권한들은 FTP
+session의 지속을 위해 SITE GROUP을 통해 정적으로 user들에게 주어
+진다는 것을 뜻한다.만약 access group들 과/또는 password를 변경하기
+위해서는 작동하고 있는 모든 FTP server들을 죽여야 한다.
+
+.SH Informational Capabilities
+.TP 0.5i
+.B greeting full|brief|terse
+.TP 0.5i
+.B greeting text <message>
+
+remote user가 login 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보여줄지를
+설정할수 있다. 'greeting full'이 기본이며, hostname과 daemon
+version을 보여준다. 'greeting brief'는 hostname을 보여준다.
+'greeting terse'는 간단하게 "FTP server ready" 만 출력을 한다.
+비록 full이 기본이지만 brief도 많이 사용되어 진다.
+
+원한다면 'text' 형태로도 지정을 할수가 있다. <message>는 어떠한
+문자열도 사용할수있다. whitespace(공백문자 와 tab)은 하나의
+single space로 변환된다.
+
+.TP 0.5i
+.B banner <path>
+
+banner는 user가 username/password를 입력하기 전에 출력이 된다는
+것을 제외하고는 message 명령과 유사하게 작동을 한다. <path>는
+anonymous FTP directory 의 base(/home/ftp)가 아니라 real system
+root를 기준으로 한다.
+.PP
+.B WARNING:
+이 명령을 사용하는 것은 FTP server의 사용을 표시하는 것으로
+부터 좋지 않은 의도의 FTP client들을 완전하게 막을수 있다.
+모든 client들이 multi-line 응답들을 조정할수 있는 것은 아니다.
+(어떻게 banner들이 출력 되어지는지 )
+
+.TP 0.5i
+.B hostname <some.host.name>
+
+ftp server의 기본 host name을 정의한다. 이 string은 magic cookie
+%L을 사용할 때마다 greeting message에 출력이 되어 진다. virtual
+server들의 host name은 이 값을 덮어쓰게 된다. 지정을 하지 않으면,
+local machine의 기본 host name이 사용되어 진다.
+
+.TP 0.5i
+.B email <name>
+
+ftp main 관리자의 email address를 정의한다. 이 string은 magic
+cookie %E를 사용할때 마다 출력이 되어 진다.
+
+.TP 0.5i
+.B message <path> {<when> {<class> ...}}
+
+<path>와 함께 file을 지정하며 user가 login을 할때나 working
+directory를 변경할때 ftpd가 user에게 이 file의 내용을 출력하게끔
+한다. <when> parameter는 "LOGIN" 또는 "CWD=<dir>"을 이용한다.
+<when>이 "CWD=<dir>"이면 <dir>에는 공지를 보여줄 새로운 기본
+directory를 지정을 한다.
+.PP
+<class>는 부가적으로 사용이 되어 지며, 오직 특정 class의 member
+들에게 출력이 되어질 message를 지정을 한다. 하나이상의 class가
+지정되어 질수 있다.
+.PP
+readmi file에서 지정된 text string로서 cookie를 대체하기 위해
+"magic cookie"를 사용할수가 있다.
+.nf
+ %T 시스템 시간 (형식 Thu Nov 15 17:12:42 1990)
+ %F 현재 파티션의 여유 공간 (kbytes)
+ [모든 system에서 적용되지는 않음]
+ %C 현재 작업중인 directory
+ %E ftpaccess 에서 정의한 admin의 Email address
+ %R 원격 host name
+ %L local host name
+ %u RFC931 인증을 통해 결정된 username
+ %U login time때 주어진 username
+ %M 해당 class의 최대 접속자수
+ %N 해당 class에서의 현재 접속자 수
+ %B disk block들에 할당되어진 절대적 limit
+ %b disk block들에 할당되어진 limit
+ %Q 현재 block 수
+ %I inode (+1)에 할당된 최대 값
+ %i 할당된 inode limit
+ %q inode에 할당된 현재 값
+ %H excessive disk use 에 대한 시간 제한
+ %h texcessive files에 대한 시간 제한
+
+ ratios:
+
+ %xu 업로드 bytes
+ %xd 다운로드 bytes
+ %xR 업로드/다운로드 비율 (1:n)
+ %xc Credit bytes
+ %xT 시간 제한 (분)
+ %xE Elapsed time since login (minutes)
+ %xL 남은 시간
+ %xU 업로드 한계
+ %xD 다운로드 한계
+
+.fi
+.PP
+이 message는 user들을 귀찮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오직 한번만
+출력이 된다. 메세지들이 익명 FTP user에 의해서 수행되었을때
+<path>는 익명 FTP directory tree의 root로 변경이 됨을 기억해야
+한다.
+
+.TP 0.5i
+.B readme <path> {<when> {<class>}}
+
+ftp가 login시나 file들이 존재하고 그 file들의 date가 변경된 working
+directory로 이동을 할때 user들에게 공지할 file들을 <path>로서 정의
+한다. <when> parameter는 "LOGIN" 또는 "CWD=<dir>" 중에 하나를
+선택한다. <when>이 "CWD=<dir>" 이면, <dir>은 공지가 실행될 새로운
+기본 directory를 지정한다. message는 user들을 귀찮게 하는 것을
+피하게 하기 위하여 오직 한번만 출력이 될것이다. README message
+들이 익명 FTP user에 의해 수행이 될때, <path>는 익명 FTP directory
+tree의 root로 변경이 됨을 기억해야 한다.
+.PP
+<class> option 지정은 message들이 오직 특정 class의 member
+들에게만 출력이 되어지도록 할수 있다. 하나 이상의 class가 지정될수
+있다.
+
+.SH 로그 활용
+
+.TP 0.5i
+.B log commands <typelist>
+
+user들에 의해 개별적인 명령의 logging을 가능케 한다. <typelist>는
+"anonymous", "guest", "real" 이라는 keyword들의 list를 쉼표(comma)
+로서 분리하여 지정할수 있다. "real" keyword가 포함되어 있다면,
+logging은 real account로 접근하기 위해 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 위해
+작동을 할 것이다. 그리고 "anonymous" keyword가 포함되어 진다면,
+logging은 anonymous 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.
+"guest" keyword는 guest 접근 계정들과 매치가 된다. (더 많은 정보를
+얻기 위해서는 "guestgroup"을 참조하라)
+
+.TP 0.5i
+.B log transfers <typelist> <directions>
+
+real user나 anonymous user들 모두를 위한 file 전송의 logging을
+가능케 하며, inbound와 outbound를 분리하여 logging을 할수가 있다.
+<typelisst>는 "anonymous", "guest", "real"과 같은 keyword의 list들을
+쉼표(comma)로서 구분을 한다. "real" keyword가 포함되어 있다면,
+logging은 real account로 접근하기 위해 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
+위해 작동을 할 것이다. 그리고 "anonymous" keyword가 포함되어 진다면,
+logging은 anonymous 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.
+"guest" keyword는 guest 접근 계정들과 매치가 된다. (더 많은 정보를
+얻기 위해서는 "guestgroup"을 참조하라) <directions>은 "inbound"와
+"outbound" 두개의 keyword를 쉼표로서 구분을 하여 지정을 하며, 이
+option으로서 server로 보내고 받는 file들을 위한 전송 log를 기록한다.
+
+.TP 0.5i
+.B log security <typelist>
+
+real, guest, anonymous user들을 위한 보안 rule들(noretrieve, .notar,
+등)을 어기는 것들의 log를 기록하도록 한다. <typelist>는 "anonymous",
+"guest", "real" 이라는 keyword들의 list를 쉼표(comma)로서 분리하여
+지정할수 있다. "real" keyword가 포함되어 있다면, logging은 real
+account로 접근하기 위해 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 위해 작동을 할 것이다.
+그리고 "anonymous" keyword가 포함되어 진다면, logging은 anonymous
+FTP를 사용하는 user들을 위해 작동할 것이다. "guest" keyword는 guest
+접근 계정들과 매치가 된다. (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"guestgroup"
+을 참조하라)
+
+.TP 0.5i
+.B log syslog+xferlog
+
+incoming, outgoing 전송들에 대한 logging message들을 syslog로
+향하게 한다. 이 옷변이 없으면 메세지들은 xferlog에 기록이 된다.
+
+syslog+xferlog는 system log와 xferlog 양쪽에 메세지를 기록한다.
+
+.SH Upload/Download 비율
+이 명령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U-FTPD 컴파일 시에 --enable-ratios 옵션을
+줘야 한다.
+
+.TP 0.5i
+.B ul-dl-rate <rate> [<class> ...]
+
+업로드/다운로드 비율을 지정한다. (1:rate)
+ftp user가 1 byte를 업로드 할때 <rate> byte를 얻게 된다.
+기본값으로는 비율이 없다.
+
+.TP 0.5i
+.B dl-free <filename> [<class> ...]
+
+<filename> file은 다운로드가 ratio에 적용받지 않는다.
+
+.TP 0.5i
+.B dl-free-dir <dirname> [<class> ...]
+
+<dirname>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은 ratio에 적용을 받지 않는다.
+dl-free and dl-free-dir는 chroot() 환경이 아닌 시스템 root를 사용하여 제한을
+하게 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.
+
+.SH 여러가지 활용
+
+.TP 0.5i
+.B alias <string> <dir>
+directory에 대한 alias와 <string>을 정의한다. 논리적 directory의
+개념을 추가하여 사용할수 있다.
+.PP
+예를 들어:
+.nf
+ alias rfc: /pub/doc/rfc
+.fi
+은 user들이 명령어 "cd frc:"에 의해 어떤 directory로 부터
+/pub/doc/rfc로 access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.
+
+.TP 0.5i
+.B cdpath <dir>
+
+cdpath안에 entry를 정의한다. 이것은 directory 변경시에 사용되어
+지는 search path를 정의한다.
+.PP
+예를 들어:
+.nf
+ cdpath /pub/packages
+ cdpath /.aliases
+.fi
+은 user들이 /pub/packages 또는 /.aliases directory들 하위에 있는
+어떤 directory로 직접 cd를 하는 것을 허락한다. search path는
+ftpaccess file에 기록된 line들의 순서에 의해 정의되어진다.
+.PP
+user들이 명령을 실행하면:
+.nf
+ cd foo
+.fi
+directory들은 아래의 순서를 통해 찾아 질것이다.
+.nf
+ ./foo
+ an alias called "foo"
+ /pub/packages/foo
+ /.aliases/foo
+.fi
+.PP
+cd path는 오직 cd 명령어로서만 가능하다. 만약 많은 수의 alias들을
+가지고 있다면 아마 user들에게 사용가능하게 만들고 싶은 모든 곳으로
+링크를 하는 것으로 alias들을 설치하기를 원할것이다.
+
+.TP 0.5i
+.B compress <yes|no> <classglob> [<classglob> ...]
+.TP 0.5i
+.B tar <yes|no> <classglob> [<classglob> ...]
+
+<classglob>와 매치하는 class를 위해 compress와 tar 사용을 가능하게
+한다. 실제 전환은 외부 file FTPLIB/ftpconversions에 의해 정의가 되어
+진다.
+
+.TP 0.5i
+.B shutdown <path>
+
+<path>에 file이 지정이 되면, 서버는 정기적으로 이 file의 내용을
+확인을 하여 셧다운을 하도록 한다. 셧다운 계획이 존재하면 user는
+서버로 부터 이에 대한 통보를 받게 된다. 셧다운 전의 지정된 시간
+이후에는 새로운 접속이 거절되며, 셧다운 이전의 지정된 시간에는
+현재 접속자들의 연결이 해제된다.
+<path>에 지정된 파일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:
+.nf
+ <연도> <월> <일> <시> <분> <거절_offset> <해제_offset>
+ <text>
+
+ <연도> 1970년도 이후로 지정을 한다.
+ <월> 1-12월을 0-11로 지정을 한다.
+ <일> 0-23
+ <분> 0-59
+.fi
+<거절_offset> 와 <해제_offset> 은 셧다운을 하기 전에 새로운 접속을
+거절하는 것과 현재 존재하는 접속을 해제하는 offset을 HHMM 형식으로
+지정을 한다. 0120은 1시간 20분을 의미한다.
+.PP
+<text>는 "message"의 rule들을 따르며, 아래에 나열되어 있는 추가적인
+magic cookie를 사용할수도 있다.
+.nf
+ %s 시스템이 셧다운 되는 시간
+ %r 새로운 접속이 거부되는 시간
+ %d 현재 사용자들이 강제 logout되는 시간
+.fi
+모든 시간들은 ddd MMM DD hh:mm:ss YYYY 의 형태로 사용이 된다.
+설정 file에는 오직 하나의 "shutdown" 명령만 가능하다.
+.PP
+설정 file에서의 shutdown 명령은 외부 프로그램인 ftpshut(8)을 자동으로
+사용을 하게 된다.
+
+.TP 0.5i
+.B daemonaddress <address>
+
+이 값이 지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, 서버는 모든 IP address에서의 접속에
+귀를 귀울이게 된다. 반면에 지정이 되어 있으면 오직 지정된 IP address
+에만 귀를 귀울이게 된다.
+.PP
+이 절의 사용은 안하는 것이 좋다. 이것은 하나의 site만을 지원할때
+추가가 되어진다. 이것은 virtual hosting 설정을 무시하며, 구문은 아마도
+daemon의 다음 버젼에서는 변화할것 같다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<root|banner|logfile> <path>
+
+virtual ftp server를 가능하게 한다. <address>는 virtual server의 ip
+address를 지정한다. 두번째 인자중
+.B root
+는 virtual server를 위한 ftproot의 경로를 지정을 하며,
+.B banner
+는 virtual server에 접속을 할때 user에게 출력을 할 내용의 경로를 지정을
+하며
+.B logfile
+은 virtual server를 위한 전송을 기록하기 위한 file의 경로를 지정을 한다.
+만약
+.B logfile
+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ftp logfile이 사용이 되어진다. virtual
+server들에 적용이 되어 지는 message file들의 문법과 permission들은
+다른 message file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다.
+.PP
+주의: OS에서 이 요소가 지원이 안될수도 있다. 이것은 BSD/OS, Solaris
+2.X 와 Linux 에서 테스트가 되어졌다.
+.PP
+<address>는 IP number보다는 hostname으로 지정이 되어져야 한다. 만약
+FTP session이 시작 되어질때 DNS check가 불가능하다면 hostname이 match가
+되어 지지 않으므로 이때는 사용을 하지 말아야 한다.
+.PP
+나(번역자 ^^)의 경험으로는 hostname보다는 ip address로 지정을 하는 것이
+좋다. 특히 ip address 하나로 name-based virtual server를 운영하기를
+원한다면 wu-ftpd 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는 다는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<hostname|email> <string>
+
+환영 message와 status 명령에 hostname을 보여주도록 설정을 한다. 또한
+message file과 HELP 명령에서 주어진 <string> 에 email address를 사용
+하도록 한다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allow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deny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
+일반적으로, real과 guest 유저들은 이들이 guest들이고 virtual root로
+chroot가 지정이 되기 전까지는 virtual server로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다.
+virtual allow line들의 list에 있는 user 들은 접근을 허락된다.
+username에 '*'를 지정하면 모든 user들이 접속을 허락한다는 의미로
+사용이 되어진다. virtual deny 절들은 virtual allow 절들 이후에 진행이
+되며, 모든 user들이 허락되어 졌을때 deny access를 지정을 하기 위하여
+사용되어 진다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private
+
+일반적으로, 익명 사용자들은 virtual server에 log가 허락되어 진다. 이
+option은 그들의 접근을 거절하는데 사용을 한다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passwd <file>
+
+가상 도메인마다 다른 패스워드 파일을 사용할수 있다. 이 옵션을 사용하기
+위해서는 컴파일시에 --enable-passwd(또는 다른 PASSWD)를 주고 컴파일을
+해야 한다.
+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shadow <file>
+
+가상 도메인마다 다른 쉐도우 파일을 사용할수 있다. 이 옵션을 사용하기
+위해서는 컴파일시에 --enable-passwd(또는 다른 PASSWD)를 주고 컴파일을
+해야 한다.
+
+
+.TP 0.5i
+.B defaultserver deny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.TP 0.5i
+.B defaultserver allow <username> [<username> ...]
+
+일반적으로, 모든 user들은 default FTP server (virtual FTP server가
+아닌)로의 접근이 허락되어 진다. defaultserver 는 특정 user들의 접속을
+거부를 하는데 사용을 한다; '*'를 지정을 하면 모든 user들의 접근을 거절
+한다. 특정한 user들은 defaultserver allow를 사용함으로서 접근이 가능
+하게 된다.
+
+.TP 0.5i
+.B defaultserver private
+
+일반적으로, 익명 user들은 virtual FTP가 아닌 기본 FTP server로 접근이
+허락되어 진다. 이 문장은 익명 접근을 거부하는데 사용을 한다.
+
+virtual과 defaultserver의 allow, deny, private절은 어떤 user들이
+어떠한 FTP server들에 접근이 허락되어 지는 것을 조절할수 있다는 의미를
+제공한다.
+
+.TP 0.5i
+.B passive address <externalip> <cidr>
+
+PASV 명령으로 온 응답으로 리포트된 주소의 조절을 허락한다.
+어떤 control connection이
+.B <cidr>
+이 요구하는 passive data connection (PASV)와 매치를 할때
+.B <externalip>
+주소가 리포트 되어진다. 주의: 이것은 daemon이 실제로 귀를 귀울이는
+주소를 변화 시키는 것은 아니다. 오직 client로 리포트 되는 주소일 뿐이다.
+이 요소는 IP-renumbering firewall들 뒤에서 daemon들이 정확하게 동작하게
+하는 것을 허락을 한다.
+.PP
+예를 들어:
+.nf
+ passive address 10.0.1.15 10.0.0.0/8
+ passive address 192.168.1.5 0.0.0.0/0
+.fi
+모든 곳으로 부터의 접속이 192.168.1.5에 귀를 귀울이고 있는 동안
+A class의 network 10으로 부터의 client의 접속은 passive connection
+이 ip address 10.0.1.15에 귀를 귀울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
+.PP
+Multiple passive address들은 complex의 조정으로 정의가 되거나,
+multi-gateway 또는 network들의 조정으로 정의가 되어 진다.
+.TP 0.5i
+.B passive ports <cidr> <min> <max>
+passive data connection을 통해 사용되어 지는 TCP port number들의
+control을 허락한다. control connection이
+.B <min>
+에서
+.B <max>
+까지의 영역에 있는
+.B <cidr>
+포트와 매치된다면, daemon이 귀를 귀울이는 것을 통해 마구 잡이로
+선택이 될 것이다. 이 요소는 remote client들이 안전장치가 되어 있는
+network에 접근을 할때 사용을 하는 port들을 제한 하는 firewall들을
+허락한다.
+.PP
+.B <cidr>
+은 machine address와는 반대되는 slash뒤에 4자리로 표기되고 또는 각
+자리의 bit의 합으로 표시되는 network address를 통해 표시된다.
+예를 들어, 10대의 A class로 예약된 대역을 사용한다면, netmask 255.0.0.0
+대신 CIDR "/8"을 사용할수 있으며 network를 10.0.0.0/8 로 표현을 할수가
+있다.
+
+.TP 0.5i
+.B pasv-allow <class> [<addrglob> ...]
+.TP 0.5i
+.B port-allow <class> [<addrglob> ...]
+
+일반적으로 데몬은 지정지 않은 주소에서는 PORT 명령을 허락하지 않는다.
+그리고 이것은 다른 주소로 부터 PASV 접속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을
+의미한다.
+
+port-allow 절은 PORT 명령이 주어진 유저 class로 지정된 주소의 리스트들을
+규정한다. 이 주소들은 비록 클라이언트쪽의 IP address가 매치가 되지 않는다
+해도 허락이 된다.
+
+pasv-allow 절은 데이터 접속을 만드는 유저 클래스로 지정된 주소 리스트를
+규정한다. 이 주소들은 비록 클라이언트쪽의 IP address가 매치가 되지 않는다
+해도 허락이 된다.
+
+.TP 0.5i
+.B lslong <command> [<options> ...]
+.TP 0.5i
+.B lsshort <command> [<options> ...]
+.TP 0.5i
+.B lsplain <command> [<options> ...]
+
+lslogn, lsshort, lsplain 절은 commnad와 options들을 열거하여
+directory listing을 사용하는 것을 허락한다. option들은 공백을 포함할수
+없으며, 기본적인 것들은 이 절들을 통해 일반적으로 조정이 된다는 것을
+주의해야 한다; 절대적으로 필요할 경우에만 lslong, lsshort 또는 osplain
+을 사용한다.
+
+.TP 0.5i
+.B mailserver <hostname>
+
+FTP 데몬이 어떠한 upload가 발생했을 경우 메일을 보낼 메일 서버를지정한다.
+한줄에 하나씩 써서 여러개의 메일 서버를 지정할수 있다; 데몬은 하나의 메세지가
+받아질‹š 까지 각 업로드 통지의 배달을 시도하게 된다. 메일 서버를 지정하지
+않으면 로컬 호스트로 보내게 된다. 이 옵션은 익명 업로드의 공지를 의미한다.
+(incmail을 참조하라)
+
+.TP 0.5i
+.B incmail <emailaddress>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incmail <emailaddress>
+.TP 0.5i
+.B defaultserver incmail <emailaddress>
+
+익명 업로드시 통지를 할 메일 어드레스를 기록한다. 여러개를 지정하여 각각
+통지를 받을수가 있다. 지정하지 않으면, 통지를 보내지 않는다.
+
+가상 호스트에 대해 지정을 하면, 오직 이 주소만이 익명 업로드에 대한 통지를
+받게 된다. 반대로 지정하지 않으면 전체 주소로 통지가 보내진다.
+
+Defaultserver 주소는 오직 FTP session이 하나의 가상 호스트로만 사용되지 않을
+경우에만 적용된다. 이 경우에는 기본 익명 영역에 대해서만 통지를 받게 되며
+통지를 지정하지 않은 가상 호스트들에게는 통지를 볼수가 없다.
+
+.TP 0.5i
+.B mailfrom <emailaddress>
+.TP 0.5i
+.B virtual <address> mailfrom <emailaddress>
+.TP 0.5i
+.B defaultserver mailfrom <emailaddress>
+
+익명 업로드 통지를 위한 보내는 사람의 메일 주소를 지정한다. 하나의 주소는
+지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. mailfrom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면, 메일은
+기본 메일박스 이름인 'wu-ftpd'로 메일을 보재게 된다. 통지에 답장을 시도
+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또는 반송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, mailfrom
+주소를 반드시 지정하는 것이 좋다.
+
+
+.SH 권한 활용
+
+.TP 0.5i
+.B chmod <yes|no> <typelist>
+.TP 0.5i
+.B delete <yes|no> <typelist>
+.TP 0.5i
+.B overwrite <yes|no> <typelist>
+.TP 0.5i
+.B rename <yes|no> <typelist>
+.TP 0.5i
+.B umask <yes|no> <typelist>
+
+특정 function들을 수행할수 있는 권한들을 허락하고 불허한다.
+기본적으로, 모든 user들에게 허락이 되어진다.
+.PP
+<typelist>는 keyword "anonymous", "guest", "real", "class="
+들을 컴마(",")로서 구분하여 나열한다. "class="를 나타낼때는, classname
+이 꼭 따라와야 한다. 어떤 "class=" 를 나타낼때, <typelist> 제한은 오직
+class의 user들에게만 적용이 된다.
+
+.TP 0.5i
+.B passwd-check <none|trivial|rfc822> (<enforce|warn>)
+
+anonymous ftp를 통해 server에 접근을 할때 level과 password check
+의 형태를 정의한다.
+.nf
+ none password check를 하지 않는다.
+ trivial password에 '@'이 반드시 포되어 있는지를 check한다.
+ rfc822 password가 rfc822에 의거한 주소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.
+ warn user에게 경고는 하되, login은 허락한다.
+ enforce user에게 경고를 하며 login은 허락하지 않는다.
+.fi
+
+.TP 0.5i
+.B deny-email <case-insensitive-email-address>
+
+e-mail 주소를 효력이 없는 요소로서 검토를 하게 한다. 만약
+passwd-check가 enforce로 셋팅되어 있으면, 익명 user들은 이 주소를
+password로 사용하여 login할수가 없다. 이것을 이용하여 IE?0User@
+or mozilla@ 와 같은 어리석을 WWW brosers가 사용을 하는 거짓된
+주소들을 사용하는 user들을 막을수가 있다. (이것을 사용함으로서,
+ftp를 위해 WWW browser를 사용하는 user들을 막는 것에 대해 고심할
+필요가 없다. 단 그들이 사용을 하는 browser를 정확하게 setting을
+해야 한다.) 오직 한 line당 하나의 주소만 설정이 되지만, 원하는
+만큼의 deny-email address를 가질수가 있다.
+
+.TP 0.5i
+.B path-filter <typelist> <mesg> <allowed_charset> {<disallowed regexp> ...}
+
+<typelist>의 user들을 통해, path-filter는 정규 표현식을
+filename으로 할지 안할지를 정의한다. 다중으로 정규 표현식들을
+허락하지는 않는다. 만약 filename이 정규 표현식의 척도와 매치하지
+않는 다면, <mesg> 가 user 들에게 출력이 되어 질 것이다.
+예를 들어:
+.nf
+ path-filter anonymous /etc/pathmsg ^[-A-Za-z0-9\._]*$ ^\\\. ^-
+.fi
+는 익명 사용자들을 통한 모든 upload filename 들은 반드시 A-Z, a-z,
+0-9, "._- "으로 으로 이루어 져야 하며 시작시에 "."와 "-" 는 사용할
+수가 없다는 것을 정의한다. 만약 filename이 위의 내용과 부합하지
+않는다면 /etc/pathmsg 이 user들 에게 출력이 될것이다.
+
+.TP 0.5i
+.B upload [absolute|relative] [class=<classname>]... [-] <root-dir> <dirglob> <yes|no> <owner> <group> <mode> ["dirs"|"nodirs"] [<d_mode>]
+
+<dirlob>로서 upload를 허락하거나 허락하지 않을 directory를
+지정한다.
+.PP
+upload를 허락한다면, 모든 file들은 <owner>와 <goupr>으로
+소유권을 가질것이며, permissions들은 <mode>에 따른다.
+.PP
+directory들은 가장 매치가 잘되는 원칙에 따른다.
+.PP
+예를 들어:
+.nf
+ upload /var/ftp * no
+ upload /var/ftp /incoming yes ftp daemon 0666
+ upload /var/ftp /incoming/gifs yes jlc guest 0600 nodirs
+.fi
+이것은 /incoming 과 /incoming/gifs 에만 upload를 허락한다. /incoming
+에 upload 된 file들은 ftp/daemon 의 소유권을 가지며, 퍼미션은 0666을
+가지게 된다. /incoming/gifs에 upload 되어진 file은 jlc/guest의
+소유권을 가지며, 0600의 퍼미션을 가지게 된다. 여기서 <root-dir>은
+passowrd file에서 "ftp" user에게 지정된 directory와 반드시 매치가
+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.
+.PP
+부가적으로 "dirs" 와 "nodirs" keyword는 mkdir 명령을 사용하여 어떠한
+새로운 subdirectory를 만드는 것을 허락 하거나 허락하지 않는 것을
+지정한다.
+.PP
+upload 명령을 사용할때, directory 생성은 default로 허락이 되어
+진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. default 값을 off로 바꾸기 위해서는
+이 config file에서 upload 명령을 사용하고 있는 line중 가장 윗줄에
+user, group, mode를 지정해야 하며, "nodirs"가 반드시 뒤에
+따라와야 한다.
+.PP
+directory 생성을 허가할때 부가적으로 <d_mode>라는 지시자를
+사용할수 있으며 이것은 directory를 생성할 시의 direcotory
+permission을 지정한다. <d_mode>를 생략하면, permission은
+<mode>를 따라가며, <mode> 마져 생략되어 있으면 0777이 된다.
+.PP
+upload keyword는 오직 <root-dir>의 (chroot()가 적용이 되는)home
+directory를 가지고 있는 user(즉 anonymous)에게만 적용이 된다.
+<root-dir>은 어떠한 home directory와 매치 시키기 위하여 "*" 로서
+지정을 할수도 있다.
+.PP
+<owner> 와/또는 <group>은 어떤 upload file이나 directory 들이
+그들이 만들어진 directory의 자신의 소유권으로서 생성을 시키고자
+할 경우에는 "*" 로서 각각 지정을 할수도 있다.
+.PP
+부가적으로 첫번째 parameter는 현재 chroot 환경에 따라서
+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해석하여 선택을 한다. 기본값으로는
+<root-dir>을 절대값으로 해석을 한다.
+.PP
+'class=<classname>'을 지정하여 제한을 가할수도 있다. 이것을 지정
+한다면, 이 upload절은 오직 현재 user가 어떤 class의 member일때
+만 영향을 받는다.
+
+서버에 업로드 파일을 허락하도록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upload.cofiguration.HOWTO
+를 꼭 읽어 보기 바란다.
+
+.TP 0.5i
+.B throughput <root-dir> <subdir-glob> <file-glob-list> <bytes-per-second> <bytes-per-second-multiply> <remote-glob-list>
+
+remote hostname 또는 remote IP address가 comma로 분리된
+<remote-glob-list>와 매치가 될때, <root-dir> 아래의
+<subdir-glob>와 매치가 되는 subdir에서 comma로 구분된
+<file-glod-list>를 통하여 다운로드에서 <byte-per-second>의
+전송 처리량이 제한되는 file들을 지정할수 있다.
+
+Entry들은 가장 부합되는 원칙에 매치가 되어진다.
+
+예를 들어:
+ throughput /e/ftp * * oo - *
+ throughput /e/ftp /sw* * 1024 0.5 *
+ throughput /e/ftp /sw* README oo - *
+ throughput /e/ftp /sw* * oo - *.foo.com
+
+이것은 defalut로 최대 전송량을 지정한다. 하지만 README라는 이름
+지어지지 않은 e/ftp/sw/ 아래의 어떤 file들에 대해서 초당 1024byte로
+download를 제한한다. domain foo.com의 도메인을 가진 네트웍에서 오는
+remote host들은 예외로 항상 최대 전송량을 얻을수 있다.
+
+매 시간 remote client들은 /e/ftp/sw 아래의 file을 제한 받으며,
+entry line과 매치가 되는 byte per second는 내부적으로 계수(여기서는
+0.5)만큼씩 증가 되어진다. 그리고 remote client가 두번 파일을 제한
+할때, 이것은 512byte/s로 제공이 되며 세번째 시도시에는 254byte/s,
+4번째 시도시에는 128byte/s 등으로 제한이 되어진다.
+
+byte per second field의 "oo"는 전송량 제한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.
+1.0 씩의 계수 증가나 "-" 는 매번 성공적인 전송후에 전송량의 변화가
+없음을 의미한다.
+
+여기서 <root-dir>은 password database에 있는 "ftp" user에게 지정
+되어진 home directory와 반드시 매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해야
+한다. throughput(전송량) keyword는 오직 <root-dir>의 (chroot()가
+적용이 되는) home directory를 가지고 있는 user(즉 anonymous)에게만
+적용이 된다.
+
+
+.TP 0.5i
+.B anonymous-root <root-dir> [<class>]
+
+<root-dir> 은 anonymous user들의 chroot() path를 지정한다.
+anonymous-root 가 매치가 되지를 않으면, 전통적으로 내려오는
+구문의 방법으로 'ftp' user의 home directory를 사용을 한다.
+<class>가 지정이 되지 않으면, 어떤 anonymous-root 지정이
+되지 않은 anonymous user들의 root directory가 된다.
+라인에 여러개의 class를 지정할수도 있다. user들을 위한
+anonymous-root가 선택이 되면, <root-dir>/etc/passwd
+file에 잇는 'ftp' user들의 home directory가 사용되어 지며,
+최초의 directory와 system 전반적인 /etc/passwd의 'ftp' user들의
+home directory는 사용이 되지 않는다.
+
+예를 들면:
+ anonymous-root /home/ftp
+ anonymous-root /home/localftp localnet
+는 모든 anonymous user들의 chroot()를 /home/ftp로 지정을 하며,
+'ftp' user가 존재한다면, /home/ftp/etc/passwd가 존재 한다면 그들의
+최조의 CWD는 이 home directory가 된다. 그러나 class localnet의
+anonymous user들의 chroot()는 /home/localftp가 되며, 그들의 최초
+CWD는 /home/localftp/etc/passwd 에 있는 'ftp' user들의 home
+directory로 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.
+
+
+.TP 0.5i
+.B guest-root <root-dir> [<uid-range>]
+
+<root-dir>은 guest user들의 chroot() path를 지정한다.
+guest-root가 매치가 되지 않으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
+구문의 방법으로 user들의 home directory가 사용되어 진다.
+<uid-range>가 지정이 된 않으면, 어느 다른 guest-root가 지정이
+되지 않은 guest user들을 위한 root directory가 된다.
+한 라인에 여러개의 uid range들을 지정할수도 있다.
+user들을 위한 guest-root가 선택이 되면, <root-dir>/etc/passwd
+file에 있는 user들의 home directory가 사용이 되어지며, 최초의
+directory와 system 전반적으로 사용이 되어지는 /etc/passwd의
+home directory는 사용이 되지 않는다.
+
+<uid-range>는 UID값의 숫자로 지정을 한다.
+range들은 dash에 의해 구분되어 지는 상,하 경계가 주어짐에 따라
+지정되어 진다. 하계(lower bound)를 생략하는 것은 "all up to"를
+뜻하며, 상계(upper bound)를 생략하는 것은 "all starting from"을
+의미한다.
+
+예를 들어:
+.nf
+ guest-root /home/users
+ guest-root /home/staff %100-999 sally
+ guest-root /home/users/frank/ftp frank
+.fi
+는 모든 user들의 chroot()를 /home/users로 하고,
+/home/users/etc/passwd 에서 지정된 그들의 home directory에서
+시작하게 한다. range 100 부터 999까지에 포함되는 user들과 user
+sally는 /home/staff로 chroot()가 되어 지며, /home/staff/etc/passwd의
+그들의 entry에로 부터 CWD가 영향을 받는다. single user frank는
+/home/users/owner/ftp가 chroot()로 되며, CWD는
+/home/users/owner/ftp/etc/passwd의 그의 entry로부터 영향을 받는다.
+
+anonymous-root 와 guest-root를 위한 명령들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
+주의해야 한다. user가 여러개의 구문에 중복되어 매치가 된다면, 오직
+ 처음 것만 적용이 된다. <class> 나 <uid-range>가 없는 구문은
+제외되며, 어떤 구문도 매치가되지 않을 경우에만 적용이 된다.
+
+.TP 0.5i
+.B deny-uid <u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deny-gid <g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allow-uid <u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allow-gid <gid-range> [...]
+
+이 절들은 UID와 GID 값으로 ftp server 로의 접근 거부를 지정한다.
+allow-uid 와 allow-gid 절은 거부와는 달리 uid/gid 를 통해 접근
+허락한다. 이 체크들은 모든 다른 설정들 이전에 이루어진다.
+deny는 allow 이전에 체크가 된다. defalut로는 모두 접근을 허락을
+한다. 모든 경우에서, 이것은 /etc/ftpusers file을 통한 필요성을
+제거 할수 있다. 예를 들어:
+.nf
+ deny-gid %-99 %65535
+ deny-uid %-99 %65535
+ allow-gid ftp
+ allow-uid ftp
+.fi
+anonymous 'ftp' user/group을 제외한 Linux Box의 모든 특권을
+가졌거나 특정한 user들과 group들의 ftp 접근을 거부한다.
+많은 경우, 이것을 이용하여 /etc/ftpusers file의 역할을 대신할수
+있만 이것은 /etc/ftpaccess file의 변경을 바라지 않을때 사용하기
+위하여 존재를 한다.
+
+ftpaccess file을 통해 single UID와 GID를 사용할때 이름이나 숫자
+둘다 사용을 할수가 있다. 숫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, 숫자 이전에
+'%"를 넣는다. 영역(range) 을 허락하는 곳에서는 range 이전에
+'%'를 넣는다.
+
+.TP 0.5i
+.B restricted-uid <u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restricted-gid <g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unrestricted-uid <uid-range> [...]
+.TP 0.5i
+.B unrestricted-gid <gid-range> [...]
+
+이 절들은 real 또는 guest user들이 자신들의 home directory 이외의
+FTP site 영역에 접근 하는 것을 조절한다. 이것은 guestgroup과
+guestuser의 사용을 대신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. 대신, guest들의
+작용을 보완하는데 사용할수는 있다. unrestricted-uid와
+unrestircted-gid 절은 restricted와는 달리 그들의 home directory들
+이외의 directory에 user들의 접근을 허락한다.
+
+이 절의 사용의 예는 그들의 사용경향을 보여준다. user 'dick'의
+home directory가 /home/dick 이고, 'jane'이 /home/jane 이라고 가정을
+하면 :
+.nf
+ guest-root /home dick jane
+ restricted-uid dick jane
+.fi
+dick과 jane의 chroot'd가 /home일 동안, 그들의 home directory
+들을 제한 받기 때문에 각각 다른 file들을 access 할수가 없다.
+Whereever possible, in situations such as this example, try
+not to rely solely upon the ftp restrictions.
+다른 모든 ftp aceess 법칙에서, ftpaccess 설정의 작동을 보완하기
+위해 directory와 file의 퍼미션을 사용하도록 노력도 해야 한다.
+
+
+.TP 0.5i
+.B site-exec-max-lines <number> [<class> ...]
+
+SITE EXEC 의 특징은 전통적으로 원격 client로 보내지는 line들의
+출력의 수를 제한한다. 이 구문은 제한을 셋팅할수 있게끔 한다.
+생략하면 20 line들로 제한이 된다. limit 0은 제한을 하지 않는다는
+것을 의미한다; limit를 없애려고 한다면 조심해야 한다. 이 구문이
+원격의 user class와 매치가 된면 limit가 바로 적용이 된다.
+반면에 '*' class나 class가 주어지지 않은 구문 역시 사용되어
+질수 있다. 예를 들어;
+.nf
+ site-exec-max-lines 200 remote
+ site-exec-max-lines 0 local
+ site-exec-max-lines 25
+.fi
+Limits는 'remote' class의 user들에게 SITE EXEC (와 그결과 SITE
+INDEX) 로 부터 200 line을 출력하며, 'local' class의 user들에게는
+제한을 하지 않는다. 그리고 모든 다른 user들에게는 25 line의 제한을
+적용한다.
+
+.TP 0.5i
+.B dns refuse_mismatch <filename> [override]
+
+원격 사이트의 forward와 reverse lookup이 맞지 않을때, FTP 세션을
+거부하며, 메세지 파일과 같은 파일을 접근 유저에게 출력을 한다.
+옵션으로 [override]를 지정을 할 경우에는 메세지를 출력한 후에 접근을
+허락한다.
+
+.TP 0.5I
+.B dns refuse_no_reverse <filename> [override]
+
+원격 사이트가 DNS 항목에 들어 있지 않을 경우 FTP세션을 거부하며,
+메세지 파일 과 같은 파일을 접근 유저에게 출력한다. 옵션으로
+[override]를 지정을 할 경우에는 메세지를 출력한 후에 접근을 허락한다.
+
+.TP 0.5i
+.B dns resolveroptions [options]
+
+resolveroptions 옵션은 name server 옵션들을 피하는 것을 허락한다. 이 라인은
+.IR resolver(3)
+의 문서처럼 플래그의 종류를 취한다. 부가적으로 + 나 - 에 의해 설정을
+해 나갈수 있다. 예를 들어
+.nf
+ dns resolveroptions +aaonly -dnsrch
+.fi
+는 aaonly 옵션을 활성화 하고(오직 믿을수 있는 응답들만), dnsrch 옵션 (도
+메인 경로를 찾는것)은 비활성화 하게 된다.
+
+.SH 파일
+
+FTPLIB/ftpaccess
+
+.SH 관련 항목
+
+.BR ftpd(8),
+.BR umask(2) ,
+.BR ftplog(5) ,
+.BR ftpconversions(5) ,
+.BR ftpshut(8)
+.SH 역자
+김정균 <admin@oops.org> 2000년 8월 5일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8/ab.8 b/po/ko/archive/plain/man8/ab.8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7fea491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8/ab.8
@@ -0,0 +1,215 @@
+.TH ab 1 "October 1999"
+.\" Copyright (c) 1998-1999 The Apache Group. All rights reserved.
+.\"
+.\" Redistribution and use in source and binary forms, with or without
+.\" modification, are permitted provided that the following conditions
+.\" are met:
+.\"
+.\" 1. Redistributions of source code must retain the above copyright
+.\" notice, this list of conditions and the following disclaimer.
+.\"
+.\" 2. Redistributions in binary form must reproduce the above copyright
+.\" notice, this list of conditions and the following disclaimer in
+.\" the documentation and/or other materials provided with the
+.\" distribution.
+.\"
+.\" 3. All advertising materials mentioning features or use of this
+.\" software must display the following acknowledgment:
+.\" "This product includes software developed by the Apache Group
+.\" for use in the Apache HTTP server project (http://www.apache.org/)."
+.\"
+.\" 4. The names "Apache Server" and "Apache Group" must not be used to
+.\" endorse or promote products derived from this software without
+.\" prior written permission.
+.\"
+.\" 5. Products derived from this software may not be called "Apache"
+.\" nor may "Apache" appear in their names without prior written
+.\" permission of the Apache Group.
+.\"
+.\" 6. Redistributions of any form whatsoever must retain the following
+.\" acknowledgment:
+.\" "This product includes software developed by the Apache Group
+.\" for use in the Apache HTTP server project (http://www.apache.org/)."
+.\"
+.\" THIS SOFTWARE IS PROVIDED BY THE APACHE GROUP ``AS IS'' AND ANY
+.\" EXPRESSED OR IMPLIED WARRANTIES, INCLUDING, BUT NOT LIMITED TO, THE
+.\" IMPLIED WARRANTIES OF MERCHANTABILITY AND FITNESS FOR A PARTICULAR
+.\" PURPOSE ARE DISCLAIMED. IN NO EVENT SHALL THE APACHE GROUP OR
+.\" ITS CONTRIBUTORS BE LIABLE FOR ANY DIRECT, INDIRECT, INCIDENTAL,
+.\" SPECIAL, EXEMPLARY, OR CONSEQUENTIAL DAMAGES (INCLUDING, BUT
+.\" NOT LIMITED TO, PROCUREMENT OF SUBSTITUTE GOODS OR SERVICES;
+.\" LOSS OF USE, DATA, OR PROFITS; OR BUSINESS INTERRUPTION)
+.\" HOWEVER CAUSED AND ON ANY THEORY OF LIABILITY, WHETHER IN CONTRACT,
+.\" STRICT LIABILITY, OR TORT (INCLUDING NEGLIGENCE OR OTHERWISE)
+.\" ARISING IN ANY WAY OUT OF THE USE OF THIS SOFTWARE, EVEN IF ADVISED
+.\" OF THE POSSIBILITY OF SUCH DAMAGE.
+.\"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+.\"
+.\" This software consists of voluntary contributions made by many
+.\" individuals on behalf of the Apache Group and was originally based
+.\" on public domain software written at the National Center for
+.\" Supercomputing Applications, University of Illinois, Urbana-Champaign.
+.\" For more information on the Apache Group and the Apache HTTP server
+.\" project, please see <http://www.apache.org/>.
+.SH 이름
+ab \- Apache HTTP server 측정 툴
+.SH 사용법
+.B ab
+[
+.B \-k
+] [
+.B \-i
+] [
+.BI \-n " 요청수"
+] [
+.BI \-t " 시간제한"
+] [
+.BI \-c " 동시접속"
+] [
+.BI \-p " POST file"
+] [
+.BI \-A " 인증 유저이름:패스워드"
+] [
+.BI \-P " 프락시인증 유저이름:패스워드"
+] [
+.BI \-H " Custom header"
+] [
+.BI \-C " Cookie name=value"
+] [
+.BI \-T " content-type"
+] [
+.BI \-v " verbosity"
+]
+] [
+.BI \-w " HTML 출력"
+]
+] [
+.BI \-x " <table> 속성"
+]
+] [
+.BI \-y " <tr> 속성"
+]
+] [
+.BI \-z " <td> 속성"
+]
+.I [http://]서버이름[:port]/path
+
+.B ab
+[
+.B \-V
+] [
+.B \-h
+]
+.PP
+.SH 설명
+.BR ab 는
+Apache Web server의 상태를 측정하는 툴이며 초당 Apache server가
+얼마나 많은 요청을 처리할수 있는지를 측정할수 있다.
+.PP
+.SH 옵션
+.TP 12
+.B \-k
+HTTP KeepAlive (연결 지속성) 요소를 사용 가능 하게 한다. 이것은 하나의
+HTTP session에서 여러 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. 기본값은 연결 지속성
+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.
+.TP 12
+.B \-i
+GET 방식 대신에 HTTP 'HEAD'를 사용한다. POST와 섞어서 사용할수 없다.
+.TP 12
+.BI \-n " 요청수"
+측정을 하기 위한 요청수를 지정한다. 따로 지정하지 않는다면 하나의
+요청만이 수행된다.
+.TP 12
+.BI \-t " 시간제한"
+측정을 어느 정도까지 할 지 초단위로 지정한다.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
+측정 세션에 대해서 50000개의 요청을 자동으로 정의한다.
+고정된 시간 동안 서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. 기본적으로 시간을
+제한하지는 않는다.
+.TP 12
+.BI \-c " 동시접속수"
+동시에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수량을 지정한다. 기본값으로는 한번에 하나의
+요청만을 수행한다. 즉 동시 접속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.
+
+.TP 12
+.BI \-p " POST file"
+아파치 웹서버에 어떠한 HTTP POST 요청을 보내기 위한 data를 가진 파일을
+지정한다.
+
+.TP 12
+.BI \-A " Authorization username:password"
+서버로 신용증명을 하는 기본 인증을 지원한다. 사용자 이름과
+패스워드는 하나의 ':'로 구분하고, uuencoded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낸다.
+문자열은 서버가 필요로 하든 안하든 상관없이 보내며, 401
+인증을 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.
+
+.TP 12
+.BI \-p " Proxy-Authorization username:password"
+프락시 서버로 신용증명을 하는 기본 인증을 지원한다.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는
+하나의 ':'로 구분하고, uuencoded로 변환한 데이터를 보낸다.
+문자열은 프락시가 필요로 하든 안하든 상관없이 보내며, 407 인증을
+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.
+
+.TP 12
+.BI \-C " Cookie name=value"
+요청에 'Cookie:' line을 추가한다. 이 인자는 'name=value'의 형태를
+가진다. 이 옵션은 반복된다.
+
+.TP 12
+.BI \-H " Header string"
+요청에 임의의 헤더를 추가한다. 이 인자는 유효한 헤더의 형태를 가지며,
+보통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진 필드 값을 콜론(:)으로 구분을 한다. 예를 들어
+'Accept-Encoding: zip/zop;8bit' 와 같다
+
+.TP 12
+.BI \-T " content-type"
+POST data에 대한 content-type header를 지정한다.
+
+.TP 12
+.B \-v
+출력 레벨을 지정한다. 4단계는 결과값 상단에 HTML 헤더를 출력하며, 3단계는
+결과물 상단에 응답 코드(예를 들어 404, 200등)를 출력하며, 2단계는 경고와
+정보 메세지를 출력한다.
+
+.TP 12
+.BI \-w
+HTML table로 결과물을 출력한다. 기본 table은 2칼럼이며 흰색 바탕이다.
+.TP 12
+.BI \-x " attributes"
+<table> 에 대한 속성을 지정한다. 속성은 <table
+.BR 속성>
+과 같이 들어간다.
+.TP 12
+.BI \-y " attributes"
+<tr>에 대한 속성값을 지정한다.
+.TP 12
+.BI \-z " attributes"
+<td>에 대한 속성값을 지정한다.
+.TP 12
+.B \-V
+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.
+.TP 12
+.B \-h
+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.
+.PD
+.SH 버그
+고정 길이를 가진 다양한 정적 선언 버퍼가 있다. 이 사실로 인해서
+비효율적인 명령 라인의 인자와 서버로부터의 헤더 응답, 그리고
+다른 외부 입력과의 결합으로 인해 버퍼 오버 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.
+
+.P
+.BR Ab 는
+HTTP/1.x를 완전하게 충족시키지는 못한다. 대신 어떠한 형태의
+응답도 수용할 수 있다.
+.P
+프로그램에 의한
+.BR strstr(3) 의
+과도한 사용은 비정상적인 수행 결과를 가져오며, CPU 리소스를 잡아
+먹게 된다. 서버의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ab에 의하여 한계에 접근
+하지 않도록
+.BR ab 를
+수행해야 한다.
+.SH 참조
+.BR httpd(8)
+.SH 역자
+김정균 <admin@oops.org> 2000년 8월 1일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8/ftpd.8 b/po/ko/archive/plain/man8/ftpd.8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c543eb3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8/ftpd.8
@@ -0,0 +1,455 @@
+.\" Copyright (c) 1985, 198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.
+.\" All rights reserved.
+.\"
+.\" Redistribution and use in source and binary forms are permitted provided
+.\" that: (1) source distributions retain this entire copyright notice and
+.\" comment, and (2) distributions including binaries display the following
+.\" acknowledgement: ``This product includes software developed by the
+.\" University of California, Berkeley and its contributors'' in the
+.\" documentation or other materials provided with the distribution and in
+.\" all advertising materials mentioning features or use of this software.
+.\" Neither the name of the University nor the names of its contributors may
+.\" be used to endorse or promote products derived from this software without
+.\" specific prior written permission.
+.\" THIS SOFTWARE IS PROVIDED ``AS IS'' AND WITHOUT ANY EXPRESS OR IMPLIED
+.\" WARRANTIES, INCLUDING, WITHOUT LIMITATION, THE IMPLIED WARRANTIES OF
+.\" MERCHANTABILITY AND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.
+.\"
+.\" ORIGINAL: ftpd.8 6.8 (Berkeley) 6/24/90
+.\"
+.\" @(#)$Id: ftpd.8,v 1.1.1.1 2002/07/18 10:40:12 hhyoon Exp $
+.\"
+.TH FTPD 8 "Jan 10, 1997"
+.UC 5
+.SH 이름
+ftpd \- DARPA 인터넷 파일 전송 프로토콜 서버
+.SH 개요
+.B ftpd
+[
+.B \-d
+] [
+.B \-v
+] [
+.B \-l
+] [
+.BR \-t
+timeout
+] [
+.BR \-T
+maxtimeout
+] [
+.BR \-a
+] [
+.BR \-A
+] [
+.BR \-L
+] [
+.BR \-i
+] [
+.BR \-o
+] [
+.BR \-p
+ctrlport
+] [
+.BR \-P
+dataport
+] [
+.BR \-q
+] [
+.BR \-Q
+] [
+.BR \-r
+rootdir
+] [
+.BR \-s
+] [
+.BR \-S
+] [
+.BR \-u
+umask
+] [
+.BR \-V
+] [
+.BR \-w
+] [
+.BR \-W
+] [
+.BR \-X
+]
+.SH 설명
+.I Ftpd
+는 DARPA internet file 전송 프로토콜 server의 역할을 한다.
+server는 TCP protocol을 사용하며 ``ftp'' service로 지정
+된 특정한 prot에 귀를 기울인다.; 자세한 것은
+.IR services (5)
+을 참조하라.
+
+.PP
+.B \-V
+옵션은 저작권과 버젼 정보를 출력한다.
+.PP
+.B \-d
+또는
+.B \-v
+options을 지정하면, syslog에 디버깅 정보가 기록된다.
+
+.PP
+.B \-l
+option은 syslog에 각 ftp의 session을 기록한다.
+
+.PP
+ftp server는 15분이 지나도록 아무 입력이 없으면(inactive
+session이 발생하면) timeout이 된다.
+.B \-t
+option으로 inactive timeout 시간을 지정할수 있다. 설정은
+.l 초
+단위로 하며 options과 초를 붙여서 쓴다.
+.B \-t
+option을 지정하지 않았을때의 기본값은 900초이다.
+또한 이와는 다른 timeout period가 있는데 이는
+.B \-T
+option을 이용하여 최대로 열어 놓을수 있는 session timeout
+period를 지정할수 있다. 이것은 inactive session과 무관하다.
+설정은
+.B \-t
+와 동일하며 default는 2시간 이다.
+.PP
+.B \-a
+option은
+.IR ftpaccess (5)
+설정 file을 사용하도록 한다.
+.PP
+.B \-A
+option은
+.IR ftpaccess (5)
+설정 file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. 이 option은 기본 option이다.
+.PP
+.B \-L
+option은 syslog에
+.IR ftpd (8)
+server에 보내지는 명령들을 기록하도록 한다.
+.B \-L
+option은
+.IR ftpaccess (5)
+file의 사용에 의해 무시되어 질수도 있다.
+.B \-L
+flag가 사용되어 진다면, 기본적으로 ftp server가 요청
+될때마다 명령이 logging 되어질 수 있다. 이것은 모든
+USER들의 명령이 기록되는 것을 뜻하며 만약 user가 우연히
+username을 대신하는 명령으로 password를 보냈을때 syslog를
+통해서 password가 누출될수도 있다.
+.PP
+.B \-i
+option을 지정하면
+.IR ftpd (8)
+server에 의해 받아들였던 file들이
+.IR xferlog (5)
+로 log되어 진다.
+.B \-i
+option은
+.IR ftpaccess (5)
+file을 사용하면 무시되어 진다.
+.PP
+.B \-o
+option을 지정하면
+.IR ftpd (8)
+server에 의해 전해진 file들이
+.IR xferlog (5)
+로 log되어 진다.
+.B \-o
+option은
+.IR ftpaccess (5)
+file을 사용하면 무시되어 진다.
+만약
+.B \-X
+option을 지정하면,
+.B \-i
+와
+.B \-o
+options에 의해 생성된 output은 xferlog에 저장되지 않는다.
+그러나 하나의 중앙 loghost에 여러 host들로 부터의 output을
+받아들이는 경우에는 syslog를 통해 저장이 된다.
+.PP
+.B \-u
+option은
+.I umask
+를 기본 umask로 setting을 한다.
+.PP
+.B \-W
+option은 user login을 wtmp file에 기록하지 않게 한다. Default (
+.B \-w
+) 로는 모든 login과 logout이 기록이 된다.
+.PP
+.B \-s
+와
+.B \-S
+option들은 standalone 작동 모드로 daemon을 실행하게 한다.
+.B \-S
+option은 daemon을 background로 실행을 하며, system booting시에
+startup srcitps(ie., in rc.local)를 이용할때 사용한다.
+.B \-s
+option은 daemon을 foreground로 실행을 시키며, init로 부터 실행
+될때 주로 사용을 한다. (ie., /etc/inittab)
+.PP
+.B \-p
+와
+.B \-P
+option들은 daemon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port number를 무시한다.
+일반적으로 daemon은 "ftp"와 ftp-data"에 대해 /etc/services 를
+참조하여 port number를 결정한다. 만약 /etc/services에 "ftp-data"가
+지정되어 있지 않고
+.B \-P
+option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면 daemon은 control connection port 보다
+앞선 port를 사용한다.
+.B \-p
+option은 standalone mode로 실행될때만 사용을 할수가 있다.
+.PP
+.B \-q
+and
+.B \-Q
+option들은 daemon이 PID file들의 사용여부를 결정한다.
+이 file들은 각 접근 class마다 현재 user의 수를 결정하는
+limit 지시자에 의해 요구되어 진다. PID file들의 사용을
+안하면 user limit를 사용할수 없다. Default (
+.B \-q
+) 로는 PID file들을 사용을 한다.
+access permission이 PID file의 사용을 막을때 일반
+user로서 server를 test할때
+.B \-Q
+를 지정한다. 좀더 나아가서 동시 사용자의 수를 제한하는
+것을 막고 싶은 busy site에서는 PID file의 사용을
+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고려해 볼만하다.
+.PP
+.B \-r
+option은 이미 loading시에 rootdir로 지정되어진 거을 chroot로
+daemon을 지정한다. 이것은 daemon을 통해 발생한 손상을 입은
+file들을 제한함으로서 system security를 증진시킬수 있다.
+Set is much like anonymous FTP, with additional files
+needed which vary from system to system.
+.PP
+ftp server는 현재 아래에 나열된 ftp reuest들을 지원을 한다.;
+case는 구별되어 있지 않다.
+.PP
+.nf
+.ta \w'Request 'u
+\fBRequest 설명\fP
+ABOR 이전 명령을 중지
+ACCT 지정한 account를 무시
+ALLO 비어있는 저장공간을 할당
+APPE file에 첨가
+CDUP 현재 작업 directory를 부모 directory로 이동
+CWD 작업 directory를 이동
+DELE file 삭제
+HELP help 정보 출력
+LIST directory의 file list 출력 (``ls -lgA'')
+MKD directory 생성
+MDTM file의 마지막 변경시간 출력
+MODE data transfer \fImode\fP 를 지정
+NLST directory의 file list name만 보여준다.
+NOOP do nothing
+PASS password를 지정
+PASV server와 server간은 전송 비교
+PORT data connection port를 지정
+PWD 현재 작업중인 directory를 출력
+QUIT session 마침
+REST 불완전한 전송을 재시도
+RETR file 정정
+RMD directory 제거
+RNFR filename으로 부터 rename 지정
+RNTO filename으로 rename 지정
+SITE 일반적이지 않은 commands (다음 section 참조)
+SIZE file size 출력
+STAT server 상태 출력
+STOR file 저장
+STOU 특정한 이름으로 file 저장
+STRU data transfer \fIstructure\fP 지정
+SYST server system의 OS type 출력
+TYPE data transfer \fItype\fP 지정
+USER user name 지정
+XCUP 현재 작업 directory를 부모 directory로 이동 (deprecated)
+XCWD change working directory (deprecated)
+XMKD directory 생성 (deprecated)
+XPWD 현재 작업 directory 출력 (deprecated)
+XRMD directory 제거 (deprecated)
+.fi
+.PP
+아래에 나열된 것은 일반적인 명령이 아니거나 UNIX 특수 명령 들이며
+SITE 명령에 수반되어 사용되어 진다.
+.PP
+.nf
+.ta \w'Request 'u
+\fBRequest 설명\fP
+UMASK umask를 변경. \fIE.g.\fP SITE UMASK 002
+IDLE idle-timer를 지정. \fIE.g.\fP SITE IDLE 60
+CHMOD file의 mode을 변경. \fIE.g.\fP SITE CHMOD 755 filename
+HELP help 정보를 출력. \fIE.g.\fP SITE HELP
+NEWER 특정 날짜 이후의 file을 출력
+MINFO SITE NEWER와 유사, 하지만 좀더 자세한 정보를 출력
+GROUP 특정 gourp 접근을 요구. \fIE.g.\fP SITE GROUP foo
+GPASS 특정 group 접근 암호를 지정. \fIE.g.\fP SITE GPASS bar
+EXEC program을 실행. \fIE.g.\fP SITE EXEC program params
+.fi
+.PP
+여기서 생략된 Internet RFC 959에 지정된 몇몇의 ftp request들은
+인식은 되지만 그리 쓸모있지는 않다. MDTM과 SIZE는 RFC 959에 지정되어
+있지는 않지만 다음 FTP RFC에 update될 예정이다.
+.PP
+ftp server는 internet RFC 959에 기술되어진 것 처럼 telnet "Interrupt
+Porcess" (IP) signal과 Telnet stream 명령의 Telnet "Synch" signal에
+의해서 ABOR 명령이 진행될때 active file 전송은 중지될 것이다.
+만약 STST 명령이 data 전송중에 받아진다면, Telnet IP와 Synch에 의해
+진행된 transfer status는 되돌려 질것이다.
+.PP
+.I Ftpd
+interpret file name들은
+.IR csh (1)
+에 의하여 사용되어지는 "golbbing" 규약에 따른다. 이것은 user들이
+metacharacter "*?[]{}~"를 이용할수 있도록 한다.
+.PP
+인증된
+.I Ftpd
+user들은 4가지 규칙을 따른다.
+.IP 1)
+username은 password data base,
+.IR /etc/passwd,
+또는 OS를 통새 접근할수 있는 무엇에 존재해야 한다. 이 경우 password는
+어떤 file 작용이 실행되어지기 전에 client에 의해서 준비 되어야 한다.
+.IP 2)
+user name이
+.IR /etc/ftpusers
+에 있어서는 안된다.
+.IP 3)
+user는
+.IR getusershell (3)
+에 의해 반환되어지는 standard shell을 가져야 한다.
+.IP 4)
+username이 "anonymous" 또는 "ftp" 일때, anonymous ftp
+계정이 password file(user "ftp")에 존재해야만 한다. 이 경우
+client의 hostname이나 e-mail address를 password로 하여 login을
+허락을 한다.
+.PP
+마지막의 경우
+.I ftpd
+는 client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기 위해 특별한 작업을 수행한다. server는
+보안의 침해를 막기 위하여 "ftp" user의 home directory로
+.IR chroot (2)
+명령으로 변경시켜 버린다. (anonymous의
+.l "/"
+를
+.l /etc/passwd
+file에 존재하는 "ftp"라는 user의 home directory-보통은 /home/ftp-로
+바꿔 버린다는 의미이다.) 이것은 "ftp" subtree는 조심해서 구성되어
+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아래에 나열된 규칙을 따른다.
+.IP ~ftp)
+home directory의 소유권을 super-user와 쓰기 권한이 없는 다른 user로
+지정을 한다.
+.IP ~ftp/bin)
+home directory의 소유권을 super-user와 쓰기 권한이 없는 다른 user로
+지정을 한다.
+.IR ls (1)
+program은 list 명령을 지원하기 위하여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. 이 program은
+mode 111의 소유권을 가져야 한다.
+.IP ~ftp/etc)
+home directory의 소유권을 super-user와 쓰기 권한이 없는 다른 user로
+지정을 한다.
+.IR passwd (5)
+와
+.IR group (5)
+file은 ls 명령을 실행했을때 숫자(UID, GID)가 아닌 사용자명이 나오도록 하기
+위해서 이다. OS에 의존하며, 다른 요구되는 file들이 있다. libary rutine
+.IR getpwent (3)
+에 대한 man page를 check하도록 한다.
+passwd의 password field는 사용되지 않으며 실제의 암호화된 password들이
+포함되어 있지 않다. 이 file들은 mode 444의 permision을 가지며
+super-user에게 소유권이 있다. ~ftp/etc directory안의 group, passwd
+file들을 system의 /etc/passwd와 /etc/group file로 복사를 하여 사용하면
+안된다.
+.IP ~ftp/pub)
+~ftp/pub에서 일반 user들에게 file upload를 허락하려면 적당히 mode 777
+또는 mode 733의 permision으로 directory를 만들면 된다. 하지만 pub
+dirctory는 read permision만을 주는 것을 권장하며 upload는 ~ftp/incoming
+이라는 directory를 만들어 사용하기를 권장하며 upload directory의 소유권은
+super-user가 아닌 ftp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한다. 또한 ftp user의 권한
+으로 upload 한 file은 지울수가 없으므로 file만 올리는 것 보다는 설명서도
+같이 올리도록 message file을 이용하여 권고하도록 한다.
+.PP
+.SH BSD/OS SYSTEM만의 인증 MECHANISM
+ftpd에 의해 사용되어 지는 인증 machanism은
+.IR /etc/login.conf
+에 있는 users class와 match되는 "auth-ftp" entry에 의해 결정된다.
+(
+.IR login.conf (5)
+를 참조하라) 만약 class에 대한 "auth-ftp" entry가 없다면 대신에 일반적인
+"auth" entry가 사용되어 질것이다. 교차하는 인증 machanism은 "joe:skey"
+처럼 콜론(":")이 첨가되어 지정이 된다.
+.SH 일반적인 FTP 확장자들
+.PP
+FTP server에는 아래와 같이 특정한 file 확장자로서 몇가지 기능을 수행할수
+있다:
+.PP
+.nf
+ 실제 Filename 지정한 Filename 실행
+ 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+ <filename>.Z <filename> 압축을 풀고나서 전송
+ <filename> <filename>.Z 전송전 file을 압축
+ <filename> <filename>.tar 전송전 file을 Tar로 묶음
+ <filename> <filename>.tar.Z 전송전 file을 Tar로 묶고 압축
+.fi
+.PP
+또한 FTP server는 확실한 e-mail 주소를 위한 check를 시도하며, 이 test를
+통과하지 못하면 user에게 경고 message를 출력한다. FTP client가 "long
+replies" (i.e multiline responses)에 걸려 있는 user들을 위해 password의
+첫번째 character를 dash를 사용하는 것은 server의 lreply() 함수를 불가능
+하게 한다.
+.PP
+FTP server는 또한 모든 file의 전송과 수신을 log 할수 있으며, 발생되는
+각 file의 전송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관리를 한다.
+
+.PP
+.nf
+Mon Dec 3 18:52:41 1990 1 wuarchive.wustl.edu 568881 /files.lst.Z
+a _ o a chris@wugate.wustl.edu ftp 0 *
+
+ %.24s %d %s %d %s %c %s %c %c %s %s %d %s
+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
+
+ 1 DDD MMM dd hh:mm:ss YYYY 형식의 현재시간
+ 2 초 단위의 전송시간
+ 3 remote host name
+ 4 byte 단위의 file size
+ 5 name of file
+ 6 전송 type (a>scii, b>inary)
+ 7 특수 action flags (필요에 따라 연계):
+ C file이 압축되어짐
+ U file이 압축되어지지 않음
+ T file이 tar로 묶임
+ _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음
+ 8 file 이 user에게 보내지거나 (o>utgoing), user로 부터 받음 (i>ncoming)
+ 9 접근한 방식 (r>eal, a>nonymous, g>uest) -- mostly for FTP
+ 10 local username 또는 "ftp" user의 경우 login시에 password로 입력한
+ e-amil address
+ 11 service 명 ('ftp', other)
+ 12 인증방식 (bitmask)
+ 0 none
+ 1 RFC931 인증
+ 13 인증되어진 user id (if available, '*' otherwise)
+.fi
+.SH 관련 항목
+.BR ftp(1) ,
+.BR getusershell(3) ,
+.BR syslogd(8) ,
+.BR ftpaccess(5) ,
+.BR xferlog(5) ,
+.BR umask(2)
+.SH 버그
+anonymous 계정은 안전하지가 못하며 가능한 막는 것이 좋다.
+.PP
+server는 지정된 port number로서 socket들을 만들기 위하여
+super-user로서 실행이 되어져야 한다. 이것은 login 되어진
+user의 영향력 있는 user id를 지속하며 socket에 address를
+속박할때 super-user의 권한을 얻을수가 있기 때문이다. 가능한
+보안 구멍에 대해서 세밀히 조사되어 져야 하지만 아무리 해도
+불가능하다.
+.SH 역자
+김정균 <admin@oops.org> 2000년 8월 4일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8/init.8 b/po/ko/archive/plain/man8/init.8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51465c1b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8/init.8
@@ -0,0 +1,225 @@
+.\"{{{}}}
+.\"{{{ Title
+.TH INIT 8 "May 06, 1996" "" "Linux System Administrator's Manual"
+.\"}}}
+.\"{{{ Name
+.SH NAME
+init, telinit \- 초기화 프로세스 제어
+.\"}}}
+.\"{{{ Synopsis
+.SH SYNOPSIS
+.B /sbin/init
+.RB [ " \-t sec " ]
+.RB [ " 0123456SsQq " ]
+.br
+.B /sbin/telinit
+.RB [ " \-t sec " ]
+.RB [ " 0123456sSQqabc " ]
+.\"}}}
+.\"{{{ Description
+.SH DESCRIPTION
+.\"{{{ init
+.SS Init
+.B Init
+프로세스는 모든 프로세스의 아버지다.
+이것은 \fB/etc/inittab\fP 파일(\fIinittab\fP(5) 참조)을 찾아,
+지정한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
+이 파일에는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getty 처리를 하는데,
+이때 init가 사용된다. 또한 이 파일은 특정 시스템에서 필요한,
+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들을 제어한다.
+.PP
+\fIrunlevel\fP이란
+존재하는 프로세스의 선택된 그룹만을 허락하는 시스템의
+소프트웨어 환경이다.
+각각의 \fIrunlevel\fP에서, \fBinit\fP에 의해 생성되는
+프로세스들은 \fB/etc/inittab\fP 파일에서 정의된다.
+\fBInit\fP는 \fIrunlevel\fP이 0부터 6, \fBS\fP 또는 \fBs\fP인
+여덟 종류 중 하나에 존재 할 수 있다. \fIrunlevel\fP 값은
+시스템 관리자가 \fB/sbin/telinit\fP를 실행해서 바뀐다.
+telinit는 runlevel을 바꾸어라는 신호를 init에게 알린다.
+.PP
+커널 부팅이 끝나면, 마지막으로 init가 실행되는데,
+이때 \fB/etc/inittab\fP 파일을 찾아 그 안에 정의된
+\fBinitdefault\fP (\fIinittab\fP(5) 참조) 부분을 읽는다.
+그리고 그곳에 정의된 runlevel을 현재 level로 하여 나머지 작업을
+계속한다. 이때, \fB/etc/inittab\fP 파일이 없거나,
+\fBinitdefault\fP 정의가 없으면, 콘솔에서 직접 runlevel을
+입력해야 한다.
+.PP
+\fIrunlevel\fP이 \fBS\fP나 \fBs\fP이면, 단일 사용자 모드가
+진행되면, 이때는 \fB/etc/initttab\fP 파일이 필요없다.
+단일 사용자 모드에서는 \fB/dev/console\fP에 의해
+\fB/bin/sh\fP가 호출된다.
+.PP
+단일 사용자 모드가 되면, init는 \fB/etc/ioctl.save\fP에서
+지정한 콘솔의 \fIioctl\fP(2)을 읽는다. 이때, 이 파일이 없으면,
+init는 라인을 \fB9600 baud\fP, \fBCLOCAL\fP로 초기화 한다.
+단일 사용자 모드를 떠나면,
+init는 현재 콘솔의 \fIioctl\fP 설정을 \fB/etc/ioctl.save\fP 파일에
+저장하고, 다음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다시 사용한다.
+.PP
+다중 사용자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, init는
+먼저 사용자가 로그인 할 수 있는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사용을
+위해 \fBboot\fP, \fBbootwait\fP 부분을 처리하고,
+다음, 나머지 부분들을 처리한다. (inittab에서 정의되고 있음)
+.PP
+한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는 먼저 \fI/etc/initscript\fP
+파일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, 있다면, 그 스크립트에 따라
+프로세스를 시작한다.
+.PP
+각 하위 프로세스들이 끝날 때, init는 \fB/var/run/utmp\fP,
+\fB/var/log/wtmp\fP 파일있다면, 그 파일에
+그 프로세스들의 마침 정보들(언제 끝났고,
+왜 끝났고... 이런 정보)을 기록한다.
+.PP
+지정한 그 프로세스를 모두 실행 한 뒤,
+\fBinit\fP는 그 프로세스를 마칠 의존적인
+프로세스 중 하나나,\fIpowerfail\fP 시그날이나, 시스템의 \fIrunleve\fP을
+바꾸는 \fB/sbin/telinit\fP에서 보내는 시그날을 기다린다.
+이 셋 중 하나가 발생했을 때, \fBinit\fP는 \fB/etc/inittab\fP 파일을
+다시 읽는다. 이 파일에는 언제든지 새로운 항목이 추가 될 수 있다.
+하지만 그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그 세가지 경우가 되어 \fBinit\fP가 그 파일을
+읽을 때 나타난다. 이런 상황이 아닌데도 \fB/etc/inittab\fP 파일을
+읽어야 할 경우에는 \fBQ\fP 나 \fBq\fP 명령을 사용한다.
+.PP
+만약 단일 사용자 모드가 아닌데, powerfail 시그날이 발생하면,
+\fBinit\fP는 \fB/etc/inittab\fP 파일에서 특별하게 지정된
+ powerfail 부분을 실행한다.
+.PP
+\fIrunlevel\fP이 바뀌었을 때, 그 새로운 \fIrunlevel\fP에 대해서
+특별히 대처하지 않게 지정된 모든 프로세스에게 \fBinit\fP는
+경고 시스날인 \s-1\fBSIGTERM\fP\s0을 보낸다.
+그리고 나서 5초동안 기다리고는 종료 시그날인 \s-1\fBSIGKILL\fP\s0
+을 그 프로세스들에게 보낸다.
+이때, \fBinit\fP는 그 프로세스들을 위해 원래 만들어진.
+같은 프로세스 그룹 안에 남아 있다고 가정한다는 것을 주의하라.
+만약 어떤 프로세스가 자신의 프로세스 그룹을 바꾸었다면,
+이 프로세스는 위에서 언급한 시그날들을 받지 못한다.
+이런 프로세스들은 사용자가 직접 종료해야한다.
+.\"}}}
+.\"{{{ telinit
+.SS telinit
+\fB/sbin/telinit\fP는 \fB/sbin/init\fP에 링크되어 있는 명령이다.
+이것은 한 문자의 명령행 인자와 적당한 작업을 수행할
+signals \fBinit\fP를 가진다.
+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한 문자 명령행 인자는 다음과 같다.
+\fB/sbin/telinit\fP:
+.IP "\fB0\fP,\fB1\fP,\fB2\fP,\fB3\fP,\fB4\fP,\fB5\fP,\fB6\fP"
+\fB/sbin/init\fP에게 runlevel이 바뀌었음을 알린다.
+.IP \fBa\fP,\fBb\fP,\fBc\fP
+\fB/etc/inittab\fP 파일에서 지정한 \fBa\fP,\fBb\fP,\fBc\fP
+runlevel 부분을 처리하라고 init에게 알린다.
+.IP "\fBQ\fP or \fBq\fP"
+\fB/sbin/init\fP가 \fB/etc/inittab\fP 파일을 다시 읽도록 지시한다.
+.IP "\fBS\fP or \fBs\fP"
+\fB/sbin/init\fP에게 단일 사용자 모드로 전환하라고 알린다.
+.PP
+또한 init가 TERM 시그날을 보내고 나서 몇 초를 기다린 후,
+KILL 시그날을 프로세스들에게 보낼지를 지정할 수 있다.
+초기값은 5초다. 이 것은 \fB-t sec\fP 옵션으로 지정한다.
+.PP
+\fB/sbin/telinit\fP
+명령은 단지 시스템 관지자에 의해서만 호출 될 수 있다.
+.\"}}}
+.\"}}}
+.\"{{{ Runlevels
+.SH RUNLEVELS
+init와 관계되는 runlevel은 0, 1, 6이다. 0은 시스템 종료에,
+6은 시스템 재시동(reboot)에, 1은 단일 사용자 모드에 사용된다.
+runlevel \fBS\fP는 바로 처리 되지 않고,
+runlevel \fB1\fP로 바뀌었을 때 처리 되는 부분에서 처리된다.
+자세한 이야기는 \fBshutdown\fP(1), \fBinittab\fP(5) 매뉴얼
+페이지를 참조한다.
+.PP
+runlevel 7-9도 사용할 수 있지만,
+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. 이것은 "전통적인" Unix 환경에서는
+사용되지 않는 값들이기 때문이다.
+일반적으로 runlevel \fIS\fP나 \fIs\fP 값이 runlevel 7-9와
+같은 역활을 한다. 이것은 단지 하나의 별칭으로 사용된다.
+이 풀그림 제작자가 sysvinit를 만들때 사용한 시스템에서
+이 값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남겨두었을 뿐이다.
+.\"}}}
+.\"{{{ Files
+.SH FILES
+.nf
+/etc/inittab
+/etc/initscript
+/dev/console
+/etc/ioctl.save
+/var/run/utmp
+/var/log/wtmp
+/dev/initctl
+.fi
+.\"}}}
+.SH ENVIRONMENT
+init에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 변수를 사용한다.
+.IP \fBPATH\fP
+초기값: \fI/bin:/usr/bin:\fP
+.IP \fBINIT_VERSION\fP
+init의 버전 정보. 이것은 init 스크립트 작성에서 요용하게 쓰인다.
+.IP \fBRUNLEVEL\fP
+시스템의 현재 runlevel.
+.IP \fBPREVLEVEL\fP
+이전 runlevel.(runlevel 전환 때에 요용하게 쓰인다.)
+.\"{{{ Conforming to
+.SH BOOTFLAGS
+부트 관리자(예, LILO)에서 다음 인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,
+생략할 수도 있다.
+.TP 0.5i
+.B S, single
+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한다.
+이 모드에서는 \fI/etc/inittab\fP 파일을 검사하고,
+단일 사용자 모드의 쉘이 시작되기 전에,
+rc 스크립트가 일반적으로 실행된다.
+.PP
+.TP 0.5i
+.B 1-5
+지정한 runlevel로 부팅한다.
+.PP
+.TP 0.5i
+.B -b, emergency
+다른 어떠한 시작 스크립트 없이 바로 단일 사용자 모드로 부팅한다.
+.PP
+.SH CONFORMING TO
+\fBInit\fP는 System V init와 호환이 된다.
+이것은 \fI/etc/init.d\fP, \fI/etc/rc{runlevel}.d\fP 경로안에 있는
+스크립트들을 실행한다.
+자신의 시스템에 적용하려면, 먼저
+/etc/init.d 경로 안에 있는 스크립트들이 어떻게
+작동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\fIREADME\fP 파일을 읽어
+보라.
+.\"}}}
+.\"{{{ Warnings
+.SH WARNINGS
+\fBinit\fP는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될 당시에 소속되어 있는
+프로세스 그룹안에 계속 있다고 가정한다.
+그렇기 때문에, 만약 그 프로세스가 그 그룹에 더 이상 소속되지
+않는다면, runlevel이 바뀌었어 그 프로세스를 마쳐야 할때,
+제대로 마칠수 없게 된다.
+.\"}}}
+.\"{{{ Diagnostics
+.SH DIAGNOSTICS
+만약 2분 동안 10번 이상 init가 계속 해서 호출 된다면,
+init는 이런 상태를 오류로 가정한다. 그리고는 시스템 콘솔에
+오류 메시지를 보여준다. 그리고, 5분간 프로세스 생성을 중지하고,
+발생되는 시그날을 받는다. 이것은 시스템 리소스의 낭비를
+막기 위한 조치이다.
+.\"}}}
+.\"{{{ Author
+.SH AUTHOR
+Miquel van Smoorenburg (miquels@cistron.nl), initial manual
+page by Michael Haardt (u31b3hs@pool.informatik.rwth-aachen.de).
+.\"}}}
+.\"{{{ See also
+.SH "SEE ALSO"
+getty(1), login(1), sh(1), who(1), shutdown(1), kill(2), inittab(5),
+initscript(5), utmp(5)
+.\"}}}
+
+
+
+
+
+
+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8/ipfwadm.8 b/po/ko/archive/plain/man8/ipfwadm.8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80fc476d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8/ipfwadm.8
@@ -0,0 +1,393 @@
+.\"
+.\" $Id: ipfwadm.8,v 1.1.1.1 2002/07/18 10:40:12 hhyoon Exp $
+.\"
+.\"
+.\" Copyright (c) 1995,1996 by X/OS Experts in Open Systems BV.
+.\" All rights reserved.
+.\"
+.\" Author: Jos Vos <jos@xos.nl>
+.\"
+.\" X/OS Experts in Open Systems BV
+.\" Kruislaan 419
+.\" 1098 VA Amsterdam
+.\" The Netherlands
+.\"
+.\" E-mail: info@xos.nl
+.\" WWW: http://www.xos.nl/
+.\"
+.\"
+.\" This program is free software; you can redistribute it and/or modify
+.\" it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as published by
+.\" the Free Software Foundation; either version 2 of the License, or
+.\" (at your option) any later version.
+.\"
+.\" This program is distributed in the hope that it will be useful,
+.\" but WITHOUT ANY WARRANTY; without even the implied warranty of
+.\" MERCHANTABILITY or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. See the
+.\" GNU General Public License for more details.
+.\"
+.\" You should have received a copy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
+.\" along with this program; if not, write to the Free Software
+.\" Foundation, Inc., 675 Mass Ave, Cambridge, MA 02139, USA.
+.\"
+.\"
+.TH IPFWADM 8 "1996년 7월 30일" "" ""
+.SH 이름
+ipfwadm \- IP 방화벽, 통계분석 관리 도구
+.SH 개요
+.BR "ipfwadm -A " "명령 매개변수 [옵션]"
+.br
+.BR "ipfwadm -I " "명령 매개변수 [옵션]"
+.br
+.BR "ipfwadm -O " "명령 매개변수 [옵션]"
+.br
+.BR "ipfwadm -F " "명령 매개변수 [옵션]"
+.br
+.BR "ipfwadm -M " "[ -l | -s ] [옵션]"
+.SH 설명
+.B Ipfwadm
+은 리눅스 커널에서 IP 방화벽, 통계분석 규칙을 설정, 유지, 감독하기
+위한 도구이다. 이 규칙은 4 개의 범주로 나뉜다 : IP 패킷의 통계분석,
+IP 입력 방화벽, IP 출력 방화벽, 그리고 IP 전달 방화벽.
+규칙은 각 범주마다 따로 관리한다.
+자세한 내용은
+.IR ipfw (4)
+을 참고하라.
+.SH 옵션
+.B ipfwadm
+에서 사용하는 옵션은 몇 개의 그룹으로 나뉜다.
+.SS "범주"
+적용시키고자 하는 명령에 대하여 규칙 범주를 선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
+플래그가 사용된다:
+.TP
+.BR -A " [\fI방향\fP]"
+IP 통계분석 규칙.
+선택적으로
+.I 방향
+을 명시할 수 있다.
+.RI ( in ,
+.IR out ,
+또는
+.IR both ),
+이는 통계를 나가는 또는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서만 수행하도록 지시한다.
+기본 방향값은
+.IR both 이다.
+.TP
+.B -I
+IP 입력 방화벽 규칙.
+.TP
+.B -O
+IP 출력 방화벽 규칙.
+.TP
+.B -F
+IP 전달 방화벽 규칙.
+.TP
+.B -M
+IP 매스커레이딩(masquerading) 관리.
+이 범주는 다음
+.B -l
+(보여주기) 또는
+.B -s
+(타임아웃 시간 설정) 명령하고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+.PP
+한 번에 단 한 가지만 사용한다.
+.SS 명령
+다음 옵션은 수행할 특정 행위를 명시한다.
+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, 명령행에서 단 한 가지만 사용가능하다.
+.TP
+.BR -a " [\fI정책\fP]"
+선택한 목록에 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규칙을 추가한다(Append).
+회계분석의 경우에는 어떠한 정책도 명시해선 안된다.
+방화벽 규칙의 경우 다음 정책 중 한 가지를 명시해야 한다:
+.IR accept ,
+.IR deny ,
+또는
+.IR reject .
+출발지 또는 목적지 이름이 하나 이상의 주소를 나타낼 때는 그것이 나타내는
+모든 주소 조합에 대하여 규칙이 추가된다.
+.TP
+.BR -i " [\fI정책\fP]"
+선택한 목록의 맨 앞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규칙을 삽입한다.
+자세한 내용은
+.B -a
+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라.
+.TP
+.BR -d " [\fI정책\fP]"
+선택한 규칙 목록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규칙을 삭제한다.
+문법은 추가/삽입 명령과 동일하다.
+명시된 매개변수는 추가 또는 삽입 명령에서 사용했던 매개변수와 일치해야 한다.
+그렇지 않은 경우엔 목록에서 규칙을 제거하지 않는다.
+오로지 첫번째 부합되는 규칙만 삭제될 뿐이다.
+.TP
+.B -l
+선택한 목록에 있는 모든 규칙을 보여준다.
+이 명령은
+.B -z
+(카운터를 0으로 재설정) 명령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.
+이 때는 현재 값을 출력한 직후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가 다시 0 으로 설정된다.
+.B -x
+옵션이 없으면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 값이
+.IR 값 K
+또는
+.IR 값 M,
+으로 표시되는데 여기서 1K는 1000을, 1M는 1000K(가장 가까운 정수값으로 반올림
+내림 표시)을 의미한다.
+몇 가지 더 많은 기능에 대해서는
+.B -e
+와
+.B -x
+플래그도 참고하라.
+.TP
+.B -z
+선택한 목록의 모든 규칙에 대하여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를 0으로 돌려놓는다.
+이 명령은
+.B -l
+(보여주기) 명령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+.TP
+.B -f
+는 선택한 규칙 목록을 비워버린다.
+.TP
+.BI -p " 정책"
+선택한 방화벽 유형에 대한 기본 정책을 바꾼다.
+정책으로 사용하는 값은
+.IR accept ,
+.IR deny ,
+또는
+.IR reject 중 하나이다.
+부합되는 규칙이 발견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이 기본 정책이다.
+이 동작은 IP 방화벽에만 사용하는 것으므로
+with the
+.BR -I ,
+.BR -O ,
+그리고
+.B -F
+플래그와만 사용한다.
+.TP
+.BI -s " tcp tcpfin udp"
+매스커레이딩에 사용되는 타임아웃값을 바꾼다.
+이 명령은 언제나 3 개의 매개변수를 갖는데 각각 TCP 세션에 대한 타임아웃값,
+FIN 패킷을 받은 후 TCP 세션에 대한 값, 그리고 UDP 패킷에 대한 값이다.
+타임아웃값에 0 을 적으면 현재 적용되고 있는 값을 보존한다는 뜻이다.
+이 동작은 오로지
+.B -M
+플래그와만 사용한다.
+.TP
+.B -c
+선택한 방화벽 유형에 대하여 IP 패킷이 허가, 거부(deny) 또는
+거절(reject)될 것인지 점검한다.
+이 동작은 IP 방화벽에만 관계되므로
+.BR -I ,
+.BR -O ,
+그리고
+.B -F
+플래그와만 사용한다.
+.TP
+.B -h
+도움말.
+명령 문법에 대한 설명을 보여준다.( 현재는 매우 간단하게 보여준다 )
+.SS 매개변수
+다음 매개변수는 추가, 삽입, 삭제, 점검 명령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:
+.TP
+.BI "-P " 프로토콜
+규칙 또는 점검할 패킷의 프로토콜을 말한다.
+프로토콜로 올 수 있는 값은
+.IR tcp ,
+.IR udp ,
+.IR icmp ,
+또는
+.IR all 이다.
+.I all
+은 모든 프로토콜을 말하며 이 옵션이 생략된 경우 사용하는 기본값이다.
+.I All
+은 점검 명령과 사용하지 못할 것이다.
+.TP
+.BR "-S " "\fI주소\fP[/\fI매스크\fP] [\fI포트\fP ...]"
+출발지 명시 (선택적).
+.I 주소
+에는 호스트명, 네트웍명 또는 평범한 IP 주소가 올 수 있다.
+.I 매스크
+는 네트웍 매스크 또는 간단한 값이 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네트웍 매스크에서
+왼편에 오는 1 의 갯수가 몇 개인지를 가리키는 값이다.
+따라서
+.I 24
+라는 매스크값은
+.IR 255.255.255.0 와 동일하다.
+.sp 0.5
+출발지에는 하나 이상의 포트 명시 또는 ICMP 유형 명시가 가능하다.
+각각은 서비스명, 포트 번호 또는 (숫자 표현의) ICMP 유형이 될 수 있다.
+이 절에서 앞으로
+.I 포트
+는 포트 명시 또는 ICMP 유형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한다.
+포트의 범위를 명시할 수 있는데 형식은 다음과 같다.
+.IR 포트 : 포트 .
+참고로 출발지와 도착지 주소에 적을 수 있는 포트의 갯수는
+.B IP_FW_MAX_PORTS
+(현재 10) 값을 넘어선 안된다.
+여기서 포트 범위는 2 개의 포트로 간주한다.
+.sp 0.5
+TCP, UDP, ICMP 패킷의 첫번째 조각이 아닌 패킷에 대하여 방화벽은 항상
+허가한다.
+통계분석 목적을 위해 이러한 두번째 이후 조각들은 특별히 처리되며 다른 방식으로
+계산한다.
+포트 번호 0xFFFF (65535)는 TCP, UDP 패킷 중 두번째 이후 조각에 대하여 사용된다.
+이러한 패킷은 그들의 포트 번호가 마치 0xFFFF인 것처럼 통계에서 다룬다.
+0xFF (255) 번은 ICMP 패킷의 두번째 이후 패킷에 대하여 사용한다.
+이러한 패킷은 포트 번호가 마치 0xFF인 것처럼 통계에서 다룬다.
+명시한 명령 또는 프로토콜마다 사용하는 포트가 있으므로 포트에 대한 제한이
+자동으로 이뤄진다.
+포트는 다음
+.IR tcp ,
+.IR udp ,
+그리고
+.I icmp
+프로토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.
+.sp 0.5
+이 옵션이 생략되면 출발지 주소로서 기본 주소/매스크
+.I 0.0.0.0/0
+(모든 주소와 일치)가 사용된다.
+점검 명령에서는 이 옵션이 꼭 필요하다. 이 때는 꼭 포트를 하나만 명시해야
+한다.
+.TP
+.BR "-D " "\fI주소\fP[/\fI매스크\fP] [\fI포트\fP ...]
+도착지 명시 (선택적)
+See the desciption of the
+자세한 문법, 기본값 그리고 다른 사항에 대해서는
+.B -S
+(출발지) 플래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라.
+ICMP 유형은
+.B -D
+플래그와 사용할 수 없다: ICMP 유형은 오로지
+.B -S
+플래그 뒤에서만 사용한다.
+.TP
+.BI "-V " 주소
+패킷을 받거나 보내는 통로가 되어 주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소로서 선택적이다.
+.I 주소
+는 호스트명 또는 평범한 IP 주소를 사용한다.
+호스트명을 사용하는 경우 딱 하나의 IP 주소로 해결되어야 한다.
+이 옵션이 생략되면
+.I 0.0.0.0
+이라고 가정하는데 이는 특별히 모든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.
+점검 명령에서는 이 옵션을 꼭 사용해야 한다.
+.TP
+.BI "-W " 이름
+패킷을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의 이름으로서 선택적이다.
+생략되면 빈 문자열로 가정하는데 이는 모든 인터페이스명을 의미한다.
+점검 명령의 경우 이 옵션은 필수적이다.
+.SS "기타 옵션"
+다음과 같은 추가 옵션이 있다:
+.TP
+.BI -b
+양방향 모드.
+규칙을 양방향 모두의 IP 패킷에 적용하도록 한다.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하고만 같이 사용할 수 있다.
+.TP
+.BI -e
+확장 출력.
+이 옵션을 주면 list 명령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주소와 규칙 옵션(존재한다면)을
+추가로 보여준다.
+방화벽 목록의 경우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( 통계분석 규칙에 있어서는
+기본설정이다)를 보여주며 TOS 매스크도 보여준다.
+.BR -M
+와 함께 사용하면,
+델타 시퀀스 번호와 관련된 정보도 출력한다.
+이 옵션은 오로지 list 명령하고만 사용할 수 있다.
+.TP
+.BI -k
+ACK 비트가 설정된 TCP 패킷하고만 부합한다.( 이 옵션은 다른 프로토콜의 패킷에
+대해서는 무시된다 )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하고만 같이 사용한다.
+.TP
+.BI -m
+전달 허용하는 패킷에 대하여 매스커레이드한다.
+이 옵션이 주어지면 규칙에 부합되는 패킷에 대하여 마치 지역 호스트에서
+나가는 것처럼 매스커레이드해준다. 물론, 방화벽을 통과하여
+되돌아오는 패킷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원래의 출발지로 보내준다.
+이 옵션은 전달 방화벽 규칙에서
+.I accept
+정책
+(또는
+.I accept
+를 기본 정책으로 명시한 경우)
+하고만 사용하며 커널은
+.B CONFIG_IP_MASQUERADE
+이 정의된 채로 컴파일되어 있어야 한다.
+.TP
+.BI -n
+수치 출력.
+IP 주소와 포트 번호가 수치 형태로 출력된다.
+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은 가능한 한 호스트명, 네트웍명, 서비스명으로 출력하고자
+한다.
+.TP
+.BI -o
+부합하는 패킷에 대하여 커널 로깅을 하도록 한다.
+어떤 규칙에 대하여 이 옵션을 설정해두면 리눅스 커널은 모든 부합하는
+패킷에 대하여 ( 마치 대부분의 IP 헤더 필드처럼 )
+.IR printk () 를 사용하여 출력한다.
+이 옵션은 리눅스 커널을
+.B CONFIG_IP_FIREWALL_VERBOSE
+정의하고 컴파일한 경우에만 유효하다.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에서만 사용한다.
+.TP
+.BR "-r " [\fI포트\fP]
+패킷을 지역적 소켓으로 리다이렉트한다.
+이 옵션이 주어지면 패킷이 원격 호스트로부터 온 것이라 할 지라도
+지역적 소켓으로 리다이렉트된다.
+명시한 리다이렉션 포트가 0 이면( 기본값임 ) 패킷의 도착지 포트가 리다이렉션
+포트로 사용된다.
+이 옵션은 입력 방화벽에서
+.IR accept
+정책 사용시에만 유효하며 리눅스 커널은
+.B CONFIG_IP_TRANSPARENT_PROXY
+을 정의하고 컴파일되어 있어야 한다.
+.TP
+.BI "-t " "AND매스크 XOR매스크"
+IP 헤더의 TOS 필드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매스크이다.
+방화벽 규칙에 의해 패킷이 받아들여지면(매스커레이드에 상관없이)
+TOS 필드는 우선 첫번째 매스크로 비트 AND 된 후 두번째 매스코로 XOR 된다.
+매스크는 16진수 8 비트 값이어야 한다.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하고만 사용되며 통계분석 규칙 또는
+거절(reject), 거부(deny)하는 방화벽 규칙에서는 어떠한 일도 하지 않는다.
+.TP
+.BI -v
+장황한 출력.
+추가, 삭제, 점검될 규칙이나 패킷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.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에만 유효하다.
+.TP
+.BI -x
+숫자를 확장.
+K (1000) 또는 M (1000K) 단위로 반올림 표현하지 말고 패킷과 바이트 카운터의
+수치를 정확하게 표시한다.
+이 옵션은 카운터가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다.
+(
+.B -e
+옵션을 참고).
+.TP
+.BI -y
+SYN 비트가 설정되어 있고 ACK 비트가 없는 TCP 패킷하고만 부합한다.
+(다른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무시된다)
+이 옵션은 추가, 삽입, 삭제 명령과 사용한다.
+.SH 관련 파일
+.I /proc/net/ip_acct
+.br
+.I /proc/net/ip_input
+.br
+.I /proc/net/ip_output
+.br
+.I /proc/net/ip_forward
+.br
+.I /proc/net/ip_masquerade
+.\" .SH BUGS
+.SH 참고 사항
+ipfw(4)
+.SH 저자
+Jos Vos <jos@xos.nl>
+.br
+네덜란드, 암스테르담에 있는 Open Systems BV의 X/OS 전문가
+.SH 번역자
+.br
+이 만 용
+.B <geoman@nownuri.net>
+.br
+.B " <freeyong@soback.kornet.nm.kr>"
+
diff --git a/po/ko/archive/plain/man8/pppd.8 b/po/ko/archive/plain/man8/pppd.8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16406d1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lain/man8/pppd.8
@@ -0,0 +1,900 @@
+
+.\" $Id: pppd.8,v 1.1.1.1 2002/07/18 10:40:12 hhyoon Exp $
+.\" SH section heading
+.\" SS subsection heading
+.\" LP paragraph
+.\" IP indented paragraph
+.\" TP hanging label
+.TH PPPD 8
+.SH 이름(NAME)
+pppd \- 점대점 통신 규약 daemon
+.SH 간추려 쓰기(SYNOPSIS)
+.B pppd
+[
+.I tty_name
+] [
+.I speed
+] [
+.I 옵션
+]
+.SH 설명(DESCRIPTION)
+.LP
+점대점 통신 규약 (Ponit-to-Point Protocol)은 직렬(serial) 점대점 연결된
+상태에서 datagram의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.
+PPP는 다음과 같은 세부분으로 구성된다. 첫째, 직렬(serial) 연결 상에서
+데이타 그램의 캡슐화를 위한 방법, 둘째, 확장가능한 Link Control Protocls(LCP)
+그리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-계층 프로토콜들 간에 연결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
+프로토콜 계열(NCP) 등이다.
+.LP
+캡슐화 책략(encapsulation scheme)은 커널에서 드라이버 코드(driver code)에 의해
+주어진다.
+.B pppd
+는 기본적인 연결 제어 프로토콜(LCP), 확인을 지원하고, 인터넷 프로토콜( IP;
+여기에서는 IP 제어 프로토콜로 불리워지는 IPCP)을 설정하고 연결을 설립하기
+위한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(NCP)를 제공한다.
+.SH 주로 사용되어지는 옵션(FREQUENTLY USED OPTIONS)
+.TP
+.I <tty_name>
+명명되어진 장치와 통신한다. 문자열 "/dev/"는 필요에 따라 <tty_name>앞에 붙여
+진다. 만약 장치가 명명되지 않았거나 제어할 터미널이 주어진다면
+.I pppd
+는 제어할 터미널을 사용하게 될 것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이것을 실행하기 위해
+fork하지 않을 것이다.
+.TP
+.I <speed>
+는 baud rate로써 10진 상수를 취한다. NetBSD나 4.4BSD와 같은 시스템상에서는
+어떤 속도로도 명시될 수 있다. 다른 시스템(예를들어 Sunos)에서는 제한된
+속도들의 집합에 따른다.
+.TP
+.B asyncmap \fI<map>
+<map>로 비동기적 문자 지도(async character map)를 설정한다. 이 지도는 제어
+문자들이 serial line상에서 제대로 받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.
+.I pppd
+는 송신측에 2바이트 escape 문자열로서 이 문자들을 보낼 것을 요구할 것이다.
+Argument 는 각 비트의 문자가 escape 문자를 나타내는 32비트 16진수이다.
+Bit 0 (00000001) 는 문자 0x00를 나타냄.
+bit 31 (80000000) 는 문자 0x1f 혹은 '^_'를 나타냄.
+만약 다중 \fBasyncmap\fR 옵션들이 주어진다면 그값은 함께 OR연산된다.
+만약 어떤 \fBasyncmap\fR option도 주어지지 않는다면, 어떤 async character map
+도 받는쪽에서 타협되지 않을 것이고 이로인해 상대측에서는 \fI모든\fR 제언
+문자들을 제외할 것이다.
+.TP
+.B auth
+는 네트워크 패킷이 보내지거나 받아들이기를 승인하기 전에 상대측이 확인
+되기를 요구한다.
+.TP
+.B connect \fI<p>
+는 실행 명령이나 serial line을 설정하기 위한 \fI<p>\fR에 의해 명시되어지는
+쉘 명령을 사용한다. 이 script는 전형적으로 모뎀에서 다이얼하거나 remote ppp
+session을 시작할때 사용되어지는 chat(8) 프로그램을 사용한다.
+.TP
+.B crtscts
+는 serial port상에서 data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하드웨어의 흐름 (즉, RTS/CTS )
+을
+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.
+\fBcrtscts\fR 나 \fB\-crtscts\fR option 주어지지 않는다면, serial port를 위한
+하드웨어 흐름 제어의 설정은 바뀌지 않은 채 남았있다.
+.TP
+.B defaultroute
+기본 설정 라우트를 게이트웨이로서 상대측(the peer)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
+라우팅 테이블에 추가하고, 그 때 IPCP 협약이 성공적으로 완성된다.
+PPP접속이 끊기면 이 라우트 목록은 제거된다.
+.TP
+.B disconnect \fI<p>
+실행 명령이나 \fIpppd\fR가 연결을 끊은 후에 \fI<p>\fR에 의해 명시되는
+쉘명령을 수행한다. 예를 들어 이 script는 하드웨어 모뎀 제어 신호들이
+사용되어질 수 없을때 모뎀의 접속을 끊도록 모뎀에 명령을 줄 수 있다.
+.TP
+.B escape \fIxx,yy,...
+어떤 문자들이 전송상에서 제외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명시한다.(상대측에서
+비동기 제어 문자 지도(async control character map)에 그것을 제외하던지
+말든지 상관하지 않고). 제외될 문자들은 콤마들에 의해 분리되는 16진수들의
+리스트로 명시된다. 제어 문자들이 표시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
+\fBasyncmap\fR option과는 달리, 거의 어떤 문자는 \fBescape\fR option
+으로 명시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라. 제외되지 않을 수 있는 문자들은 16진수로
+0x20 - 0x3f 혹은 0x5e까지의 값을 가지는 문자들이다.
+.TP
+.B file \fI<f>
+화일<f>로부터 옵션들을 읽는다.(형식은 아래에 표기되어 있다.)
+.TP
+.B lock
+\fIpppd\fR 가 serial 장치의 외부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UUCP-style lock
+file을 생성한다.
+.TP
+.B mru \fI<n>
+협약(Negotiation)을 위해 <n>까지 MRU[Maximum Receive Unit] value를 설정한다.
+.I pppd
+가 상대측에게 <n>보다 많은 패킷을 보내지 않도록 요구한다. 최소 MRU값은
+128이다. 기본설정 MRU 값은 1500이다. 296이라는 값은 느린 연결 상태에
+권장된다.(40 Bytes는 TCP/IP + 256 Bytes는 데이타)
+.TP
+.B mtu \fI<n>
+MTU [Maximum Transmit Unit] 값을 \fI<n>\fR까지 설정한다. 상대측(the peer)이
+MRU negotiation에 따라 보다 작은 값을 요구하는 한, \fIpppd\fR은 커널
+네트워킹 코드가 PP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\fIn\fR bytes보다 많지 않은
+data packet을 보내도록 요구할 것이다.
+.TP
+.B netmask \fI<n>
+interface netmask를 decimal dot 개념(예를 들어 255.255.255.0)의
+32비트 netmask인 <n>으로 설정한다. 만약 이 옵션이 주어지면, 그 명시된
+값은 기본설정된 netmask와 OR연산된다. 기본설정된 netmask는 협약된
+remote IP address에 기반을 두고 선택된다. 즉 remote IP address의 클래스에
+알맞은 네트워크 mask이며,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있는 시스템안에 비점대점
+네트웍크 인터페이스의 netmask와 OR연산되어진다.
+.TP
+.B passive
+LCP(Link Control Protocol)에서 "passive"옵션이 사용가능하다.
+이 옵션을 사용하면,
+.I pppd
+는 접속을 초기화하려 할 것이고, 만약 상대측으로부터 어떠한 응답이 없으면
+.I pppd
+는 (끝내기를 하는 대신에) 상대측으로부터 유효한 LCP 패킷을 마냥 기다린다.
+.TP
+.B silent
+이 옵션을 가지면
+.I pppd
+는 (구버젼의 \fIpppd\fR에서의 'passive'옵션처럼)
+상대측으로부터 오는 유효한 LCP 패킷이 받아질 때 까지 접속을 초기화하려는
+LCP패킷들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.
+.SH 옵션(OPTIONS)
+.TP
+.I <local_IP_address>\fB:\fI<remote_IP_address>
+Local이나 remote 인터페이스 IP 주소들을 설정한다. 둘 중 하나를 설정하지
+않아도 된다. IP주소는 호스트 이름이나 십진수와 점으로 명시될 수 있다.
+(예를들어 150.234.56.78). 기본 설정된 local 주소는 (
+.B noipdefault
+옵션이 주어지기까지는) 그 시스템의 (첫) IP 주소이다. Remote주소는
+어떤 옵션이라도 명시되지 않는다면 상대측으로부터 얻어질 것이다.
+대체로 이 옵션은 요구사항은 아니다. 만약 local, remote IP 주소가
+이 옵션으로 명시된다면
+.I pppd
+는
+.B ipcp-accept-local,
+.B ipcp-accept-remote
+옵션이 각각 주어지기까지는 IPCP개념상으로 상대측으로부터 다른 값을 갖지 않는다.
+.TP
+.B -ac
+Address/Control압축 협약을 사용 불가하게 한다. (기본적으로 사용
+불가하도록 설정된다. 즉, Address/Control field의 압축이 불가하게
+되어진다.)
+.TP
+.B -all
+LCP와 IPCP를 위한 어떠한 다른 옵션을 사용할 수 없으며, 기본적으로 설정된
+값만을 사용하겠다는 옵션이다.
+.TP
+.B -am
+asyncmap 협약을 불가하게 하고, 기본 설정된 asyncmap을 사용하겠다는
+옵션, 즉 모든 제어 문자들을 제외시킨다.
+.TP
+.B -as \fI<n>
+.B asyncmap \fI<n>
+과 동일한 개념의 옵션이다.
+.TP
+.B bsdcomp \fInr,nt
+상대측에서 packet들을 보낼때 최대 코드 크기인 \fInr\fR bits의 크기로
+BSD-Compression 기술(scheme)을 사용하여 압축해서 보내도록하며, 최대
+코드 크기인 \fInt\fR bits로 보내어지도록 하는 옵션이다.
+만약 \fInt\fR 가 명시되지 않는다면, \fInr\fR값으로 주어진 것이
+\fInt\fR값으로 기본 설정된다. 9에서 15까지의 범위안에 값이
+\fInr\fR과 \fInt\fR의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. 이보다 큰 범위의 값은
+압축율은 좋으나 compression dictionary들을 위해 커널의 메모리를 많이
+사용하게 한다. 상대적으로 \fInr\fR과 \fInt\fR의 값으로 0을 사용하면
+통신상에서 압축이 이뤄지지 않는다.
+.TP
+.B \-bsdcomp
+압축하지 않게 하는 옵션. \fBpppd\fR 는 BSD-Compress 기술로 패킷을 압축하지 않게
+하는 옵션이다.
+.TP
+.B +chap
+상대에게 CHAP [Cryptographic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]
+확인(authentication)를 사용함으로써 보안을 위해 자신임을 확인하도록
+하는 옵션.
+.TP
+.B -chap
+CHAP를 사용하는 확인 절차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옵션.
+.TP
+.B chap-interval \fI<n>
+만약 이옵션이 주어지면,
+.I pppd
+는 <n>초마다 상대측에 CHAP을 이용하는 확인 작업을 재시도하게 하는 옵션.
+.TP
+.B chap-max-challenge \fI<n>
+CAHP 을 시도 전송하는 회수 <n>의 최대수를 제어하는 옵션. (기본설정 10).
+.TP
+.B chap-restart \fI<n>
+CHAP 확인을 매 <n>초마다 다시 시작하게 하는 옵션. ( 먼저의 시도에 대한 time out
+으로 재전송). (기본설정은 3)
+.TP
+.B -crtscts
+serial port상에서 하드웨어 흐름 제어(예 RTS/CTS)를 불가하게 하는 옵션.
+만약 \fBcrtscts\fR, \fB\-crtscts\fR option 어느 것도 주어지지 않는다면,
+serial port에 대한 하드웨어 흐름제어는 바뀌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된다.
+.TP
+.B -d
+debugging level을 높인다(\fBdebug\fR option과 동일하다).
+.TP
+.B debug
+Debugging level을 높인다.(same as \fB\-d\fR).
+만약 이 옵션이 주어진다면, \fIpppd\fR 는 보내고 받은 모든
+제어 패킷의 내용들을 읽을 수 있는 형태로 log된다.
+이 패킷들은 facility \fIdaemon\fR 과 level \fIdebug\fR을 가지는 syslog를
+통해 log되어진다. 이 정보는 /etc/syslog.conf 를 적당히 셋팅함으로 화일로
+저장할 수 있다(syslog.conf(5)를 보라).
+.TP
+.B \-defaultroute
+\fBdefaultroute\fR option을 사용 불가하게 하는 옵션.
+시스템 관리자는 일반 사용자들이 \fIpppd\fR 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설정된
+라우트를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/etc/ppp/options 화일안에 이 옵션을
+둘 수 있다.
+.TP
+.B -detach
+Background process로 fork되지 않게 하는 옵션.(otherwise
+.I pppd
+will do so if a serial device other than its controlling terminal is
+specified).
+.TP
+.B dns-addr \fI<n>
+이 옵션은 도메인 네임 서버를 위해 IP address 혹은 address들을 설정한다.
+이것은 Microsoft Windows client들에 의해 사용되어진다. Primary DNS address
+는 dns-addr옵션의 첫번째 instance에 의해 명시된다. Secondary DNS address는
+두번째 instance에 의해 명시된다.
+.TP
+.B domain \fI<d>
+확인을 목적으로 local host name에 domain name <d>를 덧붙인다. 예를 들어
+만약 gethostname()이 porsche라는 이름을 return했는데 이것이 도메인 네임
+으로 갖추어진 이름이 porsche.Quotron.COM이라면, Quotron.COM을
+도메인 네임으로 하기위해 이 옵션을 사용할 것이다.
+.TP
+.B -ip
+IP address 협약(negotiation)을 사용불가하게 하는 옵션. 이 옵션이
+사용된다면, remote IP address는 options 화일에나 혹은 command
+line상에서 이 옵션을 이용하여 명시해야만 한다.
+.TP
+.B +ip-protocol
+IPCP, IP protocol들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옵션. 이것은 기본 조건이다. 이
+옵션은 기본설정이 -ip-protocol일때만 필요되어지는 옵션이다.
+.TP
+.B -ip-protocol
+IPCP, IP 프로토콜들을 사용불가하게 하는 옵션이다. 이 옵션은 만약에
+IPCP protocol을 사용하는 client가 혼돈되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거나
+IPX protocol을 알아먹는 client를 사용하는 것이라면 이 옵션은 그 때
+사용되어질 것이다.
+.TP
+.B +ipx-protocol
+IPXCP, IPX protocol을 사용하게 하는 옵션. 사용하는 시스템의 커널이 IPX를
+지원한다면 기본 조건이다. 만약 기본설정이 -ipx-protocol로 되어 있다면 이
+옵션이 필요하다. 만약 사용하는 시스템의 kernel이 IPX protocol을 지원하지
+않는다면 이 옵션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.
+.TP
+.B -ipx-protocol
+IPXCP, IPX protocol들을 사용불가하게 하는 옵션. IPXCP protocol을 사용함으로
+혼란이 생기는 것을 원하지 않거나 IP protocol을 알아먹는 client를 사용한다면
+그때 이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.
+.TP
+.B ipcp-accept-local
+이 옵션을 사용하면,
+.I pppd
+는 마치 local IP address로 옵션에 명시된 것처럼 상대측의 정보(idea)를
+시스템의 local IP address로 받아들인다.
+.TP
+.B ipcp-accept-remote
+이 옵션을 사용하면,
+.I pppd
+는 마치 remote IP address로 옵션에 명시된 것처럼 상대측의 정보(idea)를
+시스템의 remote IP address로 받아 들인다.
+.TP
+.B ipcp-max-configure \fI<n>
+IPCP 설정요청(configure-request)을 위한 전송(transmission)들의 최대 회수를
+<n>으로 설정하는 옵션.(default 10)
+.TP
+.B ipcp-max-failure \fI<n>
+configure-Reject들을 보내기 시작하기전에 되돌려 보내진 IPCP configure-NAK들의
+최대회수를 <n>으로 설정한다(default 10).
+.TP
+.B ipcp-max-terminate \fI<n>
+IPCP terminate-request의 전송의 최대회수를 <n>으로 설정(default 3).
+.TP
+.B ipcp-restart \fI<n>
+IPCP의 재시작 간격을 <n>초로 설정한다(재전송을 위한 time out).
+.TP
+.B ipparam \fIstring
+는 여분의 매개변수(parameter)로 ip-up과 ip-down script들을 제공한다.
+만약 이 옵션이 주어지면, 주어진 \fIstring\fR은 6번째 매개변수(parameter)로 그
+script에 주어진다.
+.TP
+.B ipx-network \fI<n>
+IPXCP configure request frame안에 있는 IPX network number를 <n>으로 설정하는
+옵션.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(default)은 없다. 만약 이 옵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
+network number는 상대측으로부터 얻어지게 된다.만약 상대측이 network number를
+가지고 있지 않다면 IPX protocol은 시작되지 않을 것이다. 이 수는 16진수이며,
+0x와 같은 것을 16진수 앞에 사용하지 않고 숫자만 입력한다.
+이것은 \fIipxcp-accept-network\fR option과 관련있다.
+.TP
+.B ipx-node \fI<n>:<m>
+IPX node number를 설정하는 옵션. <n>,<m> 이 두개의 node number는 콜론
+으로 각각 구분된다. 첫번째 숫자<n>은 local node number이고, 두번째 <m>
+은 상대의 node number이다. 각 node number는 16진수 이고, 10개의
+의미있는 숫자의 최대수로 한다
+ipx network상에서 node number들은 유일해야만 한다.
+기본적으로 설정된 값은 없다. 만약 이 옵션이 명시되지 않았다면 상대측
+으로부터 얻어지는 node number를 사용한다. 이 옵션은
+\fIipxcp-accept-local\fR 와 \fIipxcp-accept-remote\fR 옵션들과 관련 있다.
+.TP
+.B ipx-router-name \fI<string>
+라우터의 이름을 설정하는 옵션. 이것은 string이며, information data로
+상대측에 보내어진다.
+.TP
+.B ipx-routing \fI<n>
+라우팅 프로토콜이 이 옵션에 의해 받아지도록 설정하는 옵션.
+\fIipx-routing\fR의 하나 이상의 instance가 명시될 수도 있다.
+'\fInone\fR' option(0)은 ipx-routing의 단지 하나의 instance로 명시될 수 있다.
+그 값이 \fINONE\fR의 값으로 \fI0\fR을, \fI2\fR \fIRIP/SAP\fR의 값으로
+\fI2\fR를, \fINLSP\fR의 값으로 \fI4\fR를 줄 수 있다.
+.TP
+.B ipxcp-accept-local
+ipx-node 옵션에 명시된 node number에 대한 상대측의 NAK를 받아들인다.
+만약 node number가 '0'이 아닌 값으로 명시된다면, 기본 설정된 값대신에
+주어진 값을 사용하게 한다. 만약 이 옵션을 사용한다면 상대측이 node number
+의 entry를 무시(override)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된다.
+.TP
+.B ipxcp-accept-network
+ipx-network option에 명시된 network number를 위해 상대측의 NAK를
+받아들인다. 만약 network number가 '0'이 아닌 값이 명시된다면, 기본
+설정값대신 주어진 값을 사용한다. 만약 이 옵션이 사용되어진다면 상대측이
+node number의 entry를 무시(override)하도록 허용하게 된다.
+.TP
+.B ipxcp-accept-remote
+configure request frame 안에 명시된 상대측의 network number를 사용하는
+옵션. 이 node number는 상대측을 위해 명시되고 이 옵션이 명시되지
+않는다면, 상대측은 사용자가 명시했던 값을 강제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.
+.TP
+.B ipxcp-max-configure \fI<n>
+System이 보낼 IPXCP configure request frame의 최대수를 <n>으로 설정
+하는 옵션. 기본설정 값은 10.
+.TP
+.B ipxcp-max-failure \fI<n>
+Local system이 이 옵션을 거절(reject)하기 전에 local system이 보낼 IPXCP
+NAK frame의 최대수를 설정한다. 기본설정값은 3.
+.TP
+.B ipxcp-max-terminate \fI<n>
+local system이 상대측이 IPXCP terminate requets frame들에 귀기울이지
+않고 있는 것을 알기 전에 IPXCP terminate request frame의 최대수를
+설정한다. 기본 설정값은 3이다.
+.TP
+.B kdebug \fIn
+kernel-level PPPdriver안에 debugging code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옵션.
+변수 \fIn\fR 는 다음의 값들의 합이다. 1은 일반적 debugging message
+를 enabel시키는 값, 2는 받은 패킷의 내용이 인쇄되어지도록 요청하는
+값이고, 4는 전송된 패킷의 내용이 인쇄되도록 요청하는 값이다.
+.TP
+.B lcp-echo-failure \fI<n>
+이 옵션이 주어진다면, 만약 \fIn\fR LCP echo-request들이 유효한
+LCP echo-reply를 받지 않은채 보내어진다면, \fIpppd\fR 는
+상대측이 죽은 것으로 가정할 것이다. 이런일이 발생하면,\fIpppd\fR은
+그 접속을 종료하게 된다. 이 옵션의 사용은 \fIlcp-echo-interval\fR
+parameter의 값으로 '0'이 아닌 값을 필요한다.
+이 옵션은 하드웨어 modem 제어 라인이 불가한 상태 즉, modem의
+접속이 끊겨진 상태와 같이 물리적인 접속이 끊어진 후에 \fIpppd\fR이
+종료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.
+.TP
+.B lcp-echo-interval \fI<n>
+이 옵션이 사용되어진다면, \fIpppd\fR은 상대측에게 매 \fIn\fR초마다
+LCP echo-request frame을 보내게 된다. 리눅스 하에서, echo-request는
+어떤 패킷도 \fIn\fR초동안 도착되어지지 않을때 보내어진다.
+보통 상대측은 echo-reply가 보내질 때 echo-request를 보내야만 한다.
+이 옵션은 상대측이 더이상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
+알게 되도록 \fIlcp-echo-failure\fR option과 함께 사용되어질 수 있다.
+.TP
+.B lcp-max-configure \fI<n>
+LCP configure-request 전송의 최대수를 <n>으로 설정하는 옵션.
+기본설정값은 10.
+.TP
+.B lcp-max-failure \fI<n>
+LCP configure-Reject가 보내지기 시작하기 전에 되돌려보내진
+configure-NAK의 최대수를 <n>으로 설정하는 옵션. 기본설정값은 10.
+.TP
+.B lcp-max-terminate \fI<n>
+LCP terminate-request frame의 전송회수를 최대 <n>까지 설정하는 옵션.
+(기본설정값은 3).
+.TP
+.B lcp-restart \fI<n>
+LCP의 재전송을 위한 time out, restart간격을 <n>초로 설정하는 옵션.
+(기본설정값은 3).
+.TP
+.B local
+modem 제어 라인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, modem을 통하지 않고 사용.
+이 옵션을 이용하면,
+.B pppd
+는 모뎀으로부터의 CD (Carrier Detect) signal의 상태를 무시할 것이고,
+DTR (Data Terminal Ready) signal의 상태를 바꾸지 않을 것이다.
+.TP
+.B login
+PAP를 사용함으로 상대측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의 password database를 사용하고,
+그리고 시스템의 wtmp 화일에 사용자를 기록한다.
+.TP
+.B modem
+Modem control line들을 이용한다. 이 옵션은 기본적으로 설정되며, 이 옵션을
+사용하면,
+.B pppd
+는 serial device를 열때(openning) (connect script가 명시되어지는한)
+승인되어지는 모뎀으로부터 CD(Carrier Detect) 신호를 기다릴 것이다.
+그리고 pppd는 connect script를 실행하기 전에 연결을 종료할때 DTR (Data
+Terminal Ready) signal을 떨어뜨린다.
+Ultrix상에서는 이 옵션이 \fBcrtscts\fR옵션과 마찬가지로
+하드웨어 흐름 제어를 의미한다.
+.TP
+.B -mn
+magic number negotiation을 사용불가하게 만든다. 이 옵션을 사용하면,
+.I pppd
+는 looped-back line을 발견할 수 없다.
+.TP
+.B -mru
+MRU [Maximum Receive Unit] negotiation을 사용불가하게 하는 옵션. 이 옵션을
+사용하면,
+\fIpppd\fR 는 MRU의 기본설정값인 1500바이트를 사용한다.
+.TP
+.B name \fI<n>
+확인을 목적으로 local system의 이름을 <n>으로 설정한다.
+.TP
+.B noipdefault
+local IP address가 명시되어 있지 않을때 기본설정된 것을 사용불가하게 하는
+옵션으로 가능하다면 호스트 이름으로부터 local IP address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.
+이 옵션을 사용하면 상대측은 IP address가 옵션 화일이나 command line상에
+명확히 명시되어지는 한 IPCP 협약(negotiation)동안 local IP address를 주어야 한다.
+.TP
+.B -p
+.B passive
+옵션과 동일하다.
+.TP
+.B +pap
+상대측에게 PAP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을 요구하는 옵션.
+.TP
+.B -pap
+PAP를 사용해서 확인하는 것을 거부하는 옵션.
+.TP
+.B papcrypt
+상대측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/etc/ppp/pap-secrets 화일
+안에 있는 모든 비밀들은 암호화되어짐을 나타내는 옵션이고, pppd는
+/etc/ppp/pap-secrets 화일로부터 비밀에 대한 정체성을 갖는 password를
+받지않아도 된다.
+.TP
+.B pap-max-authreq \fI<n>
+PAP ahthenticate-request 전송회수의 최대수를 <n>으로 설정한다
+(기본설정값 10).
+.TP
+.B pap-restart \fI<n>
+PAP 재시작 간격을 <n>초로 설정한다(기본설정값 3).
+.TP
+.B pap-timeout \fI<n>
+
+Set the maximum time that
+.I pppd
+가 상대측이 <n>초까지 PAP로써 자신을 확인하도록 기다리는 최대 시간을
+설정한다(0을 주면 한정없이 기다린다).
+.TP
+.B -pc
+프로토콜 필드의 compression negotiation을 disable시킨다(이것은
+기본설정되어 있는 옵션이다. 다시말해 protocol field compression disabled이다).
+.TP
+.B persist
+접속이 종결된 후에라도 pppd가 종료되지 않도록한다. 대신에 접속을 재개하기를
+시도한다.
+.TP
+.B pred1comp
+상대측이 지역 시스템에게 예언자(predictor)-1 compression에 의해 압축되어진
+프레임들을 보내는 것을 요구할 것이다. 압축 프로토콜은 (메모리에) 적재되어야만하고
+그렇지 않으면 이 옵션이 무시될 것이다.
+.TP
+.B -pred1comp
+Predictor-1 compression을 허용하지 않는다. 마치 상대측이 이러한 compression
+의 형태를 보내기를 원하고 지원하는 것처럼 Predictor-1 compression이 커널안에
+정의되어진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.
+.TP
+.B proxyarp
+상대측의 IP 주소와 시스템의 이더넷 주소를 가지는
+이 시스템의 ARP[Address Resolution Protocol] 테이블에 entry를 추가시킨다.
+.TP
+.B \-proxyarp
+\fBproxyarp\fR option을 제하는 옵션.
+\fIpppd\fR로 일반유저들이 프록시 ARP의 목록을 만드는 것을 방지하고자
+하는 시스템 관리자는 이 옵션을 /etc/ppp/options 화일에 둠으로서 그렇게
+할수 있다.
+.TP
+.B remotename \fI<n>
+Authentication을 목적으로 리모트 시스템의 가상되어지는 이름을 <n>으로 한다.
+.TP
+.B +ua \fI<p>
+상대측의 요청이 있다면 PAP[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]을 이용하여
+확인하도록 허용하고, 상대측에 보낼 패스워드와 사용자를 위해 화일 <p>를 사용한다.
+그 화일은 원격에서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과 다시 새로운 줄에 입력될 원격접속할
+패스워드를 포함한다. 그러나 이 옵션은 더 이상은 사용가치가 없다.
+.TP
+.B usehostname
+강제로 확인을 할 목적으로 지역 시스템의 이름으로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게 한다.
+(
+.B name
+옵션을 덧 씌우는 옵션).
+.TP
+.B user \fI<u>
+PAP를 사용해서 상대측에 이 기계를 확인시키기 위해 사용할 사용자의 이름을 <u>
+로 설정한다.
+.TP
+.B -vj
+Van Jacobson형의 TCP/IP 헤드 압축 negotiation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옵션
+(기본 설정 값으로 아무런 압축도 사용하지 않는다.)
+.TP
+.B -vjccomp
+Van Jacobsion 형의 TCP/IP header 압축 방법으로 Connection-ID 압축 옵션을
+사용하지 않겠다는 옵션. 이 옵션을 사용하면, \fIpppd\fR 은 Van Jacobson
+방식으로 압축된 TCP/IP header들에서 connection-ID byte를 빠뜨리지 않을 것이고,
+상대측에게 그렇게 하도록 요구하지 않을 것이다.
+.TP
+.B vj-max-slots \fIn
+Van Jacobson TCP/IP header 압축과 풀기 코드에 의해 사용되어질 connection
+슬롯들의 수를 \fIn\fR로 설정한다. 그리고 \fIn\fR은 2와 16을 포함하는 그
+사이의 값이어야 한다.
+.TP
+.B xonxoff
+시리얼 포트 상에서 데이타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XON/XOFF와 같은 소프트웨어로
+흐름 제어를 사용한다. 이 옵션은 현재 Linux system들에만 고안되어져 있다.
+.SH OPTIONS FILES
+옵션들은 명령어 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화일들로부터 획득되어질 수 있다.
+.I pppd
+는 command line에서 옵션을 찾기 전에 /etc/ppp/options와 ~/.ppprc로부터 읽는다.
+하나의 옵션 화일은 단어별로 구문분석되고, white space(즉 스페이스,탭,개행문자)
+들로 구분되어진다. 화이트 스페이스는 인용부호(")안에서 단어들 사이에 화이트 스페이
+스는 구분자(delimeter)로 고려되지 않는다. 백슬래쉬(\\)는 다음에 오는 문자를
+인용한다. 해쉬(#)는 comment의 시작을 나타내고, 이것은 그 라인의 끝에 까지만
+코멘트로 인정한다.
+.SH AUTHENTICATION
+.I pppd
+는 PPP가 접근하는 충분한 접근 제어를 갖는 시스템 운영자들이
+네트워크나 서버의 보안에 위협적이지 않은 합법적인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
+질 수 있는 서버기계를 제공한다. 이것은 부분적으로 /etc/ppp/options 화일에
+의해 제공되어진다. 시스템 운영자가
+.I pppd
+가 실행될 때마다 확인을 요구하도록 하는 옵션들을 둘 수 있는 화일인
+/etc/ppp/options 화일에 의해 제공되어지고, 부분적으로 PAP와 CHAP secret
+화일에 의해 제공되어지며, 여기에는 시스템 운영자가 개개 유저들이 사용할
+수 있는 IP 주소의 집합을 제한할 수 있다.
+.LP
+.I pppd
+의 기본적인 행동은 요청이 있으면 확인을 허용하는 것과 상대측으로부터 확인을
+요구하지 않는 것이다. 그러나
+.I pppd
+는 확인을 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는 비밀을 가지고 있지않다면 특별한
+프로토콜로 자체 확인을 허용하지 않는다.
+.LP
+확인은 비밀에 기반을 두며, 이것은 보안 화일들(/etc/ppp/pap-secrets for PAP,
+/etc/ppp/chap-secrets for CHAP)로부터 선택되어진다.
+두개의 화일모두가 동일한 형식이며, 서버(상대측을 확인하는 서버)와 클라이언트
+의 몇몇 조합들을 위한 비밀들을 저장할 수 있다.
+
+.I pppd
+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 다일수 있고, 다른 프로토콜들이 두가지로 사용되어질수
+있다는 것을 주의하라.
+.LP
+secrets 화일은 options 화일에서 처럼 단어별로 구문분석된다. 비밀은 클라이언트
+이름, 서버 이름,비밀 순으로 된 적어도 세 단어를 포함하는 한 라인으로 명시
+되어진다. 동일한 라인위에 세 단어 다음에 따르는 단어들은 그 클라이언트를
+위한 접근 가능한 IP주소의 목록으로 받아들여진다. 만약 동일한 라인에 단지
+세 단어만 있다면, 이것은 어떤 IP 주소라도 좋다는 것으로 가정된다.
+모든 IP 주소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"-"를 사용한다. 만약 비밀이 '@'로 시작한다면,
+다음에 따라 오는 것이 비밀을 읽기 위한 것으로부터 화일의 이름이 될 수 있는
+것으로 가정된다(If the secret starts
+with an `@', what follows is assumed to be the name of a file from
+which to read the secret).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이름으로서 "*"는 어떤
+이름과도 매치(match)된다. 비밀을 선택할 때, \fIpppd\fR은 최적의 것을 갖는다.
+즉, 가장적은 와일드 카드들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.
+.LP
+이리하여 secrets 화일은 다른 호스트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secrets를
+포함하고 거기다가 다른 호스트에 우리자신의 호스트를 확인시키기 위해 사용되는
+비밀을 추가한다. 비밀에 사용되어지는 것은 host('local name')와 이것의
+상대측('remote name')의 이름에 근거해서 선택되어진다.
+그 local name은 다음과 같은 집합이다.
+.TP 3
+만약 \fBusehostname\fR옵션이 주어진다면, local name은 (도메인이 주어진다면,
+도메인이 추가된 이름을 가지는) 이 기계의 이름이다.
+.TP 3
+그렇지 않고 만약 \fBname\fR 옵션이 주어진다면, 첫번째 \fBname\fR옵션의
+argument를 사용한다.
+.TP 3
+만약 local IP 주소가 호스트 이름과 함께 명시된다면, 그 이름을 사용한다.
+.TP 3
+그렇지 않다면 (호스트 도메인이 주어진다면 도메인과 함께 이 기계의 호스트 이름을
+사용한다.
+.LP
+PAP를 사용해서 자체 시스템을 확인하고자 할 때, 디폴트로 local name인 'user name'
+이 있지만, \fBuser\fR옵션이나 혹은 \fB+us\fR옵션으로 설정한다.
+.LP
+Remote name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.
+.TP 3
+만약 \fBremotename\fR 옵션이 주어지면, 옵션에서 보여진 마지막 \fBremotename\fR의
+argument를 사용한다.
+.TP 3
+만약 그렇지 않고 remote IP address가 호스트 이름으로 명시되어진다면,
+그 호스트 이름 을 사용한다.
+.TP 3
+그렇지 않다면 remote name은 널(null) 스트링("")이다
+.LP
+secrets는 다음과 같이 PAP secrets 화일로부터 선택되어진다.
+.TP 2
+*
+상대측을 확인하기 위해, secret(클라이언트와 함께) == username(PAP
+authenticate-request안에 명시되어진 username), 그리고 server ==
+local name를 찾는다.
+.TP 2
+*
+자체에서 상대측에게 확인하고자 할 때, secret(with client) == our username,
+server == remote name을 찾는다.
+.LP
+PAP로 상대측을 확인할 때, ""의 비밀이 상대측에 의해 제공되어지는 어떤 password와
+매치(match)된다. 만약 password가 secret와 매치되지 않는다면, password는
+crypt()를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다시 secret를 확인하게 된다. 이리하여 상대측을
+확인하기 위한 secrets는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어질 수 있다. 만약
+\fBpapcrypt\fR옵션이 주어진다면, 첫번째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비교는
+보다 나은 보안을 위해 생략되어진다.
+.LP
+만약 \fBlogin\fR옵션이 명시된다면, username과 password는 system password
+database를 상대로 확인되게 된다. 이리하여 시스템 운영자는 pap-secrets 화일을
+어떤 사용자들에게 PPP 접근을 허용하도록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
+있는 IP address의 집합을 제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. 전형적으로 \fBlogin\fR
+옵션을 사용할 때 /etc/ppp/pap-secrets화일 안에 secret는 두곳에서 동일한
+secret를 가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""일 것이다.
+.LP
+Secrets는 다음과 같은 CHAP secrets화일로부터 선택되어진다.
+.TP 2
+*
+상대측을 확인하기 위해, secret(클라이언트와 함께) == name(CHAP-Challenge
+message안에 명시된 name), 그리고 server == local name를 찾는다.
+.TP 2
+*
+상대측에게 우리의 자신을 확인시키기 위해, secret( with client) ==
+local name, 그리고 server == name(CHAP-Challenge message안에 명시된 name)
+을 찾는다.
+.LP
+확인은 IPCP(혹은 어떤 다른 Network Control Protocol)이 시작되기전에 만족할
+만큼 완벽해야 한다. 만약 확인이 실패한다면, \fIpppd\fR은 (LCP를 닫음으로서)
+접속을 종료하게 될 것이다. 만약 IPCP 가 접근할 수 없는 IP주소를 가진 remote
+호스트에 대해서 접근을 시도한다면 IPCP는 닫혀질 것이다. IP packets들은 IPCP
+가 열려있을 때만 보내지고 받아질 수 있다.
+.LP
+어떤 경우에 hosts들 자체에 대해 확인할 수 없는 어떤 호스트들에게 제한된
+IP주소들의 집합 중에 하나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+일반적으로 local host가 확인을 요구할 때이더라도 그렇다.
+만약 상대측이 요청이 있을 때에 자체에 확인을 거절한다면, \fIpppd\fR은 username
+과 password를 위한 공문자열(empty string)을 사용하는 PAP로 확인하는 것고
+동등한 것으로서 그것을 취한다.
+이리하여 pap-secrets화일에 client와 password를 위한 empty string을 명시하는
+한 줄을 추가함으로서 자체를 확인하는 것을 거절하는 호스트들에게 제한된 접근
+을 허용할 수 있다.
+.SH ROUTING
+.LP
+IPCP negotiation이 성공적으로 완성되었을 때
+.I pppd
+는 ppp interface를 위해 local과 remote IP 주소들의 kernel에게 알린다.
+이것은 연결된 끝의 host route를 만들기에 충분하다. 이 연결은 연결상호간에
+IP packets들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.
+다른 기계와의 ㅤ통신은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, ARP(Address Resolution
+Protocol) 테이블에 더 변형을 요구한다.
+어떤 경우들에서는 이것은 \fIrouted\fR 혹은 \fIgated\fR 데몬들의 행동을 통해
+자동적으로 되어질 것이다. 그러나 거의 모든 경우에서 좀더 intervention이
+요구되어진다.
+.LP
+때때로 ppp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Internet에 접속이 가능한 기계의 경우에서
+처럼 remote host를 통해 기본 라우트(경로)를 추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.
+\fBdefaultroute\fR옵션은 \fIpppd\fR이 IPCP가 있을 때 그와 같은 기본
+경로(default route)를 만들게 하는 원인이며, 연결이 종료되면 defualt route를
+지운다.
+.LP
+어떤 경우들에서는 proxy A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예를 들어, LAN에
+연결된 서버 기계상에서 다른 호스트에게 remote호스트와 통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
+서 proxy ARP를 사용하는 경우. \fBproxyarp\fR옵션은 \fIpppd\fR이
+point-to-point나 loopback interface가 아닌 ARP나 broadcast를 지원하는
+innterface를 갖는 remote host와 같은 subnet상에서 nettwork interface를 찾는
+원인이다. 만약 발견한다면, \fIpppd\fR은 ARP의 목록에 remote hosr의 주소와
+발견된 network interface의 하드웨어 주소를 영구히 기록한다.
+.SH EXAMPLES
+.LP
+가장 간단한 경우, 두 기계의 시리얼 포트를 연결할 수 있고, 시리얼 포트 상에
+\fIgetty\fR이 실행되고 있지 않다는 가정하에서
+.IP
+pppd /dev/ttya 9600 passive
+.LP
+와 같이 각각의 기계에 명령을 줄수 있다.
+만약 한 기계가 \fIgetty\fR를 실행중에 있다면, \fIkermit\fR이나 \fItip\fR을
+첫번째 기계에 로그인 하기 위해 다른 기계상에서 실행할 수 있고,
+다음과 같이 명령을 줄 수 있다.
+.IP
+pppd passive
+.LP
+그러면 (접속이 끊겨지지 않은 것을 확신하는) 통신 프로그램에 빠져나오게 되고,
+다음과 같이 명령을 한다.
+.IP
+pppd /dev/ttya 9600
+.LP
+다른 기계에 로그인 하는 작업과 \fIpppd\fR을 시작하는 작업은 \fIchat\fR을 실행
+하면서 \fBconnect\fR 옵션을 사용하여서 자동화할 수 있다.
+예를들어,
+.IP
+pppd /dev/ttya 38400 connect 'chat "" "" "login:" "username"
+"Password:" "password" "% " "exec pppd passive"'
+.LP
+(그러나 위에서 처럼 chat을 실행하는 것은 chat와 pppd의 변수 리스트 안에
+패스워드를 보여진 채로 두게 된다는 것에 주의하라)
+.LP
+여러분의 시리얼 접속이 한 줄의 철사보다 복잡하다면, 여러분들은
+빠져나오기 위해서 조금의 제어 문자들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.
+특히, \fBasyncmap a0000\fR을 사용함으로서 XON(^Q)와 XOFF(^S)로 빠져나오는 것은
+종종 사용되어진다. 만약 path가 telnet을 포함할 경우에는
+(\fBasyncmap 200a0000\fR처럼) ^]로서 빠져 나올 수 있다.
+만약 접속한 경로가 rlogin을 포함한다면, rlogin client를 실행하고 있는 기계에서
+\fBescape ff\fR옵션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. 그러므로 많은 rlogin의 구현은
+투명하지 않다. 즉 많은 rlogin의 구현된 것들이 스트림으로부터 sequence
+[0xff, 0xff, 0x73, 0x73, followed by any 8 bytes]를 제거할 것이다.
+.SH DIAGNOSTICS
+.LP
+메세지들은 LOG_DAEMON을 이용하는 syslog 데몬에게 보내어진다. (이것은 원하는
+장치(facility)로서 정의된 매크로 LOG_PPP를 갖는 \fIpppd\fR을 재컴파일함으로서
+무시되어질 수 있다.) Error과 debug 메세지들을 보기 위해서,
+보내고자 하는 출력 장치나 화일로 메세지가 가도록 /etc/syslog.conf
+화일을 편집할 필요가 있다.
+.LP
+\fBdebug\fR옵션은 모든 LCP, PAP, CHAP 혹은 IPCP 패킷들과 같이 로그인되기
+위해 주고 받는 모든 제어 패킷들의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(cause).
+이런 것은 만약에 PPP negotiation이 성공하지 못했다면 유용할 수 있다(PPP의
+접속이 왜 성공하지 못했는지에 대한 것을 알 수 있다).
+만약 debugging이 컴파일 시간에 있어진다면, \fBdebug\fR옵션은 로그인 되기 위한
+다른 디버깅 메세지에도 영향을 미친다.
+.LP
+디버깅은 SIGUSR1을
+.I pppd
+process에게 보냄으로서 가동되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.
+이 신호는 토글(toggle)로 작동된다.
+.SH FILES
+.TP
+.B /var/run/ppp\fIn\fB.pid \fR(BSD or Linux), \fB/etc/ppp/ppp\fIn\fB.pid \fR(others)
+Process-ID for \fIpppd\fR process on ppp interface unit \fIn\fR.
+.TP
+.B /etc/ppp/ip-up
+IP 패킷들을 주고 받기 위한 접속이 있을 때, 실행되는 스크립트나 프로그램(즉
+IPCP가 수행된다). 이것은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들고 함께 실행된다.
+.IP
+\fIinterface-name tty-device speed local-IP-address
+remote-IP-address\fR
+.IP
+그리고 이것의 기본 입력과 출력(standard I/O) 그리고 \fB/dev/null\fR로 방향이
+재설정된 error 스트림들과 함께 실행된다.
+.IP
+이 프로그램 혹은 스크립트는 pppd와 같은 실질적이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user-ID
+를 갖고 실행된다. 즉, 적어도 영향력이 있는 user-ID와 실질적인 user-ID는
+\fBroot\fR일 것이다. 이런 user-ID는 라우트(route)를 조작할 수 있으며, 특권을
+가지는 데몬들(즉, \fBsendmail\fR)을 실행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다.
+/etc/ppp/ip-up 와 /etc/ppp/ip-down 스크립트들이 여러분의 시스템의 보안과 타협
+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라.
+.TP
+.B /etc/ppp/ip-down
+Link가 IP 패킷들 주고 받는데 더이상 유용하지 않을 때 실행되는 스크립트 혹은
+프로그램이다. 이 스크립트는 /etc/ip-up 스크립트의 효과들을 원상태로 돌려 놓는
+데 사용되어질 수 있다. 이것은 ip-up스크립트에서와 동일한 매개 변수들을 사용함
+원상태로 돌리고, 동일한 보안을 고려하는 적용시켜서 원상대로 돌린다.
+그렇게 함으로 \fIpppd\fR와 같은 영향력있고 실질적인 user-ID로서 실행되어진다.
+.TP
+.B /etc/ppp/ipx-up
+IPX packet들을 주고 받기 위한 접속이 성공적일때 실행되는 프로그램 혹은 스크립트.
+(즉, IPX가 수행된다.) 이것은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와 함께 수행된다.
+.IP
+\fIinterface-name tty-device speed network-number local-IPX-node-address
+remote-IPX-node-address local-IPX-routing-protocol remote-IPX-routing-protocol
+local-IPX-router-name remote-IPX-router-name ipparam pppd-pid\fR
+.IP
+그리고 여기에 standard input, output 그리고 \fB/dev/null\fR로 출력되는
+error stream들과 함께 실행된다.
+.br
+local-IPX-routing-protocol과 remote-IPX-routing-protocol field은 다음 중
+한 부분일 수도 있다.
+.IP
+RIP RIP/SAP가 사용가 사용해야할 것을 가르키는 것.
+.br
+NLSP NLSP가 사용해야할 것을 가르키는 것.
+.br
+RIP NLSP RIP/SAP와 NLSP가 사용해야할 것을 가르키는 것.
+.br
+.IP
+이 프로그램 혹은 스크립트는 \fIpppd\fR과 동일하게 권한과 영향을 미칠 수 있는
+user-ID로 실행되어야 한다. 즉, 적어도 라우트를 조작할 수 있으며, 특별한
+daemon들(예를 들어 \fBripd\fR)을 실행하는 등과 같이 이러한 실질적인 권한과
+영향을 미칠 수 있는 user-ID는 \fBroot\fR일 것이다.
+/etc/ppp/ipx-up와 /etc/ppp/ipx-down script들의 내용들이 여러분의 시스템의
+보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하라.
+.TP
+.B /etc/ppp/ipx-down
+이것은 접속이 더이상 IPX 패킷을 주고 받는 것을 불가하게 할때 실행되어지는
+프로그램/스크립트 이다. 이 스크립트는 /etc/ppp/ipx-up 스크립트의 효과를
+원래대로 할 때 사용되어질 수 있다. 이 ipx-up 스크립트로서 동일한 매개 변수
+를 구동시킬 수 있고, 동일한 보안에 관련된 적용으로서 구동되며, \fIpppd\fR과
+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user-ID들로서 실행될 수 있다.
+.TP
+.B /etc/ppp/pap-secrets
+PAP 확인을 위한 사용자 이름들, 비밀번호들 그리고 IP 주소.
+.TP
+.B /etc/ppp/chap-secrets
+CHAP 확인을 위한 이름들, 비밀들 그리고 IP 주소들.
+.TP
+.B /etc/ppp/options
+사용자의 기본 설정 옵션들 혹은 명령어 라인에서 받아 들여지는 옵션을 읽기 전에를
+읽혀지는
+.I pppd
+위한 시스템의 기본 설정 옵션들.
+.TP
+.B ~/.ppprc
+명령어 라인(command-line)에서 받아 들여지는 옵션들을 읽기 전에 읽혀지는
+사용자 기본 설정 옵션들.
+.TP
+.B /etc/ppp/options.\fIttyname
+명령어 라인(command-line)상에서 읽기 전에 읽혀지는 시리얼 포트가 사용되어지기
+위한 시스템의 기본 설정 옵션들.
+.SH SEE ALSO
+.TP
+.B RFC1144
+Jacobson, V.
+.I Compressing TCP/IP headers for low-speed serial links.
+1990 February.
+.TP
+.B RFC1321
+Rivest, R.
+.I The MD5 Message-Digest Algorithm.
+1992 April.
+.TP
+.B RFC1332
+McGregor, G.
+.I PP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(IPCP).
+1992 May.
+.TP
+.B RFC1334
+Lloyd, B.; Simpson, W.A.
+.I PPP authentication protocols.
+1992 October.
+.TP
+.B RFC1548
+Simpson, W.A.
+.I The Point\-to\-Point Protocol (PPP).
+1993 December.
+.TP
+.B RFC1549
+Simpson, W.A.
+.I PPP in HDLC Framing.
+1993 December
+.SH NOTES
+다음의 신호(signal)들은
+.I pppd
+프로세스에 보내어질 때 아래 명시된 효과들을 가진다.
+.TP
+.B SIGINT, SIGTERM
+이 신호들은 \fBpppd\fR (LCP를 닫음으로서)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고 시리얼
+장치의 설정들을 원상태로 돌리고 끝내도록 한다.
+.TP
+.B SIGHUP
+이 신호는 \fBpppd\fR 이 연결을 종료하도록 하고, 시리얼 장치의 설정들을
+원상태로 돌리고, 시리얼 장치를 닫도록 한다. 만약 \fBpersist\fR 옵션이 설정
+되었다면, \fBpppd\fR은 시리얼 장치를 재개방하고 다른 연결을 시작하려 할
+것이다. 반면 \fBpppd\fR은 끝난다.
+.TP
+.B SIGUSR2
+이 신호는
+.B pppd
+가 압축을 재 교섭하도록 한다. 이것은 압축(compression)이 치명적인 압축풀기의
+error의 결과로 사용 불가하게 된 이후에 압축을 다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.
+BSD Compress scheme에서는 치명적인 압축 풀기 error들은 일반적으로 압축 혹은
+다른 것의 구현에 버그를 가르킨다.
+
+.SH AUTHORS
+Drew Perkins,
+Brad Clements,
+Karl Fox,
+Greg Christy,
+Brad Parker,
+Paul Mackerras (paulus@cs.anu.edu.au).
+
+.SH TRANSLATOR
+Isaac Yi (isaac1@soback.kornet.nm.kr, isaac1@unitel.co.kr, isaac@suro.dongguk.ac.kr)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apm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apm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33e40916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apm.1.po
@@ -0,0 +1,234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서성용 <freepooh@nownuri.ne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02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서성용 <freepooh@nownuri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apm.1:26
+#, no-wrap
+msgid "APM"
+msgstr "APM"
+
+#. type: TH
+#: apm.1:26
+#, no-wrap
+msgid "10 Jan 1996"
+msgstr "1996년 1월 10일"
+
+#. type: TH
+#: apm.1:26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apm.1:27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29
+msgid "apm - query Advanced Power Management (APM) BIOS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apm.1:29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31
+msgid "B<apm [ -vVmsS ]>"
+msgstr "B<apm [ -vVmsS ]>"
+
+#. type: SH
+#: apm.1:3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40
+msgid ""
+"B<apm> reads I</proc/apm> and presents the output in a human-readable format. "
+"Since primarily battery status information is provided, this command is most "
+"useful on laptops with a compliant APM BIOS. B<apm> also allows the machine "
+"to be put into standby or suspend mode."
+msgstr ""
+"B<apm> 은 I</proc/apm> 을 읽어들여서 사람이 읽을수 있는 형식으로 결과를 출력한"
+"다. 주로 배터리의 상황 정보가 제공되므로, 이 명령은 호환성있는 APM 바이오스가 "
+"있는 랩탑 에서 유용하다. B<apm> 은 또한 기계를 대기나 정지 상태로 만들 수 있"
+"다."
+
+#. type: SH
+#: apm.1:40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apm.1:41
+#, no-wrap
+msgid "B<-V, --version>"
+msgstr "B<-V, 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45
+msgid "Print the B<apm> program version and exit immediately."
+msgstr "B<apm> 프로그램의 버전을 출력하고 즉시 종료한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45
+#, no-wrap
+msgid "B<-v, --verbose>"
+msgstr "B<-v, --verbos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48
+msgid ""
+"Print information about the APM BIOS version and Linux APM driver version."
+msgstr ""
+"APM 바이오스의 버전과 리눅스 APM 드라이버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48
+#, no-wrap
+msgid "B<-m, --minutes>"
+msgstr "B<-m, --minute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51
+msgid "Print total minutes remaining instead of using an hh:mm format."
+msgstr "남은 시간은 시간:분 의 형식 대신 분으로 출력한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51
+#, no-wrap
+msgid "B<-s, --suspend>"
+msgstr "B<-s, --suspen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54
+msgid "Put the machine into suspend mode if possible."
+msgstr "가능하다면 기계를 정지 상태로 만든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54
+#, no-wrap
+msgid "B<-S, --standby>"
+msgstr "B<-S, --standby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57
+msgid "Put the machine into standby mode if possible."
+msgstr "가능하다면 기계를 대기 상태로 만든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57
+#, no-wrap
+msgid "B<-i, --ignore>"
+msgstr "B<-i, --ignor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62
+msgid ""
+"Tell the system to ignore system-generated APM suspend and standby events "
+"when on AC power. This may be useful to users who have laptops and want APM "
+"events when on battery power, but not when on AC power."
+msgstr ""
+"시스템이 AC 파워를 이용하고 있을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APM 정지와 대기 이벤트"
+"를 무시하도록 한다. 이것은 랩탑을 가지고 있으며 AC 전력이 아니라 배터리를 이용"
+"할때만 APM 이벤트가 발생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apm.1:62
+#, no-wrap
+msgid "B<-n, --noignore>"
+msgstr "B<-n, --noignor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69
+msgid ""
+"Tell the system B<not> to ignore system-generated APM suspend and standby "
+"events when on AC power. This is the default mode; this option is provided as "
+"a way to undo a prior \"apm -i\" call."
+msgstr ""
+"시스템이 AC파워를 이용하고 있을때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APM 정지와 대기 이벤트"
+"를 무시하지 B<않도록> 한다. 이것이 초기 상태이다. 이 옵션은 proir \"apm -i\" "
+"호출을 되돌리기 위한 방법으로 제공된다."
+
+#. type: SH
+#: apm.1:70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75
+msgid ""
+"This program requires a post-1.3.57 kernel. This program will not work with "
+"older kernels or with the APM patches, since the format for I</proc/apm> has "
+"changed radically."
+msgstr ""
+"이 프로그램은 1.3.57 이후의 커널이 필요하다. 이 프로그램은 더 오래된 커널 이"
+"나 APM 패치로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. 왜나하면 I</proc/apm> 의 형식이 급격"
+"이 바뀌었기 때문이다."
+
+#. type: SH
+#: apm.1:75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77
+msgid "I</proc/apm>"
+msgstr "I</proc/ap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79
+msgid "I<linux/drivers/char/apm_bios.c>"
+msgstr "I<linux/drivers/char/apm_bios.c>"
+
+#. type: SH
+#: apm.1:79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83
+msgid ""
+"This program was written by Rik Faith (faith@cs.unc.edu) and may be freely "
+"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. There is "
+"ABSOLUTELY NO WARRANTY for this program. The current maintainer is Avery "
+"Pennarun (apenwarr@worldvisions.ca)."
+msgstr ""
+"이 프로그램은 Rik Faith (faith@cs.unc.edu) 에 의해 작성되었고 GNU General "
+"Public License 하에서 자유롭게 배포될 수 있다. 이 프로그램에 대해 절대적인 보"
+"장은 없다. 현재의 관리자는 Avery Pennarun (apenwarr@worldvisions.ca) 이다."
+
+#. type: SH
+#: apm.1:83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.1:85
+msgid "B<xapm>(1), B<apmd>(8)"
+msgstr "B<xapm>(1), B<apmd>(8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apmsleep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apmsleep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ae3ca4e8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apmsleep.1.po
@@ -0,0 +1,331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서성용 E<lt>freepooh@nownuri.netE<g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02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서성용 <freepooh@nownuri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apmsleep.1:3
+#, no-wrap
+msgid "RTCSLEEP"
+msgstr "RTCSLEEP"
+
+#. type: TH
+#: apmsleep.1:3
+#, no-wrap
+msgid "sleep in APM suspend/standby mode"
+msgstr ""
+
+#. type: TH
+#: apmsleep.1:3
+#, no-wrap
+msgid "APM"
+msgstr "APM"
+
+#. apmsleep.1
+#. type: SH
+#: apmsleep.1:4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6
+msgid "apmsleep - 정지나 대기 상태로 들어갔다가 나중에 wakeup한다."
+msgstr "apmsleep - 정지나 대기 상태로 들어갔다가 나중에 wakeup한다.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6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11
+msgid ""
+"B<apmsleep> [-sSnwhVd] [--suspend] [--standby] [--noapm] [--wait] [--help] [--"
+"version] [--debug] [+]hh:mm"
+msgstr ""
+"B<apmsleep> [-sSnwhVd] [--suspend] [--standby] [--noapm] [--wait] [--help] [--"
+"version] [--debug] [+]hh:mm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1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20
+msgid ""
+"Some computers, especially laptops, can wake-up from a low-power suspend to "
+"DRAM mode using the Real-time-clock (RTC) chip. B<Apmsleep> can be used to "
+"set the alarm time in the RTC and to go into suspend or standby mode. An "
+"interrupt from the RTC causes the computer to wake-up. The program detects "
+"this event, by waiting for a leap in the kernel time and terminates "
+"successfully. If no time leap occurs within one minute, or something goes "
+"wrong, the exit value will be non-zero."
+msgstr ""
+"어떤 컴퓨터들, 특히 랩탑은 Real-time-clock (RTC) 칩을 이용해서 저전력의 "
+"suspend to DRAM 상태에서 wakeup 할 수 있다. B<Apmsleep> 은 RTC의 알람 시간을 "
+"설정해서 정지나 대기 상태에 들어가도록 하는데 이용 할 수 있다. RTC로부터의 인"
+"터럽트는 컴퓨터가 wakeup 하도록 한다. 이 프로그램은 커널의 시간의 급격한 변화"
+"를 기다림으로써 이 이벤트를 탐지하고 성공적으로 종료한다. 만약 1분 안에 시간"
+"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무엇인가가 잘못된다면, 종료값은 0이 아니게 된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22
+msgid "The wake-up time can be specified in two formats:"
+msgstr "깨어나는 시간은 두가지 형식으로 지정될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26
+#, fuzzy
+msgid ""
+"B<+hh:mm> specifies a relative offset to the current time. The computer will "
+"suspend for exactly hh hours and mm minutes plus a few seconds to wake up. On "
+"some laptops, the timing is not completely accurate so it may be a few "
+"minutes (or more?) late."
+msgstr ""
+"B<+hh:mm> 은 현재의 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지정한다. 컴퓨터는 정확히 hh시"
+"간과 mm분과 몇초 동안 정지했다가 깨어날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34
+#, fuzzy
+msgid ""
+"B<hh:mm> specifies absolute B<local> time in 24-hour format. The time stored "
+"in the RTC is not important. You may change the time zone used, with the TZ "
+"environment variable as usual. Daylight saving time is not obeyed in this "
+"version, but might be in a future release. B<WARNING:> Do not close cover of "
+"laptop after suspending the laptop with apmsleep. Most laptops overheat when "
+"running with closed cover."
+msgstr ""
+"B<hh:mm> 은 절대적인 B<지역> 시간을 24시 형식으로 지정한다. RTC에 저장된 시간"
+"은 중요하지 않다. 보통 TZ 환경 변수를 가지고 시간대(time zone)를 변경할 수 있"
+"다. 일광 절약 시간은 이 버전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나, 차기 버전에서는 지원될 것"
+"이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34
+#, no-wrap
+msgid "B<-V, --version>"
+msgstr "B<-V, 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38
+msgid "Print the B<apmsleep> program version and exit immediately."
+msgstr "B<apmsleep> 프로그램의 버전을 출력하고 즉시 종료한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38
+#, no-wrap
+msgid "B<-s, --suspend>"
+msgstr "B<-s, --suspen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42
+msgid ""
+"Put the machine into suspend mode if possible (default). On my laptop, "
+"suspend mode turns off everything except the memory."
+msgstr ""
+"가능하다면 기계를 정지 상태에 들어가도록 한다.(기본값) 나의 랩탑에서는, 정지 "
+"상태는 메모리를 제외한 모든것을 끈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42
+#, no-wrap
+msgid "B<-S, --standby>"
+msgstr "B<-S, --standby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46
+msgid ""
+"Put the machine into standby mode if possible. On my laptop, standby mode "
+"turns off screen, hard disk, and CPU."
+msgstr ""
+"가능하다면 기계를 대기 상태에 들어가도록 한다. 나의 랩탑에서는, 대기 상태는 화"
+"면, 하드디스크, 그리고 CPU를 끈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46
+#, no-wrap
+msgid "B<-w, --wait>"
+msgstr "B<-w, --wai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49
+msgid "Wait indefinitely for the time leap."
+msgstr "시간의 급격한 변화를 무제한으로 기다린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49
+#, no-wrap
+msgid "B<-n, --noapm>"
+msgstr "B<-n, --noap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53
+msgid ""
+"Do not call apm bios to suspend computer, just set the alarm clock and wait "
+"for time leap indefinitely."
+msgstr ""
+"컴퓨터를 정지하기 위해 /usr/bin/apm을 호출하지 않고, 단지 알람 시간만 설정하"
+"고 시간의 급격한 변화를 기다린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53
+#, no-wrap
+msgid "B<-d, --debug>"
+msgstr "B<-d, --debu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56
+msgid "Print some information about what is going on."
+msgstr "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56
+#, no-wrap
+msgid "REQUIRED SYSTEM CONFIGURATION"
+msgstr "요구되는 시스템 설정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57
+#, no-wrap
+msgid "B<Kernel>"
+msgstr "B<커널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61
+msgid ""
+"The special character device /dev/rtc must exist and the Linux kernel needs "
+"to be compiled with APM and RTC support (CONFIG_RTC, and relevant CONFIG_APM* "
+"options)."
+msgstr ""
+"특별한 문자 장치인 /dev/rtc 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커널이 APM과 RTC 를 지원하"
+"도록 컴파일되어야 한다.(CONFIG_RTC와 relevant CONFIG_APM* 옵션)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61
+#, no-wrap
+msgid "B<BIOS>"
+msgstr "B<바이오스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64
+msgid "The computer must have the 'suspend to RAM' feature enabled in the BIOS."
+msgstr "컴퓨터가 바이오스에서 'suspend to RAM' 기능을 활성화 시켰어야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70
+#, fuzzy
+msgid ""
+"'suspend to Disk' will not work, because the computer is turned off "
+"completely. You do not need to enable the ALARM timer, it will be activated "
+"by apmsleep. On some boards, you can configure which interrupts can be used "
+"to awake from suspend mode. If you have such a board, you might want to make "
+"sure that keyboard (IRQ 1) and RTC (IRQ 8) are among those interrupts. If "
+"your computer does not wake up, try to enable 'modem ring' in the BIOS, even "
+"if you do not have a modem."
+msgstr ""
+"꺼질 것이기 때문이다. 알람 타이머를 활성화시킬 필요는 없고, 그것은 apmsleep에 "
+"의해 활성화된다. 어떤 보드에서는 정지 상태에서 돌아오기 위해 어떤 인터럽트를 "
+"사용할 것인지 설정할수도 있다. 이러한 보드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, 키보드(IRQ 1)"
+"와 RTC(IRQ 8)이 이러한 인터럽트가 되도록 설정하고 싶을수도 있다."
+
+#. type: TP
+#: apmsleep.1:70
+#, no-wrap
+msgid "B<Privileges>"
+msgstr "B<권한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74
+msgid ""
+"The program must be run as root or have the SUID attribute set (see "
+"B<chmod>(1))."
+msgstr ""
+"이 프로그램은 루트로서 실행되거나 SUID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. (참조 "
+"B<chmod>(1)).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75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79
+msgid ""
+"Apmsleep cannot detect which event terminated the suspension. Possible events "
+"are: keyboard or mouse activity, modem ring, alarm from RTC, any other "
+"interrupt. Sometimes, the time leap is not detected properly (causing a wrong "
+"exit value)."
+msgstr ""
+"Apmsleep은 어떤 이벤트가 정지 상태를 종료시켰는지 탐지할 수 없다. 가능성이 있"
+"는 이벤트들은 키보드, 마우스의 움직임, 모뎀의 링, RTC에서의 알람, 어떤 다른 인"
+"터럽트일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82
+msgid ""
+"This program was tested on a Winbook XL laptop (Pentium) only. It may not "
+"function on your hardware."
+msgstr ""
+"이 프로그램은 Winbook XL 랩탑 (펜티엄) 에서만 테스트되었다. 당신의 하드웨어에"
+"서는 동작하지 않을수도 있다.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82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87
+#, fuzzy
+msgid ""
+"Written by Peter Englmaier (ppe@mpe.mpg.de) and may be freely distributed "
+"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. The code is based on Paul "
+"Gortmacher's RTC test/example program. There is ABSOLUTELY NO WARRANTY for "
+"this program. The current maintainer is Peter Englmaier."
+msgstr ""
+"Peter Englmaier (ppe@pa.mpg.de) 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GNU General Public "
+"License하에 자유롭게 배포될 수 있다. 코드는 Paul Gortmacher의 RTC 테스트/예제 "
+"프로그램에 기반을 두고 있다. 이 프로그램에 대해 절대적인 보장은 없다. 현재의 "
+"관리자는 is Peter Englmaier이다.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8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89
+msgid "B<xapm>(1), B<apmd>(8), B<rtc.txt>(Linux Kernel Documentation)"
+msgstr "B<xapm>(1), B<apmd>(8), B<rtc.txt>(Linux Kernel Documentation)"
+
+#. type: SH
+#: apmsleep.1:89
+#, no-wrap
+msgid "역자"
+msgstr "역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pmsleep.1:90
+msgid "서성용 E<lt>freepooh@nownuri.netE<gt>, 2000년 5월 2일"
+msgstr "서성용 E<lt>freepooh@nownuri.netE<gt>, 2000년 5월 2일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builtins2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builtins2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d7832fa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builtins2.1.po
@@ -0,0 +1,75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배성훈 <plodder@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20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배성훈 <plodder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builtins2.1:3
+#, no-wrap
+msgid "BASH_BUILTINS"
+msgstr "BASH_BUILTINS"
+
+#. type: TH
+#: builtins2.1:3
+#, no-wrap
+msgid "1996 March 20"
+msgstr "1996년 3월 20일"
+
+#. type: TH
+#: builtins2.1:3
+#, no-wrap
+msgid "GNU"
+msgstr "GNU"
+
+#. type: SH
+#: builtins2.1:4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builtins2.1:11
+msgid ""
+"bash, :, ., alias, bg, bind, break, builtin, case, cd, command, continue, "
+"declare, dirs, disown, bash-echo, enable, eval, exec, exit, bash-export, fc, "
+"fg, for, getopts, hash, help, history, if, jobs, bash-kill, let, local, "
+"logout, popd, pushd, bash-pwd, read, readonly, return, set, shift, shopt, "
+"source, suspend, bash-test, times, trap, type, typeset, ulimit, umask, "
+"unalias, unset, until, wait, while - bash built-in commands, see B<bash>(1)"
+msgstr ""
+"bash, :, ., alias, bg, bind, break, builtin, case, cd, command, continue, "
+"declare, dirs, disown, bash-echo, enable, eval, exec, exit, bash-export, fc, "
+"fg, for, getopts, hash, help, history, if, jobs, bash-kill, let, local, "
+"logout, popd, pushd, bash-pwd, read, readonly, return, set, shift, shopt, "
+"source, suspend, bash-test, times, trap, type, typeset, ulimit, umask, "
+"unalias, unset, until, wait, while - bash built-in 명령어들, B<bash>(1)를 참고"
+"하라."
+
+#. type: SH
+#: builtins2.1:11
+#, no-wrap
+msgid "BASH BUILTIN COMMANDS"
+msgstr "BASH BUILTIN 명령어들"
+
+#. type: SH
+#: builtins2.1:14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builtins2.1:16
+msgid "B<bash>(1), B<sh>(1)"
+msgstr "B<bash>(1), B<sh>(1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cdparanoia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cdparanoia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b4edd83c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cdparanoia.1.po
@@ -0,0 +1,923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이 효걸 <supr07@kornet.ne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11-0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이 효걸 <supr07@kornet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cdparanoia.1:1
+#, no-wrap
+msgid "CDPARANOIA"
+msgstr "CDPARANOIA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2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5
+msgid ""
+"cdparanoia (Paranoia release III) - an audio CD reading utility which "
+"includes extra data verification features"
+msgstr ""
+"cdparanoia (Paranoia 개정판 III) - 데이터 검증 기능을 가진 오디오 CD 읽기 유틸"
+"리티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2
+#, fuzzy
+msgid "B<cdparanoia> [B<options>B<]> B<span> [B<outfile>B<]>"
+msgstr "B<cdparanoia> [B<options>옵션B<]> B<span 범위> [B<outfile>출력화일B<]>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12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1
+msgid ""
+"B<cdparanoia> retrieves audio tracks from CDDA capable CDROM drives. The data "
+"can be saved to a file or directed to standard output in WAV, AIFF, AIFF-C or "
+"raw format. Most ATAPI, SCSI and several proprietary CDROM drive makes are "
+"supported; B<cdparanoia> can determine if the target drive is CDDA capable."
+msgstr ""
+"B<cdparanoia> 는 CDDA ( 컴팩트 디스크 디지털 오디오 ) 호환 CDROM 드라이브로 부"
+"터 오디오 트랙을 검색합니다. 그리고 그 자료는 화일이나 WAV, AIFF, AIFF-C 또는 "
+"raw 방식의 표준 출력물로 직접적으로 저장될수 있습니다. 대부분의 ATAPI, SCSI "
+"와 여러 상표의 CDROM 드라이브는 이것을 지원할수 있을 것 입니다; B<cdparanoia> "
+"는 드라이브가 CDDA와 호환이 된다면 쓸수 있습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7
+msgid ""
+"In addition to simple reading, B<cdparanoia> adds extra-robust data "
+"verification, synchronization, error handling and scratch reconstruction "
+"capability."
+msgstr ""
+"기본적은 읽기에다가, B<cdparanoia> 는 추가적인 확고한 데이터 검증(data "
+"verification), 동기화(synchronization), 에러 취급(error handling)과 긁힘 보완 "
+"호환(scratch reconstruction capability)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27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9
+#, no-wrap
+msgid "B<-v --verbose>"
+msgstr "B<-v --verbos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3
+msgid ""
+"Be absurdly verbose about the autosensing and reading process. Good for setup "
+"and debugging."
+msgstr ""
+"자동 반응과 읽기 상황에 대해 자세히 보여줍니다. 셋업과 디버깅에 좋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4
+#, no-wrap
+msgid "B<-q --quiet>"
+msgstr "B<-q --quie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7
+msgid ""
+"Do not print any progress or error information during the reading process."
+msgstr "읽기 상황에서 어떠한 과정이나 에러 정보를 표시하지 않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8
+#, no-wrap
+msgid "B<-e --stderr-progress>"
+msgstr "B<-e --stderr-progres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42
+msgid "Force output of progress information to stderr (for wrapper scripts)."
+msgstr ""
+"스크립트에 표시하기 위해(for wrapper scripts) 진행 정보를 stderr에 강제로 출력"
+"시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43
+#, no-wrap
+msgid "B<-V --version>"
+msgstr "B<-V 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46
+msgid "Print the program version and quit."
+msgstr "이 프로그램의 버젼을 출력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47
+#, no-wrap
+msgid "B<-Q --query>"
+msgstr "B<-Q --query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51
+msgid ""
+"Perform CDROM drive autosense, query and print the CDROM table of contents, "
+"then quit."
+msgstr ""
+"CDROM 드라이브 자동반응(autosense)를 수행하고, CDROM의 정보를 얻어내 출력한 "
+"후 빠져나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52
+#, no-wrap
+msgid "B<-s --search-for-drive>"
+msgstr "B<-s --search-for-driv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55
+msgid ""
+"Forces a complete search for a cdrom drive, even if the I</dev/cdrom> link "
+"exists."
+msgstr "I</dev/cdrom> 링크가 존재하더라도 CDROM 드라이브를 찾도록 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56
+#, no-wrap
+msgid "B<-h --help>"
+msgstr "B<-h --hel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60
+msgid "Print a brief synopsis of B<cdparanoia> usage and options."
+msgstr "B<cdparanoia> 의 사용법과 옵션을 출력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61
+#, no-wrap
+msgid "B<-p --output-raw>"
+msgstr "B<-p --output-raw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70
+msgid ""
+"Output headerless data as raw 16 bit PCM data with interleaved samples in "
+"host byte order. To force little or big endian byte order, use B<-r> or B<-R> "
+"as described below."
+msgstr ""
+"호스트 바이트 정렬(host byte order)상태로 인터리빙된 샘플을 헤더가 없는 raw "
+"16 bit PCM 데이터로 출력합니다. 작거나(little) 혹은 큰(big) 엔디언 바이트 정"
+"렬(endian byte order)를 사용하려면 아래 설명과 같이 B<-r> 혹은 B<-R> 옵션을 사"
+"용하시길 바랍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71
+#, no-wrap
+msgid "B<-r --output-raw-little-endian>"
+msgstr "B<-r --output-raw-little-endia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75
+msgid ""
+"Output headerless data as raw 16 bit PCM data with interleaved samples in LSB "
+"first byte order."
+msgstr ""
+"LSB 퍼스트 바이트 정렬(first byte order)상태로 인터리빙된 샘플을 헤더가 없는 "
+"raw 16 bit PCM 데이터로 출력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76
+#, no-wrap
+msgid "B<-R --output-raw-big-endian>"
+msgstr "B<-R --output-raw-big-endia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80
+msgid ""
+"Output headerless data as raw 16 bit PCM data with interleaved samples in MSB "
+"first byte order."
+msgstr ""
+"MSB 퍼스트 바이트 정렬(first byte order)상태로 인터리빙된 샘플을 헤더가 없는 "
+"raw 16 bit PCM 데이터로 출력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81
+#, no-wrap
+msgid "B<-w --output-wav>"
+msgstr "B<-w --output-wa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85
+msgid ""
+"Output data in Micro$oft RIFF WAV format (note that WAV data is always LSB "
+"first byte order)."
+msgstr ""
+"마이크로소프트(Micro$oft) RIFF WAV 형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.(WAV 데이터는 "
+"항상 LSB 퍼스트 바이트 정렬(first byte order) 입니다.)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86
+#, no-wrap
+msgid "B<-f --output-aiff>"
+msgstr "B<-f --output-aiff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90
+msgid ""
+"Output data in Apple AIFF format (note that AIFC data is always in MSB first "
+"byte order)."
+msgstr ""
+"애플(Apple) AIFF 형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. (AIFF 데이터는 항상 MSB 퍼스트 "
+"바이트 정렬(first byte order) 입니다.)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91
+#, no-wrap
+msgid "B<-a --output-aifc>"
+msgstr "B<-a --output-aif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96
+msgid ""
+"Output data in uncompressed Apple AIFF-C format (note that AIFF-C data is "
+"always in MSB first byte order)."
+msgstr ""
+"압축되지 않은(uncompressed) 애플(apple) AIFF-C 형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합니다. "
+"(AIFF-C 데이터는 항상 MSB 퍼스트 바이트 정렬(first byte order) 입니다.)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97
+#, no-wrap
+msgid "B<-B --batch >"
+msgstr "B<-B --batch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01
+msgid ""
+"Cdda2wav-style batch output flag; cdparanoia will split the output into "
+"multiple files at track boundaries. Output file names are prepended with "
+"'track#.'"
+msgstr ""
+"Cdda2wav 형식으로 일괄적으로(batch) 출력하는 옵션입니다; cdparanoia는 트랙에 "
+"따라 출력물을 여러 화일로 나눌 것 입니다. 출력 화일 이름은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03
+#, no-wrap
+msgid "B<-c --force-cdrom-little-endian>"
+msgstr "B<-c --force-cdrom-little-endia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10
+msgid ""
+"Some CDROM drives misreport their endianness (or do not report it at all); "
+"it's possible that cdparanoia will guess wrong. Use B<-c> to force cdparanoia "
+"to treat the drive as a little endian device."
+msgstr ""
+"어떤 CDROM 드라이브는 endian을 잘못 보고하거나 어떤 것도 보고하지 않습니다; 이"
+"것은 cdparanoia 가 못 알아맞힐수 있습니다. B<-c> 를 사용해서 cdparanoia 가 드"
+"라이브를 little endian 장치로 취급하게 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11
+#, no-wrap
+msgid "B<-C --force-cdrom-big-endian>"
+msgstr "B<-C --force-cdrom-big-endia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14
+#, fuzzy
+msgid "As above but force cdparanoia to treat the drive as a big endian device."
+msgstr "위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브를 big endian 장치로 취급하게 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15
+#, no-wrap
+msgid "B<-n --force-default-sectors >I<n>"
+msgstr "B<-n --force-default-sectors >I<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25
+msgid ""
+"Force the interface backend to do atomic reads of n sectors per read. This "
+"number can be misleading; the kernel will often split read requests into "
+"multiple atomic reads (the automated Paranoia code is aware of this) or allow "
+"reads only wihin a restricted size range. B<This option should generally not "
+"be used.>"
+msgstr ""
+"인터페이스 후위(backend)를 B<n> 섹터만큼 원자(atomic)를 읽게 하도록 합니다. "
+"이 수치는 잘못 이끌어질수 있습니다; 커널은 대개 읽기 요청을 여러개의 원자"
+"(multiple atomic) 읽기로 나누거나( Paranoia 코느는 이것을 자동적으로 인식합니"
+"다) 한정된 크기의 범위에서만 읽도록 허가하고 있습니다. B<이 옵션은 일반적으"
+"로 사용되어서는 않됩니다.>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26
+#, no-wrap
+msgid "B<-d --force-cdrom-device >I<device>"
+msgstr "B<-d --force-cdrom-device >I<devic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33
+msgid ""
+"Force the interface backend to read from I<device> rather than the first "
+"readable CDROM drive it finds. This can be used to specify devices of any "
+"valid interface type (ATAPI, SCSI or proprietary)."
+msgstr ""
+"인터페이스 후위(backend)를 처음 발견된 읽을 수 있는 CDROM 드라이브 보다 "
+"I<device> 에서 읽도록 합니다. 이 옵션은 어떤 여러가지 인터페이스(ATAPI, SCSI "
+"혹은 다른 제품)의 여러 장치에서 쓰일수 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34
+#, no-wrap
+msgid "B<-g --force-generic-device >I<device>"
+msgstr "B<-g --force-generic-device >I<devic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41
+#, fuzzy
+msgid ""
+"This option forces use of the old 'generic scsi' (sg) kernel interface with "
+"the specified generic scsi device. B<-g> cannot be used with B<-k>. B<-g> may "
+"be used with B<-d> to explicitly set both the SCSI cdrom and generic (sg) "
+"devices seperately. This option is only useful on obsolete SCSI setups and "
+"when using the generic scsi (sg) driver."
+msgstr ""
+"이 옵션은 B<-d> 와 같이 SCSI CDROM 과 일반적인 장치를 구분적으로 확실한 제어"
+"를 원할 때 사용합니다. 이 옵션은 비표준(non-standard) SCSI 셋업에서만 유용하"
+"게 쓰일 것 입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42
+#, no-wrap
+msgid "B<-S --force-read-speed >I<number>"
+msgstr "B<-S --force-read-speed >I<numbe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47
+msgid ""
+"Use this option explicitly to set the read rate of the CD drive (where "
+"supported). This can reduce underruns on machines with slow disks, or which "
+"are low on memory."
+msgstr ""
+"이 옵션은 CD 드라이브의 읽기 속도를 확정할 수 있습니다.(지원되는 CD 드라이브"
+"에 한 합니다). 이 옵션은 메모리 자원이 적거나 느린 디스크의 컴퓨터가 부족량"
+"(underruns)을 줄일 수 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48
+#, no-wrap
+msgid "B<-t --toc-offset >I<number>"
+msgstr "B<-t --toc-offset >I<numbe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54
+msgid ""
+"Use this option to force the entire disc LBA addressing to shift by the given "
+"amount; the value is added to the beginning offsets in the TOC. This can be "
+"used to shift track boundaries for the whole disc manually on sector "
+"granularity. The next option does something similar..."
+msgstr ""
+"이 옵션은 주어진 량에 따라 전체 디스크의 LBA 주소 지정을 옮기기 위해 사용합니"
+"다;이 수치는 TOC 에서 처음 오프셋에 추가되어 집니다. 이것은 적은 섹터상의 전"
+"체 디스크를 수동적으로 트랙 구분을 옮길 수 있습니다. 다음 옵션도 약간 비슷합"
+"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55
+#, no-wrap
+msgid "B<-T --toc-bias >"
+msgstr "B<-T --toc-bias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63
+#, fuzzy
+msgid ""
+"Some drives (usually random Toshibas) report the actual track beginning "
+"offset values in the TOC, but then treat the beginning of track 1 index 1 as "
+"sector 0 for all read operations. This results in every track seeming to "
+"start too late (losing a bit of the beginning and catching a bit of the next "
+"track). B<-T> accounts for this behavior. Note that this option will cause "
+"cdparanoia to attempt to read sectors before or past the known user data area "
+"of the disc, resulting in read errors at disc edges on most drives and "
+"possibly even hard lockups on some buggy hardware."
+msgstr ""
+"어떤 드라이브는 (대개 Toshibas 제품중 무작위로) TOC에서 실제 트랙 시작 오프셋 "
+"값으로 보고 되지만, 모든 읽기 동작에서 트랙 1 인덱스 1의 시작이 섹터 0으로 취"
+"급됩니다. 이 결과는 모든 트랙의 시작이 너무 늦어지는 것 같습니다.( 시작 bit "
+"를 잃고, 다음 트랙의 bit 를 가져옵니다 ). B<-T> 옵션이 이런 것을 없앨 수 있습"
+"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64
+#, no-wrap
+msgid "B<-Z --disable-paranoia>"
+msgstr "B<-Z --disable-paranoi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72
+msgid ""
+"Disable all data verification and correction features. When using B<-Z>, "
+"B<cdparanoia> reads data exactly as would B<cdda2wav> with an overlap setting "
+"of zero. This option implies that B<-Y> is active."
+msgstr ""
+"B<모든> 데이터 검증과 보정 기능을 끕니다(Disable). B<-Z> 옵션을 사용할 때, "
+"B<cdparanoia>는 데이터를 B<cdda2wav> 에서 병행(overlap) 셋팅 없이 사용하는 것"
+"과 같습니다. 이 옵션은 B<-Y> 옵션이 동작할 때 포함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73
+#, no-wrap
+msgid "B<-Y --disable-extra-paranoia>"
+msgstr "B<-Y --disable-extra-paranoi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78
+msgid ""
+"Disables intra-read data verification; only overlap checking at read "
+"boundaries is performed. It can wedge if errors occur in the attempted "
+"overlap area. Not recommended."
+msgstr ""
+"내부 읽기 데이터 검증을 끕니다(disable); 범위 읽기(read boundaries)때 단지 병"
+"행 검사(overlap checking)만이 수행됩니다.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79
+#, no-wrap
+msgid "B<-X --abort-on-skip>"
+msgstr "B<-X --abort-on-ski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84
+msgid ""
+"If the read skips due to imperfect data, a scratch, whatever, abort reading "
+"this track. If output is to a file, delete the partially completed file."
+msgstr ""
+"불완전한 데이터나, 긁힘, 어떤 것 이던지 읽기 스킵(read skip)이 생긴다면 이 트"
+"랙을 읽는 것을 중지합니다. 만약 출력물이 화일이라면, 부분적으로 생긴 이 화일"
+"을 삭제 합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185
+#, no-wrap
+msgid "Output Smilies"
+msgstr "출력 상태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86
+#, no-wrap
+msgid "B<:-)>"
+msgstr "B<:-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90
+msgid "Normal operation, low/no jitter"
+msgstr "정상 동작입니다. 지터(jitter)가 낮거나 없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90
+#, no-wrap
+msgid "B<:-|>"
+msgstr "B<:-|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94
+msgid "Normal operation, considerable jitter"
+msgstr "정상 동작입니다. 지터(jitter)가 적지 않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94
+#, no-wrap
+msgid "B<:-/>"
+msgstr "B<:-/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198
+msgid "Read drift"
+msgstr "읽기 편류(Read drift)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198
+#, no-wrap
+msgid "B<:-P>"
+msgstr "B<:-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02
+msgid "Unreported loss of streaming in atomic read operation"
+msgstr "원자(atomic) 읽기 동작에서 보고되지 않은 스트림의 손실이 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02
+#, no-wrap
+msgid "B<8-|>"
+msgstr "B<8-|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06
+msgid "Finding read problems at same point during reread; hard to correct"
+msgstr "같은 장소를 다시 읽는데 읽기 문제가 발생했습니다;수정하기 어렵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06
+#, no-wrap
+msgid "B<:-0>"
+msgstr "B<:-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10
+msgid "SCSI/ATAPI transport error"
+msgstr "SCSI/ATAPI 전송 에러입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10
+#, no-wrap
+msgid "B<:-(>"
+msgstr "B<:-(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14
+msgid "Scratch detected"
+msgstr "긁힌 곳이 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14
+#, no-wrap
+msgid "B<;-(>"
+msgstr "B<;-(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18
+msgid "Gave up trying to perform a correction"
+msgstr "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기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18
+#, no-wrap
+msgid "B<8-X>"
+msgstr "B<8-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22
+msgid "Aborted read due to known, uncorrectable error"
+msgstr "알려진 이유로 중지되었습니다, 복원할수 없는 에러입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22
+#, no-wrap
+msgid "B<:^D>"
+msgstr "B<:^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26
+msgid "Finished extracting"
+msgstr "추출이 끝났습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227
+#, no-wrap
+msgid "Progress Bar Symbols"
+msgstr "진행 과정 표시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28
+#, no-wrap
+msgid "B<E<lt>spaceE<gt>>"
+msgstr "B<E<lt>space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32
+msgid "No corrections needed"
+msgstr "에러 보정이 필요없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32
+#, no-wrap
+msgid "B<->"
+msgstr "B<-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36
+msgid "Jitter correction required"
+msgstr "지터 보정이 필요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36
+#, no-wrap
+msgid "B<+>"
+msgstr "B<+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40
+msgid "Unreported loss of streaming/other error in read"
+msgstr "보고되지 않은 스트림의 손실이나 읽기에서 다른 에러가 발생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40
+#, no-wrap
+msgid "B<!>"
+msgstr "B<!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46
+msgid ""
+"Errors found after stage 1 correction; the drive is making the same error "
+"through multiple re-reads, and B<cdparanoia> is having trouble detecting them."
+msgstr ""
+"보정 1 단계 후 에러가 발견되었습니다; 드라이브는 다수의 재읽기 (multiple re-"
+"reads)를 통해 같은 에러가 발생했으며, B<cdparanoia>는 그 것을 감지하는데 문제"
+"가 발생했습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46
+#, no-wrap
+msgid "B<e>"
+msgstr "B<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50
+msgid "SCSI/ATAPI transport error (corrected)"
+msgstr "SCSI/ATAPI 전송 에러입니다. (수정되었습니다)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50
+#, no-wrap
+msgid "B<V>"
+msgstr "B<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54
+msgid "Uncorrected error/skip"
+msgstr "보정되지 않은 에러/스킵 입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255
+#, no-wrap
+msgid "Span Argument"
+msgstr "범위 인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61
+msgid ""
+"The span argument specifies which track, tracks or subsections of tracks to "
+"read. This argument is required. B<NOTE:> Unless the span is a simple number, "
+"it's generally a good idea to quote the span argument to protect it from the "
+"shell."
+msgstr ""
+"범위 인자는 특별히 읽을 트랙과 트랙의 일부 입니다. 이 인자는 필요합니다. B<알"
+"아둡시다:> 범위가 간단한 숫자가 아닐경우, 쉘(shell)로 부터 인식하는 것을 막기"
+"위해 인용부호(\"\")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65
+msgid ""
+"The span argument may be a simple track number or an offset/span "
+"specification. The syntax of an offset/span takes the rough form:"
+msgstr ""
+"범위 인자는 아마도 단순한 트랙 번호나 옵셋/범위(offset/span)의 지정 일 것 입니"
+"다. 옵셋/범위(offset/span)의 문법은 다음의 대략적 형식을 갖습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67
+msgid "1[ww:xx:yy.zz]-2[aa:bb:cc.dd]"
+msgstr "1[ww:xx:yy.zz]-2[aa:bb:cc.dd]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73
+msgid ""
+"Here, 1 and 2 are track numbers; the numbers in brackets provide a finer "
+"grained offset within a particular track. [aa:bb:cc.dd] is in hours/minutes/"
+"seconds/sectors format. Zero fields need not be specified: [::20], [:20], "
+"[20], [20.], etc, would be interpreted as twenty seconds, [10:] would be ten "
+"minutes, [.30] would be thirty sectors (75 sectors per second)."
+msgstr ""
+"여기, 1번과 2번 트랙; 괄호 사이의 숫자는 각각 트랙를 미세하게 조정합니다. [aa:"
+"bb:cc.dd] 는 각각 시간/분/초/섹터 의 형식입니다. 0은 부분은 쓸 필요가 없습니"
+"다: [::20], [:20], [20], [20.], 등등, [20.]은 20초로 해석될 것이고, [10:] 은 "
+"10분으로, [.30] 은 30 섹터로 해석될 것 입니다. ( 1초는 75 섹터 입니다)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78
+msgid ""
+"When only a single offset is supplied, it is interpreted as a starting offset "
+"and ripping will continue to the end of the track. If a single offset is "
+"preceeded or followed by a hyphen, the implicit missing offset is taken to be "
+"the start or end of the disc, respectively. Thus:"
+msgstr ""
+"하나의 옵셋만이 주어졌을때, 그것은 시작 옵셋으로 인식하고 그 옵셋부터 그 트랙"
+"의 마지막 까지 추출합니다. 만일 하나의 옵셋이 하이픈(hyphen = -) 과 함께 주어 "
+"진다면 무조건 누락된 옵셋은 각각 디스크의 시작이나 끝으로 간주됩니다. 그에 따"
+"라: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79
+#, no-wrap
+msgid "B<1:[20.35]>"
+msgstr "B<1:[20.35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82
+msgid ""
+"Specifies ripping from track 1, second 20, sector 35 to the end of track 1."
+msgstr "트랙 1의 20초 35섹터부터 트랙1이 끝날때까지 추출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82
+#, no-wrap
+msgid "B<1:[20.35]->"
+msgstr "B<1:[20.35]-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85
+msgid "Specifies ripping from 1[20.35] to the end of the disc"
+msgstr "트랙 1의 20초 35섹터부터 디스크의 끝까지 추출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85
+#, no-wrap
+msgid "B<-2>"
+msgstr "B<-2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88
+msgid ""
+"Specifies ripp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c up to (and including) track 2"
+msgstr "디스크의 시작부터 트랙 2까지 추출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88
+#, no-wrap
+msgid "B<-2:[30.35]>"
+msgstr "B<-2:[30.35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91
+msgid "Specifies ripp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c up to 2:[30.35]"
+msgstr "디스크의 시작부터 트랙 2의 30초 35섹터까지 추출합니다.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291
+#, no-wrap
+msgid "B<2-4>"
+msgstr "B<2-4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94
+msgid "Specifies ripping from the beginning of track 2 to the end of track 4."
+msgstr "트랙 2부터 트랙 4까지 추출합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297
+msgid ""
+"Again, don't forget to protect square brackets and preceeding hyphens from "
+"the shell."
+msgstr ""
+"다시 한번 말하지만, 괄호와 하이픈을 쉘(shell)로 부터 해석 하지 않도록 인용부호"
+"(\"\")를 쓰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298
+#, fuzzy
+msgid "EXAMPLES"
+msgstr "예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01
+msgid "A few examples, protected from the shell:"
+msgstr "여기 약간의 예제가 있습니다, 쉘(shell)로 부터의 해석을 막았습니다: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01
+#, no-wrap
+msgid "Query only with exhaustive search for a drive and full reporting of autosense:"
+msgstr "드라이브를 남김없이 검색하고 자동반응(autosense)으로 부터의 모든 것을 보고합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06
+#, no-wrap
+msgid " cdparanoia -vsQ\n"
+msgstr " cdparanoia -vsQ\n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06
+#, no-wrap
+msgid "Extract an entire disc, putting each track in a seperate file:"
+msgstr "디스크 전체를 추출하고, 트랙별로 각각 분리된 화일을 만듭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10
+#, no-wrap
+msgid " cdparanoia -B\n"
+msgstr " cdparanoia -B\n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10
+#, no-wrap
+msgid "Extract from track 1, time 0:30.12 to 1:10.00:"
+msgstr "트랙 1의 30초 12섹터 부터 트랙 1의 1분 10초 00섹터까지 추출합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14
+#, no-wrap
+msgid " cdparanoia \"1[:30.12]-1[1:10]\"\n"
+msgstr " cdparanoia \"1[:30.12]-1[1:10]\"\n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14
+#, no-wrap
+msgid "Extract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c up to track 3:"
+msgstr "디스크의 시작부터 트랙 3까지 추출합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18
+#, no-wrap
+msgid " cdparanoia -- \"-3\"\n"
+msgstr " cdparanoia -- \"-3\"\n"
+
+#. type: TP
+#: cdparanoia.1:318
+#, no-wrap
+msgid "The \"--\" above is to distinguish \"-3\" from an option flag."
+msgstr "위에 \"--\" 은 \"-3\" 옵션으로 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 입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320
+#, no-wrap
+msgid "OUTPUT"
+msgstr "출력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32
+#, no-wrap
+msgid "The output file argument is optional; if it is not specified, B<cdparanoia> will output samples to one of I<cdda.wav>, I<cdda.aifc>, or I<cdda.raw> depending on whether B<-w>, B<-a>, B<-r> or B<-R> is used (B<-w> is the implicit default). The output file argument of B<-> specifies standard output; all data formats may be piped."
+msgstr "출력물의 인자는 선택적입니다; 만약 특별히 설정하지 않는다면 B<cdparanoia>는 출력물를 B<-w>, B<-a>, B<-r> 또는 B<-R> 옵션의 사용에 따라 I<cdda.wav>, I<cdda.aifc>, 또는 I<cdda.raw> 로 할 것 입니다. (B<-w> 옵션이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.) 출력물 인자중 B<-> 은 특별히 기본 출력입니다; 모든 데이터 형식으로 파이프(pipe) 될 수 있습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333
+#, no-wrap
+msgid "ACKNOWLEDGEMENTS"
+msgstr "감사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37
+msgid ""
+"Cdparanoia sprang from and once drew heavily from the interface of Heiko "
+"Eissfeldt's (E<lt>heiko@colossus.escape.deE<gt>) 'cdda2wav' package. "
+"Cdparanoia would not have happened without it."
+msgstr ""
+"Cdparanoia는 Heiko Eissfeldt (E<lt>heiko@colossus.escape.deE<gt>)의 "
+"'cdda2wav'의 패키지에서 나왔습니다. 'cdda2wav'가 없었다면 Cdparanoia 도 없었"
+"을 것 입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40
+msgid ""
+"Joerg Schilling has also contributed SCSI expertise through his generic SCSI "
+"transport library."
+msgstr ""
+"또한 Joerg Schilling 이 그의 SCSI 전송 라이브러리로 부터 SCSI 기술을 제공하였"
+"습니다."
+
+#. type: SH
+#: cdparanoia.1:341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43
+msgid "Monty E<lt>monty@xiph.orgE<gt>"
+msgstr "Monty E<lt>monty@xiph.orgE<g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45
+msgid "Cdparanoia's homepage may be found at:"
+msgstr "Cdparanoia의 홈페이지 입니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dparanoia.1:348
+msgid "http://www.xiph.org/paranoia"
+msgstr "http://www.xiph.org/paranoia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chfn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chfn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52e9383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chfn.1.po
@@ -0,0 +1,278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, 2002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3-05-22 17:53+0200\n"
+"PO-Revision-Date: 2002-07-1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CHFN"
+msgstr "CHFN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2022-05-11"
+msgstr "2022년 5월 11일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util-linux 2.38.1"
+msgstr "util-linux 2.38.1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User Commands"
+msgstr "사용자 명령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chfn - change your finger information"
+msgstr "chfn - 사용자 finger 정보를 바꾼다.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요약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fn> [B<-f> I<full-name>] [B<-o> I<office>] [B<-p> I<office-phone>] [B<-"
+"h> I<home-phone>] [B<-u>] [B<-v>] [I<username>]"
+msgstr ""
+"B<chfn> [B<-f> I<성명>] [B<-o> I<회사>] [B<-p> I<전화>] [B<-h> I<전화>] [B<-"
+"u>] [B<-v>] [I<사용자이름>]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fn> is used to change your finger information. This information is "
+"stored in the I</etc/passwd> file, and is displayed by the B<finger> "
+"program. The Linux B<finger> command will display four pieces of information "
+"that can be changed by B<chfn>: your real name, your work room and phone, "
+"and your home phone."
+msgstr ""
+"B<chfn> 명령은 사용자의 finger 정보를 바꾼다. 이것은 I</etc/passwd> 파일의 정"
+"보를 바꾼다. B<finger> 명령이 사용될 때 바로 이 파일을 참조하기 때문이다. "
+"B<finger> 명령은 B<chfn> 명령에서 바뀐 실재이름, 직장, 직장전화, 집전화번호"
+"를 보여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Any of the four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specified on the command line. "
+"If no information is given on the command line, B<chfn> enters interactive "
+"mod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In interactive mode, B<chfn> will prompt for each field. At a prompt, you "
+"can enter the new information, or just press return to leave the field "
+"unchanged. Enter the keyword \"none\" to make the field blank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fn> supports non-local entries (kerberos, LDAP, etc.) if linked with "
+"libuser, otherwise use B<ypchfn>(1), B<lchfn>(1) or any other implementation "
+"for non-local entri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f>, B<--full-name> I<full-name>"
+msgstr "B<-f>, B<--full-name> I<성명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Specify your real name."
+msgstr "사용자 실재 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o>, B<--office> I<office>"
+msgstr "B<-o>, B<--office> I<회사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Specify your office room number."
+msgstr "사용자 직장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p>, B<--office-phone> I<office-phone>"
+msgstr "B<-p>, B<--office-phone> I<전화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Specify your office phone number."
+msgstr "사용자 직장 전화번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h>, B<--home-phone> I<home-phone>"
+msgstr "B<-h>, B<--home-phone> I<전화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Specify your home phone number."
+msgstr "사용자 집 전화 번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h>, B<--help>"
+msgstr "B<-h>, B<--hel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Display help text and exit."
+msgstr "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V>, B<--version>"
+msgstr "B<-V>, B<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Print version and exit."
+msgstr "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CONFIG FILE ITEM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fn> reads the I</etc/login.defs> configuration file (see B<login."
+"defs>(5)). Note that the configuration file could be distributed with "
+"another package (e.g., shadow-utils).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tems are "
+"relevant for B<chfn>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CHFN_RESTRICT> I<string>"
+msgstr "B<CHFN_RESTRICT> I<문자열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Indicate which fields are changeable by B<chfn>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The boolean setting B<\"yes\"> means that only the Office, Office Phone and "
+"Home Phone fields are changeable, and boolean setting B<\"no\"> means that "
+"also the Full Name is changeabl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Another way to specify changeable fields is by abbreviations: f = Full Name, "
+"r = Office (room), w = Office (work) Phone, h = Home Phone. For example, "
+"B<CHFN_RESTRICT \"wh\"> allows changing work and home phone number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If B<CHFN_RESTRICT> is undefined, then all finger information is read-only. "
+"This is the default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EXIT STATUS"
+msgstr "종료 상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Returns 0 if operation was successful, 1 if operation failed or command "
+"syntax was not valid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추가 참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chsh>(1), B<finger>(1), B<login.defs>(5), B<passwd>(5)"
+msgstr "B<chsh>(1), B<finger>(1), B<login.defs>(5), B<passwd>(5)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REPORTING BUGS"
+msgstr "버그 보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For bug reports, use the issue tracker at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AVAILABILITY"
+msgstr "가용성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The B<chfn> command is part of the util-linux package which can be "
+"downloaded from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chkdupexe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chkdupexe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c46537a8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chkdupexe.1.po
@@ -0,0 +1,83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1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chkdupexe.1:27
+#, no-wrap
+msgid "CHKDUPEXE"
+msgstr "CHKDUPEXE"
+
+#. type: TH
+#: chkdupexe.1:27
+#, no-wrap
+msgid "11 Mar 1995"
+msgstr ""
+
+#. type: TH
+#: chkdupexe.1:27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chkdupexe.1:28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hkdupexe.1:30
+msgid "chkdupexe - find duplicate executables"
+msgstr "chkdupexe - 똑같은 실행 파일 찾기"
+
+#. type: SH
+#: chkdupexe.1:30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hkdupexe.1:32
+msgid "B<chkdupexe>"
+msgstr "B<chkdupexe>"
+
+#. type: SH
+#: chkdupexe.1:32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hkdupexe.1:37
+msgid ""
+"B<chkdupexe> will scan the union of $PATH and a hardcoded list of common "
+"locations for binaries. It will report dangling symlinks and duplicately-"
+"named binaries."
+msgstr ""
+"B<chkdupexe> 명령은 환경 변수 $PATH에 지정되어 있는 경로를 검색해서, 같은 이름"
+"을 가진 실행파일이 두개 이상 있으면 그 정보를 보여준다. 물론 이때 심블릭된 것"
+"도 같은 파일로 인식한다."
+
+#. type: SH
+#: chkdupexe.1:37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hkdupexe.1:38
+msgid "Nicolai Langfeldt, Michael Shields."
+msgstr "Nicolai Langfeldt, Michael Shields.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chsh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chsh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a1b7f9a0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chsh.1.po
@@ -0,0 +1,217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, 2002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3-05-22 17:53+0200\n"
+"PO-Revision-Date: 2002-07-1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CHSH"
+msgstr "CHSH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2022-05-11"
+msgstr "2022년 5월 11일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util-linux 2.38.1"
+msgstr "util-linux 2.38.1"
+
+#. type: T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User Commands"
+msgstr "사용자 명령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chsh - change your login shell"
+msgstr "chsh - 사용자 로그인 쉘을 바꾼다.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요약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chsh> [B<-s> I<shell>] [B<-l>] [B<-h>] [B<-v>] [I<username>]"
+msgstr "B<chsh> [B<-s> I<셸>] [B<-l>] [B<-h>] [B<-v>] [I<사용자이름>]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#, fuzzy
+msgid ""
+"B<chsh> is used to change your login shell. If a shell is not given on the "
+"command line, B<chsh> prompts for one."
+msgstr ""
+"B<chsh> 명령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 쉘을 바꾸는데, 사용된다. (이말"
+"은 exit 명령을 사용했을 때 로그아웃되는 쉘을 말한다.) 명령행에서 쉘을 지정하"
+"지 않으면, 사용자에게 물어본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sh> supports non-local entries (kerberos, LDAP, etc.) if linked with "
+"libuser, otherwise use B<ypchsh>(1), B<lchsh>(1) or any other implementation "
+"for non-local entri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s>, B<--shell> I<shell>"
+msgstr "B<-s>, B<--shell> I<셸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Specify your login shell."
+msgstr "지정하는 쉘을 앞으로 사용할 로그인 쉘로 바꾼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l>, B<--list-shells>"
+msgstr "B<-l>, B<--list-shell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Print the list of shells listed in I</etc/shells> and exit."
+msgstr "I</etc/shells> 파일 안에 지정된 쉘을 나열하고 마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h>, B<--help>"
+msgstr "B<-h>, B<--hel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Display help text and exit."
+msgstr "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-V>, B<--version>"
+msgstr "B<-V>, B<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Print version and exit."
+msgstr "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VALID SHELL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B<chsh> will accept the full pathname of any executable file on the system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#, fuzzy
+#| msgid ""
+#| "B<chsh> will accept the full pathname of any executable file on the "
+#| "system. The default behavior for non-root users is to accept only shells "
+#| "listed in the I</etc/shells> file, and issue a warning for root user. It "
+#| "can also be configured at compile-time to only issue a warning for all "
+#| "users."
+msgid ""
+"The default behavior for non-root users is to accept only shells listed in "
+"the I</etc/shells> file, and issue a warning for root user. It can also be "
+"configured at compile-time to only issue a warning for all users."
+msgstr ""
+"B<chsh> 명령에서는 절대 경로를 지정하는 어떠한 실행파일도 지정이 가능하다. "
+"하지만, I</etc/shells> 파일에서 지정되어 있지 않는 풀그림을 사용할 경우에는 "
+"경고 메시지를 보여준다.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EXIT STATUS"
+msgstr "종료 상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Returns 0 if operation was successful, 1 if operation failed or command "
+"syntax was not valid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추가 참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B<login>(1), B<login.defs>(5), B<passwd>(5), B<shells>(5)"
+msgstr "B<login>(1), B<login.defs>(5), B<passwd>(5), B<shells>(5)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REPORTING BUGS"
+msgstr "버그 보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For bug reports, use the issue tracker at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edora-38
+#, no-wrap
+msgid "AVAILABILITY"
+msgstr "가용성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edora-38
+msgid ""
+"The B<chsh> command is part of the util-linux package which can be "
+"downloaded from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dsplit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dsplit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2af9095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dsplit.1.po
@@ -0,0 +1,194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dsplit.1:2
+#, no-wrap
+msgid "DSPLIT"
+msgstr "DSPLIT"
+
+#. type: TH
+#: dsplit.1:2
+#, no-wrap
+msgid "5 July 1994"
+msgstr "1994년 7월 5일"
+
+#. type: TH
+#: dsplit.1:2
+#, no-wrap
+msgid "Linux 1.1"
+msgstr "리눅스 1.1"
+
+#. type: TH
+#: dsplit.1:2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dsplit.1:3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5
+msgid "dsplit - split large files into several pieces"
+msgstr "dsplit - 큰 파일을 여러개로 나눈다."
+
+#. type: SH
+#: dsplit.1:5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7
+msgid "B<dsplit [ -size >I<nnn>B< ] [ >I<input_file>B< [ >I<output_base>B< ] ]>"
+msgstr ""
+"B<dsplit [ -size >I<nnn>B< ] [ >I<input_file>B< [ >I<output_base>B< ] ]>"
+
+#. type: SH
+#: dsplit.1:7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11
+#, fuzzy
+msgid ""
+"B<dsplit> 명령은 큰 파일을 플로피 디스크로 저장하기 위해 여러 조각으로 나누워"
+"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."
+msgstr ""
+"B<dsplit> 명령은 큰 파일을 플로피 디스크로 저장하기 위해 여러 조각으로 나누워"
+"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."
+
+#. type: SH
+#: dsplit.1:11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dsplit.1:12
+#, no-wrap
+msgid "B<-size>I< nnn>"
+msgstr "B<-size>I< nn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16
+#, fuzzy
+msgid ""
+"I<nnn> 바이트로 나눈다. 초기값은 1457000, 1.44 MB 플로피 디스크 용으로 사용하"
+"기에 적당하다."
+msgstr ""
+"I<nnn> 바이트로 나눈다. 초기값은 1457000, 1.44 MB 플로피 디스크 용으로 사용하"
+"기에 적당하다."
+
+#. type: TP
+#: dsplit.1:16
+#, no-wrap
+msgid "I<input_file>"
+msgstr "I<input_fi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20
+#, fuzzy
+msgid ""
+"나눌 파일 지정. 이 옵션이 없이 - 옵션을 사용하면, 표준 입력으로 부터 입력받는"
+"다. 초기값은 표준 입력이다."
+msgstr ""
+"나눌 파일 지정. 이 옵션이 없이 - 옵션을 사용하면, 표준 입력으로 부터 입력받는"
+"다. 초기값은 표준 입력이다."
+
+#. type: TP
+#: dsplit.1:20
+#, no-wrap
+msgid "I<output_base>"
+msgstr "I<output_bas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25
+#, fuzzy
+msgid ""
+"생성될 파일의 이름. 여기서 000, 001, .... 이런 식의 숫자가 덧붙혀진다. 초기값"
+"은 \"dsplit\"."
+msgstr ""
+"생성될 파일의 이름. 여기서 000, 001, .... 이런 식의 숫자가 덧붙혀진다. 초기값"
+"은 \"dsplit\"."
+
+#. type: SH
+#: dsplit.1:25
+#, no-wrap
+msgid "AUTHOR'S NOT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27
+msgid "Submitted-by: arnstein@netcom.com (David Arnstein)"
+msgstr "Submitted-by: arnstein@netcom.com (David Arnstein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29
+msgid "Posting-number: Volume 40, Issue 51"
+msgstr "Posting-number: Volume 40, Issue 51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31
+msgid "Archive-name: dsplit/part01"
+msgstr "Archive-name: dsplit/part01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33
+msgid "Environment: MS-DOS, UNIX"
+msgstr "Environment: MS-DOS, UNIX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39
+#, fuzzy
+msgid ""
+"이것은 이진파일을 나누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. 이 풀그림을 만든 목적은 디스켓 "
+"한장에 다 들어가지 않는 큰 파일을 여러장에 디스켓에 나누어 담을 수 있도록 하"
+"기 위해서 만들어졌다. 이런 이유로 나누는 단위의 초기값을 1.44 MB용 디스크 용"
+"량으로 정했다."
+msgstr ""
+"이것은 이진파일을 나누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. 이 풀그림을 만든 목적은 디스켓 "
+"한장에 다 들어가지 않는 큰 파일을 여러장에 디스켓에 나누어 담을 수 있도록 하"
+"기 위해서 만들어졌다. 이런 이유로 나누는 단위의 초기값을 1.44 MB용 디스크 용"
+"량으로 정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43
+#, fuzzy
+msgid ""
+"아직 풀그림 제작자는 이만한 풀그림을 보지 못했다. B<dsplit>는 huge 메모리를 "
+"사용하지 않는다(DOS용 경우). 또한 MSDOS 뿐만 아니라,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"
+"할 수 있다."
+msgstr ""
+"아직 풀그림 제작자는 이만한 풀그림을 보지 못했다. B<dsplit>는 huge 메모리를 "
+"사용하지 않는다(DOS용 경우). 또한 MSDOS 뿐만 아니라,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"
+"할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dsplit.1:45
+#, fuzzy
+msgid ""
+"(제작 당시 이 파일이 있었던 곳은: gatekeeper.dec.com:/pub/usenet/comp.sources."
+"misc/volume40/dsplit)."
+msgstr ""
+"(제작 당시 이 파일이 있었던 곳은: gatekeeper.dec.com:/pub/usenet/comp.sources."
+"misc/volume40/dsplit).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efax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efax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01426f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efax.1.po
@@ -0,0 +1,2443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1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efax.1:1
+#, no-wrap
+msgid "EFAX"
+msgstr "EFAX"
+
+#. type: TH
+#: efax.1:1
+#, no-wrap
+msgid "May 1996"
+msgstr "1996년 5월"
+
+#. type: SH
+#: efax.1:3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
+msgid "efax - send/receive faxes using Class 1 or 2 fax modems"
+msgstr "efax - 클래스 1 또는 2 모뎀을 사용하여 팩스를 주고 받는다"
+
+#. type: SH
+#: efax.1:5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4
+msgid "B<efax> [ I<options> ] [ B<-t> I<num> [ I<file>... ] ]"
+msgstr "B<efax> [ I<옵션> ] [ B<-t> I<번호> [ I<화일>... ] ]"
+
+#. type: SH
+#: efax.1:15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8
+msgid "Where I<options> are:"
+msgstr "I<옵션>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TP
+#: efax.1:19
+#, no-wrap
+msgid "B<-a >I<cmd>"
+msgstr "B<-a >I<명령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3
+msgid ""
+"use the command B<ATcmd> when answering the phone. The default is \"A\"."
+msgstr "전화를 받을 때 B<AT명령>을 사용한다. 기본값은 \"A\"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24
+#, no-wrap
+msgid "B<-c >I<caps>"
+msgstr "B<-c >I<cap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9
+msgid ""
+"set the local modem capabilities. See the section on capabilities below for "
+"the format and meaning of I<caps>. The default is 1,3,0,2,0,0,0,0."
+msgstr ""
+"지역 모뎀 기능(capabilities)을 설정한다. I<caps>의 형식과 의미에 대해서는 기"
+"능 섹션을 보라. 기본값은 1,3,0,2,0,0,0,0."
+
+#. type: TP
+#: efax.1:30
+#, no-wrap
+msgid "B<-d >I<dev>"
+msgstr "B<-d >I<de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4
+msgid ""
+"use the fax modem connected to device I<dev>. The default is B</dev/fax>."
+msgstr "I<dev> 장치에 연결된 팩스 모뎀을 사용한다. 기본값은 B</dev/fax>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35
+#, no-wrap
+msgid "B<-f >I<fnt>"
+msgstr "B<-f >I<f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9
+msgid ""
+"use font file I<fnt> for generating the header. The default is a built-in "
+"8x16 font. See efix(1) for the font file format."
+msgstr ""
+"헤더 생성시 I<fnt> 폰트 화일을 사용한다. 기본값은 내장 8x16 폰트이다. 폰트 "
+"화일 형식에 대해서는 efix(1)을 보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0
+#, no-wrap
+msgid "B<-g >I<cmd>"
+msgstr "B<-g >I<cm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8
+msgid ""
+"if a B<CONNECT> (or B<DATA>) response indicates a data call, the shell B</bin/"
+"sh> is exec(2)'ed with I<cmd> as its command. I<cmd> is a printf(3) format "
+"that may contain up to 6 %d escapes which are replaced by the baud rate "
+"following the most recent B<CONNECT> message. I<cmd> typically exec's "
+"getty(8)."
+msgstr ""
+"B<CONNECT> (또는 B<DATA>) 신호가 감지되고 자료가 수신되면 B</bin/sh> 쉘을 불"
+"러 I<cmd> 명령으로 exec(2)한다. I<cmd>는 printf(3) 형식으로서 최근의 "
+"B<CONNECT> 메세지에서 표시된 보드율로 교체되는 %d 이스케이프 시퀀스 6 개까지 "
+"허용한다. I<cmd>는 대부분 getty(8)를 exec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9
+#, no-wrap
+msgid "B<-h >I<hdr>"
+msgstr "B<-h >I<헤더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4
+msgid ""
+"put string `hdr' at the top of each page. The first %d in `hdr' is replaced "
+"by the page number and the second, if any, is replaced by the number of files "
+"being sent."
+msgstr ""
+"각 페이지 상단에 `헤더' 문자열을 넣는다. `헤더'의 첫번째 %d는 페이지 번호로 "
+"치환되고 두번째 %d가 있을 경우 전송되고 있는 화일 갯수로 치환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55
+#, no-wrap
+msgid "B<-i >I<str>"
+msgstr "B<-i >I<문자열>"
+
+#. type: TP
+#: efax.1:57
+#, no-wrap
+msgid "B<-j >I<str>"
+msgstr "B<-j >I<문자열>"
+
+#. type: TP
+#: efax.1:59
+#, no-wrap
+msgid "B<-k >I<str>"
+msgstr "B<-k >I<문자열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7
+msgid ""
+"send the command B<AT>I<str> to the modem to initialize it. -i commands are "
+"sent before the modem is put into fax mode, -j commands after the modem is in "
+"fax mode, and -k commands just before efax exits. The only default is a hang-"
+"up (ATH) command that is sent before exiting only if no other -k options are "
+"given. Multiple options may be used."
+msgstr ""
+"모뎀을 초기화하기 위하여 B<AT>I<문자열> 명령을 보낸다. -i 명령은 모뎀이 팩스 "
+"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보내지며, -j 명령은 모댐이 팩스 모드로 진입하고 나서 실행"
+"되고, -k 명령은 efax가 종료할 때 보내진다. 기본행위는 -k 옵션이 주어지지 않았"
+"을 때, 종료 전에 끊기 신호(ATH) 명령을 보내는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8
+#, no-wrap
+msgid "B<-l >I<id>"
+msgstr "B<-l >I<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6
+msgid ""
+"set the local identification string to I<id>. I<id> should be the local "
+"telephone number in international format (for example \"+1 800 555 1212\"). "
+"This is passed to the remote fax machine. Some fax machines may not accept "
+"characters other than numbers, space, and '+'. This is also used as the ID "
+"when polling."
+msgstr ""
+"I<id>에 지역적 구별 문자열을 설정한다. I<id>는 국제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지역 "
+"전화 번호여야 한다. ( 예를 들어 \"+1 800 555 1212\" ) 이 값은 원격 팩스 머신"
+"에 전달된다. 일부 팩스 머신은 숫자, 공백, '+'를 제외한 다른 문자를 받지 않기"
+"도 한다. 이 값은 또한 폴링 ID로도 사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77
+#, no-wrap
+msgid "B<-o >I<opt>"
+msgstr "B<-o >I<op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2
+msgid ""
+"use option I<opt> to accommodate a non-standard fax modem protocol. See the "
+"MODEM REQUIREMENTS section below for more details. The I<opt>ions are:"
+msgstr ""
+"비표준 팩스 모뎀을 조절하기 위하여 I<opt>을 사용한다. 자세한 사항은 모뎀 요구"
+"사항 섹션을 보라. I<opt>은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TP
+#: efax.1:83
+#, no-wrap
+msgid "B<1>"
+msgstr "B<1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8
+msgid ""
+"Use Class 1 fax modem commands. The modem must support Class 1 commands. "
+"The default is to use Class 2 commands."
+msgstr ""
+"클래스 1 팩스 모뎀 명령을 사용한다. 모뎀이 이를 지원해야 한다. 기본값은 클래"
+"스 2 명령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89
+#, no-wrap
+msgid "B<0>"
+msgstr "B<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3
+msgid "Use Class 2.0 fax modem commands."
+msgstr "클래스 2.0 팩스 모뎀 명령을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94
+#, no-wrap
+msgid "B<a>"
+msgstr "B<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1
+msgid ""
+"use software adaptive answer method. If the first attempt to answer the call "
+"does not result in a data connection within 15 seconds the phone is hung up "
+"temporarily and answered again in fax mode (see \"Accepting both fax and data "
+"calls\" below)."
+msgstr ""
+"소프트웨어적 적응 답신 방법을 사용한다. 만약 전화수신에 대한 첫 응답이 15 초 "
+"이내에 자료 모드로 접속되지 않으면 전화를 잠시 끊고 다시 팩스 모드로 답신한"
+"다. ( 아래 \"팩스와 자료 요청 둘 다 응답하기\"를 보라 )"
+
+#. type: TP
+#: efax.1:102
+#, no-wrap
+msgid "B<e >"
+msgstr "B<e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6
+msgid "ignore errors in modem initialization commands."
+msgstr "모뎀 초기화 명령의 에러를 무시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07
+#, no-wrap
+msgid "B<f>"
+msgstr "B<f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6
+msgid ""
+"use \"virtual flow control\". efax tries to estimate the number of bytes in "
+"the modem's transmit buffer and pauses as necessary to avoid filling it. The "
+"modem's buffer is assumed to hold at least 96 bytes. This feature does not "
+"work properly with Class 2 modems that add redundant padding to scan lines. "
+"Use this option only if you have problems configuring flow control."
+msgstr ""
+"\"가상 흐름 제어\"를 사용한다. efax는 모뎀 전송 버퍼에 남아있는 바이트 수를 "
+"추정하여 버퍼가 넘치지 않도록 잠시 기다린다. 모뎀 버퍼는 최소한 96 바이트를 "
+"보관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. 이 기능은 각 스캔라인에 대하여 채움 바이트를 추가"
+"하는 클래스 2 모뎀과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. 흐름 제어 설정에 문제가 있을 때"
+"만 사용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17
+#, no-wrap
+msgid "B<l>"
+msgstr "B<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3
+msgid ""
+"halve the time between testing lock files when waiting for other programs to "
+"complete. By default this is 8 seconds. For example -olll sets the interval "
+"to 1 second."
+msgstr ""
+"다른 프로그램이 작업을 마치길 기다리는 동안 잠금 화일을 확인하는 시간을 반으"
+"로 줄인다. 기본값은 8 초이다. 예를 들어 -olll은 시간간격을 1초로 줄인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24
+#, no-wrap
+msgid "B<n>"
+msgstr "B<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31
+msgid ""
+"ignore requests for pages to be retransmitted. Use this option if you don't "
+"care about the quality of the received fax or if the receiving machine is too "
+"fussy. Otherwise each page may be retransmitted up to 3 times."
+msgstr ""
+"페이지 재전송 요구를 무시한다. 받은 팩스의 화질에 크게 신경쓰지 않거나 팩스 "
+"머신 자체가 아주 세밀한 기계라면 이 옵션을 사용하라. 그렇지 않은 경우 각 페이"
+"지는 3 번까지 재전송될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32
+#, no-wrap
+msgid "B<r>"
+msgstr "B<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39
+msgid ""
+"do not reverse bit order during data reception for Class 2 modems. I<The "
+"meaning of this option has been reversed from previous versions>. Very few "
+"Class 2 modems will require this option."
+msgstr ""
+"클래스 2 모뎀으로 자료를 전송받을 때 비트 순서를 바꾸지 않는다. I<이 옵션의 "
+"의미는 이번 버전과 정반대가 되었다>. 이 옵션을 사용해야 하는 클래스 2 모뎀은 "
+"얼마 없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41
+#, no-wrap
+msgid "B<x>"
+msgstr "B<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46
+msgid ""
+"send XON (DC1) instead of DC2 to start data reception. Applies to Class 2 "
+"only."
+msgstr "자료 수신 시작시 DC2 대신 XON (DC1)을 보낸다. 클래스 2 에만 해당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47
+#, no-wrap
+msgid "B<z>"
+msgstr "B<z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54
+msgid ""
+"delay an additional 100 milliseconds before each modem initialization or "
+"reset command. The initial delay is 100 ms. For example, -ozzz produces a "
+"400 ms delay. Use with modems that get confused when commands arrive too "
+"quickly."
+msgstr ""
+"모뎀이 초기화되거나 재설정될 때마다 100 밀리초를 더 지연한다. 초기 지연값은 "
+"100 밀리초이다. 예를 들어 -ozzz는 400 밀리초를 지연한다. 명령을 빠르게 전달"
+"되면 잘 인식하지 못하는 모뎀에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56
+#, no-wrap
+msgid "B<-q >I<n>"
+msgstr "B<-q >I<횟수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60
+msgid ""
+"ask for retransmission pages received with more than I<n> errors per page. "
+"Default is 10."
+msgstr ""
+"각 페이지에 대하여 I<횟수> 이상의 수신 에러 발생시 재전송을 요구한다. 기본값"
+"은 10 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61
+#, no-wrap
+msgid "B<-r >I<pat>"
+msgstr "B<-r >I<pa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68
+msgid ""
+"each received fax page is stored in a separate file. The file name is "
+"created using I<pat> as a strftime(3) format string. A page number of the "
+"form .001, .002, ... is appended to the file name. If I<pat> is blank "
+"(\"\") or no -r option is given a default string of \"%m%d%H%M%S\" is used."
+msgstr ""
+"수신된 각 페이지를 별도의 화일로 저장한다. 화일명은 I<pat>를 이용하여 "
+"strftime(3) 형식의 문자열로 지어진다. 페이지 번호는 .001, .002, ... 등이 화일"
+"명에 붙어 표시된다. 만약 I<pat>가 공백 문자열(\"\")이거나 -r 옵션이 사용되지 "
+"않을 때는 \"%m%d%H%M%S\" 문자열이 사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71
+#, no-wrap
+msgid "B<-s>"
+msgstr "B<-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81
+msgid ""
+"remove lock file(s) after initializing the modem. This allows outgoing calls "
+"when efax is waiting for an incoming call. If efax detects modem activity it "
+"will attempt to re-lock the device. If the modem is now locked by another "
+"program efax will exit and return 1 (``busy''). Normally a new efax process "
+"is then started by init(8). The new efax process will typically check "
+"periodically until the lock file disappears and then re-initializes the modem."
+msgstr ""
+"모뎀 초기화 후 잠금 화일을 제거한다. 이렇게 하면 efax가 수신을 기다리는 도중"
+"에 밖으로 전화를 걸 수 있다. 만약 모뎀의 작동이 감지되면 다시 장치를 잠근"
+"다. 모뎀이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잠겨 있다면 efax는 종료하면서 1을 반환한다. "
+"(``busy''를 의미) 보통 새로운 efax 프로세스가 init(8)에 의해 시작된다. 새로"
+"운 efax 프로세스는 보통 주기적으로 잠금 화일이 사라질 때까지 점검한다. 그리"
+"고 나서 모뎀을 재초기화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82
+#, no-wrap
+msgid "B<-t >I<num [file>B<...]>"
+msgstr "B<-t >I<전화번호 [화일>B<...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92
+msgid ""
+"dial telephone number I<num> and send the fax image files I<file>.... If "
+"used, this must be the last argument on the command line. The telephone "
+"number I<num> is a string that may contain any dial modifiers that the modem "
+"supports such as a T prefix for tone dialing or commas for delays. If no "
+"file names are given the remote fax machine will be polled. If no -t argument "
+"is given efax will answer the phone and attempt to receive a fax."
+msgstr ""
+"I<전화번호>로 전화를 걸고 I<화일>... 팩스 이미지를 전송한다. 이 옵션을 사용하"
+"려면 꼭 마지막에 적어주어야 한다. I<전화번호>는 예를 들어 톤 다이얼링을 위한 "
+"T 접두사 또는 지연 시간을 위한 콤마 문자 등 모뎀이 지원하는 문자를 포함할 수 "
+"있다. 만약 화일명이 주어지지 않으면 원격 팩스 머신에게 기회가 넘겨진다. -t "
+"인수가 사용되지 않으면 efax는 전화를 받고 팩스를 수신받는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193
+#, no-wrap
+msgid "B<-v >I<strng>"
+msgstr "B<-v >I<문자열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97
+msgid ""
+"select types of messages to be printed. Each I<lower-case> letter in "
+"I<strng> enables one type of message:"
+msgstr ""
+"출력될 메세지 유형을 선택한다. I<문자열> 내의 각 I<소문자>는 한 종류의 메세지"
+"를 선택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02
+msgid "B<e - > errors"
+msgstr "B<e - > 에러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06
+msgid "B<w - > warnings"
+msgstr "B<w - > 경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10
+msgid "B<i - > session progress information"
+msgstr "B<i - > 세션 진행 정보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14
+msgid "B<n - > capability negotiation information"
+msgstr "B<n - > 기능 협상 정보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18
+msgid "B<c - > modem (AT) commands and responses"
+msgstr "B<c - > 모뎀 (AT) 명령과 반응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22
+msgid "B<h - > HDLC frame data (Class 1 only)"
+msgstr "B<h - > HDLC 프레임 자료( 클래스 1 에만 해당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26
+msgid "B<m - > modem output"
+msgstr "B<m - > 모뎀 출력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30
+msgid "B<a - > program arguments"
+msgstr "B<a - > 프로그램 인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34
+msgid "B<r -> reception error details"
+msgstr "B<r -> 수신 에러 세부사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38
+msgid "B<t -> transmission details"
+msgstr "B<t -> 전송 세부사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42
+msgid "B<f -> image file details"
+msgstr "B<f -> 이미지 화일 세부사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46
+msgid "B<x -> lock file processing"
+msgstr "B<x -> 잠금 화일 처리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53
+msgid ""
+"Up to two -v options may be used. The first is for messages printed to the "
+"standard error and the second is for messages to the standard output. The "
+"default is \"ewin\" to the standard error only."
+msgstr ""
+"-v 옵션은 2 개까지 사용가능한다. 첫번째는 메세지를 표준 에러로 보내도록 하며 "
+"두번째는 표준 출력으로 보내도록 한다. 기본값은 표준 에러로 \"ewin\"이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255
+#, no-wrap
+msgid "B<-w>"
+msgstr "B<-w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61
+msgid ""
+"wait for an OK or CONNECT prompt instead of issuing an answer (B<ATA>) "
+"command to receive a fax. Use this option when the modem is set to auto-"
+"answer (using S0=I<n>) or if another program has already answered the call."
+msgstr ""
+"팩스를 받기 위하여 답신 (B<ATA>)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OK 또는 CONNECT 프롬프트"
+"를 기다린다. 이 옵션은 모뎀이 자동 답신 (S0=I<n>) 상태에 있거나 이미 다른 프"
+"로그램이 걸려온 전화를 받고 있을 때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262
+#, no-wrap
+msgid "B<-x >I<lkf>"
+msgstr "B<-x >I<lkf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69
+msgid ""
+"use UUCP-style lock file I<lkf> to lock the modem device before opening it. "
+"If the device is locked, efax checks every 15 seconds until it is free. Up "
+"to 16 -x options may be used if there are several names for the same device. "
+"A `#' prefix on the file name creates an HDB-style (text) lock file."
+msgstr ""
+"장치를 열기 전에 잠금 화일로서 UUCP 스타일의 I<lkf> 화일을 사용한다. 장치가 "
+"잠겨 있으면 efax는 매 15 초마다 점검한다. 같은 장치에 대하여 여러 이름이 존재"
+"할 때는 16 개까지 -x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. 화일명 앞에 `#'을 붙이면 HDB 스타"
+"일의 텍스트 잠금 화일을 생성한다."
+
+#. type: SH
+#: efax.1:270
+#, no-wrap
+msgid "FAX FILE FORMATS"
+msgstr "팩스 화일 형식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77
+msgid ""
+"Each page to be sent should be converted to a separate TIFF format file with "
+"Group 3 (G3) compression. Received files are also stored in this format. "
+"The EXAMPLES section below shows how efix and other programs can be used to "
+"create, view and print these files."
+msgstr ""
+"전송될 페이지는 각각 그룹 3 (G3) 압축을 사용하는 TIFF 형식으로 변환되어야 한"
+"다. 수신된 페이지 또한 이 형식으로 저장된다. 아래의 예제 섹션에서는 이 화일"
+"을 만들고 보고 출력하기 위하여 efix 또는 다른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"
+"여줄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85
+msgid ""
+"efax can read the same types of files as B<efix(1)> including text, T.4 "
+"(Group 3), PBM, and TIFF (G3 and uncompressed). efax automatically "
+"determines the type of file from its contents. TIFF files are recommended as "
+"they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image resolution. The page counts in the "
+"headers could be wrong when sending text or muti-page TIFF since the page "
+"count is taken to be the number of file name arguments."
+msgstr ""
+"efax는 텍스트, T.4 (그룹 3), PBM, TIFF( G3 또는 비압축 상태 )등 B<efix(1)>가 "
+"받아들이는 화일 형식을 읽는다. efax는 화일의 내용을 보고 화일 형태를 자동으"
+"로 판별한다. TIFF는 이미지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권장한다. 텍"
+"스트 또는 멀티 페이지 TIFF를 보낼 때는 헤더의 페이지 번호가 틀릴 수 있다. 왜"
+"냐하면 페이지 번호는 화일명의 갯수로 처리되기 때문이다."
+
+#. type: SH
+#: efax.1:286
+#, no-wrap
+msgid "OPERATING SYSTEM REQUIREMENTS"
+msgstr "운영체제 요구사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291
+msgid ""
+"The operating system must provide short response times to avoid protocol "
+"timeouts. For Class 2 modems the delay should not exceed 1 or 2 seconds."
+msgstr ""
+"운영체제는 프로토콜 타임아웃을 피하기 위해 짧은 반응 시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"
+"한다. 클래스 2 모뎀의 경우 지연시간이 1, 2 초를 넘어선 안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01
+msgid ""
+"When using Class 1 modems the program must respond to certain events within "
+"55 milliseconds. Longer delays may cause the fax protocol to fail in certain "
+"places (between DCS and TCF or between RTC and MPS). Class 1 modems should "
+"therefore not be used on systems that cannot guarantee that the program will "
+"respond to incoming data in less than 55 milliseconds. In particular, some "
+"intelligent serial cards and terminal servers may introduce enough delay to "
+"cause problems with Class 1 operation."
+msgstr ""
+"클래스 1 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프로그램은 어떤 이벤트에 대하여 55 밀리 초 이내"
+"로 반응해야 한다. 이보다 긴 지연이 발생하면 팩스 프로토콜이 실패할 수 있다. "
+"( DCS와 TCF 또는 RTC와 MPS 사이에서 ) 따라서 클래스 1 은 수신 자료에 대하여 "
+"55 밀리초 이내에 반응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 특히 몇몇 지능"
+"형 시리얼 카드 또는 터미널 서버의 경우 클래스 1 작동에 지장을 줄 만한 지연을 "
+"유발하기도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09
+msgid ""
+"The operating system must also provide sufficient low-level buffering to "
+"allow uninterrupted transfer of data from the modem to a disk file at the "
+"selected baud rate, typically 9600 bps. Since the fax protocol does not "
+"provide end-to-end flow control the effectiveness of flow control while "
+"receiving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modem's buffer. This can be less than "
+"100 bytes. Efax does not use flow control during reception."
+msgstr ""
+"운영체제는 일정한 (보통 9600 bps) 전송률로 끊김없이 모뎀으로부터 디스크 화일"
+"로 저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저수준 버퍼링을 지원해야 한다. 팩스 프로토콜은 양"
+"자 간의 흐름 제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 중의 흐름 제어 성능은 모뎀의 버"
+"퍼량에 의해 제한된다. 이는 100 바이트 미만일 수 있다. Efax는 수신 중 흐름 제"
+"어를 사용하지 않는다."
+
+#. type: SH
+#: efax.1:310
+#, no-wrap
+msgid "MODEM GROUP AND CLASS REQUIREMENTS"
+msgstr "모뎀 그룹, 클래스 요구사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17
+msgid ""
+"The \"Group\" is the protocol used to send faxes between fax machines or fax "
+"modems. Efax supports the standard Group 3 protocol. The \"Class\" is the "
+"protocol used by a computer to control a fax modem. Efax supports Class 1 "
+"and 2 fax modems. Class 2.0 support is untested."
+msgstr ""
+"\"그룹\"이란 팩스 머신 또는 팩스 모뎀 사이에 팩스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"
+"콜을 말한다. Efax는 표준 그룹 3 프로토콜을 지원한다. \"클래스\"란 컴퓨터가 "
+"팩스 모뎀을 제어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. Efax는 클래스 1, 2 팩스 모"
+"뎀을 지원한다. 클래스 2.0 지원은 아직 테스트되지 않았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22
+msgid ""
+"Most fax modems use XON/XOFF flow control when in fax mode. This type of "
+"flow control adds very little overhead for fax use. Many modems have "
+"unreliable hardware (RTS/CTS) flow control in fax mode. efax enables both "
+"XON/XOFF and hardware flow control."
+msgstr ""
+"대부분의 팩스 모뎀은 팩스 모드의 경우 XON/XOFF 흐름 제어를 사용한다. 이런 형"
+"태의 흐름 제어는 팩스의 경우 거의 부하를 주지 않는다. 많은 모뎀들은 팩스 모드"
+"에서 믿음직하지 못한 하드웨어 (RTS/CTS) 제어를 지원한다. efax는 XON/XOFF와 하"
+"드웨어 흐름 제어 모두 지원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26
+msgid ""
+"While some modems have serial buffers of about 1k bytes, many inexpensive "
+"modems have buffers of about one hundred bytes and are thus more likely to "
+"suffer overruns when sending faxes."
+msgstr ""
+"몇몇 모뎀은 약 1k 바이트의 시리얼 버퍼를 갖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저가형 "
+"모뎀은 약 100 바이트 정도의 버퍼를 가지고 있을 뿐이며 팩스 전송시 오버런이 일"
+"어날 가능성을 갖는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34
+msgid ""
+"Some modems may need a delay between commands of more than the default value "
+"used by efax (100 milliseconds). If the delay is too short, commands may not "
+"echo properly, may time out, or may give inconsistent responses. Use one or "
+"more B<-oz> options to increase the delay between modem initialization "
+"commands and use the E0 modem initialization command to disable echoing of "
+"modem commands."
+msgstr ""
+"몇몇 모뎀은 각각의 명령 사이에 efax가 사용하는 기본값인 100 밀리초 이상의 지"
+"연 시간을 필요로 한다. 만약 지연시간이 너무 짧다면 명령이 제대로 반향되지 않"
+"거나 타임아웃 또는 제대로 반응하지 않는다. 한 번 이상의 B<-oz> 옵션을 사용하"
+"여 모뎀 초기화 명령 사이의 지연시간을 늘리고 모뎀 명령의 반향을 없애기 위해 "
+"E0 모뎀 초기화 명령을 사용하라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40
+msgid ""
+"By default efax sends DC2 to start the data flow from the modem when "
+"receiving faxes from Class 2 modems. A few older modems require XON "
+"instead. Use of DC2 would cause the modem to give an error message and/or "
+"the program to time out. The B<-ox> option should be used in this case."
+msgstr ""
+"기본적으로 efax는 클래스 2 모뎀으로부터 팩스를 받을 때 모뎀의 자료 전송 시작"
+"에 대하여 DC2 를 전송한다. 몇몇 구식 모뎀은 대신 XON 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. "
+"이런 모뎀의 경우 DC2 신호는 에러 메세지를 내거나 프로그램의 타임아웃을 유발한"
+"다. 이 때는 B<-ox> 옵션을 사용하라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45
+msgid ""
+"A few older Class 2 modems (e.g. some Intel models) don't send DC2 or XON to "
+"start the data flow to the modem when sending faxes. After waiting 2 seconds "
+"efax will print a warning and start sending anyways."
+msgstr ""
+"몇몇 구식 클래스 2 모뎀 ( 예를 들어 몇 가지 인텔 모델 )은 팩스를 전송할 때 모"
+"뎀에게 자료 전달을 시작하도록 하기 위해 DC2 또는 XON을 보내지 않는다. 2 초 "
+"후 efax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고 어찌 되었든 전송을 시작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50
+msgid ""
+"A very few Class 2 modems do not reverse the bit order (MSB to LSB) by "
+"default on receive. This might cause errors when trying to display or print "
+"the received files. The B<-or> option can be used in this case."
+msgstr ""
+"극소수의 클래스 2 모뎀은 자료를 전송받을 때 비트 순서 (MSB에서 LSB로)를 바꾸"
+"지 않는다. 이런 경우 수신된 화일을 보거나 출력하면 엉뚱한 결과를 얻게 될 것이"
+"다. 이 때는 B<-or> 옵션을 사용하라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53
+msgid ""
+"Some inexpensive \"9600 bps\" fax modems only I<transmit> at 9600 bps and "
+"reception is limited to 4800 bps."
+msgstr ""
+"몇몇 저가 \"9600 bps\" 팩스 모뎀은 오로지 9600 bps로만 I<전송>하고 수신 속도"
+"는 4800 bps로 제한하고 있다."
+
+#. Andrea Gozzi <work@forum.sublink.org>, v0.6, SCO 3.2.0, (Class 1)
+#. awk0%navajo@gte.com, v0.6, linux 1.0, downloading fax144c.car
+#. umlin000@CC.UManitoba.CA, v 0.6, Linux 1.1.12
+#. mortbay@ozemail.com.au
+#. danz@wv.mentorg.com, Linux 1.2.10
+#. umlin000@CC.UManitoba.CA, v 0.6, Linux 1.1.12
+#. gsmith@softsmiths.oz.au, v 0.7a, add "*F1" for Xon/Xoff
+#. gt@sky.gun.de, v0.6, Linux 1.1.15
+#. john@johncon.johncon.com, v0.6, Consensys (ie., Unixware) 4.2
+#. meyer@geomatic.no, v0.6, SunOS 4.1.3
+#. satyr!kayvan@apple.com (Kayvan Sylvan), v0.6, Linux (?)
+#. hausutzu@pse.panic.bln.sub.org (Utz-Uwe Haus), v0.6, Linux
+#. edc@ee.ubc.ca (me!), v0.6, Linux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380
+msgid ""
+"The following Class 1 modems have been reported to work with efax: AT&T "
+"DataPort, Cardinal Digital Fax Modem (14400), Digicom Scout+, Motorola "
+"Lifestyle 28.8, Motorola Power 28.8, QuickComm Spirit II, Smartlink 9614AV-"
+"Modem, Supra Faxmodem 144LC, USR Courier V.32bis Terbo, USR Sportster (V.32 "
+"and V.34), Zoom AFC 2.400, Zoom VFX14.4V."
+msgstr ""
+"다음과 같은 클래스 1 모뎀이 efax와 잘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: AT&T DataPort, "
+"Cardinal Digital Fax Modem (14400), Digicom Scout+, Motorola Lifestyle 28.8, "
+"Motorola Power 28.8, QuickComm Spirit II, Smartlink 9614AV-Modem, Supra "
+"Faxmodem 144LC, USR Courier V.32bis Terbo, USR Sportster (V.32 and V.34), "
+"Zoom AFC 2.400, Zoom VFX14.4V."
+
+#. bekker@tn.utwente.nl, efax0.5
+#. gmaughan@grape.fcit.monash.edu.au, Linux 1.2.10, efax 07a
+#. thowi@chiba.escape.de, efax06?, Linux?
+#. ingber@alumni.caltech.edu (Class 2)
+#. john@johncon.johncon.com
+#. jh@datanet.tele.fi (Juha Heinanen)
+#. ?
+#. v0.6a, SunOS 4.1.1, Linux 1.0.9
+#. hsw1@papa.attmail.com
+#. ?
+#. a PCMCIA Class 3 faxmodem
+#. ron@draconia.hacktic.nl
+#. jchen@ee.mcgill.ca, 0.6a w/ stty fax patch, Linux kernel 1.1.59
+#. (matloff@cs.ucdavis.edu)
+#. norman@bellcore.com
+#. Skip Montanaro (skip@automatrix.com), 0.6a, Linux
+#. Raj Mathur (root@darbari.ncst.ernet.in), 0.6a, Linux 1.1.48
+#. reb@pdsf.ssc.gov
+#. (DEC Alpha AXP 3000/500 running OSF/1 V1.3)
+#. john@johncon.johncon.com, v0.5b, SysV R4.2
+#. tbucks!timothy@csn.org
+#. (ROCKWELL)
+#. Alec.Muffett@UK.Sun.COM (Alec Muffett), Linux 1.1.51,
+#. Supra FAXModem v.32bis
+#. blurfl!jhood@Dartmouth.EDU
+#. Telebit Worldblazer with ROM version LA7.02. (requires -or)
+#. (my configuration required hardware flow control)
+#. Dario_Ballabio@milano.europe.dg.com, v 0.6, Version LA7.05C.
+#. rainer.dorsch@student.uni-ulm.de
+#. (ROCKWELL, V.32AC, V1.270 TR14-Jxxx-001)
+#. Robert.Sprockeels@csc.be, v0.6a, Linux
+#. klein@pc-klein.zxa.basf-ag.de (Peter Klein), Linux, kernel 0.99.14
+#. beck@irs.inf.tu-dresden.de (Andre Beck), v 0.6, Ultrix 4.3, gcc V2.5.8:
+#. gcc -ansi -D_XOPEN_SOURCE -O2 efax.c -o efax -lcP
+#. edc@ee.ubc.ca (me!), v0.6, Linux
+#. plph@umcc.umich.edu, v0.3 & faxmodem ROM version 5.05M)
+#. requires -or
+#. Marc@Synergytics.Com, v0.5a & ZyXEL 1496E Plus, ROM Version 6.11a)
+#. -or -i '+FCLASS=2;+FCR=1' -c '+FDCC=1,5,2,2,0,0,0,0'
+#. schlatt@dial.eunet.ch, v0.7a, using -Xn (n<4)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48
+msgid ""
+"The following Class 2 modems have been reported to work with efax: 14k4 Amigo "
+"Communion fax/modem, Adtech Micro Systems 14.4 Fax/modem, askey modem type "
+"1414VQE, AT&T DataPort, ATT/Paradyne, AT&T Paradyne PCMCIA, Boca modem, BOCA "
+"M1440E, Crosslink 9614FH faxmodem, FuryCard DNE 5005, GVC 14.4k internal, "
+"Intel 14.4 fax modem, Megahertz 14.4, , Microcom DeskPorte FAST ES 28.8, "
+"Motorola UDS FasTalk II, MultiTech 1432MU, Practical Peripherals PM14400FXMT, "
+"Supra V32bis, Telebit Worldblazer, TKR DM-24VF+, Twincom 144/DFi, ViVa 14.4/"
+"Fax modem, Vobis Fax-Modem (BZT-approved), Zoom VFX14.4V, ZyXEL U-1496E[+], "
+"ZyXEL Elite 2864I."
+msgstr ""
+"다음과 같은 클래스 2 모뎀이 efax와 잘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: 14k4 Amigo "
+"Communion fax/modem, Adtech Micro Systems 14.4 Fax/modem, askey modem type "
+"1414VQE, AT&T DataPort, ATT/Paradyne, AT&T Paradyne PCMCIA, Boca modem, BOCA "
+"M1440E, Crosslink 9614FH faxmodem, FuryCard DNE 5005, GVC 14.4k internal, "
+"Intel 14.4 fax modem, Megahertz 14.4, , Microcom DeskPorte FAST ES 28.8, "
+"Motorola UDS FasTalk II, MultiTech 1432MU, Practical Peripherals PM14400FXMT, "
+"Supra V32bis, Telebit Worldblazer, TKR DM-24VF+, Twincom 144/DFi, ViVa 14.4/"
+"Fax modem, Vobis Fax-Modem (BZT-approved), Zoom VFX14.4V, ZyXEL U-1496E[+], "
+"ZyXEL Elite 2864I."
+
+#. type: SH
+#: efax.1:449
+#, no-wrap
+msgid "MODEM INITIALIZATION OPTIONS"
+msgstr "모뎀 초기화 옵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56
+msgid ""
+"Mandatory modem initialization commands are generated by efax. Additional "
+"commands may be supplied as command-line arguments. The modem must be set up "
+"to issue verbose(text) result codes. The following command does this and is "
+"sent by efax before trying to initialize the modem."
+msgstr ""
+"필수적인 모뎀 초기화 명령은 efax에 의해 이뤄진다. 추가 명령은 명령행 인수로 "
+"주어질 수 있다. 모뎀은 자세한( 텍스트 형식으로 ) 결과 코드를 출력하도록 설정"
+"되어야 한다. 다음 명령이 그런 설정과 관련되어 있으며 모뎀 초기화시 efax에 의"
+"해 보내진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57
+#, no-wrap
+msgid "B<Q0V1>"
+msgstr "B<Q0V1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60
+msgid "respond to commands with verbose result codes"
+msgstr "명령에 대하여 자세한 결과 코드로 답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63
+msgid "The following commands may be useful:"
+msgstr "다음 명령이 유용할 수 있다:"
+
+#. type: TP
+#: efax.1:464
+#, no-wrap
+msgid "B<X3>"
+msgstr "B<X3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71
+msgid ""
+"don't wait for dial tone before dialing. This may be used to send a fax when "
+"the call has already been dialed manually. In this case use an empty string "
+"(\"\") as the first argument to the B<-t> command. Use B<X4> (usual default) "
+"to enable all result codes."
+msgstr ""
+"전화걸기 전 다이어 톤을 기다리지 않는다. 이미 수동으로 다이얼을 한 상태에서 "
+"팩스를 보낼 때 사용할 수 있다. 이 때 B<-t> 명령의 인수로 빈 문자열 (\"\")을 "
+"사용한다. B<X4>(기본값)은 모든 결과 코드를 가능 설정한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72
+#, no-wrap
+msgid "B<M2>"
+msgstr "B<M2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76
+msgid ""
+"leave the monitor speaker turned on for the duration of the call (use B<M0> "
+"to leave it off)."
+msgstr ""
+"다이얼하는 동안 진행 상황을 알리는 스피커를 켜놓는다. (끄려면 B<M0>를 사용한"
+"다)"
+
+#. type: TP
+#: efax.1:477
+#, no-wrap
+msgid "B<L0>"
+msgstr "B<L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80
+msgid "turn monitor speaker volume to minimum (use B<L3> for maximum)."
+msgstr "스피커의 볼륨을 최소로 설정한다. ( 최대는 B<L3>을 사용한다 )"
+
+#. type: TP
+#: efax.1:481
+#, no-wrap
+msgid "B<E0>"
+msgstr "B<E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85
+msgid ""
+"disable echoing of modem commands. See the Resolving Problems section below."
+msgstr "모뎀 명령의 방향을 금지한다. 문제 해결 섹션을 참고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86
+#, no-wrap
+msgid "B<&D2>"
+msgstr "B<&D2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92
+msgid ""
+"returns the modem to command mode when DTR is dropped. The program drops DTR "
+"at the start and end of the call if it can't get a response to a modem "
+"command. You can use B<&D3> to reset the modem when DTR is dropped."
+msgstr ""
+"DTR 신호가 떨어지면 모뎀을 명령 모드로 전환한다. 모뎀 명령으로부터 반응을 얻"
+"지 못하면 프로그램은 다이얼 시작, 종료시 DTR을 떨어뜨린다. DTR이 떨어지면 모"
+"뎀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B<&D3>을 사용할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efax.1:493
+#, no-wrap
+msgid "B<S7=120>"
+msgstr "B<S7=12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499
+msgid ""
+"wait up to two minutes (120 seconds) for carrier. This may be useful if the "
+"answering fax machine takes a long time to start the handshaking operation (e."
+"g. a combined fax/answering machine with a long announcement)."
+msgstr ""
+"캐리어 감지를 위해 2 분 ( 120 초 )까지 기다린다. 수신하는 팩스 머신이 핸드웨"
+"이킹 동작을 시작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한다. (예를 들어 긴 "
+"안내 메세지를 갖는 팩스/자동응답 머신의 경우)"
+
+#. type: SH
+#: efax.1:500
+#, no-wrap
+msgid "CAPABILITIES"
+msgstr "기능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04
+msgid ""
+"The capabilities of the local hardware and software are set using a string of "
+"8 digits separated by commas:"
+msgstr ""
+"지역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의 기능은 콤마로 구분하는 8 개의 숫자로 된 문자열로 "
+"설정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06
+msgid "I<vr>B<,>I<br>B<,>I<wd>B<,>I<ln>B<,>I<df>B<,>I<ec>B<,>I<bf>B<,>I<st>"
+msgstr "I<vr>B<,>I<br>B<,>I<wd>B<,>I<ln>B<,>I<df>B<,>I<ec>B<,>I<bf>B<,>I<s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08
+msgid "where:"
+msgstr "설명은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TP
+#: efax.1:509
+#, no-wrap
+msgid "I<vr > (vertical resolution) ="
+msgstr "I<vr > (수직 해상도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12
+msgid "0 for 98 lines per inch"
+msgstr "0 인치 당 98 행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14
+msgid "1 for 196 lpi"
+msgstr "1 인치 당 196 행 ( 196 lpi )"
+
+#. type: TP
+#: efax.1:515
+#, no-wrap
+msgid "I<br > (bit rate) ="
+msgstr "I<br > (전송률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18
+msgid "0 for 2400 bps"
+msgstr "0 2400 bp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20
+msgid "1 for 4800"
+msgstr "1 4800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22
+msgid "2 for 7200"
+msgstr "2 7200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24
+msgid "3 for 9600"
+msgstr "3 9600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26
+msgid "4 for 12000 (V.17)"
+msgstr "4 12000 (V.17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28
+msgid "5 for 14400 (V.17)"
+msgstr "5 14400 (V.17)"
+
+#. type: TP
+#: efax.1:529
+#, no-wrap
+msgid "I<wd > (width) ="
+msgstr "I<wd > (폭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32
+msgid "0 for 8.5\" (21.5 cm) page width"
+msgstr "0 페이지 폭 8.5 인치 (8.5\") (21.5 cm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34
+msgid "1 for 10\" (25.5 cm)"
+msgstr "1 10\" (25.5 cm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36
+msgid "2 for 12\" (30.3 cm)"
+msgstr "2 12\" (30.3 cm)"
+
+#. type: TP
+#: efax.1:537
+#, no-wrap
+msgid "I<ln > (length) ="
+msgstr "I<ln > (길이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40
+msgid "0 for 11\" (A4: 29.7 cm) page length"
+msgstr "0 페이지 길이 11\" (A4: 29.7 cm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42
+msgid "1 for 14\" (B4: 36.4 cm)"
+msgstr "1 14\" (B4: 36.4 cm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44
+msgid "2 for unlimited page length"
+msgstr "2 페이지 길이 제한 없음"
+
+#. type: TP
+#: efax.1:545
+#, no-wrap
+msgid "I<df > (data format) ="
+msgstr "I<df > (자료 형식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48
+msgid "0 for 1-D coding"
+msgstr "0 1-D 코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50
+msgid "1 for 2-D coding (not supported)"
+msgstr "1 2-D 코딩 (아직 지원하지 않음)"
+
+#. type: TP
+#: efax.1:551
+#, no-wrap
+msgid "I<ec > (error correction) ="
+msgstr "I<ec > (에러 검증) ="
+
+#. .br
+#. 1 for EC mode with 64 byte frames (not supported)
+#. .br
+#. 2 for EC mode with 256 byte frames (not supported)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58
+msgid "0 for no error correction"
+msgstr "0 에러 검증 없음"
+
+#. type: TP
+#: efax.1:559
+#, no-wrap
+msgid "I<bf > (binary file) ="
+msgstr "I<bf > (바이너리 화일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62
+msgid "0 for no binary file transfer"
+msgstr "0 바이너리 화일 전송 아님"
+
+#. type: TP
+#: efax.1:563
+#, no-wrap
+msgid "I<st > (minimum scan time) ="
+msgstr "I<st > (최소 스캔 시간) =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66
+msgid "0 for zero delay per line"
+msgstr "0 행 간 지연시간 없음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68
+msgid "1 for 5 ms per line"
+msgstr "1 5 m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70
+msgid "3 for 10 ms per line"
+msgstr "3 10 m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72
+msgid "5 for 20 ms per line"
+msgstr "5 20 m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74
+msgid "7 for 40 ms per line"
+msgstr "7 40 m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77
+msgid "It is important that the proper capability string be specified."
+msgstr "적절한 기능 문자열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81
+msgid ""
+"When I<receiving> a fax the I<vr>, I<wd>, I<ln> and fields of the capability "
+"string should be set to the maximum values that your display software "
+"supports."
+msgstr ""
+"팩스를 I<수신>할 때는 I<vr>, I<wd>, I<ln> 과 기능 문자열 필드를 여러분의 디스"
+"플레이 소프트웨어가 지원하는 최대치로 놓아야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85
+msgid ""
+"When I<sending> a fax efax will determine I<vr> from the image file header "
+"and the I<wd> and I<ln> and fields should show the format of the image files."
+msgstr ""
+"팩스를 I<송신>할 때는 efax가 이미지 화일 헤더로부터 I<vr>를 결정하고 I<wd>과 "
+"I<ln> 필드는 이미지 화일의 포맷을 보여줘야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592
+msgid ""
+"If the receiving fax machine does not support high resolution (I<vr>=1) mode, "
+"efax will reduce the resolution by combining pairs of scan lines. If the "
+"receiving fax machine does not support the image's width then efax will "
+"truncate or pad as required. Most fax machines can receive I<ln> up to 2. "
+"Few machines support values of I<wd> other than 0."
+msgstr ""
+"수신 팩스 머신이 고해상도를 지원하지 않으면(I<vr>=1) efax는 스캔 라인을 합쳐 "
+"해상도를 줄인다. 수신 팩스 머신이 이미지 폭을 지원하지 않으면 알맞게 크기를 "
+"채우거나 잘라낸다. 대부분의 팩스 머신은 I<ln>를 2 까지 지원한다. I<wd>값이 "
+"0 아닌 값을 지원하는 팩스는 거의 없다."
+
+#. type: SH
+#: efax.1:594
+#, no-wrap
+msgid "HEADERS"
+msgstr "헤더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00
+msgid ""
+"efax adds blank scan lines at the top of each image when it is sent. This "
+"allows room for the page header but increases the length of the image (by "
+"default about 0.1\" or 2.5mm of blank space is added)."
+msgstr ""
+"efax는 전송 시 각 이미지의 위에 빈 스캔 줄을 추가한다. 이 부분은 페이지 헤더"
+"를 위한 공간이지만 이미지의 크기를 늘리게 된다. ( 기본값으로 약 0.1 인치 또는 "
+"2.5 mm의 빈 줄이 추가된다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05
+msgid ""
+"A header is printed in the first scan lines at the top of the page. It "
+"typically includes the date and time the sender and recipient ID and the page "
+"number and count. Headers cannot be disabled but the header string can be "
+"set to blanks."
+msgstr ""
+"헤더는 페이지 꼭대기의 처음 스캔 줄에 찍힌다. 보통 날짜, 시간, 송신인, 수신"
+"인 ID, 페이지 번호와 장수를 포함한다. 헤더를 없앨 수는 없고 빈 줄로 할 수 있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08
+msgid ""
+"The default font for generating the headers is the built-in 8x16 pixel font "
+"scaled to 12x24 pixesl (about 9 point size)."
+msgstr ""
+"헤더를 생성하는 기본 폰트는 12x24 픽셀로 조정되는 내장 8x16 픽셀 폰트이다. "
+"( 약 9 포인트 크기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13
+msgid ""
+"Note that both efax and efix have -f options to specify the font. efIx uses "
+"the font to generate text when doing text-to-fax conversions (during \"fax "
+"make\") while efAx uses the font to generate the header (during \"fax send\")."
+msgstr ""
+"efax와 efix는 폰트를 지정하는 -f 옵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. efIx는 "
+"텍스트-팩스 전환 시 텍스트 출력을 위해 폰트를 사용한다. ( \"팩스 생성\" 과정) "
+"반면 efAx는 헤더 출력을 위해 사용한다. ( \"팩스 전송\" 과정 )"
+
+#. type: SH
+#: efax.1:614
+#, no-wrap
+msgid "SESSION LOG"
+msgstr "세션 기록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21
+msgid ""
+"A session log is written to the standard error stream. This log gives status "
+"and error messages from the program as selected by the B<-v> option. A time "
+"stamp showing the full time or just minutes and seconds is printed before "
+"each message. Times printed along with modem responses also show "
+"milliseconds."
+msgstr ""
+"세션 기록은 표춘 에러에 쓰여진다. 그 화면은 B<-v> 옵션으로 선택된 프로그램의 "
+"메세지이다. 총 소요시간과 분, 초가 각 메세지 앞에 출력된다. 모뎀 반응과 함"
+"께 출력되는 시간은 밀리초 단위이다."
+
+#. type: SH
+#: efax.1:622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S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25
+msgid "The program returns an error code as follows:"
+msgstr "다음과 같은 에러 코드를 반환한다:"
+
+#. type: TP
+#: efax.1:626
+#, no-wrap
+msgid "0"
+msgstr "0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29
+msgid "The fax was successfully sent or received."
+msgstr "팩스가 성공적으로 송신되거나 수신되었음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30
+#, no-wrap
+msgid "1"
+msgstr "1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34
+msgid ""
+"The dialed number was busy or the modem device was in use. Try again later."
+msgstr "통화 중이거나 모뎀 장치가 사용 중이다. 좀 있다가 다시 시도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35
+#, no-wrap
+msgid "2"
+msgstr "2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39
+msgid ""
+"Something failed (e.g. file not found or disk full). Don't retry. Check the "
+"session log for more details."
+msgstr ""
+"무엇인가 실패함( 예. 화일이 없거나 디스크가 다 참 ) 재시도하지 말라. 자세한 "
+"것은 세션 기록을 점검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40
+#, no-wrap
+msgid "3 "
+msgstr "3 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46
+msgid ""
+"Modem protocol error. The program did not receive the expected response from "
+"the modem. The modem may not have been properly initialized, the correct B<-"
+"o> options were not used, or a bug report may be in order. Check the session "
+"log for more details."
+msgstr ""
+"모뎀 프로토콜 에러. 프로그램이 모뎀으로부터 기대하던 반응을 얻을 수 없었음. "
+"모뎀이 제대로 초기화되지 않았거나 B<-o>이 올바로 사용되지 않았거나 또는 버그 "
+"보고가 작동 중이다. 자세한 것은 세션 기록을 참고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47
+#, no-wrap
+msgid "4"
+msgstr "4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52
+msgid ""
+"The modem is not responding. Operator attention is required. Check that the "
+"modem is turned on and connected to the correct port."
+msgstr ""
+"모뎀이 반응하지 않음. 점검하라. 모뎀이 켜져 있는지 알맞는 포트에 연결되어 있"
+"는지 점검하라."
+
+#. type: TP
+#: efax.1:653
+#, no-wrap
+msgid "5"
+msgstr "5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56
+msgid "The program was terminated by a signal."
+msgstr "프로그램이 시그널을 받아 종료함."
+
+#. type: SH
+#: efax.1:657
+#, no-wrap
+msgid "EXAMPLES"
+msgstr "예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60
+msgid "B<Creating fax (G3) files>"
+msgstr "B<팩스 (G3) 화일 만들기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65
+msgid ""
+"The efix program can be used to convert text-only files to TIFF-G3 format. "
+"For example, the following command will convert the text file B<letter> to "
+"the files B<letter.001>, B<letter.002>, etc,:"
+msgstr ""
+"텍스트 화일을 TIFF-G3 형식으로 변환할 때는 efix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. 예"
+"를 들어 다음 명령은 B<letter>라는 텍스트 화일을 B<letter.001>, B<letter.002> "
+"등의 화일로 변환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70
+#, no-wrap
+msgid "CW<efix -nletter.%03d E<lt>letter>\n"
+msgstr "CW<efix -nletter.%03d E<lt>letter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76
+msgid ""
+"The efix program can also insert bitmaps in images to create letterhead, "
+"signatures, etc."
+msgstr ""
+"efix 프로그램은 서두나 서명 등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미지에 비트맵을 삽입할 수 "
+"있도록 해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79
+msgid ""
+"Ghostscript's B<tiffg3> driver can generate fax files in TIFF-G3 format from "
+"postscript files. For example, the command:"
+msgstr ""
+"고스트스크립트의 B<tiffg3> 드라이버를 가지고 포스트스크립트 화일로부터 TIFF-"
+"G3 형식의 팩스 화일을 만들 수 있다.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85
+#, no-wrap
+msgid ""
+"CW<gs -q -sDEVICE=tiffg3 -dNOPAUSE \\e\n"
+"\t-sOutputFile=letter.%03d letter.ps E<lt>/dev/null>\n"
+msgstr ""
+"CW<gs -q -sDEVICE=tiffg3 -dNOPAUSE \\e\n"
+"\t-sOutputFile=letter.%03d letter.ps E<lt>/dev/null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93
+msgid ""
+"will convert the Postscript file B<letter.ps> into high-resolution (I<vr>=1) "
+"G3 fax image files B<letter.001, letter.002,> ..."
+msgstr ""
+"B<letter.ps> 라는 포스트스크립트 화일을 고해상도(I<vr>=1) G3 팩스 이미지 화일 "
+"B<letter.001, letter.002,> ... 로 변환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698
+msgid ""
+"The images should have margins of at least 1/2 inch (1 cm) since the fax "
+"standard only requires that fax machines print a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"
+"196.6mm (7.7 inches) wide by 281.5mm (11.1 inches) high."
+msgstr ""
+"이미지는 최소한 1/2 인치( 1 cm )의 테두리를 가져야 하는데 팩스 표준에서는 폭 "
+"196.6 mm, 높이 281.5 mm ( 폭 7.7 인치, 높이 11.1 인치 )의 중앙부를 출력하기 때"
+"문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00
+msgid "B<Printing fax files>"
+msgstr "B<팩스 화일 출력하기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04
+msgid ""
+"For printing on HP-PCL printers or Postscript devices you can use the efix "
+"program. For example, to print the received fax on a Postscript printer at "
+"300 dpi use the command:"
+msgstr ""
+"HP-PCL 프린터 또는 포스트스크립트 장치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efix를 사용한다. "
+"예를 들어 수신된 팩스를 300 dpi로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에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"
+"이 명령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09
+#, no-wrap
+msgid "CW<efix -ops -r300 -s1.5 E<lt>reply.001 | lpr>\n"
+msgstr "CW<efix -ops -r300 -s1.5 E<lt>reply.001 | lpr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17
+msgid ""
+"The Portable Bit Map (pbm) suite can also be used to convert between to many "
+"other image formats. For example, a received image file, B<reply.001>, may "
+"be printed on an HP Laserjet (at approximately 2/3 size) by using the command:"
+msgstr ""
+"수많은 이미지 형식 간의 변환을 위해서는 Portable Bit Map (pbm) 꾸러미를 사용하"
+"기도 한다. 예를 들어 수신된 이미지, B<reply.001> 을 약 2/3 크기로 HP 레이져젯"
+"에서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22
+#, no-wrap
+msgid "CW<efix -opbm reply.001 | pbmtolj -resolution 300 | lpr>\n"
+msgstr "CW<efix -opbm reply.001 | pbmtolj -resolution 300 | lpr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27
+msgid "B<Sending fax files>"
+msgstr "B<팩스 화일 보내기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32
+msgid ""
+"The following command will dial the number 222-2222 using tone dialing and "
+"send a two-page fax from the TIFF/G3 files letter.001 and letter.002 using "
+"the Class 1 fax modem connected to device /dev/ttyS1."
+msgstr ""
+"다음 예는 톤 다이얼링으로 222-2222에 전화를 걸고 TIFF/G3 화일 letter.001과 "
+"letter.002, 2 페이지를 /dev/cua1 장치에 연결된 클래스 1 팩스모뎀을 통해 팩스 "
+"전송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38
+#, no-wrap
+msgid ""
+"CW<efax -d /dev/ttyS1 -o1 \\e\n"
+" -t T222-2222 letter.001 letter.002>\n"
+msgstr ""
+"CW<efax -d /dev/ttyS1 -o1 \\e\n"
+" -t T222-2222 letter.001 letter.002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43
+msgid "B<Manual answer>"
+msgstr "B<수동 수신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47
+msgid ""
+"You can use efax to answer the phone immediately and start fax reception. "
+"Use this mode if you need to answer calls manually to see if they are fax or "
+"voice."
+msgstr ""
+"efax로 하여금 즉시 전화를 받고 팩스 수신을 하도록 할 수 있다. 팩스인지 음성인"
+"지 수동으로 답신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54
+msgid ""
+"For example, the following command will make the Class 2 fax modem on device "
+"B</dev/ttyS1> answer the phone and attempt to receive a fax. The received "
+"fax will be stored in the files B<reply.001>, B<reply.002>, and so on. The "
+"modem will identify itself as \"555 1212\" and receive faxes at high or low "
+"resolution (I<vr>=1), at up to 14.4 kbps (I<br>=5)."
+msgstr ""
+"예를 들어 다음 명령은 B</dev/ttyS1> 장치에 연결된 클래스 2 팩스 모뎀으로 하여"
+"금 전화를 받고 팩스를 수신하도록 한다. 수신된 팩스는 B<reply.001>, "
+"B<reply.002>, ... 등의 화일명으로 저장된다. 모뎀은 자기 자신을 \"555 1212\" "
+"라고 알리며 14.4 kbps (I<br>=5)로 고 또는 저해상도로 팩스를 수신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60
+#, no-wrap
+msgid ""
+"CW<efax -d /dev/ttyS1 -or -l \"555 1212\" \\e\n"
+" -c 1,5 -r reply>\n"
+msgstr ""
+"CW<efax -d /dev/ttyS1 -or -l \"555 1212\" \\e\n"
+" -c 1,5 -r reply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65
+msgid "B<Automatic answer>"
+msgstr "B<자동 수신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73
+msgid ""
+"The B<-w> option makes efax wait for characters to become available from the "
+"modem (indicating an incoming call) before starting fax reception. Use the "
+"B<-w> option and a B<-i>S0=I<n> option to answer the phone after I<n> rings. "
+"The example below will make the modem answer incoming calls in fax mode on "
+"the fourth ring and save the received faxes using files names corresponding "
+"to the reception date and time."
+msgstr ""
+"B<-w> 옵션은 팩스 수신을 시작하기 전에 모뎀으로부터 문자가 전달되기를 기다리"
+"게 만든다( 즉 팩스 송신이 오는 상태 ) I<n> 회 전화벨이 울리고 나서 통화에 응하"
+"려면 B<-w> 옵션과 B<-i>S0=I<n> 옵션을 사용하라. 다음 예는 4 번 벨이 울리면 팩"
+"스 모드에서 전화를 받도록 하며 수신된 팩스를 수신 날짜와 시간에 맞는 화일명으"
+"로 저장하게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78
+#, no-wrap
+msgid "CW<efax -d /dev/ttyb -or -w -iS0=4 2E<gt>&1 E<gt>E<gt> fax.in.log>\n"
+msgstr "CW<efax -d /dev/ttyb -or -w -iS0=4 2E<gt>&1 E<gt>E<gt> fax.in.log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83
+msgid "B<Sharing the modem with outgoing calls>"
+msgstr "B<모뎀을 전화걸기와 함께 사용하기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86
+msgid ""
+"The modem device can be shared by programs that use the UUCP device locking "
+"protocol (kermit, uucico, efax, cu, etc.)."
+msgstr ""
+"모뎀 장치는 UUCP 장치 잠금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사이에 공유될 수 있"
+"다. ( 커밋, uucico, efax, cu 등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92
+msgid ""
+"efax will lock the modem device before opening it if one or more UUCP lock "
+"file names are given with B<-x> options. The lock file names are typically /"
+"usr/spool/uucp/LCK..I<dev> where I<dev> is the name of the device file in "
+"the /dev directory that is to be locked."
+msgstr ""
+"efax는 B<-x> 옵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UUCP 잠금 화일명이 주어지면 모뎀 장치를 "
+"열기 전에 모뎀을 잠근다. 잠금 화일명은 보통 /usr/spool/uucp/LCK..I<dev>인데 "
+"I<dev>은 잠그고자 하는 /dev 디렉토리 장치화일명이다. ( 역자 주 : 리눅스에서"
+"는 /var/spool/uucp/LCK..I<dev>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796
+msgid ""
+"If the B<-s> (share) option is used, the lock file is removed while waiting "
+"for incoming calls so other programs can use the same device."
+msgstr ""
+"B<-s> (공유) 옵션이 사용되면 다른 프로그램이 그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화를 "
+"기다리는 동안은 잠금 화일을 지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02
+msgid ""
+"If efax detects another program using the modem while it is waiting to "
+"receive a fax, efax exits with a termination code of 1. A subsequent efax "
+"process using this device will wait until the other program is finished "
+"before re-initializing the modem and starting to wait for incoming calls "
+"again."
+msgstr ""
+"efax는 팩스를 기다리는 동안 다른 프로그램이 모뎀이 사용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종"
+"료 코드값을 1을 가지고 종료한다. 그 다음 efax 프로세스는 모뎀을 초기화하고 다"
+"시 팩스를 기다리기 시작하기 전에 다른 프로그램이 종료하기를 기다린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08
+msgid ""
+"Programs that try to lock the modem device by using device locking facilities "
+"other than UUCP lock files not be able to use this arbitration mechanism "
+"because the device will still be open to the efax process. In this case you "
+"will need to kill the efax process (e.g. \"fax stop\") before starting the "
+"other program."
+msgstr ""
+"UUCP 잠금 화일이 아닌 다른 방식의 장치 잠금 기법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이러한 "
+"무작위 방식을 이용할 수 없다. 왜냐하면 그 장치는 efax에게 그대로 열릴 수 있"
+"기 때문이다. 이런 경우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에 앞서 efax 프로세스를 죽여"
+"야 한다. ( 즉 \"팩스 종료\" 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17
+msgid ""
+"When efax is waiting for a fax it leaves the modem ready to receive in fax "
+"mode but removes the lock file. When a slip or PPP program takes over the "
+"modem port by setting up its own lock file efax cannot send any more commands "
+"to the modem -- not even to reset it. Therefore the other program has to "
+"reset the modem back to data mode when it starts up. To do this add a modem "
+"reset command (send ATZ expect OK) to the beginning of your slip or PPP chat "
+"script."
+msgstr ""
+"efax가 팩스를 기다리는 동안 모뎀은 팩스 모드에서 수신 대기하도록 해두면서 잠"
+"금 화일을 제거한다. SLIP이나 PPP 프로그램이 자신의 잠금화일을 설정하면서 모"
+"뎀 포트를 차지하면 efax는 더 이상 모뎀에 명령을 보낼 수 없다. 물론 재설정도 "
+"불가능하다. 다라서 다른 프로그램들은 시작시 자료 모드로 돌아가기 위해 모뎀을 "
+"재설정해야 한다. 여러분의 SLIP, PPP 채트 스크립트 앞에 재설정 명령을 추가하"
+"라. (send ATZ expect OK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19
+msgid "B<Accepting both fax and data calls>"
+msgstr "B<팩스와 데이터 요청을 받아들이기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24
+msgid ""
+"Many modems have an adaptive data/fax answer mode that can be enabled using "
+"the B<-j+FAE=1> (for Class 1) or B<-jFAA=1> (for Class 2[.0]) initialization "
+"string. The type of call (data or fax) can then be deduced from the modem's "
+"responses."
+msgstr ""
+"많은 모뎀들은 B<-j+FAE=1> ( 클래스 1 의 경우 ) 또는 B<-jFAA=1> ( 클래스 2.[0]"
+"의 경우 ) 초기화 문자열을 사용함으로써 자동 데이터/팩스 응답 모드를 가질 수 있"
+"다. 이런 응답 기능 ( 데이터 또는 팩스 )은 모뎀의 반응을 보고 알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33
+msgid ""
+"Some modems have limited adaptive answer features (e.g. only working properly "
+"at certain baud rates or only in Class 2) or none at all. In this case use "
+"the initialization string B<-i+FCLASS=0> to answer in data mode first and the "
+"B<-oa> option to then hang up and try again in fax mode if the first answer "
+"attempt was not successful. This method only works if your telephone system "
+"waits a few seconds after you hang up before disconnecting incoming calls."
+msgstr ""
+"몇몇 모뎀들은 제한된 자동 응답 기능( 예. 특정 보드율에서만 작동하거나 클래스 "
+"2 모드에서만 작동 )을 갖거나 아예 갖고 있지 않다. 이 경우 우선 데이타 모드로 "
+"응답하기 위하여 B<-i+FCLASS=0> 초기화 문자열을 사용하고 첫번째 시도가 실패하"
+"면 끊기를 위해 B<-oa>를 사용한 후 다시 팩스 모드를 시도한다. 이 방법은 여러분"
+"의 전화 시스템이 걸려오는 전화를 끊기 전에 여러분이 끊기를 시도한 후 몇 초 기"
+"다리는 경우에만 될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43
+msgid ""
+"If the B<-g> option is used the option's argument will be run as a shell "
+"command when an incoming data call is detected. Typically this command will "
+"exec B<getty>(8). This program should expect to find the modem already off-"
+"hook and a lock file present so it should not try to hang up the line or "
+"create a lock file. Note that the modem should be set up to report the DCE-"
+"DTE (modem-computer, e.g. CONNECT 38400) speed, not the DCE-DCE (modem-modem, "
+"e.g. CONNECT 14400) speed. For many modems the initialization option -iW0 "
+"will set this."
+msgstr ""
+"B<-g> 옵션이 사용되면 옵션 인수가 데이터 접속 요청이 감지되었을 때 쉘 명령으"
+"로 실행될 것이다. 보통 이 명령은 B<getty>(8)를 실행한다. 이 프로그램은 회선 "
+"끊기를 행하거나 잠금 화일을 만들지 않도록 모뎀이 이미 받기 상태이며 잠금 화일"
+"이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. 주의할 것은 모뎀이 DCE-DCE ( 모뎀-모"
+"뎀, 예를 들어 CONNECT 14400 )속도를 보고하지 않고 DCE-DTE (모뎀-컴퓨터, 예를 "
+"들어 CONNECT 38400 ) 속도를 보고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. 많은 모뎀의 경"
+"우 -iW0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54
+#, fuzzy
+msgid ""
+"The following command will make efax answer incoming calls on B</dev/ttyS1> "
+"on the second ring. This device will be locked using two different lock "
+"files but these lock files will be removed while waiting for incoming calls "
+"(B<-s>). If a data call is detected, the B<getty> program will be run to "
+"initialize the terminal driver and start a B<login>(1) process. Received "
+"fax files will be stored using names like B<Dec02-12.32.33.001>, in the B</"
+"usr/spool/fax/incoming> directory and the log file will be appended to B</usr/"
+"spool/fax/faxlog.ttyS1>."
+msgstr ""
+"다음 명령은 efax로 하여금 두번째 벨이 울리면 B</dev/cua1>으로 걸려온 전화에 응"
+"답하도록 한다. 이 장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장치 화일로 잠겨질 것이지만 B</"
+"dev/cua1> on the second ring. This device will be locked using two different "
+"lock files but these lock files will be removed while waiting for incoming "
+"calls (B<-s>). If a data call is detected, the B<getty> program will be run "
+"to initialize the terminal driver and start a B<login>(1) process. Received "
+"fax files will be stored using names like B<Dec02-12.32.33.001>, in the B</"
+"usr/spool/fax/incoming> directory and the log file will be appended to B</usr/"
+"spool/fax/faxlog.cua1>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65
+#, no-wrap
+msgid ""
+"CW<efax -d /dev/ttyS1 -j '+FAA=1' \\e\n"
+" -x /usr/spool/uucp/LCK..cua1 \\e\n"
+" -x /usr/spool/uucp/LCK..ttyS1 \\e\n"
+" -g \"exec /sbin/getty -h /dev/ttyS1 %d\" \\e\n"
+" -iS0=2 -w -s \\e\n"
+" -r \"/usr/spool/fax/incoming/%b%d-%H.%I.%S\" \\e\n"
+" E<gt>E<gt> /usr/spool/fax/faxlog.ttyS1 2E<gt>&1>\n"
+msgstr ""
+"CW<efax -d /dev/ttyS1 -j '+FAA=1' \\e\n"
+" -x /usr/spool/uucp/LCK..cua1 \\e\n"
+" -x /usr/spool/uucp/LCK..ttyS1 \\e\n"
+" -g \"exec /sbin/getty -h /dev/ttyS1 %d\" \\e\n"
+" -iS0=2 -w -s \\e\n"
+" -r \"/usr/spool/fax/incoming/%b%d-%H.%I.%S\" \\e\n"
+" E<gt>E<gt> /usr/spool/fax/faxlog.ttyS1 2E<gt>&1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82
+msgid ""
+"Note that adaptive answer of either type will not work for all callers. For "
+"some data calls the duration of the initial data-mode answer may be too short "
+"for the initial handshaking to complete. In other cases this duration may be "
+"so long that incoming fax calls will time out before efax switches to fax "
+"mode. In addition, some calling fax modems mistake data-mode answering tones "
+"for fax signaling tones and initiate fax negotiation too soon. If you use "
+"software adaptive answer you can reduce the value of the initial data-mode "
+"answer (set by TO_DATAF in efax.c) to get more reliable fax handshaking or "
+"increase it for more reliable data handshaking. However, if you need to "
+"provide reliable fax and data service to all callers you should use separate "
+"phone numbers for the two types of call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889
+msgid ""
+"When a call is answered the modem goes on-line with the computer-to-modem "
+"baud rate fixed at the speed used for the most recent AT command. When efax "
+"is waiting for a fax or data call it sets the interface speed to 19200 bps "
+"since this is the speed required for fax operation. This prevents full use "
+"of 28.8kbps modem capabiliti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891
+#, no-wrap
+msgid "USING INIT TO RUN EFAX"
+msgstr "init를 사용하여 efax 실행하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00
+msgid ""
+"efax can answer all incoming calls if you place an entry for efax in B</etc/"
+"inittab> (for SysV-like systems) or B</etc/ttytab> (for BSD-like systems). "
+"The B<init>(8) process will run a new copy of efax when the system boots up "
+"and whenever the previous process terminates. The inittab or ttytab entry "
+"should invoke efax by running the B<fax> script with an B<answer> argumen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05
+msgid ""
+"For example, placing the following line in B</etc/inittab> (and running "
+"\"kill -1 1\") will make init run the B<fax> script with argument B<answer> "
+"every time previous process terminates (and B<init> is in runlevel 4 or 5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10
+#, no-wrap
+msgid "CW<s1:45:respawn:/bin/sh /usr/bin/fax answer>\n"
+msgstr "CW<s1:45:respawn:/bin/sh /usr/bin/fax answer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16
+msgid ""
+"For BSD-like systems, a line such as the following in B</etc/ttytab> will "
+"have the same effect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21
+#, no-wrap
+msgid "CW<ttya \"/usr/local/bin/fax answer\" unknown off>\n"
+msgstr "CW<ttya \"/usr/local/bin/fax answer\" unknown off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30
+msgid ""
+"You should protect the fax script and configuration files against tampering "
+"since init will execute them as a privileged (root) process. If you will be "
+"allowing data calls via getty and login you should ensure that your system is "
+"reasonably secure (e.g. that all user id's have secure passwords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42
+msgid ""
+"If efax exec()'s getty properly but you get a garbled login prompt then there "
+"is probably a mismatch between the two ends of the serial link between the "
+"modem and the computer. First, check the efax log file to make sure the "
+"modem's CONNECT response reported the serial port speed (e.g. 19200), B<not> "
+"the modem-modem speed (e.g. 14400). Next, check the getty options and/or "
+"configuration files (e.g. /etc/gettydefs) for that particular baud rate. "
+"Then run getty manually with the same arguments and verify the port settings "
+"using ``stty E<lt>/dev/XXX''. Note that you'll probably want to enable "
+"hardware flow control for data connections (-h for agetty, CRTSCTS for "
+"getty_ps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47
+msgid ""
+"A few programs won't work properly when efax is set up to answer calls "
+"because they don't create lock files. You can put the shell script "
+"``wrapper'' below around such programs to make them work properly. Change "
+"BIN and LOCKF to sui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63
+#, no-wrap
+msgid ""
+"CW<#!/bin/sh\n"
+"BIN=/bin/badprogram\n"
+"LOCKF=/var/spool/uucp/LCK..ttyS1\n"
+"if [ -f $LOCKF ]\n"
+"then\n"
+" echo lock file $LOCKF exists\n"
+" exit 1\n"
+"else\n"
+" printf \"%10d\\n\" $$ E<gt>$LOCKF\n"
+" $BIN $*\n"
+" rm $LOCKF\n"
+"fi>\n"
+msgstr ""
+"CW<#!/bin/sh\n"
+"BIN=/bin/badprogram\n"
+"LOCKF=/var/spool/uucp/LCK..ttyS1\n"
+"if [ -f $LOCKF ]\n"
+"then\n"
+" echo lock file $LOCKF exists\n"
+" exit 1\n"
+"else\n"
+" printf \"%10d\\n\" $$ E<gt>$LOCKF\n"
+" $BIN $*\n"
+" rm $LOCKF\n"
+"fi>\n"
+
+#. type: SH
+#: efax.1:968
+#, no-wrap
+msgid "SENDING FAXES USING THE PRINT SPOOLER"
+msgstr "프린터 스풀러를 통하여 팩스 보내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77
+msgid ""
+"You can add a \"fax\" printer to the lpr print spooler that will fax out a "
+"document using efax instead of printing it. This allows a network server "
+"running efax to send faxes on behalf of other machines, including non-Unix "
+"clients. In the following steps use the directories specified in the fax "
+"script if they are different than /usr/bin and /var/spool/fax (FAXDIR). To "
+"set up a fax printer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81
+msgid ""
+"(1) Create a link to the fax script called ``faxlpr'' so the fax script can "
+"determine when it is being invoked from the print spooler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84
+msgid "CW<ln -s /usr/bin/fax /usr/bin/faxlpr>"
+msgstr "CW<ln -s /usr/bin/fax /usr/bin/faxlp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88
+msgid "(2) Edit /etc/printcap and add an entry such a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993
+#, no-wrap
+msgid "CW<fax:lp=/dev/null:sd=/var/spool/fax:if=/usr/bin/faxlpr>\n"
+msgstr "CW<fax:lp=/dev/null:sd=/var/spool/fax:if=/usr/bin/faxlpr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00
+msgid ""
+"to define a printer called \"fax\". Print files will be spooled to the /var/"
+"spool/fax (sd=) directory and then piped to the /usr/bin/faxlpr filter (if=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03
+msgid ""
+"(3) Create and/or set the permissions on the fax spool directory. For "
+"example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09
+#, no-wrap
+msgid ""
+"CW<mkdir /var/spool/fax\n"
+"chmod ugo=rwx /var/spool/fax>\n"
+msgstr ""
+"CW<mkdir /var/spool/fax\n"
+"chmod ugo=rwx /var/spool/fax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15
+msgid ""
+"You should now be able to send a fax using the lpr interface by using a "
+"command such a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20
+#, no-wrap
+msgid "CW<lpr -P fax -J \"555 1212\" file.ps>\n"
+msgstr "CW<lpr -P fax -J \"555 1212\" file.ps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26
+msgid ""
+"where the -J option is used to specify the phone number or alias to be dial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35
+msgid ""
+"Note that if more than one file is given on the command line they will be "
+"concatenated before being passed to \"fax send\". TIFF-G3, Postscript or PBM "
+"files must therefore be sent one file at a time although the TIFF and "
+"Postscript file may contain multiple pages. Only multiple I<text> files can "
+"be sent in one command. Page breaks in text files can be marked with form-"
+"feed characters. Files will be converted and sent at the default (high) "
+"resolution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40
+msgid ""
+"You can use lpq(1) to check the fax queue, lprm(1) to remove fax jobs and "
+"lpc(8) to control the spooler. In each case use the -Pfax option to specify "
+"the fax ``printer.'' A log file will be mailed to the user when the fax is "
+"sen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45
+msgid ""
+"You should also be able to send a fax from any networked computer that has "
+"lpr-compatible remote printing software and that allows you to set the job "
+"name (-J option) to an arbitrary string. Such software is available for most "
+"computer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49
+msgid ""
+"See the lpd(8) and printcap(5) man pages for information on the print spooler "
+"and for restricting access by host name (/etc/host.lpd) or by user group (the "
+"`rg' printcap entry)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050
+#, no-wrap
+msgid "RESOLVING PROBLEMS"
+msgstr "문제 해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54
+msgid ""
+"Double check the configuration setup in the first part of the fax scrip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59
+msgid ""
+"Run the \"fax test\" script to check the modem's responses to various "
+"commands. The results will be displayed at the end of the test. Some ERROR "
+"responses from the modem should be expected since most modems don't implement "
+"all the possible command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67
+msgid ""
+"If efax hangs when trying to open the modem device (typically ttyX), the "
+"device is either already in use by another process (e.g. getty) or it "
+"requires the carrier detect line to be true before it can be opened. Many "
+"systems define an alternate device name for the same physical device "
+"(typically ttySX) that can be opened even if carrier is not present or other "
+"programs are already using i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72
+msgid ""
+"If modem responses are being lost or generated at random, another processes "
+"(e.g. getty or an efax auto-answer process) may be trying to use the same "
+"device at the same time. Using lock files (-x options) can often resolve "
+"this problem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81
+msgid ""
+"Check the response to the \"AT+FCLASS=?\" command to make sure your modem "
+"supports the Class (1, 2 or 2.0) that you have selected. If you have a Class "
+"1 modem, check the response to the \"AT+FRM=?\" command to verify the speeds "
+"supported (e.g. a response of \"24,48\" would mean only 2400 and 4800 bps are "
+"supported). For Class 2 modems check the response to the \"AT+FDCC=?\" "
+"command to make sure the modem supports the capabilities you have selected "
+"(see CAPABILITIES above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87
+msgid ""
+"Attempt to send a fax. Check that the modem starts making the calling signal "
+"(CNG, a 0.5 second beep every 3 seconds) as soon as it's finished dialing. "
+"This shows the modem is in fax mode. You may need to use the option -iM2L3 "
+"to monitor the phone line (see the SPKR string in the fax script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093
+msgid ""
+"Listen to the answering fax machine and check that it sends the answering "
+"signal (CED, a 3 second beep) when it answers followed by \"warbling\" sounds "
+"(DIS frames) every 3 seconds. If you hear a continuous signal instead (tones "
+"or noise), then you've connected to a data modem instea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01
+msgid ""
+"Your modem should now send back another warble (DCS frame) immediately "
+"followed by 1.5 seconds of noise (a channel check). If everything is OK, the "
+"receiving end will send another warble (CFR frame) and your modem will start "
+"to send data. If you have an external modem check its LEDs. If flow control "
+"is working properly the modem's send data (SD) LED will turn off periodically "
+"while the fax data is sen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04
+msgid ""
+"When the transmission completes, check the message showing the line count and "
+"the average bit rat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09
+msgid ""
+"Low line counts (under 1000 for a letter size image) or the warning \"fax "
+"output buffer overflow\" when sending indicate that the image data format is "
+"incorrect. Check the file being sent using the \"fax view\" comman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14
+msgid ""
+"If you get the error message ``flow control did not work'' then flow control "
+"was not active. This usually results in a garbled transmission and the "
+"receiving machine may reject the page, abort the call, print a distorted or "
+"blank image and/or hang up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19
+msgid ""
+"Most modems enable XON/XOFF flow control when fax mode is enabled. Check the "
+"output of the fax test command for the flow control settings in fax mode "
+"(typically &K4 or \\eQ1). If they are incorrect you can use -j commands to "
+"enable flow control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26
+msgid ""
+"The warning \"characters received while sending\" or an E<lt>XOFFE<gt> "
+"character appearing after the transmission means that the operating system "
+"ignored the modem's XOFF flow control character. Ensure that you are not "
+"running other programs such as getty or pppd at the same time as efax since "
+"they will turn off xon/xoff flow control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29
+msgid ""
+"If you cannot get flow control to work properly then enable ``virtual flow "
+"control'' with the B<-of> option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32
+msgid ""
+"Check that the remote machine confirms reception with a +FTPS:1 response "
+"(Class 2) or an MCF frame (Class 1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37
+msgid ""
+"For Class 2 modems, the error message \"abnormal call termination (code "
+"I<nn>)\" indicates that the modem detected an error and hung up. The modem's "
+"manual may give an explanation for the error number I<nn>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41
+msgid ""
+"Many companies advertise services that will fax back information on their "
+"products. These can be useful for testing fax reception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45
+msgid ""
+"The message \"run length buffer overflow\" when receiving indicates an error "
+"with the image data format -- make sure you are using the B<-or> option with "
+"Class 2 modem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48
+msgid ""
+"If efax should display the message \"can't happen (E<lt>detailsE<gt>)\" "
+"please send a bug report to the author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55
+msgid ""
+"Finally, don't play \"option bingo,\" if you can't resolve the problem save "
+"the output of the B<fax test> command to a file (e.g. B<fax test E<gt>test."
+"out>) and send it along with a verbose log of the failed session to the "
+"address below. If you don't get a response in a reasonable time try the "
+"mailing list described below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56
+#, no-wrap
+msgid "MAILING LIST"
+msgstr "메일링 리스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63
+msgid ""
+"A mailing list has been set up to support users of efax and related "
+"software. To subscribe, send e-mail to efax-request@renaissoft.com with the "
+"word \"subscribe\" in the subject field. After subscribing you can post to "
+"the mailing list by sending your post to efax@renaissoft.com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64
+#, no-wrap
+msgid "FTP SITE"
+msgstr "FTP 사이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69
+msgid ""
+"Wimsey Information Services provides an anonymous FTP site for efax at "
+"B<ftp://ftp.wimsey.com/pub/efax/>. Bug reports and patches will be posted "
+"here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70
+#, no-wrap
+msgid "RELATED SOFTWARE"
+msgstr "관련 소프트웨어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73
+msgid "For Linux System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80
+msgid ""
+"An independent package, Qfax, uses efax to provide fax services for multiuser "
+"Linux systems through a mail-to-fax gateway. It is available by anonymous "
+"ftp from sunsite.unc.edu as /pub/Linux/apps/comm/fax/qfax1.0.tar.gz. Another "
+"program, g3vga, can be used to provide fax preview with VGA displays. Also "
+"available from sunsite.unc.edu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82
+msgid "For Amiga System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86
+msgid ""
+"A port of an early version of efax for the Amiga is available as a component "
+"of a shareware voice mail package, AVM, distributed by Al Villarica "
+"(rvillari@cat.syr.edu)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87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91
+msgid ""
+"Efax was written by Ed Casas. Please send comments or bug reports to edc@cce."
+"com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92
+#, no-wrap
+msgid "BUG REPORTS"
+msgstr "버그 보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198
+msgid ""
+"Please mention the operating system, the type of the modem used and include a "
+"copy of a verbose session log that demonstrates the problem. Without the "
+"verbose log it's usually impossible to diagnose problems. Please do B<not> "
+"send fax image fil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199
+#, no-wrap
+msgid "ACKNOWLEDGEMENT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04
+msgid ""
+"Many people have helped with the development of efax by providing "
+"encouragement, suggestions, bug reports and fixes, by doing pre-release "
+"testing and by developing related softwar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37
+msgid ""
+"A very incomplete list includes: Michele Bergonzoni, John Conover, Mitchum "
+"DSouza, Bradley Dale, Dirk Eddelbuettel, Debbe Gervin, Juha Heinanen, Jim "
+"Hitzel, Jamie Honan, Michael Huehne, Lester Ingber, Sarantos Kapidakis, Al "
+"Knudson, Ken Land, Ulrich Lauther, Robert J. LeBlanc, Derek Lee, Charles H. "
+"Lindsey, Norm Matloff, Mark Montague, Michele Bergonzoni, Jose' M. Piquer, "
+"Munagala V. S. Ramanath, Markus Regnet, Adam J. Richter, Stewart C. Russel, "
+"Lal Sanjay, Bogdan Urma, Al Villarica, and Brian Whit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40
+msgid ""
+"Yggdrasil and SuSE have provided complementary copies of their Linux CD-"
+"ROMs. Their support is gratefully acknowledged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241
+#, no-wrap
+msgid "COPYRIGHT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45
+msgid ""
+"efax is copyright 1993 -- 1996 Ed Casas. It may be used, copied and modified "
+"under the terms of the GNU Public License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246
+#, no-wrap
+msgid "DISCLAIMER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52
+msgid ""
+"Although B<efax> has been tested it may have errors that will prevent it from "
+"working correctly on your system. Some of these errors may cause serious "
+"problems including loss of data and interruptions to telephone service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253
+#, no-wrap
+msgid "REFERENC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57
+msgid ""
+"Dennis Bodson et. al., \"FAX: Digital Facsimile Technology and "
+"Applications\", Second Edition. Artech House, Boston. 1992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60
+msgid ""
+"CCITT Recommendation T.4, \"Standardization of Group 3 Facsimile Apparatus "
+"for Document Transmission\". 1988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63
+msgid ""
+"CCITT Recommendation T.30, \"Procedures for Document Facsimile Transmission "
+"in the General Switched Telephone Network\". 1988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67
+msgid ""
+"The above CCITT (now ITU-T) standards could be downloaded from gopher://info."
+"itu.ch although this service seems to have been discontinued and it is now "
+"necessary to order printed copie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71
+msgid ""
+"Documentation on Class 1 and Class 2 fax commands as implemented by Rockwell "
+"are available from http://www.tokyo.rockwell.com/ref/reference.html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74
+msgid ""
+"The pbm utilities can be obtained by ftp from wuarchive.wustl.edu in /"
+"graphics/graphics/packages/NetPBM/netpbm-1mar1994.tar.gz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76
+msgid "Ghostscript can be obtained from any GNU archive site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efax.1:127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91
+msgid ""
+"B<fax(1),> B<efix(1),> B<pbm(5),> B<g3topbm(1),> B<gs(1),> B<init(8),> "
+"B<inittab(5),> B<ttytab(5),> B<printcap(5),> B<lpd(8),> B<printf(3),> "
+"B<strftime(3).>"
+msgstr ""
+"B<fax(1),> B<efix(1),> B<pbm(5),> B<g3topbm(1),> B<gs(1),> B<init(8),> "
+"B<inittab(5),> B<ttytab(5),> B<printcap(5),> B<lpd(8),> B<printf(3),> "
+"B<strftime(3).>"
+
+#. type: SH
+#: efax.1:1292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95
+msgid "Can't read TIFF files with more than 1 strip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298
+msgid ""
+"Class 1 operation may fail if the program can't respond to certain data "
+"received from the modem within 55 millisecond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302
+msgid ""
+"May fail if multitasking delays cause the received data to overflow the "
+"computer's serial device buffer or if an under-run of transmit data exceeds 5 "
+"second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304
+msgid "Polling and Class 2.0 are not well test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efax.1:1305
+msgid "Does not support 2-D coding, ECM, or BFT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free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free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bdd53ae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free.1.po
@@ -0,0 +1,165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서성용 <freepooh@nownuri.ne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26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서성용 <freepooh@nownuri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ree.1:4
+#, no-wrap
+msgid "FREE"
+msgstr "FREE"
+
+#. type: TH
+#: free.1:4
+#, no-wrap
+msgid "20 Mar 1993 "
+msgstr "1993년 3월 20일"
+
+#. type: TH
+#: free.1:4
+#, no-wrap
+msgid "Cohesive Systems"
+msgstr "Cohesive Systems"
+
+#. type: TH
+#: free.1:4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free.1: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7
+msgid "free - Display amount of free and used memory in the system"
+msgstr "free - 시스템의 빈 메모리와 사용한 메모리의 양을 출력"
+
+#. type: SH
+#: free.1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11
+msgid ""
+"B<free >[B<-b> | B<-k> | B<-m>] [B<-o>] [B<-s> I<delay> ] [B<-t>] [B<-V>]"
+msgstr ""
+"B<free >[B<-b> | B<-k> | B<-m>] [B<-o>] [B<-s> I<delay> ] [B<-t>] [B<-V>]"
+
+#. type: SH
+#: free.1:1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15
+msgid ""
+"B<free> displays the total amount of free and used physical and swap memory "
+"in the system, as well as the shared memory and buffers used by the kernel."
+msgstr ""
+"B<free> 는 시스템의 비어있거나 사용된 물리적인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의 전체 양"
+"을 출력한다. 또한 커널에 의해 사용되는 공유 메모리와 버퍼도 출력한다."
+
+#. type: SS
+#: free.1:15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19
+msgid ""
+"The B<-b> switch displays the amount of memory in bytes; the B<-k> switch "
+"(set by default) displays it in kilobytes; the B<-m> switch displays it in "
+"megabytes."
+msgstr ""
+"B<-b> 스위치는 메모리의 양을 바이트로 표시한다. B<-k> 스위치는(기본값) 킬로바"
+"이트로 표시한다. B<-m> 스위치는 메가바이트로 표시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21
+msgid "The B<-t> switch displays a line containing the totals."
+msgstr "B<-t> 스위치는 총계가 포함된 줄을 출력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25
+msgid ""
+"The B<-o> switch disables the display of a \"buffer adjusted\" line. Unless "
+"specified B<free> subtracts/adds buffer memory from/to the used/free memory "
+"reports (respectively!)."
+msgstr ""
+"B<-o> 스위치는 \"버퍼에 조정된\" 줄의 출력을 비활성화한다. (이것이) 지정되지 "
+"않는한 B<free> 는 사용된/빈 메모리 보고서 에서/로 버퍼 메모리를 뺀다/더한다(개"
+"별적으로!)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30
+msgid ""
+"The B<-s> switch activates continuous polling I<delay> seconds apart. You may "
+"actually specify any floating point number for I<delay>, B<usleep>(3) is "
+"used for microsecond resolution delay times."
+msgstr ""
+"B<-s> 스위치는 I<delay> 초마다 계속해서 출력을 하도록 한다. 실제로 I<delay> "
+"에 어떤 부동 소수점 수도 사용할 수 있다. B<usleep>(3) 은 마이크로세컨드 수준"
+"의 지연 시간에 사용된다.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32
+msgid "The B<-V> displays version information."
+msgstr "B<-V> 는 버전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SH
+#: free.1:32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35
+msgid "I</proc/meminfo> -- memory information"
+msgstr "I</proc/meminfo> -- 메모리 정보"
+
+#. type: SH
+#: free.1:3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40
+msgid "B<ps>(1), B<top>(1)"
+msgstr "B<ps>(1), B<top>(1)"
+
+#. type: SH
+#: free.1:41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43
+msgid "Written by Brian Edmond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ree.1:45
+msgid "Send bug reports to E<lt>procps-bugs@redhat.comE<gt>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ftpcount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ftpcount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2b3c6410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ftpcount.1.po
@@ -0,0 +1,87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count.1:20
+#, no-wrap
+msgid "ftpcount"
+msgstr "ftpcount"
+
+#. type: SH
+#: ftpcount.1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unt.1:23
+#, fuzzy
+msgid ""
+"ftpcount - show current number of connections for each proftpd server "
+"configuration"
+msgstr "ftpcount - 각 class의 현재 user수를 보여준다."
+
+#. type: SH
+#: ftpcount.1:23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문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unt.1:28
+msgid "B<ftpcount> [ B<-V> ]"
+msgstr "B<ftpcount> [ B<-V> ]"
+
+#. type: SH
+#: ftpcount.1:2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unt.1:36
+#, fuzzy
+msgid ""
+"The B<ftpcount> command shows the current number of connections per server "
+"and virtualhost/anonymous configuration defined in the proftpd.conf file. "
+"Connections spawned by inetd are counted separately from those created by a "
+"master proftpd standalone server."
+msgstr ""
+"명령은 ftpaccess file에서 정의된 각 class에 대한 user의 수 또는 제한된 user의 "
+"현재 접속수를 보여준다. B<-V> 옵션은 저작권과 버젼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SH
+#: ftpcount.1:3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unt.1:39
+msgid "B<ftpwho>(1)"
+msgstr "B<ftpwho>(1)"
+
+#. type: SH
+#: ftpcount.1:39
+#, no-wrap
+msgid "역자"
+msgstr "역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unt.1:41
+msgid "김정균 E<lt>admin@oops.orgE<gt> 2000년 8월 4일"
+msgstr "김정균 E<lt>admin@oops.orgE<gt> 2000년 8월 4일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ftpwho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ftpwho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52615fac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ftpwho.1.po
@@ -0,0 +1,85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who.1:20
+#, no-wrap
+msgid "ftpwho"
+msgstr "ftpwho"
+
+#. type: SH
+#: ftpwho.1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who.1:23
+#, fuzzy
+msgid "ftpwho - show current process information for each FTP session"
+msgstr "ftpwho - 각 ftp user에 대한 현재의 process 정보를 보여준다."
+
+#. type: SH
+#: ftpwho.1:23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문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who.1:28
+msgid "B<ftpwho> [ B<-V> ]"
+msgstr "B<ftpwho> [ B<-V> ]"
+
+#. type: SH
+#: ftpwho.1:2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who.1:34
+msgid ""
+"The B<ftpwho> command shows process information for all active proftpd "
+"connections, and a count of all connected users off of each server. Proftpd "
+"sesssions spawned from inetd are counted separately from those created by a "
+"master proftpd I<standalone> server."
+msgstr ""
+"B<ftpwho> 명령은 ftp server에 login 해 있는 각 user들에 대한 현재 process 정보"
+"를 보여준다. B<-V> 옵션은 저작권과 버젼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SH
+#: ftpwho.1:35
+#, no-wrap
+msgid "RESTRICTIONS"
+msgstr "제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who.1:37
+#, fuzzy
+msgid "SETPROCTITLE 없이 compile 한다면 별로 유용하지 못할 것이다."
+msgstr "SETPROCTITLE 없이 compile 한다면 별로 유용하지 못할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ftpwho.1:3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who.1:39
+msgid "B<ftpcount>(1)"
+msgstr "B<ftpcount>(1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man2html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man2html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b9b636f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man2html.1.po
@@ -0,0 +1,663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윤현호 <hhyoon@kldp.org>, 2004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4-03-25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윤현호 <hhyoon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man2html.1:2
+#, no-wrap
+msgid "man2html"
+msgstr "man2html"
+
+#. type: TH
+#: man2html.1:2
+#, no-wrap
+msgid "3 May 1996"
+msgstr "1996년 5월 3일"
+
+#. type: TH
+#: man2html.1:2
+#, no-wrap
+msgid "Michael Hamilton"
+msgstr "Michael Hamilton"
+
+#. type: TH
+#: man2html.1:2
+#, no-wrap
+msgid "Linux"
+msgstr "리눅스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3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5
+msgid "man2html - UNIX Man Page to HTML translator"
+msgstr "man2html - 메뉴얼 페이지를 HTML로 변환한다.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5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7
+msgid "B<man2html> [options] [pagespec]"
+msgstr "B<man2html> [options] [pagespec]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7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0
+#, fuzzy
+msgid ""
+"B<Man2html> is a UNIX Man Page to HTML translator that can be used as a CGI "
+"interface for man page access via httpd daemons."
+msgstr ""
+"B<man2html>은 I<file>로 지정된 (혹은 파일 인자가 주어지지 않았거나 \"-\" 옵션"
+"이 주어지면, 표준 입력으로부터 읽어들인) 메뉴얼 페이지를 man 스타일의 nroff로"
+"부터 HTML을 생성해 결과를 표준 출력에 보여준다. I<tbl> 매크로는 지원하지만, "
+"I<eqn> 매크로는 지원하지 않는다. 종료 상태는 0 이고, 만약 뭔가 잘못되면, 오"
+"류 페이지를 표준 출력에 보여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3
+#, fuzzy
+msgid ""
+"This man2html is more formally called B<VH-Man2html> - Richard Verhoeven's "
+"Man2html modified and packaged by Michael Hamilton."
+msgstr ""
+"B<man2html>의 주요 부분은 Richard Verhoeven E<lt>rcb5@win.tue.nlE<gt>에 의해 "
+"쓰여진 troff-to-html 엔진이다. 이것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하이퍼링크를 추가한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31
+msgid ""
+"B<Man2html> can be used to view man pages using your web browser. "
+"B<Man2html> locates compressed or uncompressed man pages anywhere in the "
+"normal man hierarchy. It translates pages in both the B<man>(7) and "
+"I<mandoc> (BSD) macro styles. It generates html directly from B<troff>(1) "
+"and B<tbl>(1) macro source without the need for tbl/troff/nroff (sorry eqn "
+"isn't supported). It generates links to other man pages, C include files, "
+"include files, and http references. Supporting CGI scripts allow you to "
+"browse HTML B<whatis>(1) subject indexes and name-only indexes. You can "
+"optionally add B<glimpse>(1) (a text indexing package) to do full text "
+"searche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33
+msgid "There are five ways of requesting pages: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34
+#, no-wrap
+msgid "B<man2html>"
+msgstr "B<man2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39
+msgid ""
+"Invoking B<man2html> without parameters causes the starting page to be "
+"presented. You can use the search-able index on the starting page to enter "
+"requests corresponding to following requests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40
+#, no-wrap
+msgid "B<man2html \\ >I<page_name>"
+msgstr "B<man2html \\ >I<page_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48
+msgid ""
+"Invoking B<man2html> with a I<page_name>\" as a parameter will cause it to "
+"search for pages that match the name. If more than one page is located, HTML "
+"for selecting any of the pages will be generated. If a single page is "
+"located, a redirect for full path name will be generated - which effectively "
+"re-invokes man2html with the full referenc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49
+#, no-wrap
+msgid "B<man2html \\ >I<page_name \\ section_number>"
+msgstr "B<man2html \\ >I<page_name \\ section_numbe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53
+msgid ""
+"Similar to the above, but the required section is supplied to limit the "
+"search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53
+#, no-wrap
+msgid "B<man2html -M \\ >I</man_hierarchy_toplevel \\ page_name >"
+msgstr "B<man2html -M \\ >I</man_hierarchy_toplevel \\ page_name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57
+msgid ""
+"Similar to the above but the search is started in a particular man page "
+"hierarchy, for example I</usr/local/man>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58
+#, no-wrap
+msgid "B<man2html \\ >I</full_path_to_page_name>B<.>I<section_number >"
+msgstr "B<man2html \\ >I</full_path_to_page_name>B<.>I<section_number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62
+msgid ""
+"The specified man page is translated. The page may optionally be compressed "
+"with any of the compess utilities defined in I</etc/man.config>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62
+#, no-wrap
+msgid "BROWSING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65
+msgid ""
+"To use these cgi scripts from a Web browser all you have to do is point your "
+"web browser at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67
+#, no-wrap
+msgid " http://localhost/cgi-bin/man2html \n"
+msgstr " http://localhost/cgi-bin/man2html 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71
+msgid ""
+"You can either save this location as a bookmark or use an editor to insert "
+"the following lines into an appropriate place in a top level document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73
+#, no-wrap
+msgid " E<lt>H3E<gt>E<lt>A HREF=\"http://localhost/cgi-bin/man2html\"E<gt>Linux Manual PagesE<lt>/AE<gt>E<lt>/H3E<gt>\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79
+msgid ""
+"The B<netscape-man>(1) script allows you to enter man page requests at the "
+"command line with the output presented in Netscape. If you are already "
+"running netscape, the script will pass the request to the existing browser. "
+"You can can use your shell to alias the name to something shorter if you wish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86
+msgid ""
+"B<Man2html> has been tested with B<netscape>(1) version 2.0 (I recommend "
+"Helvetica fonts) and with B<lynx>(1) (lynx can't do tables). Output for a "
+"large number of pages has been verified with B<weblint>(1). B<Man2html> has "
+"also been tested as a server to other UNIX host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86
+#, no-wrap
+msgid "INSTALLATIO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89
+msgid ""
+"For some of the indexes to work you must generate the necessary database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95
+msgid ""
+"The manwhatis CGI script uses the I</usr/man/whatis> (see B<whatis>(1)) file "
+"to build a man page index. If this job has never been run (perhaps because "
+"you turn your machine off at night when cron might be scheduled to run it), "
+"you can build it by becoming the root user and entering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97
+#, no-wrap
+msgid " /usr/sbin/makewhatis /usr/man /usr/X11R6/man /usr/local/man\n"
+msgstr " /usr/sbin/makewhatis /usr/man /usr/X11R6/man /usr/local/man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02
+msgid ""
+"WARNING: makewhatis on my Caldera 1.0 takes about 30 minutes on my 486DX66. "
+"I have a modified version of makewhatis so that it does exactly the same job "
+"in only 1.5 minutes. My modified version is now available as part of man-1.4g."
+"tar.gz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04
+#, no-wrap
+msgid " ftp://sunsite.unc.edu/pub/Linux/system/Manual-pagers\n"
+msgstr " ftp://sunsite.unc.edu/pub/Linux/system/Manual-pagers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08
+msgid ""
+"To use the Glimpse full text searching, you will need to install glimpse in "
+"I</usr/bin>. The glimpse home ftp site i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10
+#, no-wrap
+msgid " ftp://ftp.cs.arizona.edu/glimpse/\n"
+msgstr " ftp://ftp.cs.arizona.edu/glimpse/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12
+msgid "Redhat rpm users can get glimpse from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14
+#, no-wrap
+msgid " ftp://ftp.redhat.com/pub/non-free/glimpse-3.0-1.i386.rpm\n"
+msgstr " ftp://ftp.redhat.com/pub/non-free/glimpse-3.0-1.i386.rpm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20
+msgid ""
+"N.B. glimpse is not freely redistributable for commercial use. Having "
+"installed glimpse, you will need to build a glimpse index in I</var/cache/"
+"man2html>. This doesn't take too long - about 3 minutes on my 486DX2/66 16MB "
+"machine. As root do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24
+#, no-wrap
+msgid ""
+" /usr/bin/glimpseindex -z -H /var/cache/man2html /usr/man/man* /usr/X11R6/man/man* /usr/local/man/man* /opt/man/man*\n"
+" chmod ugo+r /var/cache/man2html/.glimpse*\n"
+msgstr ""
+" /usr/bin/glimpseindex -z -H /var/cache/man2html /usr/man/man* /usr/X11R6/man/man* /usr/local/man/man* /opt/man/man*\n"
+" chmod ugo+r /var/cache/man2html/.glimpse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29
+msgid ""
+"The -z option causes glimpse to apply any filters (for decompression etc) "
+"specified in I</var/cache/man2html/.glimpse_filters>. This could be set up "
+"as a cron job in I</etc/crontab>, e.g. (the following must be all on one "
+"line)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33
+#, no-wrap
+msgid ""
+" 21 04 * * 1 root /usr/bin/glimpseindex -H /var/cache/man2html /usr/man/man* \n"
+" /usr/X11R6/man/man* /usr/local/man/man* /opt/man/man* ;\n"
+" chmod +r /var/cache/man2html/.glimpse*\n"
+msgstr ""
+" 21 04 * * 1 root /usr/bin/glimpseindex -H /var/cache/man2html /usr/man/man* \n"
+" /usr/X11R6/man/man* /usr/local/man/man* /opt/man/man* ;\n"
+" chmod +r /var/cache/man2html/.glimpse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38
+msgid ""
+"To serve man pages to remote hosts, all that is required is a httpd daemon "
+"that sets the environment variable B<SERVER_NAME> correctly. The only "
+"problem you might have with this, is if your server machine has dual-nam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138
+#, no-wrap
+msgid "SECURITY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43
+msgid ""
+"I've modified Richard's man2html C code so that it checks all client input "
+"parameters. It checks both for length and any characters that need escaping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48
+msgid ""
+"Man2html will only return man or mandoc files resident in the man hierarchy "
+"defined in I</etc/man.config>. When it returns references to any any other "
+"kinds of files, for example, include files, they will be \"file:\" references "
+"on the CLIENT host, not on the server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51
+msgid ""
+"The parameters to the decompression programs are checked for any nastie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56
+msgid ""
+"It is still possible for the contents of a man page to over-run man2html's "
+"memory - so I guess a hacker might try to get you to install a bogus man page "
+"in order to get man2html to do something nasty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58
+msgid "The scripts check their parameters for anything suspiciou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61
+msgid ""
+"The scripts and program write suspicious requests to stderr - so they can be "
+"found in web server log file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161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62
+#, no-wrap
+msgid "I</etc/man.config>"
+msgstr "I</etc/man.confi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65
+msgid ""
+"Manpath and decompression configuration info from the B<man>(1) config fil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65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html/man.html>"
+msgstr "I</home/httpd/html/man.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68
+msgid "Top level document loaded by man2html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68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html/mansearch.html>"
+msgstr "I</home/httpd/html/mansearch.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71
+msgid "Search pag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71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html/mansearchhelp.html>"
+msgstr "I</home/httpd/html/mansearchhelp.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74
+msgid "help for the search pag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74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cgi-bin/man2html>"
+msgstr "I</home/httpd/cgi-bin/man2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77
+msgid "The C program that translates man and mandoc macros to HTML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77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cgi-bin/manwhatis>"
+msgstr "I</home/httpd/cgi-bin/manwhati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80
+msgid "Builds name-subject section indexes from the UNIX man whatis files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80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cgi-bin/mansearch>"
+msgstr "I</home/httpd/cgi-bin/mansearc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83
+msgid "Does glimpse searches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83
+#, no-wrap
+msgid "I</home/httpd/cgi-bin/mansec>"
+msgstr "I</home/httpd/cgi-bin/manse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86
+msgid "Searches the man page to create name-only indexes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86
+#, no-wrap
+msgid "I</usr/bin/netscape-man>"
+msgstr "I</usr/bin/netscape-ma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89
+msgid "Front end for netscap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89
+#, no-wrap
+msgid "I</var/cache/man2html>"
+msgstr "I</var/cache/man2htm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94
+msgid ""
+"This directory holds a cache of indexes computed by manwhatis and mansec. "
+"They are updated if the whatis files or man directories are updated. The "
+"glimpse index is also expected to live her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94
+#, no-wrap
+msgid "I<.../man/whatis>"
+msgstr "I<.../man/whati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197
+msgid "Used by the manwhatis script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197
+#, no-wrap
+msgid "ENVIRONMENT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an2html.1:198
+#, no-wrap
+msgid "B<SERVER_NAME>"
+msgstr "B<SERVER_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02
+msgid ""
+"is used to obtain the server-name for redirects when a partial man-page "
+"specification is translated to a complete man-page path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202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12
+msgid ""
+"B<man>(1), B<whatis>(1), B<apropos>(1), B<netscape-man>(1), B<netscape>(1), "
+"B<lynx>(1), B<glimpse>(1), B<dwww>(8), B<http://www.actrix.gen.nz/users/"
+"michael/giveaways.html>"
+msgstr ""
+"B<man>(1), B<whatis>(1), B<apropos>(1), B<netscape-man>(1), B<netscape>(1), "
+"B<lynx>(1), B<glimpse>(1), B<dwww>(8), B<http://www.actrix.gen.nz/users/"
+"michael/giveaways.html>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213
+#, no-wrap
+msgid "DISTRIBUTIO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16
+msgid ""
+"This program (man2html.c) was written by Richard Verhoeven (NL:5482ZX35) at "
+"the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. Email: rcb5@win.tue.nl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19
+msgid ""
+"Permission is granted to distribute, modify and use this program as long as "
+"this comment is not removed or chang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22
+msgid ""
+"My modifications, packaging and scripts are copyright (c) 1996 Michael "
+"Hamilton (michael@actrix.gen.nz). All rights reserv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28
+msgid ""
+"Permission is hereby granted, without written agreement and without license "
+"or royalty fees, to use, copy, modify, and distribute this software and its "
+"documentation for any purpose, provided that the above copyright notice and "
+"the following two paragraphs appear in all copies of this softwar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33
+msgid ""
+"IN NO EVENT SHALL MICHAEL HAMILTON BE LIABLE TO ANY PARTY FOR DIRECT, "
+"INDIRECT, SPECIAL, INCIDENTAL, OR CONSEQUENTIAL DAMAGES ARISING OUT OF THE "
+"USE OF THIS SOFTWARE AND ITS DOCUMENTATION, EVEN IF MICHAEL HAMILTON HAS BEEN "
+"ADVISED OF THE POSSIBILITY OF SUCH DAMAG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39
+msgid ""
+"MICHAEL HAMILTON SPECIFICALLY DISCLAIMS ANY WARRANTIES, INCLUDING, BUT NOT "
+"LIMITED TO, THE IMPLIED WARRANTIES OF MERCHANTABILITY AND FITNESS FOR A "
+"PARTICULAR PURPOSE. THE SOFTWARE PROVIDED HEREUNDER IS ON AN \"AS IS\" "
+"BASIS, AND MICHAEL HAMILTON HAS NO OBLIGATION TO PROVIDE MAINTENANCE, "
+"SUPPORT, UPDATES, ENHANCEMENTS, OR MODIFICATION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239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43
+msgid ""
+"VH-Man2html was was written by Richard Verhoeven (NL:5482ZX35) at the "
+"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(Email: rcb5@win.tue.nl). The original "
+"source is available from his web page at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45
+msgid " http://wsinwp01.win.tue.nl:1234/maninfo.html"
+msgstr " http://wsinwp01.win.tue.nl:1234/maninfo.htm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48
+msgid ""
+"BSD mandoc support, indexing scripts, Makefile, man pages, and other "
+"packaging were added by Michael Hamilton (michael@actrix.gen.nz)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51
+msgid ""
+"Maintenance and enhancement requests for this version should be directed to "
+"Michael Hamilton (michael@actrix.gen.nz)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an2html.1:251
+#, no-wrap
+msgid "CREDIT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an2html.1:259
+msgid ""
+"As well as Richard, thanks are due to the following people for providing "
+"feedback and assistance: Tim Bird E<lt>tbird@caldera.comE<gt>, Erick "
+"Branderhorst E<lt>branderh@iaehv.nlE<gt>, Michael De La Rue E<lt>mikedlr@it."
+"com.plE<gt>, and Rainer Scholz E<lt>jrs@startrek.franken.deE<gt>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minicom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minicom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f1e961a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minicom.1.po
@@ -0,0 +1,1950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<teodeul@chollian.dacom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<teodeul@chollian.dacom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minicom.1:7
+#, no-wrap
+msgid "MINICOM"
+msgstr "MINICOM"
+
+#. type: TH
+#: minicom.1:7
+#, no-wrap
+msgid "16 May 1998"
+msgstr "1998년 5월 16일"
+
+#. type: TH
+#: minicom.1:7
+#, no-wrap
+msgid "User's Manual"
+msgstr "사용자 설명서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8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0
+msgid "minicom - friendly serial communication program"
+msgstr "minicom - 간편한 시리얼 통신 풀그림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10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3
+msgid "B<minicom> [-somlz] [-c on|off] [-d entry] [-a on|off]"
+msgstr "B<minicom> [-somlz] [-c on|off] [-d 전화번호색인] [-a on|off]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6
+msgid "[-t term] [-p pty] [I<configuration>]"
+msgstr "[-t 터미날이름] [-p 장치이름] [I<환경설정파일>]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16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4
+msgid ""
+"B<minicom> is a communication program which somewhat resembles the shareware "
+"program TELIX but is free with source code and runs under most unices. "
+"Features include dialing directory with auto-redial, support for UUCP-style "
+"lock files on serial devices, a seperate script language interpreter, capture "
+"to file, multiple users with individual configurations, and more."
+msgstr ""
+"B<minicom> 풀그림은 TELIX 풀그림과 비슷하지만, 소스 코드와 함께 함께 공개된, "
+"거의 모든 유닉스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통신 풀그림이다. 이 풀그림의 특징은, 전"
+"화 자동 걸기 기능과, 시리얼 장치에 대한 UUCP-스타일의 잠금 파일(lock file) 제"
+"공, 혼자말 기능, 갈무리, 다중 사용자를 위한 개별 환경 설정, 기타 여러 가지가 "
+"있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24
+#, no-wrap
+msgid "COMMAND-LINE"
+msgstr "명령행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5
+#, no-wrap
+msgid "B<-s>"
+msgstr "B<-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5
+msgid ""
+"B<S>etup. Root edits the system-wide defaults in /etc/minirc.dfl with this "
+"option. When it is used, minicom does I<not> initialize, but puts you "
+"directly into the configuration menu. This is very handy if minicom refuses "
+"to start up because your system has changed, or for the first time you run "
+"minicom. For most systems, reasonable defaults are already compiled in."
+msgstr ""
+"B<환경설정.> 이것은 시스템 관리자(root)만이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다. 이 옵션"
+"이 지정되면, B<minicom>은 초기화 되지 I<않고>, 곧바로 환경설정 차림표가 나타난"
+"다. 이 옵션은 시스템의 통신 환경이 바뀌거나, 처음으로 B<minicom>을 실행시키고"
+"자 할 때, 사용된다.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그냥 컴파일 될 때의 초기값을 사용하"
+"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5
+#, no-wrap
+msgid "B<-o>"
+msgstr "B<-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4
+msgid ""
+"Do not initialize. Minicom will skip the initialization code. This option is "
+"handy if you quitted from minicom without resetting, and then want to restart "
+"a session. It is potentially dangerous though: no check for lock files etc. "
+"is made, so a normal user could interfere with things like uucp... Maybe this "
+"will be taken out later. For now it is assumed, that users who are given "
+"access to a modem are responsible enough for their actions."
+msgstr ""
+"초기화 하지 않음. 이 옵션은 minicom이 실행될 때, 초기화 함수 부분을 생략하게 "
+"한다. 이 옵션은 전화를 끊지 않고, 잠시 minicom을 종료했을 경우, 다시 그 상태 "
+"그대로를 복구 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. 하지만, 이 옵션은 lock 파일 검"
+"사 같은 것을 하지 않게 되어 제대로 동작 되지 않을 수도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4
+#, no-wrap
+msgid "B<-m>"
+msgstr "B<-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3
+#, fuzzy
+msgid ""
+"Override command-key with the Meta or ALT key. This is the default in 1.80 "
+"and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one of minicom's menus, but if you use "
+"different terminals all the time, of which some don't have a Meta or ALT key, "
+"it's handy to set the default command key to Ctrl-A and use this option when "
+"you have a keyboard supporting Meta or ALT keys. Minicom assumes that your "
+"Meta key sends the ESC prefix, not the other variant that sets the highest "
+"bit of the character."
+msgstr ""
+"명령글쇠(command-key)를 Meta나 Alt 글쇠로 바꾼다. minicom의 명령글쇠에 대한 "
+"초기값은 Ctrl-A로 되어 있다. 이 옵션을 사용하면, 이 명령글쇠를 Meta나 Alt 글"
+"쇠로 바꿀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3
+#, no-wrap
+msgid "B<-M>"
+msgstr "B<-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7
+msgid ""
+"Same as -m, but assumes that your Meta key sets the 8th bit of the character "
+"high (sends 128 + character code)."
+msgstr ""
+"-m 옵션과 같으나, Meta나 Alt 글쇠와 함께 입력되는 글쇠의 8번째 비트에 지정한"
+"다.(128 + 문자 코드 값을 보냄)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7
+#, no-wrap
+msgid "B<-z>"
+msgstr "B<-z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2
+msgid ""
+"Use terminal status line. This only works on terminals that support it and "
+"that have the relevant information in their I<termcap> or I<terminfo> "
+"database entry."
+msgstr ""
+"터미날 상황선을 사용. 이 옵션은 I<termcap>이나, I<terminfo> 데이타베이스 안의 "
+"관계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터미날에서만 작동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2
+#, no-wrap
+msgid "B<-l>"
+msgstr "B<-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0
+#, fuzzy
+msgid ""
+"B<L>iteral translation of characters with the high bit set. With this flag "
+"on, minicom will not try to translate the IBM line characters to ASCII, but "
+"passes them straight trough. Many PC-unix clones will display them correctly "
+"without translation (Linux in a special mode, Coherent and Sco)."
+msgstr ""
+"B<8비트문자 처리.> 이 옵션은 8비트권 문자에들 대해서 그대로 출력한다. 이 옵션"
+"이 지정되어야 한글이 보여진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70
+#, no-wrap
+msgid "B<-a>"
+msgstr "B<-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7
+#, fuzzy
+msgid ""
+"B<A>ttribute usage. Some terminals, notably televideo's, have a rotten "
+"attribute handling (serial instead of parallel). By default, minicom uses '-a "
+"on', but if you are using such a terminal you can (must!) supply the option "
+"'-a off'. The trailing 'on' or 'off' is needed."
+msgstr ""
+"B<속성.> 이 옵션은 'on' 또는 'off'의 인자를 갖는다. televideo 같은 몇몇 터미"
+"날에서는 시시콜콜한 속성 처리를 한다. 이런 터미날을 사용한다면, 이 옵션의 값"
+"을 'off'로 정해주어야 한다. 초기값은 'on'이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77
+#, no-wrap
+msgid "B<-t>"
+msgstr "B<-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85
+#, fuzzy
+msgid ""
+"B<T>erminal type. With this flag, you can override the environment TERM "
+"variable. This is handy for use in the MINICOM environment variable; one can "
+"create a special termcap entry for use with minicom on the console, that "
+"initializes the screen to raw mode so that in conjunction with the -l flag, "
+"the IBM line characters are displayed untranslated."
+msgstr ""
+"B<터미날> 형태를 지정해준다. 이옵션의 인자로 지정한 값이 TERM 환경 변수로 대치"
+"된다. 이것은 물론 I<termcap>에 지정되어 있는 터미날 이름을 지정해 주어야 한"
+"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85
+#, no-wrap
+msgid "B<-c>"
+msgstr "B<-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94
+#, fuzzy
+msgid ""
+"B<C>olor usage. Some terminals (such as the Linux console) support color with "
+"the standard ANSI escape sequences. Because there is apparently no termcap "
+"support for color, these escape sequences are hard-coded into minicom. "
+"Therefore this option is off by default. You can turn it on with '-c on'. "
+"This, and the '-m' option, are good candidates to put into the MINICOM "
+"environment variable."
+msgstr ""
+"B<색깔> 사용. 리눅스 콘솔과 같은 몇몇 터미날에서는 표준 ANSI 처리를 허용해서, "
+"칼라를 사용할 수 있다. 이런 색깔 사용은 termcap에 의존적으로 이루워지기에 "
+"(TERM 환경변수의 터미날에서 색깔 지원 여부에 따르기 때문에) 초기값은 'off'이"
+"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94
+#, no-wrap
+msgid "B<-d>"
+msgstr "B<-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99
+msgid ""
+"B<D>ial an entry from the dialing directory on startup. You can specify an "
+"index number, but also a substring of the name of the entry."
+msgstr ""
+"B<전화걸기> 인자로 주워지는 전화번호로 minicom이 시작하면서 바로 전화를 걸어준"
+"다. 여기서 사용되는 인자는 전화번호부의 색인번호나, 전화번호부에 있는 이름이"
+"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99
+#, no-wrap
+msgid "B<-p>"
+msgstr "B<-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06
+msgid ""
+"B<P>seudo terminal to use. This overrrides the terminal port defined in the "
+"configuration files, but only if it is a pseudo tty. The filename supplied "
+"must be of the form (/dev/)tty[p-z][0-f]."
+msgstr ""
+"B<P>seudo 터미날 사용. 초기 환경 설정값으로 지정된 터미날 포트값을 무시하고, "
+"지정한 터미날로 연결한다. 여기서 지정되는 값은 의사 터미날(pseudo tty, 터미날"
+"장치 이름)여야 하며, 그 파일 이름은 (/dev/)tty[p-z][0-f] 여야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13
+msgid ""
+"When B<minicom> starts, it first searches the MINICOM environment variable "
+"for command-line arguments, which can be over-ridden on the command line. "
+"Thus, if you have done"
+msgstr ""
+"B<minicom> 이 시작될 때, 먼저 MINICOM 환경 변수를 찾는다. 그리고, 그 값은 "
+"minicom의 명령행 옵션으로 대치된다. 그래서, 다음과 이 했다면,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17
+msgid "MINICOM='-m -c on'"
+msgstr "MINICOM='-m -c on'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19
+msgid "export MINICOM"
+msgstr "export MINICOM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31
+msgid ""
+"or the equivalent, and start minicom, minicom will assume that your terminal "
+"I<has> a Meta or E<lt>ALTE<gt> key and that color is supported. If you then "
+"log in from a terminal without color support, and you have set MINICOM in "
+"your startup (.profile or equivalent) file, and don't want to re-set your "
+"environment variable, you can type 'minicom -c off' and run without color "
+"support for that session."
+msgstr ""
+"또는 기타 쉘에서 환경변수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지정했다면, minicom은 "
+"E<lt>AltE<gt> 글쇠를 명령글쇠로 칼라를 사용하는 것으로 환경을 지정한다. 이때, "
+"만일 터미날 환경이 바뀌어 칼라를 사용하지 말아야 할경우에는 단지 명령행에서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32
+#, no-wrap
+msgid "B<configuration>"
+msgstr "B<환경설정파일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44
+msgid ""
+"The I<configuration> argument is more interesting. Normally, minicom gets its "
+"defaults from a file called \"minirc.dfl\". If you however give an argument "
+"to minicom, it will try to get its defaults from a file called \"minirc."
+"I<configuration>\\|\". So it is possible to create multiple configuration "
+"files, for different ports, different users etc. Most sensible is to use "
+"device names, such as tty1, tty64, sio2 etc. If a user creates his own "
+"configuration file, it will show up in his home directory as '.minirc.dfl'."
+msgstr ""
+"I<환경설정파일> 은 보다 재밌다. 보통, minicom은 \"minirc.dfl\" 라는 파일을 읽"
+"어 환경을 설정한다. 반면, 이 값이 부여되면, \"minirc.I<환경설정파일>\\|\"을 "
+"읽게 된다. 그래서, 이 옵션은 여러가지 다양한 환경 설정을 사용할 수있게 해준"
+"다. 다른 포트, 다른 사용자등.. 필요에 따라 적당한 환경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. "
+"보통 이 이름으로 tty1, tty64, sio2.. 이런식의 이름을 사용한다. 만일 사용자 자"
+"신의 환경 설정 파일을 만들었다면, 그것은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'.minirc.dfl' 파"
+"일로 저장될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144
+#, no-wrap
+msgid "USE"
+msgstr "사용하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51
+msgid ""
+"Minicom is windows-based. To popup a window with the function you want, press "
+"Control-A (from now on, we will use C-A to mean Control-A), and then the "
+"function key (a-z or A-Z). By pressing C-A first and then 'z', a help screen "
+"comes up with a short summary of all commands. This escape key can be altered "
+"when minicom is configured (-s option or C-A O), but we'll stick to Control-A "
+"for now."
+msgstr ""
+"minicom은 창중심으로 작동된다. 각종 기능들은 하위 창을 호출 하여 사용하는데, "
+"이런 팝업창(기능창, 하위창)을 열기 위해서는 명령글쇠와 나머지 한 글쇠를 누른"
+"다. 명령글쇠의 초기값은 Ctrl-A이다. 이 글에서는 Ctrl-A 표기를 C-A로 표기한"
+"다. 또한 C-A O에서 이 명령글쇠를 사용자 바꿀 수 있고, 명령행 옵션으로 Alt글쇠"
+"로 바꿀 수 있으나, 여기서는 C-A로 통일 하겠다. C-A 다음에 오는 글쇠는 영문자 "
+"A-Z까지인데, 여기서는 대소문자 구분은 하지 않는다. minicom의 전체적인 기능을 "
+"보려면, C-A Z로 도움말을 호출하면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54
+msgid "For every menu the next keys can be used:"
+msgstr "팝업창에서의 커서를 옮겨가는 방법은: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54
+#, no-wrap
+msgid "B<UP>"
+msgstr "B<위로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57
+msgid "arrow-up or 'k'"
+msgstr "윗 화살표 또는 'k'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57
+#, no-wrap
+msgid "B<DOWN>"
+msgstr "B<아래로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60
+msgid "arrow-down or 'j'"
+msgstr "아래 화살표 또는 'j'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60
+#, no-wrap
+msgid "B<LEFT>"
+msgstr "B<왼쪽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63
+msgid "arrow-left or 'h'"
+msgstr "왼쪽 화살표 또는 'h'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63
+#, no-wrap
+msgid "B<RIGHT>"
+msgstr "B<오른쪽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66
+msgid "arrow-right or 'l'"
+msgstr "오른쪽 화살표 또는 'l'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66
+#, no-wrap
+msgid "B<CHOOSE>"
+msgstr "B<선택, 적용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69
+msgid "Enter"
+msgstr "Enter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69
+#, no-wrap
+msgid "B<CANCEL>"
+msgstr "B<취소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72
+msgid "ESCape."
+msgstr "ESC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81
+#, fuzzy
+msgid ""
+"The screen is divided into two portions: the upper 24 lines are the terminal-"
+"emulator screen. In this window, ANSI or VT100 escape sequences are "
+"interpreted. If there is a line left at the bottom, a status line is placed "
+"there. If this is not possible the status line will be showed every time you "
+"press C-A. On terminals that have a special status line that will be used if "
+"the termcap information is complete I<and> the B<-k> flag has been given."
+msgstr ""
+"화면은 두분으로 나뉘는데, 24줄은 터미날 에뮬레이터 화면이며, 여기서는 ANSI와 "
+"VT100 에뮬레이션을 한다. 마지막 한줄은 상황선이다. 만일 화면이 25줄이 되지 못"
+"해 마지막 상황선을 보여주지 못한다면, C-A 글쇠를 누를 때만 상황선이 나타난"
+"다. On terminals that have a special status line that will be used if the "
+"termcap information is complete I<and> the B<-k> flag has been given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84
+msgid "Possible commands are listed next, in alphabetical order."
+msgstr "minicom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알파벳 순으로 나열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84
+#, no-wrap
+msgid "B<C-A>"
+msgstr "B<C-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89
+#, fuzzy
+msgid ""
+"Pressing C-A a second time will just send a C-A to the remote system. If you "
+"have changed your \"escape character\" to something other than C-A, this "
+"works analogously for that character."
+msgstr ""
+"명령 글쇠로 다음에 나열되는 단일 문자는 이 명령 글쇠를 먼저 친다음 쳐야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89
+#, no-wrap
+msgid "B<A>"
+msgstr "B<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193
+msgid ""
+"Toggle 'Add Linefeed' on/off. If it is on, a linefeed is added before every "
+"carriage return displayed on the screen."
+msgstr ""
+"줄바꿈 문자의 처리를 전환한다. 이 명령은 일반적으로 터미날에서 계단현상(다음"
+"줄의 첫 내용이 다음줄 첫칸에 나타나지 않고, 윗줄의 끌나는 부분 바로 아랫칸에 "
+"나타나는 현상)이 나타날 때 사용한다. 구체적으로 말하면, 줄바꿈 문자가 on 상태"
+"가 되면, \\er\\en 문자로, off 상태면, \\en 문자로 처리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193
+#, no-wrap
+msgid "B<B>"
+msgstr "B<B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00
+#, fuzzy
+msgid ""
+"Gives you a scroll back buffer. You can scroll up with B<u>, down with B<d>, "
+"a page up with B<b>, a page down with B<f>, and if you have them the B<arrow> "
+"and B<page up/page down> keys can also be used. You can search for text in "
+"the buffer with B<s> (case-sensitive) or B<S> (case-insensitive). B<N> will "
+"find the next occurrence of the string."
+msgstr ""
+"지나간 화면 보기. 사용글쇠는 위로 B<u>, 아래로 B<d>, 한 화면 위로 B<b>, 한 화"
+"면 아래로 B<f>, 이며, 화살표 글쇠가 있다면, 화살표 모양 그대로, PageUp, "
+"PageDown 글쇠도 그 의미 그대로 작동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00
+#, no-wrap
+msgid "B<C>"
+msgstr "B<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03
+msgid "Clears the screen."
+msgstr "화면 지우기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03
+#, no-wrap
+msgid "B<D>"
+msgstr "B<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06
+msgid "Dial a number, or go to the dialing directory."
+msgstr "전화걸기. 또는 전화걸기 창을 연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06
+#, no-wrap
+msgid "B<E>"
+msgstr "B<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09
+#, fuzzy
+msgid "Toggle local echo on and off (if your version of minicom supports it)."
+msgstr "자국방향 echo 켬/끔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09
+#, no-wrap
+msgid "B<F>"
+msgstr "B<F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12
+msgid "A break signal is sent to the modem."
+msgstr "모뎀에 정지 신호를 보낸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12
+#, no-wrap
+msgid "B<G>"
+msgstr "B<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15
+msgid "Run script (Go). Runs a login script."
+msgstr "혼자말을 실행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15
+#, no-wrap
+msgid "B<H>"
+msgstr "B<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18
+msgid "Hangup."
+msgstr "전화끊기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18
+#, no-wrap
+msgid "B<I>"
+msgstr "B<I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23
+msgid ""
+"Toggle the type of escape sequence that the cursor keys send between normal "
+"and applications mode. (See also the comment about the status line below)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23
+#, no-wrap
+msgid "B<J>"
+msgstr "B<J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26
+#, fuzzy
+msgid "Jump to a shell. On return, the whole screen will be redrawn."
+msgstr "쉘 나드리를 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26
+#, no-wrap
+msgid "B<K>"
+msgstr "B<K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29
+msgid "Clears the screen, runs kermit and redraws the screen upon return."
+msgstr ""
+"화면을 지우고, kermit을 실행한 뒤, kermit을 종료하면 다시 minicom으로 돌아온"
+"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29
+#, no-wrap
+msgid "B<L>"
+msgstr "B<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33
+msgid ""
+"Turn Capture file on off. If turned on, all output sent to the screen will be "
+"captured in the file too."
+msgstr ""
+"갈무리 기능 켬/끔. on 상태이면, 화면에 보여지는 모든 내용이 파일로 저장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33
+#, no-wrap
+msgid "B<M>"
+msgstr "B<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36
+msgid "Sends the modem initialization string."
+msgstr "모뎀 초기화 명령을 보냄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36
+#, no-wrap
+msgid "B<O>"
+msgstr "B<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39
+#, fuzzy
+msgid "Configure minicom. Puts you in the configuration menu."
+msgstr "minicom 환경설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39
+#, no-wrap
+msgid "B<P>"
+msgstr "B<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43
+msgid ""
+"Communication Parameters. Allows you to change the bps rate, parity and "
+"number of bits."
+msgstr "모뎀 상태 설정. 모뎀 속도, 패리티, 비트 등을 바꿀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43
+#, no-wrap
+msgid "B<Q>"
+msgstr "B<Q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47
+msgid ""
+"Exit minicom without resetting the modem. If macros changed and were not "
+"saved, you will have a chance to do so."
+msgstr ""
+"모뎀 재설정 없이(전화를 끊지 않고) minicom을 마친다. 매크로가 바뀌었다 해도, "
+"저장되지 않는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47
+#, no-wrap
+msgid "B<R>"
+msgstr "B<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54
+#, fuzzy
+msgid ""
+"Receive files. Choose from various protocols (external). If you have the "
+"filename selection window and the prompt for download directory enabled, "
+"you'll get a selection window for choosing the directory for downloading. "
+"Otherwise the download directory defined in the Filenames and paths menu will "
+"be used."
+msgstr "파일 받기. (외부 프로토콜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)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54
+#, no-wrap
+msgid "B<S>"
+msgstr "B<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66
+#, fuzzy
+msgid ""
+"Send files. Choose the protocol like you do with the receive command. If you "
+"don't have the filename selection window enabled (in the File transfer "
+"protocols menu), you'll just have to write the filename(s) in a dialog "
+"window. If you have the selection window enabled, a window will pop up "
+"showing the filenames in your upload directory. You can tag and untag "
+"filenames by pressing spacebar, and move the cursor up and down with the "
+"cursor keys or j/k. The selected filenames are shown highlighted. Directory "
+"names are shown [within brackets] and you can move up or down in the "
+"directory tree by pressing the spacebar twice. Finally, send the files by "
+"pressing ENTER or quit by pressing ESC."
+msgstr "파일 보내기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66
+#, no-wrap
+msgid "B<T>"
+msgstr "B<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70
+msgid ""
+"Choose Terminal emulation: Ansi(color) or vt100. You can also change the "
+"backspace key here and turn the status line on or off."
+msgstr ""
+"터미날 에뮬레이터 선택. ANSI와 VT100을 선택할 수 있다. 대부분의 한글을 지원하"
+"는 호스트에 접속해서 한글을 제대로 보려면 ANSI로 지정해야 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70
+#, no-wrap
+msgid "B<W>"
+msgstr "B<W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73
+msgid "Toggle linewrap on/off."
+msgstr "한 줄이 화면보다 길경우 자동으로 줄 바꿈을 하는 기능을 켬/끔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73
+#, no-wrap
+msgid "B<X>"
+msgstr "B<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77
+msgid ""
+"Exit minicom, reset modem. If macros changed and were not saved, you will "
+"have a chance to do so."
+msgstr ""
+"모뎀을 재설정하고(전화를 끊고) minicom 마침. 매크로가 바뀌었다면, 저장되지 않"
+"는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77
+#, no-wrap
+msgid "B<Z>"
+msgstr "B<Z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80
+msgid "Pop up the help screen."
+msgstr "도움말 창을 보여줌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281
+#, no-wrap
+msgid "DIALING DIRECTORY"
+msgstr "전화걸기 창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95
+msgid ""
+"By pressing C-A D the program puts you in the dialing directory. You can "
+"add, delete or edit entries. By choosing \"dial\" the phone numbers of the "
+"tagged entries, or if nothing is tagged, the number of the highlighted entry "
+"will be dialed. While the modem is dialing, you can press escape to cancel "
+"dialing. Any other key will close the dial window, but won't cancel the "
+"dialing itself. Your dialing directory will be saved into a the file \"."
+"dialdir\" in your home directory. You can scroll up and down with the arrow "
+"keys, but you can also scroll complete pages by pressing the PageUp or "
+"PageDown key. If you don't have those, use Control-B (Backward) and Control-"
+"F (Forward). You can use the space bar to B<tag> a number of entries and "
+"minicom will rotate trough this list if a connection can't be made. A 'E<gt>' "
+"symbol is drawn in the directory before the names of the tagged entries."
+msgstr ""
+"C-A D 글쇠를 치면, 전화번호부가 나타난다. 여기서 전화번호를 추가, 삭제, 편집 "
+"할 수 있다. 커서를 전화걸기 원하는 곳으로 옮겨놓고, \"dial\"을 선택하면, 전화"
+"를 걸 수 있다. 전화를 거는 동안 ESC 글쇠를 누르면, 전화 걸기를 취소한다. 다른 "
+"글쇠를 누르면, 전화걸기 창은 닫기지만, 전화걸기는 계속된다. 전화번호부는 \"."
+"dialdir\" 파일로 홈 디렉토리에 저장된다. 전화번호부에서의 커서 이동은 화살표 "
+"글쇠로도 할 수 있다. 또한 PageUp, PageDown 글쇠도 사용할 수 있으며, 이 글쇠"
+"가 없는 경우에는 Ctrl-B, Ctrl-F로 각각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. 사이띄우게로 "
+"전화를 걸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데, 이렇게 선택된 전화번호는 만일 통화중일 "
+"경우 선택된 전화번호 중에 번갈아가며, 전화를 걸어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297
+msgid "The \"edit\" menu speaks for itself, but I will discuss it briefly here."
+msgstr "\"edit\"는 말 그대로, 전화번호를 편집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명하면,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298
+#, no-wrap
+msgid "B<A - Name>"
+msgstr "B<A - 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01
+msgid "The name for this entry"
+msgstr "전화번호의 이름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01
+#, no-wrap
+msgid "B<B - Number>"
+msgstr "B<B - Numbe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04
+msgid "and its telephone number."
+msgstr "전화번호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04
+#, no-wrap
+msgid "B<C - Dial string #>"
+msgstr "B<C - Dial string #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09
+msgid ""
+"Which specific dial string you want to use to connect. There are three "
+"different dial strings (prefixes and suffixes) that can be configured in the "
+"B<Modem and dialing> menu."
+msgstr ""
+"접속을 위한 특별한 번호를 지정한다. 여기에는 3가지 종류가 있는데, 자세한 이야"
+"기는 B<모뎀과 전화걸기> 부분에서 다룬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09
+#, no-wrap
+msgid "B<D - Local echo>"
+msgstr "B<D - Local ech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12
+msgid ""
+"can be on or off for this system (if your version of minicom supports it)."
+msgstr "자국방향 echo 기능을 켤것인, 끌 것인지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12
+#, no-wrap
+msgid "B<E - Script>"
+msgstr "B<E - Scrip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16
+msgid ""
+"The script that must be executed after a succesfull connection is made (see "
+"the manual for runscript)"
+msgstr ""
+"전화 걸기가 성공했을 때, 실행할 혼자말을 지정한다. (자세한 이야기는 "
+"B<runscript> 맨페이지를 참조)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16
+#, no-wrap
+msgid "B<F - Username>"
+msgstr "B<F - User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20
+#, fuzzy
+msgid ""
+"The username that is passed to the runscript program. It is passed in the "
+"environment string \"$LOGIN\"."
+msgstr "runscript 풀그림의 \"$LOGIN\" 변수로 사용할 사용자 이름을 지정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20
+#, no-wrap
+msgid "B<G - Password>"
+msgstr "B<G - Passwor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23
+msgid "The password is passed as \"$PASS\"."
+msgstr "\"$PASS\" 변수로 사용할 비밀번호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23
+#, no-wrap
+msgid "B<H - Terminal Emulation>"
+msgstr "B<H - Terminal Emulat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26
+msgid "Use ANSI or VT100 emulation."
+msgstr "ANSI 또는 VT100 선택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26
+#, no-wrap
+msgid "B<I - Backspace key sends>"
+msgstr "B<I - Backspace key send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29
+msgid "What code (Backspace or Delete) the backspace key sends."
+msgstr "Backspace, Delete 코드값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29
+#, no-wrap
+msgid "B<J - Linewrap>"
+msgstr "B<J - Linewra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32
+msgid "Can be on or off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32
+#, no-wrap
+msgid "B<K - Line settings>"
+msgstr "B<K - Line setting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37
+#, fuzzy
+msgid ""
+"Bps rate, bits and parity to use for this connection. You can choose "
+"B<current> for the speed, so that it will use whatever speed is being used at "
+"that moment (useful if you have multiple modems)."
+msgstr ""
+"모뎀 상태를 지정한다. 속도, 패리티, 비트. 초기값은 현재 모뎀 상태이다. 이것"
+"은 모뎀이 여러개 있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37
+#, no-wrap
+msgid "B<L - Conversion table>"
+msgstr "B<L - Conversion tab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42
+msgid ""
+"You may spacify a character conversion table to be loaded whenever this entry "
+"answers, before running the login script. If this field is blank, the "
+"conversion table stays unchang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47
+msgid ""
+"The edit menu also shows the latest date and time when you called this entry "
+"and the total number of calls there, but doesn't let you change them. They "
+"are updated automatically when you connect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349
+#, no-wrap
+msgid "CONFIGURATION"
+msgstr "환경설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53
+msgid ""
+"By pressing C-A O you will be thrown into the setup menu. Most settings there "
+"can be changed by everyone, but some are restricted to root only. Those "
+"priviliged settings are marked with a star (*) here."
+msgstr ""
+"C-A O를 치면, minicom의 환경설정을 할 수 있다. 여기서는 minicom의 거의 모든 "
+"환경을 사용자 별로 바꿀 수 있다. 물론 시스템 관리자만 바꿀 수 있는 것도 있"
+"다. 이런 것은 * 표로 표시해 두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56
+msgid "B<Filenames and paths>"
+msgstr "B<Filenames and path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59
+msgid "This menu defines your default directories."
+msgstr "여기 있는 항목들은 시스템의 초기값으로 지정되어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59
+#, no-wrap
+msgid "B<A - download>"
+msgstr "B<A - downloa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62
+msgid "where the downloaded files go to."
+msgstr "다운로드 경로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62
+#, no-wrap
+msgid "B<B - upload>"
+msgstr "B<B - uploa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65
+msgid "where the uploaded files are read from."
+msgstr "자료 업로드 경로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65
+#, no-wrap
+msgid "B<C - script>"
+msgstr "B<C - scrip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68
+msgid "Where you keep your login scripts."
+msgstr "혼자말 파일이 있는 경로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68
+#, no-wrap
+msgid "B<D - Script program>"
+msgstr "B<D - Script progra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74
+msgid ""
+"Which program to use as the script interpreter. Defaults to the program "
+"\"runscript\", but if you want to use something else (eg, /bin/sh or "
+"\"expect\") it is possible. Stdin and stdout are connected to the modem, "
+"stderr to the screen."
+msgstr ""
+"혼자말 파일을 실행시킬 풀그림. 초기값은 \"runscript\"이다. 물론, 자신이 사용"
+"하기 좋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도 된다.(예, /bin/sh 또는 \"expect\") stdin, "
+"stdout은 모뎀에 연결되고, stderr는 화면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77
+msgid ""
+"If the path is relative (ie, does not start with a slash) then it's relative "
+"to your home directory, except for the script interpreter."
+msgstr ""
+"혼자말을 실행시킬 풀그림은 절대 경로(/로 시작하는 경로)로 지정되어야 하며, 나"
+"머지는 상대 경로로(홈 디렉토리에 대한) 지정되어도 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378
+#, no-wrap
+msgid "B<E - Kermit program>"
+msgstr "B<E - Kermit progra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84
+#, fuzzy
+msgid ""
+"Where to find the executable for kermit, and it's options. Some simple "
+"macro's can be used on the command line: '%l' is expanded to the complete "
+"filename of the dial out-device, and '%b' is expanded to the current baudrate."
+msgstr "kermit의 경로 지정. 이때 '%l'은 파일이름으로, '%b' baudrate로 대치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389
+msgid "B<File Transfer Protocols>"
+msgstr "B<File Transfer Protocol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13
+msgid ""
+"Protocols defined here will show up when C-A s/r is pressed. \"Name\" in the "
+"beginning of the line is the name that will show up in the menu. \"Program\" "
+"is the path to the protocol. \"Name\" after that defines if the program needs "
+"an argument, eg. a file to be transmitted. U/D defines if this entry should "
+"show up in the upload or the download menu. Fullscr defines if the program "
+"should run full screen, or that minicom will only show it's stderr in a "
+"window. IO-Red defines if minicom should attach the program's standard in and "
+"output to the modem port or not. \"Multi\" tells the filename selection "
+"window whether or not the protocol can send multiple files with one command. "
+"It has no effect on download protocols, and it is also ignored with upload "
+"protocols if you don't use the filename selection window. The old sz and rz "
+"are not full screen, and have IO-Red set. However, there are curses based "
+"versions of at least rz that do not want their stdin and stdout redirected, "
+"and run full screen. All file transfer protocols are run with the UID of the "
+"user, and not with UID=root. '%l' and '%b' can be used on the command line as "
+"with kermit. Within this menu you can also define if you want to use the "
+"filename selection window when prompted for files to upload, and if you like "
+"to be prompted for the download directory every time the automatic download "
+"is started. If you leave the download directory prompt disabled, the download "
+"directory defined in the file and directory menu is used."
+msgstr ""
+"여기서 정의되는 프로토콜을 C-A s/r 글쇠를 눌러 파일 업/다운로드를 할 때 사용된"
+"다. \"Name\"은 프로토콜을 지정할 때 보여지는 이름이며, \"Program\"은 프로토콜"
+"의 경로와 파일 이름이며, \"Up/Down\"은 그 프로토콜이 어디 쓰일 것인지, "
+"\"Fullscr\"은 그 프로토콜이 실행될 때 화면 전체를 사용할 것인지, 아니면, "
+"stderr로 minicom의 창을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하며, \"IO-Red\"는 minicom이 그 프"
+"로토콜의 표준 입출력을 모뎀 포트에서 분리할 것인지, 말것인지를 지정한다. 옛"
+"날 sz, rz는 전체 화면이 아니며, IO-Red는 Yes이다. 반면 curses 기반의 최신 rz"
+"는 stdin, stdout의 방향전환이 필요없으며, 전체 화면을 사용한다. 모든 프로토콜"
+"은 그 사용자의 UID를 가지며, UID=root로는 사용되지 않는다. '%l', '%b'는 kermit"
+"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17
+msgid "B<Serial port setup>"
+msgstr "B<Serial port setup>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19
+#, no-wrap
+msgid "B<*A - Serial device>"
+msgstr "B<*A - Serial devic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28
+#, fuzzy
+msgid ""
+"/dev/tty1 for most people. /dev/cuaE<lt>nE<gt> or /dev/modem under linux. "
+"If you have modems connected to two or more serial ports, you may specify all "
+"of them here in a list separated by space, comma or semicolon. When Minicom "
+"starts, it checks the list until it finds an available modem and uses that "
+"one. (However, you can't specify different init strings to them ..at least "
+"not yet.)"
+msgstr ""
+"/dev/tty1 대부분의 경우. /dev/cuaE<lt>nE<gt> 또는 /dev/modem 리눅스 경우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28
+#, no-wrap
+msgid "B<*B - Lock file location>"
+msgstr "B<*B - Lock file locat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33
+msgid ""
+"On most systems This should be /usr/spool/uucp. Linux systems use /var/lock. "
+"If this directory does not exist, minicom will not attempt to use lockfiles."
+msgstr ""
+"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/usr/spool/uucp이다. 리눅스의 경우는 /var/lock 경로를 사"
+"용한다. 이 경로가 없다면, minicom에서는 잠금파일(lockfile)을 사용하지 못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33
+#, no-wrap
+msgid "B<*C - Callin program>"
+msgstr "B<*C - Callin progra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38
+msgid ""
+"If you have a uugetty or something on your serial port, it could be that you "
+"want a program to be run to switch the modem cq. port into dialin/dialout "
+"mode. This is the program to get into dialin mode."
+msgstr ""
+"uugetty나 시리얼 포트에 뭔가가 있다면, mode 응답신호를 dialin/dialout 모드로 "
+"바꾸기 위해 실행할 풀그림이 필요하다. 이때, dialin 모드를 전환할 풀그림을 여기"
+"서 지정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38
+#, no-wrap
+msgid "B<*D - Callout program>"
+msgstr "B<*D - Callout progra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41
+msgid "And this to get into dialout mode."
+msgstr "dialout 모드로 전환할 풀그림을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41
+#, no-wrap
+msgid "B<E - Bps/Par/Bits>"
+msgstr "B<E - Bps/Par/Bit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44
+msgid "Default parameters at startup."
+msgstr "minicom이 실행될 때의 모뎀 상태를 지정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51
+msgid ""
+"If one of the entries is left blank, it will not be used. So if you don't "
+"care about locking, and don't have a getty running on your modemline, entries "
+"B - D should be left blank. Be warned! The callin and callout programs are "
+"run with the effective user id of \"root\", eg 0!"
+msgstr ""
+"왼쪽 입력 부분이 비어 있다면, 그것은 사용하지 않음을 뜻한다. 그래서, 잠금기능"
+"이나, dialin/out 기능들을 사용하지 않으려면, 그냥 비워두면 된다. 여기서 주의"
+"할 것은 callin, callout 풀그림들은 \"root\" ID로만 실행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54
+msgid "B<Modem and Dialing>"
+msgstr "B<Modem and Dialin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64
+msgid ""
+"Here, the parameters for your modem are defined. I will not explain this "
+"further because the defaults are for generic Hayes modems, and should work "
+"always. This file is not a Hayes tutorial :-) The only thing worth noticing "
+"is that control characters can be sent by prefixing them with a '^', in which "
+"'^^' means '^' itself. Some options however, don't have much to do with the "
+"modem but more with the behaviour of minicom itself:"
+msgstr ""
+"이 부분은 사용자 모뎀의 개별적인 환경설정을 하는 부분이다. 이 부분에 대해서"
+"는 자세하게 설명할 수가 없다. 왜냐하면, 사용자의 모뎀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"
+"사용자 자신이기 때문이다. 자세한 것은 각 모뎀의 설명서를 참조하기 바란다. 여기"
+"서 주의할 점은 제어 문자의 제어 코드(C에서 \\e)는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65
+#, no-wrap
+msgid "B<M - Dial time>"
+msgstr "B<M - Dial 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69
+#, fuzzy
+msgid ""
+"The number of seconds before minicom times out if no connection is "
+"established."
+msgstr "전화 걸기 시간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69
+#, no-wrap
+msgid "B<N - Delay before redial>"
+msgstr "B<N - Delay before redia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73
+msgid ""
+"Minicom will redial if no connection was made, but it first waits some time."
+msgstr "통화중일 때 다시 걸기 하기전에 기다리는 시간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73
+#, no-wrap
+msgid "B<O - Number of tries>"
+msgstr "B<O - Number of trie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76
+msgid "Maximum number of times that minicom attempts to dial."
+msgstr "통화중일 다시 걸 최대 횟수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76
+#, no-wrap
+msgid "B<P - Auto speed detect>"
+msgstr "B<P - Auto speed detec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81
+#, fuzzy
+msgid ""
+"If this is on, minicom tries to match the dialed party's speed. With most "
+"modern modems this is NOT desirable, since the modem buffers the data and "
+"converts the speed."
+msgstr "이것이 on 되면, 접속 상태의 호스트쪽 속도로 자동으로 일치시킨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81
+#, no-wrap
+msgid "B<Q - Drop DTR to hangup>"
+msgstr "B<Q - Drop DTR to hangu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87
+msgid ""
+"If you set this to 0, minicom hangs up by sending a Hayes-type hangup "
+"sequence. If you specify a non-zero value, the hangup will be done by "
+"dropping the DTR line. The value tells in seconds how long DTR will be kept "
+"down."
+msgstr ""
+"일반적으로 minicom에서의 전화끊기는 Hayes 모뎀에서 사용하는 끊기 과정을 (++"
+"+ATH0) 사용한다. 하지만, 사용하는 모뎀이 DTR 라인을 지원한다면, 이 DTR라인을 "
+"끊음으로 전화 끊기를 할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487
+#, no-wrap
+msgid "B<R - Modem has DCD line>"
+msgstr "B<R - Modem has DCD lin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91
+#, fuzzy
+msgid ""
+"If your modem, and your O/S both support the DCD line (that goes 'high' when "
+"a connection is made) minicom will use it."
+msgstr "모뎀과 시스템이 DCD 라인을 지원하다면, minicom에서 그것을 사용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497
+msgid ""
+"B<Note that a special exception is made for this menu: every user> B<can "
+"change all parameters here, but they will not be saved.>"
+msgstr ""
+"B<위에서 * 표로 나타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록 모든 사용자가> B<필요에 따라 바"
+"꿀 수는 있지만, 저장되지는 않는다.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00
+msgid "B<Screen and keyboard>"
+msgstr "B<Screen and keyboard>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02
+#, no-wrap
+msgid "B<A - Command key is>"
+msgstr "B<A - Command key i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07
+#, fuzzy
+msgid ""
+"the 'Hot Key' that brings you into command mode. If this is set to 'ALT' or "
+"'meta key', you can directly call commands by alt-key instead of HotKey-key."
+msgstr ""
+"명령 글쇠 지정. 'ALT'나 'meta key'로 지정되면, 그 글쇠 자체로 명령글쇠 기능을 "
+"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07
+#, no-wrap
+msgid "B<B - Backspace key sends>"
+msgstr "B<B - Backspace key send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12
+msgid ""
+"There still are some systems that want a VT100 to send DEL instead of BS. "
+"With this option you can enable that stupidity. (Eh, it's even on by "
+"default...)"
+msgstr ""
+"아직도 몇몇 VT100 터미날에서는 BS 대신 DEL 코드를 보내야 하는 것이 있다. 이런 "
+"경우에 지정해 준다. (물론 대부분 초기값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.)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12
+#, no-wrap
+msgid "B<C - Status line is>"
+msgstr "B<C - Status line i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17
+msgid ""
+"Enabled or disabled. Some slow terminals (for example, X-terminals) cause "
+"the status line to jump \"up and down\" when scrolling, so you can turn it "
+"off if desired. It will still be shown in command-mode."
+msgstr ""
+"상황선을 보일 것인지 말것인지를 지정한다. 몇몇 터미날에서는 이 상황선 자체가 "
+"스크롤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, 이때는 보이지 않게 해 두는 것이 좋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17
+#, no-wrap
+msgid "B<D - Alarm sound>"
+msgstr "B<D - Alarm soun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21
+msgid ""
+"If turned on, minicom will sound an alarm (on the console only) after a "
+"succesfull connection and when up/downloading is complete."
+msgstr ""
+"소리를 낼 것인지를 지정한다. 소리는 연결이 되었을 때, 자료 송/수신이 끝났을 "
+"때 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21
+#, no-wrap
+msgid "B<E - Foreground Color (menu)>"
+msgstr "B<E - Foreground Color (menu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25
+#, fuzzy
+msgid ""
+"indicates the foreground color to use for all the configuration windows in "
+"minicom."
+msgstr "팝업 창들의 전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25
+#, no-wrap
+msgid "B<F - Background Color (menu)>"
+msgstr "B<F - Background Color (menu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30
+#, fuzzy
+msgid ""
+"indicates the background color to use for all the configuration windows in "
+"minicom. Note that minicom will not allow you to set forground and background "
+"colors to the same value."
+msgstr "팝업 창들의 배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30
+#, no-wrap
+msgid "B<G - Foreground Color (term)>"
+msgstr "B<G - Foreground Color (term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33
+#, fuzzy
+msgid "indicates the foreground color to use in the terminal window."
+msgstr "터미날 창의 전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33
+#, no-wrap
+msgid "B<H - Background Color (term)>"
+msgstr "B<H - Background Color (term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38
+#, fuzzy
+msgid ""
+"indicates the background color to use in the terminal window. Note that "
+"minicom will not allow you to set forground and background colors to the same "
+"value."
+msgstr "터미날 창의 배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38
+#, no-wrap
+msgid "B<I - Foreground Color (stat)>"
+msgstr "B<I - Foreground Color (stat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41
+#, fuzzy
+msgid "indicates the foreground color to use in for the status bar."
+msgstr "상황선의 전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41
+#, no-wrap
+msgid "B<J - Background Color (stat)>"
+msgstr "B<J - Background Color (stat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48
+#, fuzzy
+msgid ""
+"indicates the color to use in for the status bar. Note that minicom will "
+"allow you to set the status bar's forground and background colors to the same "
+"value. This will effectively make the status bar invisible but if these are "
+"your intensions, please see the option"
+msgstr "상황선의 배경색 지정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48
+#, no-wrap
+msgid "B<K - History buffer size>"
+msgstr "B<K - History buffer siz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51
+#, fuzzy
+msgid "The number of lines to keep in the history buffer (for backscrolling)."
+msgstr "지나간 화면을 저장할 버퍼의 크기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51
+#, no-wrap
+msgid "B<L - Macros file>"
+msgstr "B<L - Macros fi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63
+msgid ""
+"is the full path to the file that holds macros. Macros allow you to define a "
+"string to be sent when you press a certain key. In minicom, you may define F1 "
+"through F10 to send up to 256 characters [this is set at compile time]. The "
+"filename you specify is verified as soon as you hit ENTER. If you do not have "
+"permissions to create the specified file, an error message will so indicate "
+"and you will be forced to re-edit the filename. If you are permitted to "
+"create the file, minicom checks to see if it already exists. If so, it "
+"assumes it's a macro file and reads it in. If it isn't, well, it's your "
+"problem :-) If the file does not exist, the filename is accepted."
+msgstr ""
+"매크로 정의되어 있는 파일의 경로와 파일 이름. 이때의 경로는 절대경로를 지정한"
+"다. minicom에서는 F1-F10의 각각 256 문자의 매크로를 정의할 수 있다. 파일이름"
+"의 지정은 파일이름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는 순간 그 매크로들이 지정된다. 그 "
+"지정한 파일을 만들 권한이 없으면,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며, 다시 입력할 것을 요"
+"구한다. 그리고 바르게 입력되면 그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, 있으면, 그 파일을 불"
+"러오고 없으면, 새로 만든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63
+#, no-wrap
+msgid "B<M - Edit Macros>"
+msgstr "B<M - Edit Macro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67
+msgid ""
+"opens up a new window which allows you to edit the F1 through F10 macros."
+msgstr ""
+"매크로 정의 창을 만든다. 참고로 매크로 정의부분에서는 한글입력이 되지 않는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67
+#, no-wrap
+msgid "B<N - Macros enabled>"
+msgstr "B<N - Macros enable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71
+msgid ""
+"- Yes or No. If macros are disabled, the F1-F10 keys will just send the VT100/"
+"VT220 function key escape sequences."
+msgstr ""
+"매크로를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 No로 지정되면, VT100/VT220 기능 글쇠 코드"
+"값을 보낸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71
+#, no-wrap
+msgid "B<O - Character conversion>"
+msgstr "B<O - Character con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76
+msgid ""
+"The active conversion table filename is shown here. If you can see no name, "
+"no conversion is active. Pressing O, you will see the conversion table edit "
+"menu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78
+#, no-wrap
+msgid "B<Edit Macros>"
+msgstr "B<Edit Macro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590
+#, fuzzy
+msgid ""
+"Here, the macros for F1 through F10 are defined. The bottom of the window "
+"shows a legend of character combinations that have special meaning. They "
+"allow you to enter special control characters with plain text by prefixing "
+"them with a '^', in which '^^' means '^' itself. You can send a 1 second "
+"delay with the '^~' code. This is useful when you are trying to login after "
+"ftp'ing or telnet'ing somewhere. To edit a macro, press the number (or letter "
+"for F10) and you will be moved to the end of the macro. When editing the "
+"line, you may use the left & right arrows, Home & End keys, Delete & "
+"BackSpace, and ESC and RETURN. ESC cancels any changes made while ENTER "
+"accepts the changes."
+msgstr ""
+"이부분에서는 F1부터 F10 글쇠들에 대한 매크로를 정의할 수 있다. 이 창의 아래부"
+"분에는 각종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글쇠들의 표현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. 제어 문자"
+"는 '^'로 표현하며,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591
+#, no-wrap
+msgid "B<Character conversion>"
+msgstr "B<Character con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01
+msgid ""
+"Here you can edit the character conversion table. If you are not an American, "
+"you know that in many languages there are characters that are not included in "
+"the ASCII character set, and in the old times they may have replaced some "
+"less important characters in ASCII and now they are often represented with "
+"character codes above 127. AND there are various different ways to represent "
+"them. This is where you may edit conversion tables for systems that use a "
+"character set different from the one on your computer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01
+#, no-wrap
+msgid "B<A - Load table>"
+msgstr "B<A - Load tab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11
+msgid ""
+"You probably guessed it. This command loads a table from the disk. You are "
+"asked a file name for the table. Predefined tables .mciso, .mcpc8 and .mcsf7 "
+"should be included with the program. Table .mciso does no conversion, .mcpc8 "
+"is to be used for connections with systems that use the 8-bit pc character "
+"set, and .mcsf7 is for compatibility with the systems that uses the good old "
+"7-bit coding to replace the characters {|}[]\\ with the diacritical "
+"characters used in Finnish and Swedish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11
+#, no-wrap
+msgid "B<B - Save table>"
+msgstr "B<B - Save tab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14
+#, fuzzy
+msgid "This one saves the active table on the filename you specify."
+msgstr "초기 환경파일인 .dfl 파일로 저장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14
+#, no-wrap
+msgid "B<C - edit char>"
+msgstr "B<C - edit cha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22
+msgid ""
+"This is where you can make your own modifications to the existing table. "
+"First you are asked the character value (in decimal) whose conversion you "
+"want to change. Next you'll say which character you want to see on your "
+"screen when that character comes from the outside world. And then you'll be "
+"asked what you want to be sent out when you enter that character from your "
+"keyboard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22
+#, no-wrap
+msgid "B<D - next screen>"
+msgstr "B<D - next screen>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24
+#, no-wrap
+msgid "B<E - prev screen>"
+msgstr "B<E - prev scree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30
+msgid ""
+"Yeah, you probably noticed that this screen shows you what kind of "
+"conversions are active. The screen just is (usually) too small to show the "
+"whole table at once in an easy-to-understand format. This is how you can "
+"scroll the table left and right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33
+#, no-wrap
+msgid "B<Save setup as dfl>"
+msgstr "B<Save setup as df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38
+#, fuzzy
+msgid ""
+"Save the parameters as the default for the next time the program is started. "
+"Instead of dfl, any other parameter name may appear, depending on which one "
+"was used when the program was started."
+msgstr "초기 환경파일인 .dfl 파일로 저장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38
+#, no-wrap
+msgid "B<Save setup as..>"
+msgstr "B<Save setup as..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43
+#, fuzzy
+msgid ""
+"Save the parameters under a special name. Whenever Minicom is started with "
+"this name as an argument, it will use these parameters. This option is of "
+"course priviliged to root."
+msgstr ""
+"이것은 .minirc.????의 ????부분을 지정해서 저장하는 것이다. 이것은 minicom을 "
+"실행에서 'minicom ????' 이렇게 특정 환경으로 실행하고 할 때 사용된다. 이 저장 "
+"방법은 root만 사용할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43
+#, no-wrap
+msgid "B<Exit>"
+msgstr "B<Exi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46
+msgid "Escape from this menu without saving. This can also be done with ESC."
+msgstr "각종 환경들을 저장 없이 마친다. ESC 글쇠와 같은 역활을 한다."
+
+#. type: TP
+#: minicom.1:646
+#, no-wrap
+msgid "B<Exit from minicom>"
+msgstr "B<Exit from minico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51
+msgid ""
+"Only root will see this menu entry, if he/she started minicom with the '-s' "
+"option. This way,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figuration without actually "
+"running minicom."
+msgstr ""
+"root만이 'minicom -s' 명령으로 실행했을 때 보이는 항목이다. 이것은 환경 설정"
+"만 하고 minicom을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652
+#, no-wrap
+msgid "STATUS LINE"
+msgstr "상황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62
+msgid ""
+"The status line has several indicators, that speak for themselves. The "
+"mysterious APP or NOR indicator probably needs explanation. The VT100 cursor "
+"keys can be in two modes: applications mode and cursor mode. This is "
+"controlled by an escape sequence. If you find that the cursor keys do not "
+"work in, say, vi when you're logged in using minicom then you can see with "
+"this indicator whether the cursor keys are in applications or cursor mode. "
+"You can toggle the two with the C-A I key. If the cursor keys then work, it's "
+"probably an error in the remote system's termcap initialization strings (is)."
+msgstr ""
+"상황선은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는데, 대부분 그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뜻한다. "
+"APP, CUR 같은 설명이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. VT100 커서 글쇠는 두가지 모드가 있"
+"을 수 있다. 하나는 application 모드이고, 다른 하나는 cursor 모드이다. "
+"escape sequence 처리 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것인데, 가령, minicom 실행중에 j 명"
+"령으로 쉘로 나가서, vi를 실행시켰을 경우, ESC 글쇠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"
+"가 있다. 이때, 커서 글쇠 모드를 바꾸어 준다.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은 각"
+"각의 터미날 환경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, 이렇게만 설명하겠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663
+#, no-wrap
+msgid "LOCALES"
+msgstr "보안 문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68
+#, fuzzy
+msgid ""
+"Minicom has now support for local languages. This means you can change most "
+"of the English messages and other strings to another language by setting the "
+"environment variable LANG. On March 1998 the supported languages are "
+"Brazilian Portuguese and Finnish."
+msgstr ""
+"minicom을 실행할 때, 특정 사용자가 특정 환경을 사용하는 금지할 필요가 있는데, "
+"이때, \"minicom.users\" 파일로 그 지정이 가능하다. 이 파일의 문법은 다음과 같"
+"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669
+#, no-wrap
+msgid "SECURITY ISSU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74
+msgid ""
+"Since Minicom runs setuid root, you probably want to restrict access to it. "
+"This is possible by using a configuration file in the same directory as the "
+"default files, called \"minicom.users\". The syntax of this file is as "
+"following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77
+msgid "E<lt>usernameE<gt> E<lt>configurationE<gt> [configuration...]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81
+msgid ""
+"To allow user 'miquels' to use the default configuration, enter the following "
+"line into \"minicom.users\"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84
+msgid "miquels dfl"
+msgstr "miquels df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90
+msgid ""
+"If you want users to be able to use more than the default configurations, "
+"just add the names of those configurations behind the user name. If no "
+"configuration is given behind the username, minicom assumes that the user has "
+"access to all configurations."
+msgstr ""
+"또한 그 외의 환경 파일들도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, 환경 파일의 이름 뒤에 계속 "
+"덧 붙혀 주면 된다. 한 사용자가 모든 환경 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, 단지 "
+"그 사용자의 ID만 적어 주고 뒷부분은 생략한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691
+#, no-wrap
+msgid "MISC"
+msgstr "기타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95
+msgid ""
+"If minicom is hung, kill it with SIGTERM . (This means kill -15, or since "
+"sigterm is default, just plain \"kill E<lt>minicompidE<gt>\". This will cause "
+"a graceful exit of minicom, doing resets and everything."
+msgstr ""
+"minicom이 먹통이 되었을 경우에는 SIGTERM 시그날로 종료한다. 이것은 kill -15, "
+"또는 그냥 \"kill E<lt>minicompidE<gt>\"로 종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. 이렇게 종"
+"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, 이렇게 마칠때는 모든 것을 재설정하면서 끝낸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699
+msgid ""
+"Since a lot of escape sequences begin with ESC (Arrow up is ESC [ A), Minicom "
+"does not know if the escape character it gets is you pressing the escape key, "
+"or part of a sequence."
+msgstr ""
+"현재의 minicom은 갑자기 너무 많은 ESC 문자 처리(ESC [)를 해야할 경우에는 제대"
+"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03
+msgid ""
+"An old version of Minicom, V1.2, solved this in a rather crude way: to get "
+"the escape key, you had to press it I<twice>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10
+#, fuzzy
+msgid ""
+"As of release 1.3 this has bettered a little: now a 1-second timeout is "
+"builtin, like in vi. For systems that have the select() system call the "
+"timeout is 0.5 seconds. And... surprise: a special Linux-dependant "
+"B<hack> :-) was added. Now, minicom can separate the escape key and escape-"
+"sequences. To see how dirty this was done, look into wkeys.c. But it works "
+"like a charm!"
+msgstr ""
+"이부분의 문제는 리눅스 시스템 자체의 ESC 문자 처리에 있기 때문에 해킹을 해 보"
+"던지, 그대로, 사용하다 시스템 차원에서 이문제가 해결 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가"
+"장 좋은 방법인것 같다. :-)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710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15
+msgid ""
+"Minicom keeps it's configuration files in one directory, usually /var/lib/"
+"minicom, /usr/local/etc or /etc. To find out what default directory minicom "
+"has compiled in, issue the command I<minicom -h>. You'll probably also find "
+"the demo files for B<runscript>(1) there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22
+#, no-wrap
+msgid ""
+"minicom.users\n"
+"minirc.*\n"
+"$HOME/.minirc.*\n"
+"$HOME/.dialdir\n"
+"/usr/share/locale/*/LC_MESSAGES/minicom.mo\n"
+msgstr ""
+"minicom.users\n"
+"minirc.*\n"
+"$HOME/.minirc.*\n"
+"$HOME/.dialdir\n"
+"/usr/share/locale/*/LC_MESSAGES/minicom.mo\n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723
+#, no-wrap
+msgid "VERSION"
+msgstr "버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25
+msgid "Minicom is now up to version 1.81.1."
+msgstr "이 문서는 minicom 버전 1.81.1을 대상으로 쓰여졌다."
+
+#. type: SH
+#: minicom.1:725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34
+#, fuzzy
+msgid ""
+"The original author of minicom is Miquel van Smoorenburg (miquels@drinkel.ow."
+"org, miquels@cistron.nl). The changes between 1.75 and 1.78 were made by "
+"Jukka Lahtinen (walker@clinet.fi, walker@megabaud.fi). filipg@paranoia.com "
+"wrote the History buffer searching. Arnaldo Carvalho de Melo (acme@conectiva."
+"com.br) did the internationalization. Jim Seymour (jseymour@jimsun.LinxNet."
+"com) wrote the multiple modem support and the filename selection window used "
+"in this version."
+msgstr ""
+"Miquel van Smoorenburg (miquels@drinkel.ow.org, miquels@cistron.nl)가 만들었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38
+msgid ""
+"Most of this man page is copied, with corrections, from the original minicom "
+"README, but some pieces and the corrections are by Michael K. Johnson "
+"(johnsonm@stolaf.edu)."
+msgstr ""
+"이 매뉴얼 페이지는 minicom의 README 파일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했으나, Michael "
+"K. Johnson(johnsonm@stolaf.edu)에 의해서 몇몇 부분이 바뀌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inicom.1:740
+msgid ""
+"Jukka Lahtinen (walker@clinet.fi) added some information of the changes made "
+"after version 1.75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newgrp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newgrp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2273911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newgrp.1.po
@@ -0,0 +1,174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08-19 18:59+02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NEWGRP"
+msgstr "NEWGRP"
+
+#. type: T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2022-05-11"
+msgstr "2022년 5월 11일"
+
+#. type: T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util-linux 2.38.1"
+msgstr "util-linux 2.38.1"
+
+#. type: T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User Commands"
+msgstr "사용자 명령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newgrp - log in to a new group"
+msgstr "newgrp - 자신이 소속된 그룹을 새 그룹으로 바꾼다.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요약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#, fuzzy
+#| msgid "B<newgrp [ >I<group>B< ]>"
+msgid "B<newgrp> [I<group>]"
+msgstr "B<newgrp [ >I<group>B< ]>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#, fuzzy
+msgid ""
+"B<newgrp> changes the group identification of its caller, analogously to "
+"B<login>(1). The same person remains logged in, and the current directory is "
+"unchanged, but calculations of access permissions to files are performed "
+"with respect to the new group ID."
+msgstr ""
+"B<Newgrp> 명령은 changes the group identification of its caller, analogously "
+"to B<login>(1). 명령으로 로그인 할 때 식별되는 그룹을 바꾼다. I<group>으로 "
+"사용될 수 있는 값은 /etc/group 파일안에 있는 그룹의 이름이나, GID 값이여야 하"
+"며, 명령행 인자에서 이 값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, 현재 자신의 그룹으로 바꾼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If no group is specified, the GID is changed to the login GID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B<-h>, B<--help>"
+msgstr "B<-h>, B<--hel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Display help text and exit."
+msgstr "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B<-V>, B<--version>"
+msgstr "B<-V>, B<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Print version and exit."
+msgstr "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#, fuzzy
+#| msgid "I</etc/passwd>"
+msgid "I</etc/group>, I</etc/passwd>"
+msgstr "I</etc/passwd>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Originally by Michael Haardt. Currently maintained by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추가 참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B<login>(1), B<group>(5)"
+msgstr "B<login>(1), B<group>(5)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REPORTING BUGS"
+msgstr "버그 보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For bug reports, use the issue tracker at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archlinux
+#, no-wrap
+msgid "AVAILABILITY"
+msgstr "가용성"
+
+#. type: Plain text
+#: archlinux
+msgid ""
+"The B<newgrp> command is part of the util-linux package which can be "
+"downloaded from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pidof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pidof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e0c9dc40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pidof.1.po
@@ -0,0 +1,161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1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pidof.8:1
+#, no-wrap
+msgid "PIDOF"
+msgstr "PIDOF"
+
+#. type: TH
+#: pidof.8:1
+#, no-wrap
+msgid "27 May 1997"
+msgstr "1997년 5월 27일"
+
+#. type: TH
+#: pidof.8:1
+#, no-wrap
+msgid "Linux System Administrator's Manual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pidof.8:2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4
+msgid "pidof -- find the process ID of a running program."
+msgstr "pidof -- 현재 실행중인 풀그림의 프로세스 ID를 찾는다."
+
+#. type: SH
+#: pidof.8:4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14
+msgid ""
+"B<pidof> [B<-s>] [B<-x>] [B<-o> I<omitpid>] [B<-o> I<omitpid..>] B<program> "
+"[B<program..>]"
+msgstr ""
+"B<pidof> [B<-s>] [B<-x>] [B<-o> I<omitpid>] [B<-o> I<omitpid..>] B<program> "
+"[B<program..>]"
+
+#. type: SH
+#: pidof.8:14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21
+#, fuzzy
+msgid ""
+"B<Pidof> finds the process id's (pids) of the named programs. It prints those "
+"id's on the standard output. This program is typically used in run-level "
+"change scripts, especially when the system has a I<System-V> like I<rc> "
+"structure. In that case these scripts are located in /etc/rc?.d, where ? is "
+"the runlevel."
+msgstr ""
+"B<Pidof> 명령은 B<program>의 프로세스 ID를 찾는다. 이것은 그 찾은 ID를 표준 "
+"출력으로 보낸다. 이 풀그림은 runlevel을 바꾸는 스크립트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된"
+"다. 이 스크립트는 /etc/rc.d 경로 아에 있다."
+
+#. type: SH
+#: pidof.8:21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IP
+#: pidof.8:22
+#, no-wrap
+msgid "-s"
+msgstr "-s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24
+#, fuzzy
+msgid "Single shot - this instructs the program to only return one I<pid>."
+msgstr "지정한 B<program>의 I<pid>가 여러개 있을 경우 하나만 보여준다."
+
+#. type: IP
+#: pidof.8:24
+#, no-wrap
+msgid "-x"
+msgstr "-x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27
+#, fuzzy
+msgid ""
+"Scripts too - this causes the program to also return process id's of shells "
+"running the named scripts."
+msgstr "스크립트와 함께 실행 중인 B<program>이면 그 쉘의 id도 함께 보여준다."
+
+#. type: IP
+#: pidof.8:27
+#, no-wrap
+msgid "-o"
+msgstr "-o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31
+msgid ""
+"Tells I<pidof> to omit processes with that process id. The special pid "
+"B<%PPID> can be used to name the parent process of the I<pidof> program, in "
+"other words the calling shell or shell script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pidof.8:31
+#, no-wrap
+msgid "NOTES"
+msgstr "주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34
+#, fuzzy
+msgid ""
+"I<pidof> is simply a (symbolic) link to the I<killall5> program, which should "
+"also be located in I</sbin>."
+msgstr "I<pidof> 풀그림은 I</sbin/killall5> 파일의 단순한 심블릭 링크 파일이다."
+
+#. type: SH
+#: pidof.8:34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39
+msgid "B<shutdown>(8), B<init>(8), B<halt>(8), B<reboot>(8)"
+msgstr "B<shutdown>(8), B<init>(8), B<halt>(8), B<reboot>(8)"
+
+#. type: SH
+#: pidof.8:39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idof.8:40
+msgid "Miquel van Smoorenburg, miquels@cistron.nl"
+msgstr "Miquel van Smoorenburg, miquels@cistron.nl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python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python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6f7571fe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python.1.po
@@ -0,0 +1,771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배성훈 <plodder@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6-0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배성훈 <plodder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python.1:1
+#, no-wrap
+msgid "PYTHON"
+msgstr "PYTHON"
+
+#. type: TH
+#: python.1:1
+#, no-wrap
+msgid "20 August, 1999"
+msgstr "1999년 8월 20일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4
+msgid ""
+"python - an interpreted, interactive, object-oriented programming language"
+msgstr "python - 해석되고, 대화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4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
+msgid ""
+"B<python> [ B<-d> ] [ B<-i> ] [ B<-O> ] [ B<-S> ] [ B<-t> ] [ B<-u> ] [ B<-"
+"v> ]"
+msgstr ""
+"B<python> [ B<-d> ] [ B<-i> ] [ B<-O> ] [ B<-S> ] [ B<-t> ] [ B<-u> ] [ B<-"
+"v> ]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34
+#, no-wrap
+msgid ""
+" [\n"
+"B<-x>\n"
+"]\n"
+"[\n"
+"B<-X>\n"
+"]\n"
+msgstr ""
+" [\n"
+"B<-x>\n"
+"]\n"
+"[\n"
+"B<-X>\n"
+"]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46
+#, no-wrap
+msgid ""
+" [\n"
+"B<-c>\n"
+"I<command>\n"
+"|\n"
+"I<script>\n"
+"|\n"
+"-\n"
+"]\n"
+"[\n"
+"I<arguments>\n"
+"]\n"
+msgstr ""
+" [\n"
+"B<-c>\n"
+"I<command>\n"
+"|\n"
+"I<script>\n"
+"|\n"
+"-\n"
+"]\n"
+"[\n"
+"I<arguments>\n"
+"]\n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46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58
+msgid ""
+"Python is an interpreted, interactive, object-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"
+"that combines remarkable power with very clear syntax. For an introduction "
+"to programming in Python you are referred to the Python Tutorial. The Python "
+"Library Reference documents built-in and standard types, constants, functions "
+"and modules. Finally, the Python Reference Manual describes the syntax and "
+"semantics of the core language in (perhaps too) much detail. (Information on "
+"locating these documents is included in B<SEE ALSO> below; they may be "
+"installed on your system as well.)"
+msgstr ""
+"파이썬은 해석되고, 대화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매우 간결한 문법으로 "
+"주목할만한 강력함을 가진다.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사항에 관해서는 파이"
+"썬 튜토리얼을 참고해라. 파이썬 라이브러리 레퍼런스는 빌드-인 과 표준 자료형, "
+"상수, 함수와 모듈을 상세히 기록한다. 마지막으로, 파이썬 레퍼런스 매뉴얼은 문"
+"법과 핵심 언어의 의미에 대하여 매우 자세히 설명한다. (이런 문서의 위치 정보"
+"는 아래 B<관련 항목> 에 포함되어 있다; 그것들은 당신의 시스템에 설치될지도 모"
+"른다.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65
+msgid ""
+"Python's basic power can be extended with your own modules written in C or C+"
+"+. On most systems such modules may be dynamically loaded. Python is also "
+"adaptable as an extension language for existing applications. See the "
+"internal documentation for hints."
+msgstr ""
+"파이썬의 기본적인 강력함은 C 또는 C++로 작성된 당신의 모듈들에 의해 확장 할 "
+"수 있다. 대부분의 시스템에 이런 모듈들은 동적으로 적재될지 모른다. 파이썬은 "
+"또한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확장 언어로 유용하다. 힌트를 위해 내부 문서를 "
+"보아라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65
+#, no-wrap
+msgid "COMMAND LINE OPTIONS"
+msgstr "명령행 옵션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66
+#, no-wrap
+msgid "B<-d>"
+msgstr "B<-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70
+msgid ""
+"Turn on parser debugging output (for wizards only, depending on compilation "
+"options)."
+msgstr ""
+"파서 디버깅 출력으로 바꾼다. ( 위저드만을 위해서며, 컴파일 옵션에 의존적이다.)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70
+#, no-wrap
+msgid "B<-i>"
+msgstr "B<-i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77
+msgid ""
+"When a script is passed as first argument or the B<-c> option is used, enter "
+"interactive mode after executing the script or the command. It does not read "
+"the $PYTHONSTARTUP file. This can be useful to inspect global variables or a "
+"stack trace when a script raises an exception."
+msgstr ""
+"스크립트가 첫번째 인자에 의해 통과하거나 B<-c> 옵션이 사용될때, 스크립트 또는 "
+"명령을 수행한후에 대화형 모드로 들어간다. 이것은 $PYTHONSTARTUP 파일을 읽지 "
+"않는다. 이것은 스크립트 예외 발생시 글로벌 변수 혹은 스택 흔적 검사에 유용하"
+"게 사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77
+#, no-wrap
+msgid "B<-O>"
+msgstr "B<-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83
+msgid ""
+"Turn on basic optimizations. This changes the filename extension for "
+"compiled (bytecode) files from I<.pyc> to I<.pyo>. Given twice, causes "
+"docstrings to be discarded."
+msgstr ""
+"기본 최적화로 바꾼다. 이것은 I<.pyc> 에서 I<.pyo>로 컴파일된 (바이트코드) 파일"
+"의 파일명 확장를 바꾼다. 주어진 두가지는 docstring을 포기하는 이유이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83
+#, no-wrap
+msgid "B<-S>"
+msgstr "B<-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90
+msgid ""
+"Disable the import of the module I<site> and the site-dependent manipulations "
+"of I<sys.path> that it entails."
+msgstr ""
+"모듈 I<사이트> 의 삽입과 사이트-의존하는 I<sys.path> 의 조작을 못하게 한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90
+#, no-wrap
+msgid "B<-t>"
+msgstr "B<-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95
+msgid ""
+"Issue a warning when a source file mixes tabs and spaces for indentation in a "
+"way that makes it depend on the worth of a tab expressed in spaces. Issue an "
+"error when the option is given twice."
+msgstr ""
+"소스 파일이 스페이스사이에서 탭에 의존되는 들여쓰기 대하여 탭과 스페이스가 썩"
+"여 있을 때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. 옵션이 두번 주어졌을 때 에러를 생성한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95
+#, no-wrap
+msgid "B<-u>"
+msgstr "B<-u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98
+msgid "Force stdin, stdout and stderr to be totally unbuffered."
+msgstr "stdin, stdout와 stderr에게 버퍼 사용을 강제로 못하게 한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98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05
+msgid ""
+"Print a message each time a module is initialized, showing the place "
+"(filename or built-in module) from which it is loaded. When given twice, "
+"print a message for each file that is checked for when searching for a "
+"module.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module cleanup at exit."
+msgstr ""
+"모듈이 초기화될때 마다 메시지를 출력하고, 이것이 적재된 장소(파일명 혹은 빌드-"
+"인 모듈)를 보여준다. 두가지가 주어지면, 모듈 검색중 일때에 대하여 검사되는 "
+"각 파일을 위한 메시지를 출력한다. 또한 종료 시점에서 모듈 제거에 관한 정보를 "
+"제공한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105
+#, no-wrap
+msgid "B<-x>"
+msgstr "B<-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10
+msgid ""
+"Skip the first line of the source. This is intended for a DOS specific hack "
+"only. Warning: the line numbers in error messages will be off by one!"
+msgstr ""
+"소스의 첫줄을 건너뛴다. 이것은 DOS에 대해서만 사용된다. 경고: 에러 메시지에"
+"서의 선 수는 한쪽에 분리되어 있을 것이다!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110
+#, no-wrap
+msgid "B<-X>"
+msgstr "B<-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15
+msgid ""
+"Make the standard exceptions strings instead of classes. Use for backward "
+"compatibility with old code only. This is not necessary for most uses of "
+"string exceptions."
+msgstr ""
+"클래스 대신에 표준 예이 문자열을 만든다. 오래된 코드의 경우에 하위호환을 위"
+"해 사용된다. 이것은 문자열 예외의 대부분의 사용에 필요하지 않다."
+
+#. type: TP
+#: python.1:115
+#, no-wrap
+msgid "B<-c >I<command>"
+msgstr "B<-c >I<comman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20
+msgid ""
+"Specify the command to execute (see next section). This terminates the "
+"option list (following options are passed as arguments to the command)."
+msgstr ""
+"특별한 command를 수행한다(다음 섹션을 보아라). 이것은 옵션 목록을 종료한다(이"
+"후의 옵션은 command에 의해 인자처럼 통관한다)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120
+#, no-wrap
+msgid "INTERPRETER INTERFACE"
+msgstr "인터프리트 인터페이스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39
+msgid ""
+"The interpreter interface resembles that of the UNIX shell: when called with "
+"standard input connected to a tty device, it prompts for commands and "
+"executes them until an EOF is read; when called with a file name argument or "
+"with a file as standard input, it reads and executes a I<script> from that "
+"file; when called with B<-c> I<command,> it executes the Python statement(s) "
+"given as I<command.> Here I<command> may contain multiple statements "
+"separated by newlines. Leading whitespace is significant in Python "
+"statements! In non-interactive mode, the entire input is parsed befored it is "
+"executed."
+msgstr ""
+"인터프리트 인터페이스는 UNIX 쉘의 그것과 비슷하다: tty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표"
+"준 입력으로 호출될 때, 이것은 command를 위한 프롬프트고 EOF를 읽게 될 때까지 "
+"수행한다; 파일명 매개변수 혹은 표준 입력과 같은 파일에 의해 호출되어 질 때, 이"
+"것은 파일로 부터 I<script> 를 읽고 수행한다; B<-c> I<command> 로 호출되었을 "
+"때, 이것은 I<command> 를 파이썬 문장으로 수행한다. 여기에서 I<command> 는 줄"
+"바꿈에 의해 여러 문장으로 구분되어 포함 될 지도 모른다. 유도된 공백문자는 파"
+"이썬 문장에서 중요하다! 비대화형 모드에서, 전체 입력은 앞 내용 조사후에 수행되"
+"어 진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57
+msgid ""
+"If available, the script name and additional arguments thereafter are passed "
+"to the script in the Python variable I<sys.argv ,> which is a list of strings "
+"(you must first I<import sys> to be able to access it). If no script name is "
+"given, I<sys.argv> is empty; if B<-c> is used, I<sys.argv[0]> contains the "
+"string I<'-c'.> Note that options interpreted by the Python interpreter "
+"itself are not placed in I<sys.argv.>"
+msgstr ""
+"이용할 수 있으면, 스트링의 목록인( I<import sys> 한후에 접근이 가능하다.) 파"
+"이썬 변수 I<sys.argv> 에 스크립트명과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넣는다. 만약 스크립"
+"트 명이 주어지지 않으면, I<sys.argv> 는 공백이다; 만약 B<-c> 이 사용되면, "
+"I<sys.argv[0]> 에 I<'-c'> 을 포한한다. 옵션이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해석되"
+"어지면 I<sys.argv> 에 놓이지 않는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74
+msgid ""
+"In interactive mode, the primary prompt is `E<gt>E<gt>E<gt>'; the second "
+"prompt (which appears when a command is not complete) is `...'. The prompts "
+"can be changed by assignment to I<sys.ps1> or I<sys.ps2.> The interpreter "
+"quits when it reads an EOF at a prompt. Whe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s, "
+"a stack trace is printed and control returns to the primary prompt; in non-"
+"interactive mode, the interpreter exits after printing the stack trace. The "
+"interrupt signal raises the I<Keyboard\\%Interrupt> exception; other UNIX "
+"signals are not caught (except that SIGPIPE is sometimes ignored, in favor of "
+"the I<IOError> exception). Error messages are written to stderr."
+msgstr ""
+"대화형 모드에서, 주 프롬프트는 `E<gt>E<gt>E<gt>'이다.; 부 프롬프트는 (명령이 "
+"완전하지 않게 나타났을 때) `...'이다. 프롬프트는 I<sys.ps1> 와 I<sys.ps2> 의 "
+"부여에 의해 바꿀 수 있다. 인터프리터가 프롬프트에서 EOF를 읽으면 빠져 나온"
+"다. 취급되지 않는 예외가 발생하였을 때, 스택 흔적은 출력되고 주 프롬프트로 제"
+"어를 넘긴다; 비대화형 모드의 경우, 인터프리트는 스택 흔적 출력후에 종료한다. "
+"인터럽트 신호는 I<Keyboard\\%Interrupt> exception 예외를 발생시킨다; 다른 "
+"UNIX 신호는 잡히지 않는다 ( I<IOError> 예외 처리에서 SIGPIPE가 때때로 무시되"
+"는 것을 제외하고). 에러 메시지는 stderr에 쓰여진다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174
+#, no-wrap
+msgid "FILES AND DIRECTORIES"
+msgstr "파일과 디렉토리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79
+msgid ""
+"These are subject to difference depending on local installation conventions; "
+"${prefix} and ${exec_prefix} are installation-dependent and should be "
+"interpreted as for GNU software; they may be the same. The default for both "
+"is I</usr/local>."
+msgstr ""
+"이것은 설치 관례에 따라 다를 수 있다; ${prefix} 와 ${exec_prefix} 는 설치과정"
+"에서 결정된다; 같은 것일 수도 있다. 둘다 기본값은 I</usr/local>이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179
+#, no-wrap
+msgid "I<${exec_prefix}/bin/python>"
+msgstr "I<${exec_prefix}/bin/pyth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81
+msgid "Recommended location of the interpreter."
+msgstr "인터프리터의 추천 위치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83
+msgid "I<${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>"
+msgstr "I<${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85
+msgid "I<${exec_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>"
+msgstr "I<${exec_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88
+msgid ""
+"Recommended locations of the directories containing the standard modules."
+msgstr "표준 모듈을 포함하는 디렉토리의 추천 위치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91
+msgid "I<${prefix}/include/pythonE<lt>versionE<gt>>"
+msgstr "I<${prefix}/include/pythonE<lt>version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93
+msgid "I<${exec_prefix}/include/pythonE<lt>versionE<gt>>"
+msgstr "I<${exec_prefix}/include/pythonE<lt>version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197
+msgid ""
+"Recommended locations of the directories containing the include files needed "
+"for developing Python extensions and embedding the interpreter."
+msgstr ""
+"파이썬 인터프리터 확장과 삽입 개발에 필요한 인클루더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토리"
+"의 추천 위치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198
+#, no-wrap
+msgid "I<~/.pythonrc.py>"
+msgstr "I<~/.pythonrc.py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01
+msgid ""
+"User-specific initialization file loaded by the I<user> module; not used by "
+"default or by most applications."
+msgstr ""
+"사용자 모듈에 의해 적재되는 사용자 고유의 초기 설정 파일; 기본 설정과 대부분"
+"의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01
+#, no-wrap
+msgid "ENVIRONMENT VARIABLES"
+msgstr "환경 변수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02
+#, no-wrap
+msgid "PYTHONHOME"
+msgstr "PYTHONHOME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10
+msgid ""
+"Change the location of the standard Python libraries. By default, the "
+"libraries are searched in ${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 and "
+"${exec_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, where ${prefix} and "
+"${exec_prefix} are installation-dependent directories, both defaulting to I</"
+"usr/local>. When $PYTHONHOME is set to a single directory, its value "
+"replaces both ${prefix} and ${exec_prefix}. To specify different values for "
+"these, set $PYTHONHOME to ${prefix}:${exec_prefix}."
+msgstr ""
+"표준 파이썬 라이브러리의 위치를 변경한다. 기본적으로, 라이브러리는 ${prefix}/"
+"lib/pythonE<lt>versionE<gt> 와 ${exec_prefix}/lib/pythonE<lt>versionE<gt> 에"
+"서 검색되어지고, ${prefix} 와 ${exec_prefix}는 설치과정에 지정된 디렉토리며, "
+"둘다 기본적으로 I</usr/local>다. $PYTHONHOME이 하나의 디렉토리로 지정되면, 이 "
+"값은 ${prefix} 와 ${exec_prefix} 둘다를 대신한다. 이런한 특정 디렉토리 값은 "
+"$PYTHONHOME 에 ${prefix}:${exec_prefix}를 지정하여야 된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10
+#, no-wrap
+msgid "PYTHONPATH"
+msgstr "PYTHONPATH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23
+msgid ""
+"Augments the default search path for module files. The format is the same as "
+"the shell's $PATH: one or more directory pathnames separated by colons. Non-"
+"existant directories are silently ignored. The default search path is "
+"installation dependent, but generally begins with ${prefix}/lib/"
+"pythonE<lt>versionE<gt> (see PYTHONHOME above). The default search path is "
+"always appended to $PYTHONPATH. If a script argument is given, the directory "
+"containing the script is inserted in the path in front of $PYTHONPATH. The "
+"search path can be manipulated from within a Python program as the variable "
+"I<sys.path .>"
+msgstr ""
+"모듈 파일 검색 경로를 늘려준다. 이것의 형식은 쉘의 $PATH와 같다: 하나 혹은 여"
+"러 디렉토리 경로명을 콜론으로 구분한다. 존재하지 않는 디렉토리는 무시한다. "
+"검색 경로 기본값은 설치과정에 의해 지정되고, 일반적으로 ${prefix}/lib/"
+"pythonE<lt>versionE<gt>로 시작된다. (위의 PYTHONHOME을 봐라). 기본 검색 경로"
+"는 항상 $PYTHOPATH에 추가된다. 만약 스크립트 매개변수가 주어지면 스크립트가 "
+"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가 $PYTHONPATH보다 앞쪽 경로에 삽입된다. 검색 경로는 "
+"I<sys.path> 변수로 파이썬 프로그램 안에서 조작 할 수 있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23
+#, no-wrap
+msgid "PYTHONSTARTUP"
+msgstr "PYTHONSTARTUP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35
+msgid ""
+"If this is the name of a readable file, the Python commands in that file are "
+"executed before the first prompt is displayed in interactive mode. The file "
+"is executed in the same name space where interactive commands are executed so "
+"that objects defined or imported in it can be used without qualification in "
+"the interactive session. You can also change the prompts I<sys.ps1> and "
+"I<sys.ps2> in this file."
+msgstr ""
+"만약 이것이 읽을 수 있는 파일의 이름이면, 대화형 모드에서 1차 프롬프트가 표시"
+"되기 이전에 파일을 수행하도록 파이썬에 명령한다. 정의되거나 삽입되는 객체들"
+"이 대화형 세션에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게, 대화형 명령들이 실행되는 같은 이름 "
+"공간에서 파일은 실행되어 진다. 이 파일에서 I<sys.ps1> 와 I<sys.ps2> 프롬프트"
+"를 바꿀수 있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35
+#, no-wrap
+msgid "PYTHONDEBUG"
+msgstr "PYTHONDEBUG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38
+msgid ""
+"If this is set to a non-empty string it is equivalent to specifying the B<-d> "
+"option."
+msgstr "만약 이것에 문자열이 설정되면 이것은 B<-d> 옵션을 지정한 것과 같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38
+#, no-wrap
+msgid "PYTHONINSPECT"
+msgstr "PYTHONINSPECT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41
+msgid ""
+"If this is set to a non-empty string it is equivalent to specifying the B<-i> "
+"option."
+msgstr "만약 이것에 문자열이 설정되면 이것은 B<-i> 옵션을 지정한 것과 같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41
+#, no-wrap
+msgid "PYTHONUNBUFFERED"
+msgstr "PYTHONUNBUFFERED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44
+msgid ""
+"If this is set to a non-empty string it is equivalent to specifying the B<-u> "
+"option."
+msgstr "만약 이것에 문자열이 설정되면 이것은 B<-u> 옵션을 지정한 것과 같다.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44
+#, no-wrap
+msgid "PYTHONVERBOSE"
+msgstr "PYTHONVERBOSE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47
+msgid ""
+"If this is set to a non-empty string it is equivalent to specifying the B<-v> "
+"option."
+msgstr "만약 이것에 문자열이 설정되면 이것은 B<-v> 옵션을 지정한 것과 같다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4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48
+#, no-wrap
+msgid "Python Tutorial"
+msgstr "Python Tutoria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50
+msgid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tut/tut.html"
+msgstr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tut/tut.html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50
+#, no-wrap
+msgid "Python Library Reference"
+msgstr "Python Library Reference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52
+msgid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lib/lib.html"
+msgstr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lib/lib.html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52
+#, no-wrap
+msgid "Python Reference Manual"
+msgstr "Python Reference Manua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54
+msgid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ref/ref.html"
+msgstr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ref/ref.html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54
+#, no-wrap
+msgid "Extending and Embedding the Python Interpreter"
+msgstr "Extending and Embedding the Python Interpreter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56
+msgid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ext/ext.html"
+msgstr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ext/ext.html"
+
+#. type: IP
+#: python.1:256
+#, no-wrap
+msgid "Python/C API"
+msgstr "Python/C API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58
+msgid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api/api.html"
+msgstr "URL: http://www.python.org/doc/api/api.htm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61
+msgid ""
+"Downloadable versions of these documents in many formats are available at the "
+"Python website; see B<\\INTERNET RESOURCES> below."
+msgstr ""
+"많은 형식으로 이러한 문서들이 파이썬 웹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; 아래 B<인터넷 "
+"자원>을 봐라.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61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68
+#, no-wrap
+msgid ""
+"Guido van Rossum\n"
+"CNRI\n"
+"1895 Preston White Drive\n"
+"Reston, VA 20191\n"
+"USA\n"
+msgstr ""
+"Guido van Rossum\n"
+"CNRI\n"
+"1895 Preston White Drive\n"
+"Reston, VA 20191\n"
+"USA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0
+#, no-wrap
+msgid "E-mail: guido@cnri.reston.va.us, guido@python.org\n"
+msgstr "E-mail: guido@cnri.reston.va.us, guido@python.org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3
+msgid "And a cast of thousands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73
+#, no-wrap
+msgid "INTERNET RESOURCES"
+msgstr "인터넷 자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5
+msgid "Web site: http://www.python.org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7
+msgid "FTP site: ftp://ftp.python.org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79
+msgid "Newsgroups: comp.lang.python, comp.lang.python.announce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82
+msgid ""
+"There are many mirror sites; a current list is available at http://www.python."
+"org/mirrors.html."
+msgstr ""
+"많은 미러 사이트가 있다; 현제의 목록은 다음 주소에서 볼 수 있다. http://www."
+"python.org/mirrors.html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87
+msgid ""
+"The I<\\Python Software Activity> provides many mailing lists which serve "
+"various special interests within the Python community; information on these "
+"special interest groups is available at http://www.python.org/sigs/."
+msgstr ""
+"I<\\Python 소프트웨어 조직>은 Python 공동체 내부의 다양한 특별 관심에 대한 많"
+"은 메일링리스트를 제공 한다;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는 다음 주소에서 볼 수 있"
+"다. http://www.python.org/sigs/"
+
+#. type: SH
+#: python.1:287
+#, no-wrap
+msgid "COPYRIGHT"
+msgstr "저작권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90
+msgid ""
+"Copyright 1991-1995 by Stichting Mathematisch Centrum, Amsterdam, The "
+"Netherland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292
+msgid "All Rights Reserved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302
+msgid ""
+"Permission to use, copy, modify, and distribute this software and its "
+"documentation for any purpose and without fee is hereby granted, provided "
+"that the above copyright notice appear in all copies and that both that "
+"copyright notice and this permission notice appear in supporting "
+"documentation, and that the names of Stichting Mathematisch Centrum or CWI or "
+"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 or CNRI not be used in "
+"advertising or publicity pertaining to distribution of the software without "
+"specific, written prior permission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306
+msgid ""
+"While CWI is the initial source for this software, a modified version is made "
+"available by the 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 (CNRI) at the "
+"Internet address ftp://ftp.python.org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ython.1:314
+msgid ""
+"STICHTING MATHEMATISCH CENTRUM AND CNRI DISCLAIM ALL WARRANTIES WITH REGARD "
+"TO THIS SOFTWARE, INCLUDING ALL IMPLIED WARRANTIES OF MERCHANTABILITY AND "
+"FITNESS, IN NO EVENT SHALL STICHTING MATHEMATISCH CENTRUM OR CNRI BE LIABLE "
+"FOR ANY SPECIAL, INDIRECT OR CONSEQUENTIAL DAMAGES OR ANY DAMAGES WHATSOEVER "
+"RESULTING FROM LOSS OF USE, DATA OR PROFITS, WHETHER IN AN ACTION OF "
+"CONTRACT, NEGLIGENCE OR OTHER TORTIOUS ACTION, ARISING OUT OF OR IN "
+"CONNECTION WITH THE USE OR PERFORMANCE OF THIS SOFTWARE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readprofile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readprofile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87202453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readprofile.1.po
@@ -0,0 +1,372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3-2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readprofile.1:1
+#, no-wrap
+msgid "READPROFILE"
+msgstr "READPROFILE"
+
+#. type: TH
+#: readprofile.1:1
+#, no-wrap
+msgid "January 1995"
+msgstr "1995년 1월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3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5
+msgid "readprofile - a tool to read kernel profiling information"
+msgstr "readprofile - kernel profiling 정보를 읽기 위한 연장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5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0
+msgid "B<readprofile> [ I<options> ]"
+msgstr "B<readprofile> [ I<옵션> ]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11
+#, no-wrap
+msgid "VERSION"
+msgstr "버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3
+#, fuzzy
+msgid "This manpage documents version 2.0 of the program."
+msgstr "이 매뉴얼 페이지는 readprofile 버전 2.0에 대한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14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27
+#, fuzzy
+msgid ""
+"The B<readprofile> command uses the B</proc/profile> information to print "
+"ascii data on standard output. The output is organized in three columns: the "
+"first is the number of clock ticks, the second is the name of the C function "
+"in the kernel where those many ticks occurred, and the third is the "
+"normalized 'load' of the procedure, calculated as a ratio between the number "
+"of ticks and the length of the procedure. The output is filled with blanks to "
+"ease readability."
+msgstr ""
+"B<readprofile> 풀그림은 B</proc/profile> 파일을 읽어 그 정보를 표준 출력으로 "
+"보여준다. 출력은 세칸으로 나뉘어 출력되는데, 첫째칸에는 clock ticks의 숫자, "
+"둘째칸에는 많은 틱스(ticks)가 발생되는 커널 안의 C 함수 이름, 셋째칸에는 프로"
+"시져의 일반화된(normalized) `load(사용량)'를 보여준다. 그 프로시져의 `load' "
+"틱스의 숫자와 프로시져의 길이 사이 비율로 계산된다. 이렇게 각 정보를 읽기 쉽"
+"게 공백문자를 채워서 보여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30
+#, fuzzy
+msgid "Available command line options are the following:"
+msgstr "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31
+#, no-wrap
+msgid "-mB< mapfile>"
+msgstr "-mB< 맵파일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44
+#, fuzzy
+msgid ""
+"Specify a mapfile, which by default is B</usr/src/linux/System.map>. You "
+"should specify the map file on cmdline if your current kernel isn't the last "
+"one you compiled, or if you keep System.map elsewhere. If the name of the map "
+"file ends with '.gz' it is decompressed on the fly."
+msgstr ""
+"맵파일을 지정한다. 초기값은 B</usr/src/linux/System.map.> 커널 버전 1.1.7x 종"
+"류에서는 B<readprofile> 명령이 이 초기 맵 파일을 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. 이럴"
+"때는, 이 옵션을 사용해서 맵 파일을 B</usr/src/linux/zSystem.map> 으로 지정한"
+"다. 한번도 스스로 커널을 컴파일 한적이 없다면, 이 옵션을 사용해야한다. 파일 "
+"이름에서 `.gz'로 끝나는 압축파일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, 이때는 이 풀그림에서 자"
+"동으로 풀어서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45
+#, no-wrap
+msgid "-pB< pro-file>"
+msgstr "-pB< 프로파일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58
+#, fuzzy
+msgid ""
+"Specify a different profiling buffer, which by default is B</proc/profile>. "
+"Using a different pro-file is useful if you want to 'freeze' the kernel "
+"profiling at some time and read it later. The B</proc/profile> file can be "
+"copied using 'cat' or 'cp'. There is no more support for compressed profile "
+"buffers, like in B<readprofile-1.1>, because the program needs to know the "
+"size of the buffer in advance."
+msgstr ""
+"읽을 profile 파일을 지정한다. 초기값은 B</proc/profile> 파일이다. 이 옵션은 "
+"커널을 바꾸었을 때 이전 커널의 프로파일을 보려고 할때 유용하게 쓰인다. B</"
+"proc/profile> 파일은 `cat', `cp' 명령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복사본 파일을 만들 "
+"수 있다. 이 파일이 `.gz' 확장자가 있어 압축되어 있으면, 자동으로 풀어서 보여준"
+"다. 프로파일은 B<gzip> 명령으로 압축을 하면 50-100배 가량 크기를 줄일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59
+#, no-wrap
+msgid "B<-i>"
+msgstr "B<-i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69
+#, fuzzy
+msgid ""
+"Info. This makes B<readprofile> only print the profiling step used by the "
+"kernel. The profiling step is the resolution of the profiling buffer, and is "
+"chosen during kernel configuration (through 'make config'), or in the "
+"kernel's command line. If the B<-t> (terse) switch is used together with B<-"
+"i> only the decimal number is printed."
+msgstr ""
+"Info. 이 옵션은 커널에 의해서 사용되는 profiling 단계만 보여준다. profiling "
+"단계란 profiling 버퍼의 resolution이며, 커널 환경설정(`make config')하는 동안 "
+"선택된다. B<-t> (terse) 옵션이 B<-i> 옵션과 함께 사용되면 10진수만 보여진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70
+#, no-wrap
+msgid "B<-a>"
+msgstr "B<-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74
+#, fuzzy
+msgid ""
+"Print all symbols in the mapfile. By default the procedures with 0 reported "
+"ticks are not printed."
+msgstr ""
+"맵 파일의 모든 심블를 보여준다. 초기값으로 틱스값이 0인 프로시져는 보여주지 "
+"않는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75
+#, no-wrap
+msgid "B<-r>"
+msgstr "B<-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81
+#, fuzzy
+msgid ""
+"Reset the profiling buffer. This can only be invoked by root, because B</proc/"
+"profile> is readable by everybody but writable only by the superuser. "
+"However, you can make readprofile setuid 0, in order to reset the buffer "
+"without gaining privileges."
+msgstr ""
+"profiling 버퍼를 리셋한다. 이 옵션은 root만 사용할 수 있다. 왜냐하면 B</proc/"
+"profile> 파일에 쓰기를 할 수 있는 권한이 root에게만 있기 때문이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82
+#, no-wrap
+msgid "B<-t>"
+msgstr "B<-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88
+#, fuzzy
+msgid ""
+"Terse(간략하게 보여주기). 이 옵션은 공백문자 채움을 하지 않고 보여준다. 이것"
+"은 B<readprofile> 명령이 실행될 때의 원시적인 포멧 방식이다."
+msgstr ""
+"Terse(간략하게 보여주기). 이 옵션은 공백문자 채움을 하지 않고 보여준다. 이것"
+"은 B<readprofile> 명령이 실행될 때의 원시적인 포멧 방식이다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89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94
+#, fuzzy
+msgid ""
+"Verbose. The output is organized in four columns and filled with blanks. The "
+"first column is the RAM address of a kernel function, the second is the name "
+"of the function, the third is the number of clock ticks and the last is the "
+"normalized load."
+msgstr ""
+"자세하기 보여주기. 이 옵션은 네칸으로 보여주는데, 첫번째는 커널 함수들의 RAM "
+"주소, 둘번째는 함수 이름, 세번째는 클럭 틱스값, 네번째는 사용량."
+
+#. type: TP
+#: readprofile.1:95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98
+#, fuzzy
+msgid "Version. This makes B<readprofile> print its version number and exit."
+msgstr "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99
+#, no-wrap
+msgid "EXAMPLES"
+msgstr "예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01
+msgid "Browse the profiling buffer ordering by clock ticks:"
+msgstr "클럭 틱스 순서로 프로파일링 버퍼 보기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03
+#, no-wrap
+msgid " readprofile | sort -nr | less\n"
+msgstr " readprofile | sort -nr | less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06
+msgid "Print the 20 most loaded procedures:"
+msgstr "프로시져 크기가 큰 것 순으로 20개만 보기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08
+#, no-wrap
+msgid " readprofile | sort -nr +2 | head -20\n"
+msgstr " readprofile | sort -nr +2 | head -20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11
+msgid "Print only filesystem profile:"
+msgstr "파일시스템에 관한 프로파일만 보기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13
+#, no-wrap
+msgid " readprofile | grep _ext2\n"
+msgstr " readprofile | grep _ext2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16
+msgid "Look at all the kernel information, with ram addresses:"
+msgstr "메모리 주소와 함께 모든 커널 정보 보기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18
+#, no-wrap
+msgid " readprofile -av | less\n"
+msgstr " readprofile -av | less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21
+#, fuzzy
+msgid "Browse a 'freezed' profile buffer for a non current kernel:"
+msgstr "예전에 작성해둔 압축된 프로파일 보기(현재 커널 정보가 아님)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23
+#, no-wrap
+msgid " readprofile -p ~/profile.freeze.gz -m /zImage.map\n"
+msgstr " readprofile -p ~/profile.freeze.gz -m /zImage.map\n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126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34
+msgid ""
+"B<readprofile> only works with an 1.3.x or newer kernel, because I</proc/"
+"profile> changed in the step from 1.2 to 1.3."
+msgstr ""
+"B<readprofile> 풀그림은 커널 버전이 1.1.73 이상 버전에서 사용이 가능한다. 그 "
+"이전 버전에서는 B</proc/profile> 파일이 없기 때문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40
+#, fuzzy
+msgid ""
+"이 풀그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널을 다시 환경설정하고, 다시 컴파일 하"
+"고, 다시 부팅해야한다. No profiling module is available, and it wouldn't be "
+"easy to build. So this can be construed as a feature."
+msgstr ""
+"이 풀그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널을 다시 환경설정하고, 다시 컴파일 하"
+"고, 다시 부팅해야한다. No profiling module is available, and it wouldn't be "
+"easy to build. So this can be construed as a feature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45
+msgid ""
+"Profiling is disabled when interrupts are inhibited. This means that many "
+"profiling ticks happen when interrupts are re-enabled. Watch out for "
+"misleading information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146
+#, fuzzy
+msgid "AUTHOR"
+msgstr "만든이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48
+msgid ""
+"Readprofile and /proc/profile are by Alessandro Rubini (rubini@ipvvis.unipv."
+"it)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readprofile.1:149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54
+#, fuzzy
+msgid ""
+"/proc/profile A binary snapshot of the profiling buffer.\n"
+"/usr/src/linux/System.map The symbol table for the kernel.\n"
+"/usr/src/linux/zSystem.map The program being profiled :-)\n"
+msgstr ""
+"/proc/profile 프로파일링 버퍼의 이진파일.\n"
+"/usr/src/linux/System.map 커널의 심블 테이블\n"
+"/usr/src/linux/zSystem.map 심블 테이블의 옛이름 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eadprofile.1:156
+#, no-wrap
+msgid "/usr/src/linux/* The program being profiled :-)\n"
+msgstr "/usr/src/linux/* 프로파일 정보로 나타날 모든 파일\n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runscript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runscript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f6c32806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runscript.1.po
@@ -0,0 +1,487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runscript.1:5
+#, no-wrap
+msgid "RUNSCRIPT"
+msgstr "RUNSCRIPT"
+
+#. type: TH
+#: runscript.1:5
+#, no-wrap
+msgid "28 Oct 1994"
+msgstr "1994년 10월 28일"
+
+#. type: TH
+#: runscript.1:5
+#, no-wrap
+msgid "User's Manual"
+msgstr "사용자 설명서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6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8
+msgid "runscript - script interpreter for minicom"
+msgstr "runscript - minicom을 위한 스크립트 인터프리터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8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1
+msgid "B<runscript> scriptname"
+msgstr "B<runscript> 스크립트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1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6
+#, fuzzy
+msgid ""
+"B<runscript> is a simple script interpreter that can be called from within "
+"the minicom communications program to automate tasks like logging in to a "
+"unix system or your favorite bbs."
+msgstr ""
+"이 풀그림의 인자로 단지 하나의 스크립트 파일 이름만을 사용할 수 있다. 또한 이"
+"것의 입/출력은 단지 연결된 호스트를 대상으로만 하고 있다. runscript에서 처리하"
+"는 모든 메시지는 현재 화면의 것을 입력받아, stderr로 보낸다. 그래서, 이 인터"
+"프리터는 B<minicom>에서 작동되도록 고안 작성되었다. 참고: 이 스크립트 파일은 "
+"초기값으로 /usr/lib/minicom 경로 안에 있어야한다. (즉, 기본적으로 시스템 관리"
+"자만이 이 스크립트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. - 초기값)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16
+#, no-wrap
+msgid "INVOCATIO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23
+msgid ""
+"The program expects a script name as the only argument, and it expects that "
+"it's input and output are connected to the \\^\"remote end\\^\", the system "
+"you are connecting to. All messages from B<runscript> ment for the local "
+"screen are directed to the B<stderr> output. All this is automatically taken "
+"care of if you run it from B<minicom>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23
+#, no-wrap
+msgid "KEYWORDS"
+msgstr "키워드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24
+#, no-wrap
+msgid "Runscript reckognizes the following commands:"
+msgstr "runscript는 다음의 명령들을 인식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33
+#, no-wrap
+msgid ""
+"expect send goto gosub return \\^!\n"
+"exit print set inc dec if\n"
+"timeout verbose sleep break call\n"
+msgstr ""
+"expect send goto gosub return \\^!\n"
+"exit print set inc dec if\n"
+"timeout verbose sleep break call\n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36
+#, no-wrap
+msgid "OVERVIEW OF KEYWORDS"
+msgstr "키워드 개요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37
+#, no-wrap
+msgid "B<send E<lt>stringE<gt>>"
+msgstr "B<send E<lt>문자열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43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E<lt>stringE<gt> is sent to the modem. It is followed by a '\\er'.\n"
+"E<lt>stringE<gt> can be:\n"
+" - regular text, eg 'send hello'\n"
+" - text enclosed in quotes, eg 'send \\^\"hello world\\^\"'\n"
+msgstr ""
+"E<lt>문자열E<gt>은 모뎀으로 보낼 문자열이다. E<lt>문자열E<gt>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: \n"
+" - 단순한 단어, 예 'send hello'\n"
+" - 따움표로 둘러싼 단어들, 예 'send \\^\"hello world\\^\"'\n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43
+#, no-wrap
+msgid "Within E<lt>stringE<gt> the following sequences are reckognized:"
+msgstr "E<lt>문자열E<gt> 안에는 다음과 같은 제어문자들을 사용할 수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52
+#, no-wrap
+msgid ""
+" \\en - newline\n"
+" \\er - carriage return\n"
+" \\ea - bell\n"
+" \\eb - backspace\n"
+" \\ec - don't send the default '\\er'.\n"
+" \\ef - formfeed\n"
+" \\eo - send character B<o> (B<o> is an octal number)\n"
+msgstr ""
+" \\en - 새줄\n"
+" \\er - 리턴문자\n"
+" \\ea - 벨소리\n"
+" \\eb - 백스페이스\n"
+" \\ec - 초기값인 '\\er' 자동 보내기를 하지 않음.\n"
+" \\ef - 용지바꿈문자\n"
+" \\eo - B<o>문자 보냄 (B<o>는 8진수를 뜻한다.)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60
+#, fuzzy
+msgid ""
+"Also $(environment_variable) can be used, for example $(TERM). Minicom "
+"passes three special environment variables: $(LOGIN), which is the username, "
+"$(PASS), which is the password, as defined in the proper entry of the dialing "
+"directory, and $(TERMLIN) which is the number of actual terminal lines on "
+"your screen (that is, the statusline excluded)."
+msgstr ""
+"또한 $(환경변수_값)을 사용할 수 있다. 예: $(TERM). minicom에서는 두개의 특별"
+"한 환경변수값을 제공하는데, 사용자 ID로 $(LOGIN), 비밀번호로 $(PASS)가 그것이"
+"다. 이 값은 전화번호부에서 지정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60
+#, no-wrap
+msgid "B<print E<lt>stringE<gt>>"
+msgstr "B<print E<lt>문자열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64
+msgid ""
+"Prints E<lt>stringE<gt> to the local screen. Default followed by '\\er\\en'. "
+"See the description of 'send' above."
+msgstr ""
+"E<lt>문자열E<gt>을 현재 화면에 출력한다. 끝에는 자동으로 '\\er\\en' 문자가 붙"
+"는다. 나머지는 'send'와 사용법이 같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64
+#, no-wrap
+msgid "B<label:>"
+msgstr "B<label: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68
+msgid "Declares a label (with the name 'label') to use with goto or gosub."
+msgstr "goto나 gosub에의해 이동되는 분기점을 지정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68
+#, no-wrap
+msgid "B<goto E<lt>labelE<gt>>"
+msgstr "B<goto E<lt>label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71
+msgid "Jump to another place in the program."
+msgstr "스크립트 안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71
+#, no-wrap
+msgid "B<gosub E<lt>labelE<gt>>"
+msgstr "B<gosub E<lt>label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76
+#, fuzzy
+msgid ""
+"Jumps to another place in the program. When the statement 'return' is "
+"encountered, control returns to the statement after the gosub. Gosub's can "
+"be nested."
+msgstr "서브 goto로 'return'에 도달했을 때, 현재의 영역 안에서 이동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76
+#, no-wrap
+msgid "B<return>"
+msgstr "B<retur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79
+msgid "Return from a gosub."
+msgstr "gosub 영역을 벗어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79
+#, no-wrap
+msgid "B<! E<lt>commandE<gt>>"
+msgstr "B<! E<lt>명령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84
+msgid ""
+"Runs a shell for you in which 'command' is executed. On return, the variable "
+"'$?' is set to the exit status of this command, so you can subsequently test "
+"it using 'if'."
+msgstr ""
+"쉘명령을 실행한다. 그 명령의 리턴값은 $? 변수에 저장된다. 그래서, 'if' 문으"
+"로 선택적인 문을 만들 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84
+#, no-wrap
+msgid "B<exit [value]>"
+msgstr "B<exit [값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87
+msgid "Exit from \\^\"runscript\\^\" with an optional exit status. (default 1)"
+msgstr "부여한 I<값> 돌려주며, \\^\"runscript\\^\"를 마친다. 초기값 1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87
+#, no-wrap
+msgid "B<set E<lt>variableE<gt> E<lt>valueE<gt>>"
+msgstr "B<set E<lt>변수명E<gt> E<lt>변수값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92
+msgid ""
+"Sets the value of E<lt>variableE<gt> (which is a single letter a-z) to the "
+"value E<lt>valueE<gt>. If E<lt>variableE<gt> does not exist, it will be "
+"created. E<lt>valueE<gt> can be a integer value or another variable."
+msgstr ""
+"E<lt>변수명E<gt>은 a부터 z까지의 단일 문자이며, 이 변수에 E<lt>변수값E<gt>을 "
+"지정한다. 변수 선언 없이 사용되면, 즉시 만들고, E<lt>변수값E<gt>은 숫자나 다"
+"른 변수여야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92
+#, no-wrap
+msgid "B<inc E<lt>variableE<gt>>"
+msgstr "B<inc E<lt>변수명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95
+msgid "Increments the value of E<lt>variableE<gt> by one."
+msgstr "E<lt>변수명E<gt>의 변수값을 하나씩 증가시킨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95
+#, no-wrap
+msgid "B<dec E<lt>variableE<gt>>"
+msgstr "B<dec E<lt>변수명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98
+msgid "Decrements the value of E<lt>variableE<gt> by one."
+msgstr "E<lt>변수명E<gt>의 변수값을 하나씩 감소시킨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98
+#, no-wrap
+msgid "B<if E<lt>valueE<gt> E<lt>operatorE<gt> E<lt>valueE<gt> E<lt>statementE<gt>>"
+msgstr "B<if E<lt>변수E<gt> E<lt>연산자E<gt> E<lt>변수E<gt> E<lt>문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02
+msgid ""
+"Conditional execution of E<lt>statementE<gt>. E<lt>operatorE<gt> can be "
+"E<lt>, E<gt>, != or =. Eg, 'if a E<gt> 3 goto exitlabel'."
+msgstr ""
+"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E<lt>, E<gt>, !=, -. 예, 'if a E<gt> 3 goto "
+"exitlabel'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02
+#, no-wrap
+msgid "B<timeout E<lt>valueE<gt>>"
+msgstr "B<timeout E<lt>값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08
+msgid ""
+"Sets the global timeout. By default, 'runscript' will exit after 120 seconds. "
+"This can be changed with this command. Warning: this command acts differently "
+"within an 'expect' statement, but more about that later."
+msgstr ""
+"제한시간을 설정한다. 초기값으로 'runscript' 전체 실행시간은 2분이다. 즉, 특"
+"별히 시간을 정해 놓지 않으면, 2분 후에는 자동으로 종료된다. 이 값을 이명령으"
+"로 바꿀 수 있다. 이 명령은 'expect' 문에서는 다르게 동작한다. 아래 참조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08
+#, no-wrap
+msgid "B<verbose E<lt>on|offE<gt>>"
+msgstr "B<verbose E<lt>on|off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13
+#, fuzzy
+msgid ""
+"By default, this is 'on'. That means that anything that is being read from "
+"the modem by 'runscript', gets echoed to the screen. This is so that you can "
+"see what 'runscript' is doing."
+msgstr "초기값은 'on'. 'runscript' 작동 상태를 화면에서 볼 수 있게 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13
+#, no-wrap
+msgid "B<sleep E<lt>valueE<gt>>"
+msgstr "B<sleep E<lt>값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16
+msgid "Suspend execution for E<lt>valueE<gt> seconds."
+msgstr "E<lt>값E<gt> 초 동안 실행을 잠시 멈춘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16
+#, no-wrap
+msgid "B<expect>"
+msgstr "B<expec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25
+#, no-wrap
+msgid ""
+" expect {\n"
+" pattern [statement]\n"
+" pattern [statement]\n"
+" [timeout E<lt>valueE<gt> [statement] ]\n"
+" ....\n"
+" }\n"
+msgstr ""
+" expect {\n"
+" 패턴 [문]\n"
+" 패턴 [문]\n"
+" [timeout E<lt>값E<gt> [문] ]\n"
+" ....\n"
+" }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34
+msgid ""
+"The most important command of all. Expect keeps reading from the input until "
+"it reads a pattern that matches one of the specified ones. If expect "
+"encounters an optional statement after that pattern, it will execute it. "
+"Otherwise the default is to just break out of the expect. 'pattern' is a "
+"string, just as in 'send' (see above). Normally, expect will timeout in 60 "
+"seconds and just exit, but this can be changed with the timeout command."
+msgstr ""
+"가장 중요한 명령어이다. 패턴을 기다려서, 해당 패턴이 나타나면, 해당 E<lt>문"
+"E<gt>을 실행한다. 패턴은 'send'에서 설명한 문자열이며, 일반적으로 첫번째, 패"
+"턴에 대한 문은 생략해서, 만일 첫번째 패턴이 나타나면, 바로 expect 문을 벗어나 "
+"다음 작업을 계속 하도록 한다. 만일 이때, 첫번째 패턴이 나타나지 않고, 두번째 "
+"패턴이 나타난다면, 두번째 패턴에서 지정한 문을 실행한다. 초기값으로 expect의 "
+"최대시간은 60초이다. 이것을 바꾸려면 timeout을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34
+#, no-wrap
+msgid "B<break>"
+msgstr "B<break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39
+msgid ""
+"Break out of an 'expect' statement. This is normally only useful as argument "
+"to 'timeout' within an expect, because the default action of timeout is to "
+"exit immediately."
+msgstr ""
+"\\^'expect' 문을 중지한다. 이 명령은 'timeout' 명령에 대한 문으로 일반적으로 "
+"사용된다. 'timeout'에 대한 아무른 작업을 지시하지 않으면, 제한 시간을 초과했"
+"을 경우, 그 스크립트 자체를 마쳐버리기 때문이다."
+
+#. type: TP
+#: runscript.1:139
+#, no-wrap
+msgid "B<call E<lt>scriptnameE<gt>>"
+msgstr "B<call E<lt>스크립트이름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43
+msgid ""
+"Transfers control to another scriptfile. When that scriptfile finishes "
+"without errors, the original script will continue."
+msgstr ""
+"다른 E<lt>스크립트이름E<gt>의 파일을 불러와 실행한다. 이때 아무런 오류가 나"
+"지 않으면 나머지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143
+#, no-wrap
+msgid "NOTES"
+msgstr "참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51
+msgid ""
+"Well, I don't think this is enough information to make you an experienced "
+"'programmer' in 'runscript', but together with the examples it shouldn't be "
+"too hard to write some useful script files. Things will be easier if you have "
+"experience with BASIC. The B<minicom> source code comes together with two "
+"example scripts, B<scriptdemo> and B<unixlogin>. Especially the last one is a "
+"good base to build on for your own scripts."
+msgstr ""
+"그다지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. "
+"BASIC 정도를 한번쯤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쉽게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. "
+"B<minicom> 패키지 안에는 B<scriptdemo>, B<unixlogin> 등 몇개의 스크립트 파일"
+"이 예제로 있는데, 이것을 참고한다면, 보다 유용한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 수 있을 "
+"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151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53
+msgid "Runscript should be built in to minicom."
+msgstr ""
+"runscript는 minicom용으로 고안, 작성되었기 때문에, 다른 곳에서는 제대로 동작하"
+"지 않을 수 있다."
+
+#. type: SH
+#: runscript.1:153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unscript.1:154
+msgid "Miquel van Smoorenburg, E<lt>miquels@drinkel.ow.orgE<gt>"
+msgstr "Miquel van Smoorenburg, E<lt>miquels@drinkel.ow.orgE<gt>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1/yacc.1.po b/po/ko/archive/po/man1/yacc.1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fd45a5d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1/yacc.1.po
@@ -0,0 +1,252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배성훈 <plodder@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1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배성훈 <plodder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yacc.1:3
+#, no-wrap
+msgid "YACC"
+msgstr "YACC"
+
+#. type: TH
+#: yacc.1:3
+#, no-wrap
+msgid "July\\ 15,\\ 1990"
+msgstr "1990년 7월 15일"
+
+#. type: SH
+#: yacc.1: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7
+#, fuzzy
+msgid "Yacc - an LALR(1) parser generator"
+msgstr "Yacc - an LALR(1) 파서 생성기"
+
+#. type: SH
+#: yacc.1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4
+msgid ""
+"B<yacc [ -dlrtv ] [ -b> I<file_prefix> B<] [ -p> I<symbol_prefix> B<]> "
+"I<filename>"
+msgstr ""
+"B<yacc [ -dlrtv ] [ -b> I<file_prefix> B<] [ -p> I<symbol_prefix> B<]> "
+"I<filename>"
+
+#. type: SH
+#: yacc.1:14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23
+msgid ""
+"I<Yacc> reads the grammar specification in the file filename and generates an "
+"LALR(1) parser for it. The parsers consist of a set of LALR(1) parsing tables "
+"and a driver routine written in the C programming language. I<Yacc> normally "
+"writes the parse tables and the driver routine to the file I<y.tab.c>."
+msgstr ""
+"I<Yacc> 은 파일의 문법 명세 사항을 읽어 이것을 위한 LALR(1) 파서를 생성한다. "
+"파서는 LALR(1) 파싱 테이블 집합과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구동 루틴을 포함"
+"한다. I<Yacc> 은 일반적으로 파서 테이블과 구동 루틴을 I<y.tab.c> 파일에 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25
+msgid "The following options are available:"
+msgstr "다음은 유용한 옵션들이다:"
+
+#. type: TP
+#: yacc.1:26
+#, no-wrap
+msgid "B<-b >I<file_prefix>"
+msgstr "B<-b >I<file_prefi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36
+msgid ""
+"The B<-b> option changes the prefix prepended to the output file names to the "
+"string denoted by I<file_prefix>. The default prefix is the character I<y>."
+msgstr ""
+"B<-b> 옵션은 출력 파일 이름의 접두사를 I<file_prefix> 에 의해 표시된 문자열로 "
+"변경한다. 기본 접두사는 문자 I<y> 이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36
+#, no-wrap
+msgid "B<-d>"
+msgstr "B<-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41
+msgid "The B<-d> option causes the header file I<y.tab.h> to be written."
+msgstr "B<-d> 옵션은 I<y.tab.h> 헤더 파일을 작성한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41
+#, no-wrap
+msgid "B<-l>"
+msgstr "B<-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53
+msgid ""
+"If the B<-l> option is not specified, I<yacc> will insert \\&#line directives "
+"in the generated code. The \\&#line directives let the C compiler relate "
+"errors in the generated code to the user's original code. If the B<-l> option "
+"is specified, yacc will not insert the \\&#line directives. \\&#line "
+"directives specified by the user will be retained."
+msgstr ""
+"B<-l> 옵션이 명시되지 않으면, I<yacc> 은 생성되는 코드에 \\&#line 지시를 삽입 "
+"한다. \\&#line 지시는 C 컴파일러가 생성된 코드의 에러를 사용자의 원본 코드에 "
+"연관시키도록 한다. 만약 B<-l> 옵션이 명시되었다면, I<yacc> 은 \\&#line 지시"
+"를 삽입하지 않는다. \\&#line 지시는 사용자에 의해 유지된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53
+#, no-wrap
+msgid "B<-p >I<symbol_prefix>"
+msgstr "B<-p >I<symbol_prefi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65
+msgid ""
+"The B<-p> option changes the prefix prepended to yacc-generated symbols to "
+"the string denoted by I<symbol_prefix>. The default prefix is the string "
+"I<yy>."
+msgstr ""
+"B<-p> 옵션은 yacc에 의해 생성된 심볼을 I<symbol_prefix> 에 정해진 문자열로 접"
+"두사를 변경한다. I<symbol_prefix.> 기본 접두사는 문자열 I<yy> 이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65
+#, no-wrap
+msgid "B<-r>"
+msgstr "B<-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77
+msgid ""
+"The -r option causes I<yacc> to produce separate files for code and tables. "
+"The code file is named I<y.code.c>, and the tables file is named I<y.tab.c.>"
+msgstr ""
+"B<-r> 옵션에 의해 I<yacc> 는 코드와 테이블을 위해 각각의 파일들을 생성한다. "
+"코드 파일의 이름은 I<y.code.c,> 테이블 파일의 이름은 I<y.tab.c> 이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77
+#, no-wrap
+msgid "B<-t>"
+msgstr "B<-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84
+msgid ""
+"The B<-t> option changes the preprocessor directives generated by I<yacc> so "
+"that debugging statements will be incorporated in the compiled code."
+msgstr ""
+"B<-t> 옵션은 I<yacc> 에 의해 생성된 프리프로세서의 지시를 변경해서, 디버깅 구"
+"문이 컴파일된 코드에 합쳐지게 할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yacc.1:84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90
+msgid ""
+"The I<-v> option causes a human-readable description of the generated parser "
+"to be written to the file I<y.output>."
+msgstr ""
+"B<-v> 옵션은 생성된 파서의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설명을 I<y.output> 파일에 쓰도"
+"록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94
+#, fuzzy
+msgid ""
+"만약 TMPDIR 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다면, TMPDIR에 의해 표시된 문자열은 임시 파"
+"일 생성 디렉토리의 이름으로 사용될 것이다."
+msgstr ""
+"만약 TMPDIR 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다면, TMPDIR에 의해 표시된 문자열은 임시 파"
+"일 생성 디렉토리의 이름으로 사용될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yacc.1:94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96
+msgid "I<y.code.c>"
+msgstr "I<y.code.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98
+msgid "I<y.tab.c>"
+msgstr "I<y.tab.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00
+msgid "I<y.tab.h>"
+msgstr "I<y.tab.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02
+msgid "I<y.output>"
+msgstr "I<y.outpu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04
+msgid "I</tmp/yacc.aXXXXXX>"
+msgstr "I</tmp/yacc.aXXXXX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06
+msgid "I</tmp/yacc.tXXXXXX>"
+msgstr "I</tmp/yacc.tXXXXXX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08
+msgid "I</tmp/yacc.uXXXXXX>"
+msgstr "I</tmp/yacc.uXXXXXX>"
+
+#. type: SH
+#: yacc.1:108
+#, no-wrap
+msgid "DIAGNOSTICS"
+msgstr "진단"
+
+#. type: Plain text
+#: yacc.1:112
+msgid ""
+"If there are rules that are never reduced, the number of such rules is "
+"reported on standard error. If there are any LALR(1) conflicts, the number of "
+"conflicts is reported on standard error."
+msgstr ""
+"만약 결코 줄어들지 않는 규칙이 있다면, 그런 규칙의 번호를 표준 에러로 보고한"
+"다. 만약 어떤 LALR(1) 충돌이 있다면, 충돌 번호를 표준 에러로 보고한다.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fdatasync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fdatasync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786cb0da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fdatasync.2.po
@@ -0,0 +1,199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6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datasync.2:31
+#, no-wrap
+msgid "FDATASYNC"
+msgstr "FDATASYNC"
+
+#. type: TH
+#: fdatasync.2:31
+#, no-wrap
+msgid "13 April 1996"
+msgstr "1996년 4월 13일"
+
+#. type: TH
+#: fdatasync.2:31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.86"
+msgstr "리눅스 1.3.86"
+
+#. type: TH
+#: fdatasync.2:31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메뉴얼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32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34
+msgid "fdatasync - synchronize a file's in-core data with that on disk"
+msgstr "fdatasync - 파일의 디스크에 있는 in-core데이타를 동기화한다.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34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36
+msgid "B<#include E<lt>unistd.hE<gt>>"
+msgstr "B<#include E<lt>unistd.hE<gt>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38
+msgid "B<#ifdef _POSIX_SYNCHRONIZED_IO>"
+msgstr "B<#ifdef _POSIX_SYNCHRONIZED_I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40
+msgid "B<int fdatasync(int >I<fd>B<);>"
+msgstr "B<int fdatasync(int >I<fd>B<);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42
+msgid "B<#endif>"
+msgstr "B<#endif>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42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48
+msgid ""
+"B<fdatasync> flushes all data buffers of a file to disk (before the system "
+"call returns). It resembles B<fsync> but is not required to update the "
+"metadata such as access time."
+msgstr ""
+"B<fdatasync> 는 시스템 호출이 반환되기 전에 디스크에서 파일의 모든 데이파버퍼"
+"를 플러쉬한다. B<fsync> 와 비슷하지만, 액세스시간과 같은 메타데이타 업데이트"
+"를 요구하진 않는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61
+msgid ""
+"Applications that access databases or log files often write a tiny data "
+"fragment (e.g., one line in a log file) and then call B<fsync> immediately in "
+"order to ensure that the written data is physically stored on the harddisk. "
+"Unfortunately, B<fsync> will always initiate two write operations: one for "
+"the newly written data and another one in order to update the modification "
+"time stored in the inode. If the modification time is not a part of the "
+"transaction concept B<fdatasync> can be used to avoid unnecessary inode disk "
+"write operations."
+msgstr ""
+"액세스 데이타베이스나 로그파일이 작은 데이타 조각을 기록하고, 곧이어 쓰여진 데"
+"이 타을 확인하기 위해 B<fsync> 를 호출하는 응용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물리적"
+"으로 저장된다. 운나쁘게도, B<fsync> 가 상상 두개의 기록장치를 초기화 할 것이"
+"다: 하나는 새로 기록된 데이타를 위함이고, 또다른 하나는 inode에 저장된 수정시"
+"간을 업데이트하기 위함이다. 수정시간이 트랜젝션 개념의 한 부분이 아니라면 "
+"B<fdatasync> 는 불필요한 디스크기록장치 inode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.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61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65
+msgid ""
+"On success, zero is returned. On error, -1 is returned, and I<errno> is set "
+"appropriately."
+msgstr ""
+"성공시, 0을 반환한다. 실패시, -1을 반환하고, I<errno> 는 적절히 설정된다.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65
+#, no-wrap
+msgid "ERRORS"
+msgstr "에러"
+
+#. type: TP
+#: fdatasync.2:66
+#, no-wrap
+msgid "B<EBADF>"
+msgstr "B<EBADF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70
+msgid "I<fd> is not a valid file descriptor open for writing."
+msgstr "I<fd> 는 기록을 위해 열린 유효 파일 디스크립터이다."
+
+#. type: TP
+#: fdatasync.2:70
+#, no-wrap
+msgid "B<EROFS>, B<EINVAL>"
+msgstr "B<EROFS>, B<EINVA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74
+msgid "I<fd> is bound to a special file which does not support synchronization."
+msgstr "I<fd> 는 동기화를 지원하지 않는 특별한 파일을 경계짓는다."
+
+#. type: TP
+#: fdatasync.2:74
+#, no-wrap
+msgid "B<EIO>"
+msgstr "B<EI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77
+msgid "An error occurred during synchronization."
+msgstr "에러가 동기화하는 동안 발생했다.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77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82
+msgid "Currently (Linux 2.0.23) B<fdatasync> is equivalent to B<fsync>."
+msgstr "현재(리눅스 2.0.23) B<fdatasync> 는 B<fsync> 와 같다.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82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84
+msgid "POSIX1b (formerly POSIX.4)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fdatasync.2:84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datasync.2:86
+msgid "B<fsync>(2), B.O. Gallmeister, POSIX.4, O'Reilly, pp. 220-223 and 343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ioctl_list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ioctl_list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7faadd3f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ioctl_list.2.po
@@ -0,0 +1,1469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정동현 <dhjung@serome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3-01-06 17:07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2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정동현 <dhjung@serome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ioctl_list.2:24
+#, no-wrap
+msgid "IOCTL_LIST"
+msgstr "IOCTL_LIST"
+
+#. type: TH
+#: ioctl_list.2:24
+#, no-wrap
+msgid "Sun 17 Sep 1995"
+msgstr "1995년 9월 17일 일요일"
+
+#. type: TH
+#: ioctl_list.2:24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"
+msgstr "리눅스 1.3"
+
+#. type: TH
+#: ioctl_list.2:24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메뉴얼"
+
+#. type: SH
+#: ioctl_list.2:2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7
+msgid "ioctl_list - list of ioctl calls in Linux/i386 kernel"
+msgstr "ioctl_list - 리눅스/i386 커널의 ioctl 함수 목록"
+
+#. type: SH
+#: ioctl_list.2:2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4
+msgid ""
+"This is Ioctl List 1.3.27, a list of ioctl calls in Linux/i386 kernel "
+"1.3.27. It contains 421 ioctls from /usr/include/{asm,linux}/*.h. For each "
+"ioctl, I list its numerical value, its name, and its argument type."
+msgstr ""
+"이 문서는 리눅스/i386 커널의 ioctl 함수 목록으로, ioctl 1.3.27 목록이다. 이 "
+"버전에는 421개의 ioctl 함수가 포함되어 있으며, /usr/include/{asm,linux}/*.h에 "
+"정의되어 있다. 각각의 ioctl에 대해 그 숫자값, 이름, 인자 타입을 나열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9
+msgid ""
+"An argument type of 'const struct foo *' means the argument is input to the "
+"kernel. 'struct foo *' means the kernel outputs the argument. If the kernel "
+"uses the argument for both input and output, this is marked with // I-O."
+msgstr ""
+"인자 타입이 'const struct foo *'라는 것은 커널의 입력으로 인자를 사용한다는 의"
+"미이고, 'struct foo *'라는 것은 커널에서의 출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. 만약 커널"
+"이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사용하면 여기서는 // I-O 라고 표기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43
+msgid ""
+"Some ioctls take more arguments or return more values than a single "
+"structure. These are marked // MORE and documented further in a separate "
+"section."
+msgstr ""
+"어떤 ioctl은 하나 이상의 구조체를 인자나 리턴값으로 취하는데 이는 // MORE 라"
+"고 표시되며 독립된 섹션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46
+#, no-wrap
+msgid "This list is incomplete. It does not include:\n"
+msgstr "이 ioctl 목록은 완전하지 못하다. 즉, 다음과 같은 것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: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49
+#, no-wrap
+msgid ""
+" -- Ioctls defined internal to the kernel ('scsi_ioctl.h').\n"
+" -- Ioctls defined in modules distributed separately from the kernel.\n"
+msgstr ""
+" -- 커널 내부에 정의된 ioctl ('scsi_ioctl.h').\n"
+" -- 커널과는 따로 배포되는 모듈에 정의된 ioctl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1
+#, no-wrap
+msgid "And, of course, I may have errors and omissions.\n"
+msgstr "그리고 물론 실수와 누락이 있을지 모른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6
+#, no-wrap
+msgid ""
+"Please e-mail changes and comments to E<lt>mec@duracef.shout.netE<gt>. I am\n"
+"particularly interested in loadable modules which define their own\n"
+"ioctls. If you know of such a module, tell me where I can ftp it, and\n"
+"I'll include its ioctls in my next release.\n"
+msgstr ""
+"변경이나 의견은 E<lt>mec@duracef.shout.netE<gt>으로 메일을 보내주기 바란다. \n"
+"특히 자신만의 ioctl을 정의하는 모듈에 관심이 있다. 만약 그런 모듈을 알고 있다면,\n"
+"그 모듈을 얻을 수 있는 곳을 알려주기 바란다. 그럼 다음 버전에 그 ioctl을 \n"
+"포함시키겠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0
+#, no-wrap
+msgid "// Main table.\n"
+msgstr "// 주(main) 테이블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8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asm-i386/socket.hE<gt>\n"
+"0x00008901 FIOSETOWN\t\t\tconst int *\n"
+"0x00008902 SIOCSPGRP\t\t\tconst int *\n"
+"0x00008903 FIOGETOWN\t\t\tint *\n"
+"0x00008904 SIOCGPGRP\t\t\tint *\n"
+"0x00008905 SIOCATMARK\t\t\tint *\n"
+"0x00008906 SIOCGSTAMP\t\t\ttimeval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asm-i386/socket.hE<gt>\n"
+"0x00008901 FIOSETOWN\t\t\tconst int *\n"
+"0x00008902 SIOCSPGRP\t\t\tconst int *\n"
+"0x00008903 FIOGETOWN\t\t\tint *\n"
+"0x00008904 SIOCGPGRP\t\t\tint *\n"
+"0x00008905 SIOCATMARK\t\t\tint *\n"
+"0x00008906 SIOCGSTAMP\t\t\ttimeval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2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asm-i386/termios.hE<gt>\n"
+"0x00005401 TCGETS\t\t\t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2 TCSETS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3 TCSETSW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4 TCSETSF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5 TCGETA\t\t\t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6 TCSETA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7 TCSETAW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8 TCSETAF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9 TCSBRK\t\t\tint\n"
+"0x0000540A TCXONC\t\t\tint\n"
+"0x0000540B TCFLSH\t\t\tint\n"
+"0x0000540C TIOCEXCL\t\t\tvoid\n"
+"0x0000540D TIOCNXCL\t\t\tvoid\n"
+"0x0000540E TIOCSCTTY\t\t\tint\n"
+"0x0000540F TIOCGPGRP\t\t\tpid_t *\n"
+"0x00005410 TIOCSPGRP\t\t\tconst pid_t *\n"
+"0x00005411 TIOCOUTQ\t\t\tint *\n"
+"0x00005412 TIOCSTI\t\t\tconst char *\n"
+"0x00005413 TIOCGWINSZ\t\t\tconst struct winsize *\n"
+"0x00005414 TIOCSWINSZ\t\t\tstruct winsize *\n"
+"0x00005415 TIOCMGET\t\t\tint *\n"
+"0x00005416 TIOCMBIS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7 TIOCMBIC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8 TIOCMSE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9 TIOCGSOFTCAR\t\tint *\n"
+"0x0000541A TIOCSSOFTCAR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B FIONREAD\t\t\tint *\n"
+"0x0000541B TIOCINQ\t\t\tint *\n"
+"0x0000541C TIOCLINUX\t\t\tconst char *\t\t\t// MORE\n"
+"0x0000541D TIOCCONS\t\t\tvoid\n"
+"0x0000541E TIOCGSERIAL\t\t\tstruct serial_struct *\n"
+"0x0000541F TIOCSSERIAL\t\t\tconst struct serial_struct *\n"
+"0x00005420 TIOCPK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1 FIONBIO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2 TIOCNOTTY\t\t\tvoid\n"
+"0x00005423 TIOCSETD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4 TIOCGETD\t\t\tint *\n"
+"0x00005425 TCSBRKP\t\t\tint\n"
+"0x00005426 TIOCTTYGSTRUCT\t\tstruct tty_struct *\n"
+"0x00005450 FIONCLEX\t\t\tvoid\n"
+"0x00005451 FIOCLEX\t\t\tvoid\n"
+"0x00005452 FIOASYNC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53 TIOCSERCONFIG\t\tvoid\n"
+"0x00005454 TIOCSERGWILD\t\tint *\n"
+"0x00005455 TIOCSERSWILD\t\tconst int *\n"
+"0x00005456 TIOCGLCKTRMIOS\t\t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57 TIOCSLCKTRMIOS\t\tconst struct temios *\n"
+"0x00005458 TIOCSERGSTRUCT\t\tstruct async_struct *\n"
+"0x00005459 TIOCSERGETLSR\t\tint *\n"
+"0x0000545A TIOCSERGETMULTI\t\tstruct serial_multiport_struct *\n"
+"0x0000545B TIOCSERSETMULTI\t\tconst struct serial_multiport_struc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asm-i386/termios.hE<gt>\n"
+"0x00005401 TCGETS\t\t\t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2 TCSETS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3 TCSETSW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4 TCSETSF\t\t\tconst 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05 TCGETA\t\t\t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6 TCSETA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7 TCSETAW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8 TCSETAF\t\t\tconst struct termio *\n"
+"0x00005409 TCSBRK\t\t\tint\n"
+"0x0000540A TCXONC\t\t\tint\n"
+"0x0000540B TCFLSH\t\t\tint\n"
+"0x0000540C TIOCEXCL\t\t\tvoid\n"
+"0x0000540D TIOCNXCL\t\t\tvoid\n"
+"0x0000540E TIOCSCTTY\t\t\tint\n"
+"0x0000540F TIOCGPGRP\t\t\tpid_t *\n"
+"0x00005410 TIOCSPGRP\t\t\tconst pid_t *\n"
+"0x00005411 TIOCOUTQ\t\t\tint *\n"
+"0x00005412 TIOCSTI\t\t\tconst char *\n"
+"0x00005413 TIOCGWINSZ\t\t\tconst struct winsize *\n"
+"0x00005414 TIOCSWINSZ\t\t\tstruct winsize *\n"
+"0x00005415 TIOCMGET\t\t\tint *\n"
+"0x00005416 TIOCMBIS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7 TIOCMBIC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8 TIOCMSE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9 TIOCGSOFTCAR\t\tint *\n"
+"0x0000541A TIOCSSOFTCAR\t\tconst int *\n"
+"0x0000541B FIONREAD\t\t\tint *\n"
+"0x0000541B TIOCINQ\t\t\tint *\n"
+"0x0000541C TIOCLINUX\t\t\tconst char *\t\t\t// MORE\n"
+"0x0000541D TIOCCONS\t\t\tvoid\n"
+"0x0000541E TIOCGSERIAL\t\t\tstruct serial_struct *\n"
+"0x0000541F TIOCSSERIAL\t\t\tconst struct serial_struct *\n"
+"0x00005420 TIOCPK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1 FIONBIO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2 TIOCNOTTY\t\t\tvoid\n"
+"0x00005423 TIOCSETD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24 TIOCGETD\t\t\tint *\n"
+"0x00005425 TCSBRKP\t\t\tint\n"
+"0x00005426 TIOCTTYGSTRUCT\t\tstruct tty_struct *\n"
+"0x00005450 FIONCLEX\t\t\tvoid\n"
+"0x00005451 FIOCLEX\t\t\tvoid\n"
+"0x00005452 FIOASYNC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53 TIOCSERCONFIG\t\tvoid\n"
+"0x00005454 TIOCSERGWILD\t\tint *\n"
+"0x00005455 TIOCSERSWILD\t\tconst int *\n"
+"0x00005456 TIOCGLCKTRMIOS\t\tstruct termios *\n"
+"0x00005457 TIOCSLCKTRMIOS\t\tconst struct temios *\n"
+"0x00005458 TIOCSERGSTRUCT\t\tstruct async_struct *\n"
+"0x00005459 TIOCSERGETLSR\t\tint *\n"
+"0x0000545A TIOCSERGETMULTI\t\tstruct serial_multiport_struct *\n"
+"0x0000545B TIOCSERSETMULTI\t\tconst struct serial_multiport_struc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30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ax25.hE<gt>\n"
+"0x000089E0 SIOCAX25GET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1 SIOCAX25ADD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2 SIOCAX25DEL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3 SIOCAX25NOUID\t\tconst int *\n"
+"0x000089E4 SIOCAX25DIGCTL\t\tconst int *\n"
+"0x000089E5 SIOCAX25GETPARMS\t\tstruct ax25_parms_struct *\t// I-O\n"
+"0x000089E6 SIOCAX25SETPARMS\t\tconst struct ax25_parms-struc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ax25.hE<gt>\n"
+"0x000089E0 SIOCAX25GET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1 SIOCAX25ADD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2 SIOCAX25DELUID\t\tconst struct sockaddr_ax25 *\n"
+"0x000089E3 SIOCAX25NOUID\t\tconst int *\n"
+"0x000089E4 SIOCAX25DIGCTL\t\tconst int *\n"
+"0x000089E5 SIOCAX25GETPARMS\t\tstruct ax25_parms_struct *\t// I-O\n"
+"0x000089E6 SIOCAX25SETPARMS\t\tconst struct ax25_parms-struc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36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cdk.hE<gt>\n"
+"0x00007314 STL_BINTR\t\t\tvoid\n"
+"0x00007315 STL_BSTART\t\t\tvoid\n"
+"0x00007316 STL_BSTOP\t\t\tvoid\n"
+"0x00007317 STL_BRESET\t\t\tvoid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cdk.hE<gt>\n"
+"0x00007314 STL_BINTR\t\t\tvoid\n"
+"0x00007315 STL_BSTART\t\t\tvoid\n"
+"0x00007316 STL_BSTOP\t\t\tvoid\n"
+"0x00007317 STL_BRESET\t\t\tvoid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60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cdrom.hE<gt>\n"
+"0x00005301 CDROMPAUSE\t\t\tvoid\n"
+"0x00005302 CDROMRESUME\t\t\tvoid\n"
+"0x00005303 CDROMPLAYMSF\t\tconst struct cdrom_msf *\n"
+"0x00005304 CDROMPLAYTRKIND\t\tconst struct cdrom_ti *\n"
+"0x00005305 CDROMREADTOCHDR\t\tstruct cdrom_tochdr *\n"
+"0x00005306 CDROMREADTOCENTRY\t\tstruct cdrom_tocentry *\t\t// I-O\n"
+"0x00005307 CDROMSTOP\t\t\tvoid\n"
+"0x00005308 CDROMSTART\t\t\tvoid\n"
+"0x00005309 CDROMEJECT\t\t\tvoid\n"
+"0x0000530A CDROMVOLCTRL\t\tconst struct cdrom_volctrl *\n"
+"0x0000530B CDROMSUBCHNL\t\tstruct cdrom_subchnl *\t\t// I-O\n"
+"0x0000530C CDROMREADMODE2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0D CDROMREADMODE1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0E CDROMREADAUDIO\t\tconst struct cdrom_read_audio *\t// MORE\n"
+"0x0000530F CDROMEJECT_SW\t\tint\n"
+"0x00005310 CDROMMULTISESSION\t\tstruct cdrom_multisession *\t// I-O\n"
+"0x00005311 CDROM_GET_UPC\t\tstruct { char [8]; } *\n"
+"0x00005312 CDROMRESET\t\t\tvoid\n"
+"0x00005313 CDROMVOLREAD\t\tstruct cdrom_volctrl *\n"
+"0x00005314 CDROMREADRAW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15 CDROMREADCOOKED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16 CDROMSEEK\t\t\tconst struct cdrom_msf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cdrom.hE<gt>\n"
+"0x00005301 CDROMPAUSE\t\t\tvoid\n"
+"0x00005302 CDROMRESUME\t\t\tvoid\n"
+"0x00005303 CDROMPLAYMSF\t\tconst struct cdrom_msf *\n"
+"0x00005304 CDROMPLAYTRKIND\t\tconst struct cdrom_ti *\n"
+"0x00005305 CDROMREADTOCHDR\t\tstruct cdrom_tochdr *\n"
+"0x00005306 CDROMREADTOCENTRY\t\tstruct cdrom_tocentry *\t\t// I-O\n"
+"0x00005307 CDROMSTOP\t\t\tvoid\n"
+"0x00005308 CDROMSTART\t\t\tvoid\n"
+"0x00005309 CDROMEJECT\t\t\tvoid\n"
+"0x0000530A CDROMVOLCTRL\t\tconst struct cdrom_volctrl *\n"
+"0x0000530B CDROMSUBCHNL\t\tstruct cdrom_subchnl *\t\t// I-O\n"
+"0x0000530C CDROMREADMODE2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0D CDROMREADMODE1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0E CDROMREADAUDIO\t\tconst struct cdrom_read_audio *\t// MORE\n"
+"0x0000530F CDROMEJECT_SW\t\tint\n"
+"0x00005310 CDROMMULTISESSION\t\tstruct cdrom_multisession *\t// I-O\n"
+"0x00005311 CDROM_GET_UPC\t\tstruct { char [8]; } *\n"
+"0x00005312 CDROMRESET\t\t\tvoid\n"
+"0x00005313 CDROMVOLREAD\t\tstruct cdrom_volctrl *\n"
+"0x00005314 CDROMREADRAW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15 CDROMREADCOOKED\t\tconst struct cdrom_msf *\t// MORE\n"
+"0x00005316 CDROMSEEK\t\t\tconst struct cdrom_msf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64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cm206.hE<gt>\n"
+"0x00002000 CM206CTL_GET_STAT\t\tint\n"
+"0x00002001 CM206CTL_GET_LAST_STAT\tint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cm206.hE<gt>\n"
+"0x00002000 CM206CTL_GET_STAT\t\tint\n"
+"0x00002001 CM206CTL_GET_LAST_STAT\tin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75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cyclades.hE<gt>\n"
+"0x00435901 CYGETMON\t\t\tstruct cyclades_monitor *\n"
+"0x00435902 CYGETTHRESH\t\t\tint *\n"
+"0x00435903 CYSETTHRESH\t\t\tint\n"
+"0x00435904 CYGETDEFTHRESH\t\tint *\n"
+"0x00435905 CYSETDEFTHRESH\t\tint\n"
+"0x00435906 CYGETTIMEOUT\t\tint *\n"
+"0x00435907 CYSETTIMEOUT\t\tint\n"
+"0x00435908 CYGETDEFTIMEOUT\t\tint *\n"
+"0x00435909 CYSETDEFTIMEOUT\t\tint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cyclades.hE<gt>\n"
+"0x00435901 CYGETMON\t\t\tstruct cyclades_monitor *\n"
+"0x00435902 CYGETTHRESH\t\t\tint *\n"
+"0x00435903 CYSETTHRESH\t\t\tint\n"
+"0x00435904 CYGETDEFTHRESH\t\tint *\n"
+"0x00435905 CYSETDEFTHRESH\t\tint\n"
+"0x00435906 CYGETTIMEOUT\t\tint *\n"
+"0x00435907 CYSETTIMEOUT\t\tint\n"
+"0x00435908 CYGETDEFTIMEOUT\t\tint *\n"
+"0x00435909 CYSETDEFTIMEOUT\t\tin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18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ext2_fs.hE<gt>\n"
+"0x80046601 EXT2_IOC_GETFLAGS\t\tint *\n"
+"0x40046602 EXT2_IOC_SETFLAGS\t\tconst int *\n"
+"0x80047601 EXT2_IOC_GETVERSION\t\tint *\n"
+"0x40047602 EXT2_IOC_SETVERSION\t\tconst in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ext2_fs.hE<gt>\n"
+"0x80046601 EXT2_IOC_GETFLAGS\t\tint *\n"
+"0x40046602 EXT2_IOC_SETFLAGS\t\tconst int *\n"
+"0x80047601 EXT2_IOC_GETVERSION\t\tint *\n"
+"0x40047602 EXT2_IOC_SETVERSION\t\tconst in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07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fd.hE<gt>\n"
+"0x00000000 FDCLRPRM\t\t\tvoid\n"
+"0x00000001 FDSETPRM\t\t\tconst 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2 FDDEFPRM\t\t\tconst 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3 FDGETPRM\t\t\t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4 FDMSGON\t\t\tvoid\n"
+"0x00000005 FDMSGOFF\t\t\tvoid\n"
+"0x00000006 FDFMTBEG\t\t\tvoid\n"
+"0x00000007 FDFMTTRK\t\t\tconst struct format_descr *\n"
+"0x00000008 FDFMTEND\t\t\tvoid\n"
+"0x0000000A FDSETEMSGTRESH\t\tint\n"
+"0x0000000B FDFLUSH\t\t\tvoid\n"
+"0x0000000C FDSETMAXERRS\t\tconst struct floppy_max_errors *\n"
+"0x0000000E FDGETMAXERRS\t\tstruct floppy_max_errors *\n"
+"0x00000010 FDGETDRVTYP\t\t\tstruct { char [16]; } *\n"
+"0x00000014 FDSETDRVPRM\t\t\tconst struct floppy_drive_params *\n"
+"0x00000015 FDGETDRVPRM\t\t\tstruct floppy_drive_params *\n"
+"0x00000016 FDGETDRVSTAT\t\tstruct floppy_drive_struct *\n"
+"0x00000017 FDPOLLDRVSTAT\t\tstruct floppy_drive_struct *\n"
+"0x00000018 FDRESET\t\t\tint\n"
+"0x00000019 FDGETFDCSTAT\t\tstruct floppy_fdc_state *\n"
+"0x0000001B FDWERRORCLR\t\t\tvoid\n"
+"0x0000001C FDWERRORGET\t\t\tstruct floppy_write_errors *\n"
+"0x0000001E FDRAWCMD\t\t\tstruct floppy_raw_cmd *\t// MORE\t// I-O\n"
+"0x00000028 FDTWADDLE\t\t\tvoid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fd.hE<gt>\n"
+"0x00000000 FDCLRPRM\t\t\tvoid\n"
+"0x00000001 FDSETPRM\t\t\tconst 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2 FDDEFPRM\t\t\tconst 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3 FDGETPRM\t\t\tstruct floppy_struct *\n"
+"0x00000004 FDMSGON\t\t\tvoid\n"
+"0x00000005 FDMSGOFF\t\t\tvoid\n"
+"0x00000006 FDFMTBEG\t\t\tvoid\n"
+"0x00000007 FDFMTTRK\t\t\tconst struct format_descr *\n"
+"0x00000008 FDFMTEND\t\t\tvoid\n"
+"0x0000000A FDSETEMSGTRESH\t\tint\n"
+"0x0000000B FDFLUSH\t\t\tvoid\n"
+"0x0000000C FDSETMAXERRS\t\tconst struct floppy_max_errors *\n"
+"0x0000000E FDGETMAXERRS\t\tstruct floppy_max_errors *\n"
+"0x00000010 FDGETDRVTYP\t\t\tstruct { char [16]; } *\n"
+"0x00000014 FDSETDRVPRM\t\t\tconst struct floppy_drive_params *\n"
+"0x00000015 FDGETDRVPRM\t\t\tstruct floppy_drive_params *\n"
+"0x00000016 FDGETDRVSTAT\t\tstruct floppy_drive_struct *\n"
+"0x00000017 FDPOLLDRVSTAT\t\tstruct floppy_drive_struct *\n"
+"0x00000018 FDRESET\t\t\tint\n"
+"0x00000019 FDGETFDCSTAT\t\tstruct floppy_fdc_state *\n"
+"0x0000001B FDWERRORCLR\t\t\tvoid\n"
+"0x0000001C FDWERRORGET\t\t\tstruct floppy_write_errors *\n"
+"0x0000001E FDRAWCMD\t\t\tstruct floppy_raw_cmd *\t// MORE\t// I-O\n"
+"0x00000028 FDTWADDLE\t\t\tvoid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18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fs.hE<gt>\n"
+"0x0000125D BLKROSE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125E BLKROGET\t\t\tint *\n"
+"0x0000125F BLKRRPART\t\t\tvoid\n"
+"0x00001260 BLKGETSIZE\t\t\tint *\n"
+"0x00001261 BLKFLSBUF\t\t\tvoid\n"
+"0x00001262 BLKRASET\t\t\tint\n"
+"0x00001263 BLKRAGET\t\t\tint *\n"
+"0x00000001 FIBMAP\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0002 FIGETBSZ\t\t\tin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fs.hE<gt>\n"
+"0x0000125D BLKROSET\t\t\tconst int *\n"
+"0x0000125E BLKROGET\t\t\tint *\n"
+"0x0000125F BLKRRPART\t\t\tvoid\n"
+"0x00001260 BLKGETSIZE\t\t\tint *\n"
+"0x00001261 BLKFLSBUF\t\t\tvoid\n"
+"0x00001262 BLKRASET\t\t\tint\n"
+"0x00001263 BLKRAGET\t\t\tint *\n"
+"0x00000001 FIBMAP\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0002 FIGETBSZ\t\t\tin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35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hdreg.hE<gt>\n"
+"0x00000301 HDIO_GETGEO\t\t\tstruct hd_geometry *\n"
+"0x00000302 HDIO_GET_UNMASKINTR\t\tint *\n"
+"0x00000304 HDIO_GET_MULTCOUNT\t\tint *\n"
+"0x00000307 HDIO_GET_IDENTITY\t\tstruct hd_driveid *\n"
+"0x00000308 HDIO_GET_KEEPSETTINGS\tint *\n"
+"0x00000309 HDIO_GET_CHIPSET\t\tint *\n"
+"0x0000030A HDIO_GET_NOWERR\t\tint *\n"
+"0x0000030B HDIO_GET_DMA\t\tint *\n"
+"0x0000031F HDIO_DRIVE_CMD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0321 HDIO_SET_MULTCOUNT\t\tint\n"
+"0x00000322 HDIO_SET_UNMASKINTR\t\tint\n"
+"0x00000323 HDIO_SET_KEEPSETTINGS\tint\n"
+"0x00000324 HDIO_SET_CHIPSET\t\tint\n"
+"0x00000325 HDIO_SET_NOWERR\t\tint\n"
+"0x00000326 HDIO_SET_DMA\t\tint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hdreg.hE<gt>\n"
+"0x00000301 HDIO_GETGEO\t\t\tstruct hd_geometry *\n"
+"0x00000302 HDIO_GET_UNMASKINTR\t\tint *\n"
+"0x00000304 HDIO_GET_MULTCOUNT\t\tint *\n"
+"0x00000307 HDIO_GET_IDENTITY\t\tstruct hd_driveid *\n"
+"0x00000308 HDIO_GET_KEEPSETTINGS\tint *\n"
+"0x00000309 HDIO_GET_CHIPSET\t\tint *\n"
+"0x0000030A HDIO_GET_NOWERR\t\tint *\n"
+"0x0000030B HDIO_GET_DMA\t\tint *\n"
+"0x0000031F HDIO_DRIVE_CMD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0321 HDIO_SET_MULTCOUNT\t\tint\n"
+"0x00000322 HDIO_SET_UNMASKINTR\t\tint\n"
+"0x00000323 HDIO_SET_KEEPSETTINGS\tint\n"
+"0x00000324 HDIO_SET_CHIPSET\t\tint\n"
+"0x00000325 HDIO_SET_NOWERR\t\tint\n"
+"0x00000326 HDIO_SET_DMA\t\tin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43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eql.hE<gt>\n"
+"0x000089F0 EQL_ENSLAVE\t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1 EQL_EMANCIPATE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2 EQL_GETSLAVE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3 EQL_SETSLAVE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4 EQL_GETMASTR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5 EQL_SETMASTR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eql.hE<gt>\n"
+"0x000089F0 EQL_ENSLAVE\t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1 EQL_EMANCIPATE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2 EQL_GETSLAVE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3 EQL_SETSLAVE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4 EQL_GETMASTR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"0x000089F5 EQL_SETMASTRCFG\t\tstruct ifreq *\t\t// MORE // I-O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46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plip.hE<gt>\n"
+"0x000089F0 SIOCDEVPLIP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plip.hE<gt>\n"
+"0x000089F0 SIOCDEVPLIP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63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ppp.hE<gt>\n"
+"0x00005490 PPPIOCGFLAGS\t\tint *\n"
+"0x00005491 PPPIOCSFLAGS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2 PPPIOCGASYNCMAP\t\tint *\n"
+"0x00005493 PPPIOCSASYNCMAP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4 PPPIOCGUNIT\t\t\tint *\n"
+"0x00005495 PPPIOCSINPSIG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7 PPPIOCSDEBUG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8 PPPIOCGDEBUG\t\tint *\n"
+"0x00005499 PPPIOCGSTAT\t\t\tstruct ppp_stats *\n"
+"0x0000549A PPPIOCGTIME\t\t\tstruct ppp_ddinfo *\n"
+"0x0000549B PPPIOCGXASYNCMAP\t\tstruct { int [8]; } *\n"
+"0x0000549C PPPIOCSXASYNCMAP\t\tconst struct { int [8]; } *\n"
+"0x0000549D PPPIOCSMRU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E PPPIOCRASYNCMAP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F PPPIOCSMAXCID\t\tconst in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if_ppp.hE<gt>\n"
+"0x00005490 PPPIOCGFLAGS\t\tint *\n"
+"0x00005491 PPPIOCSFLAGS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2 PPPIOCGASYNCMAP\t\tint *\n"
+"0x00005493 PPPIOCSASYNCMAP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4 PPPIOCGUNIT\t\t\tint *\n"
+"0x00005495 PPPIOCSINPSIG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7 PPPIOCSDEBUG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8 PPPIOCGDEBUG\t\tint *\n"
+"0x00005499 PPPIOCGSTAT\t\t\tstruct ppp_stats *\n"
+"0x0000549A PPPIOCGTIME\t\t\tstruct ppp_ddinfo *\n"
+"0x0000549B PPPIOCGXASYNCMAP\t\tstruct { int [8]; } *\n"
+"0x0000549C PPPIOCSXASYNCMAP\t\tconst struct { int [8]; } *\n"
+"0x0000549D PPPIOCSMRU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E PPPIOCRASYNCMAP\t\tconst int *\n"
+"0x0000549F PPPIOCSMAXCID\t\tconst in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268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ipx.hE<gt>\n"
+"0x000089E0 SIOCAIPXITFCRT\t\tconst char *\n"
+"0x000089E1 SIOCAIPXPRISLT\t\tconst char *\n"
+"0x000089E2 SIOCIPXCFGDATA\t\tstruct ipx_config_data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ipx.hE<gt>\n"
+"0x000089E0 SIOCAIPXITFCRT\t\tconst char *\n"
+"0x000089E1 SIOCAIPXPRISLT\t\tconst char *\n"
+"0x000089E2 SIOCIPXCFGDATA\t\tstruct ipx_config_data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1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kd.hE<gt>\n"
+"0x00004B60 GIO_FONT\t\t\tstruct { char [8192]; } *\n"
+"0x00004B61 PIO_FONT\t\t\tconst struct { char [8192]; } *\n"
+"0x00004B6B GIO_FONTX\t\t\tstruct console_font_desc * // MORE I-O\n"
+"0x00004B6C PIO_FONTX\t\t\tconst struct console_font_desc * //MORE\n"
+"0x00004B70 GIO_CMAP\t\t\tstruct { char [48]; } *\n"
+"0x00004B71 PIO_CMAP\t\t\tconst struct { char [48]; }\n"
+"0x00004B2F KIOCSOUND\t\t\tint\n"
+"0x00004B30 KDMKTONE\t\t\tint\n"
+"0x00004B31 KDGETLED\t\t\tchar *\n"
+"0x00004B32 KDSETLED\t\t\tint\n"
+"0x00004B33 KDGKBTYPE\t\t\tchar *\n"
+"0x00004B34 KDADDIO\t\t\tint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5 KDDELIO\t\t\tint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6 KDENABIO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7 KDDISABIO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A KDSETMODE\t\t\tint\n"
+"0x00004B3B KDGETMODE\t\t\tint *\n"
+"0x00004B3C KDMAPDISP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D KDUNMAPDISP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40 GIO_SCRNMAP\t\t\tstruct { char [E_TABSZ]; } *\n"
+"0x00004B41 PIO_SCRNMAP\t\t\tconst struct { char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9 GIO_UNISCRNMAP\t\tstruct { short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A PIO_UNISCRNMAP\t\tconst struct { short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6 GIO_UNIMAP\t\t\tstruct unimapdesc *\t// MORE\t// I-O\n"
+"0x00004B67 PIO_UNIMAP\t\t\tconst struct unimapdesc *\t// MORE\n"
+"0x00004B68 PIO_UNIMAPCLR\t\tconst struct unimapinit *\n"
+"0x00004B44 KDGKBMODE\t\t\tint *\n"
+"0x00004B45 KDSKBMODE\t\t\tint\n"
+"0x00004B62 KDGKBMETA\t\t\tint *\n"
+"0x00004B63 KDSKBMETA\t\t\tint\n"
+"0x00004B64 KDGKBLED\t\t\tint *\n"
+"0x00004B65 KDSKBLED\t\t\tint\n"
+"0x00004B46 KDGKBENT\t\t\tstruct kbentry *\t\t// I-O\n"
+"0x00004B47 KDSKBENT\t\t\tconst struct kbentry *\n"
+"0x00004B48 KDGKBSENT\t\t\tstruct kbsentry *\t\t// I-O\n"
+"0x00004B49 KDSKBSENT\t\t\tconst struct kbsentry *\n"
+"0x00004B4A KDGKBDIACR\t\t\tstruct kbdiacrs *\n"
+"0x00004B4B KDSKBDIACR\t\t\tconst struct kbdiacrs *\n"
+"0x00004B4C KDGETKEYCODE\t\tstruct kbkeycode *\t\t// I-O\n"
+"0x00004B4D KDSETKEYCODE\t\tconst struct kbkeycode *\n"
+"0x00004B4E KDSIGACCEPT\t\t\tint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kd.hE<gt>\n"
+"0x00004B60 GIO_FONT\t\t\tstruct { char [8192]; } *\n"
+"0x00004B61 PIO_FONT\t\t\tconst struct { char [8192]; } *\n"
+"0x00004B6B GIO_FONTX\t\t\tstruct console_font_desc * // MORE I-O\n"
+"0x00004B6C PIO_FONTX\t\t\tconst struct console_font_desc * //MORE\n"
+"0x00004B70 GIO_CMAP\t\t\tstruct { char [48]; } *\n"
+"0x00004B71 PIO_CMAP\t\t\tconst struct { char [48]; }\n"
+"0x00004B2F KIOCSOUND\t\t\tint\n"
+"0x00004B30 KDMKTONE\t\t\tint\n"
+"0x00004B31 KDGETLED\t\t\tchar *\n"
+"0x00004B32 KDSETLED\t\t\tint\n"
+"0x00004B33 KDGKBTYPE\t\t\tchar *\n"
+"0x00004B34 KDADDIO\t\t\tint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5 KDDELIO\t\t\tint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6 KDENABIO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7 KDDISABIO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A KDSETMODE\t\t\tint\n"
+"0x00004B3B KDGETMODE\t\t\tint *\n"
+"0x00004B3C KDMAPDISP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3D KDUNMAPDISP\t\t\tvoid\t\t\t\t// MORE\n"
+"0x00004B40 GIO_SCRNMAP\t\t\tstruct { char [E_TABSZ]; } *\n"
+"0x00004B41 PIO_SCRNMAP\t\t\tconst struct { char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9 GIO_UNISCRNMAP\t\tstruct { short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A PIO_UNISCRNMAP\t\tconst struct { short [E_TABSZ]; } *\n"
+"0x00004B66 GIO_UNIMAP\t\t\tstruct unimapdesc *\t// MORE\t// I-O\n"
+"0x00004B67 PIO_UNIMAP\t\t\tconst struct unimapdesc *\t// MORE\n"
+"0x00004B68 PIO_UNIMAPCLR\t\tconst struct unimapinit *\n"
+"0x00004B44 KDGKBMODE\t\t\tint *\n"
+"0x00004B45 KDSKBMODE\t\t\tint\n"
+"0x00004B62 KDGKBMETA\t\t\tint *\n"
+"0x00004B63 KDSKBMETA\t\t\tint\n"
+"0x00004B64 KDGKBLED\t\t\tint *\n"
+"0x00004B65 KDSKBLED\t\t\tint\n"
+"0x00004B46 KDGKBENT\t\t\tstruct kbentry *\t\t// I-O\n"
+"0x00004B47 KDSKBENT\t\t\tconst struct kbentry *\n"
+"0x00004B48 KDGKBSENT\t\t\tstruct kbsentry *\t\t// I-O\n"
+"0x00004B49 KDSKBSENT\t\t\tconst struct kbsentry *\n"
+"0x00004B4A KDGKBDIACR\t\t\tstruct kbdiacrs *\n"
+"0x00004B4B KDSKBDIACR\t\t\tconst struct kbdiacrs *\n"
+"0x00004B4C KDGETKEYCODE\t\tstruct kbkeycode *\t\t// I-O\n"
+"0x00004B4D KDSETKEYCODE\t\tconst struct kbkeycode *\n"
+"0x00004B4E KDSIGACCEPT\t\t\tin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24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lp.hE<gt>\n"
+"0x00000601 LPCHAR\t\t\tint\n"
+"0x00000602 LPTIME\t\t\tint\n"
+"0x00000604 LPABORT\t\t\tint\n"
+"0x00000605 LPSETIRQ\t\t\tint\n"
+"0x00000606 LPGETIRQ\t\t\tint *\n"
+"0x00000608 LPWAIT\t\t\tint\n"
+"0x00000609 LPCAREFUL\t\t\tint\n"
+"0x0000060A LPABORTOPEN\t\t\tint\n"
+"0x0000060B LPGETSTATUS\t\t\tint *\n"
+"0x0000060C LPRESET\t\t\tvoid\n"
+"0x0000060D LPGETSTATS\t\t\tstruct lp_stats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lp.hE<gt>\n"
+"0x00000601 LPCHAR\t\t\tint\n"
+"0x00000602 LPTIME\t\t\tint\n"
+"0x00000604 LPABORT\t\t\tint\n"
+"0x00000605 LPSETIRQ\t\t\tint\n"
+"0x00000606 LPGETIRQ\t\t\tint *\n"
+"0x00000608 LPWAIT\t\t\tint\n"
+"0x00000609 LPCAREFUL\t\t\tint\n"
+"0x0000060A LPABORTOPEN\t\t\tint\n"
+"0x0000060B LPGETSTATUS\t\t\tint *\n"
+"0x0000060C LPRESET\t\t\tvoid\n"
+"0x0000060D LPGETSTATS\t\t\tstruct lp_stats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28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mroute.hE<gt>\n"
+"0x000089E0 SIOCGETVIFCNT\t\tstruct sioc_vif_req *\t\t// I-O\n"
+"0x000089E1 SIOCGETSGCNT\t\tstruct sioc_sg_req *\t\t// I-O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mroute.hE<gt>\n"
+"0x000089E0 SIOCGETVIFCNT\t\tstruct sioc_vif_req *\t\t// I-O\n"
+"0x000089E1 SIOCGETSGCNT\t\tstruct sioc_sg_req *\t\t// I-O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35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mtio.hE<gt>\n"
+"0x40086D01 MTIOCTOP\t\t\tconst struct mtop *\n"
+"0x801C6D02 MTIOCGET\t\t\tstruct mtget *\n"
+"0x80046D03 MTIOCPOS\t\t\tstruct mtpos *\n"
+"0x80206D04 MTIOCGETCONFIG\t\tstruct mtconfiginfo *\n"
+"0x40206D05 MTIOCSETCONFIG\t\tconst struct mtconfiginfo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mtio.hE<gt>\n"
+"0x40086D01 MTIOCTOP\t\t\tconst struct mtop *\n"
+"0x801C6D02 MTIOCGET\t\t\tstruct mtget *\n"
+"0x80046D03 MTIOCPOS\t\t\tstruct mtpos *\n"
+"0x80206D04 MTIOCGETCONFIG\t\tstruct mtconfiginfo *\n"
+"0x40206D05 MTIOCSETCONFIG\t\tconst struct mtconfiginfo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4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netrom.hE<gt>\n"
+"0x000089E0 SIOCNRGETPARMS\t\tstruct nr_parms_struct *\t// I-O\n"
+"0x000089E1 SIOCNRSETPARMS\t\tconst struct nr_parms_struct *\n"
+"0x000089E2 SIOCNRDECOBS\t\tvoid\n"
+"0x000089E3 SIOCNRRTCTL\t\t\tconst in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netrom.hE<gt>\n"
+"0x000089E0 SIOCNRGETPARMS\t\tstruct nr_parms_struct *\t// I-O\n"
+"0x000089E1 SIOCNRSETPARMS\t\tconst struct nr_parms_struct *\n"
+"0x000089E2 SIOCNRDECOBS\t\tvoid\n"
+"0x000089E3 SIOCNRRTCTL\t\t\tconst in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45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bpcd.hE<gt>\n"
+"0x00009000 DDIOCSDBG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382 CDROMAUDIOBUFSIZ\t\tint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bpcd.hE<gt>\n"
+"0x00009000 DDIOCSDBG\t\t\tconst int *\n"
+"0x00005382 CDROMAUDIOBUFSIZ\t\tin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52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cc.hE<gt>\n"
+"0x00005470 TIOCSCCINI\t\t\tvoid\n"
+"0x00005471 TIOCCHANINI\t\t\tconst struct scc_modem *\n"
+"0x00005472 TIOCGKISS\t\t\tstruct ioctl_command *\t\t// I-O\n"
+"0x00005473 TIOCSKISS\t\t\tconst struct ioctl_command *\n"
+"0x00005474 TIOCSCCSTAT\t\t\tstruct scc_sta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cc.hE<gt>\n"
+"0x00005470 TIOCSCCINI\t\t\tvoid\n"
+"0x00005471 TIOCCHANINI\t\t\tconst struct scc_modem *\n"
+"0x00005472 TIOCGKISS\t\t\tstruct ioctl_command *\t\t// I-O\n"
+"0x00005473 TIOCSKISS\t\t\tconst struct ioctl_command *\n"
+"0x00005474 TIOCSCCSTAT\t\t\tstruct scc_sta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58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csi.hE<gt>\n"
+"0x00005382 SCSI_IOCTL_GET_IDLUN\tstruct { int [2]; } *\n"
+"0x00005383 SCSI_IOCTL_TAGGED_ENABLE\tvoid\n"
+"0x00005384 SCSI_IOCTL_TAGGED_DISABLE\tvoid\n"
+"0x00005385 SCSI_IOCTL_PROBE_HOST\tconst int *\t\t\t// MORE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csi.hE<gt>\n"
+"0x00005382 SCSI_IOCTL_GET_IDLUN\tstruct { int [2]; } *\n"
+"0x00005383 SCSI_IOCTL_TAGGED_ENABLE\tvoid\n"
+"0x00005384 SCSI_IOCTL_TAGGED_DISABLE\tvoid\n"
+"0x00005385 SCSI_IOCTL_PROBE_HOST\tconst int *\t\t\t// MORE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36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mb_fs.hE<gt>\n"
+"0x80027501 SMB_IOC_GETMOUNTUID\t\tuid_t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mb_fs.hE<gt>\n"
+"0x80027501 SMB_IOC_GETMOUNTUID\t\tuid_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403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ockios.hE<gt>\n"
+"0x0000890B SIOCADDRT\t\t\tconst struct rtentry *\t\t// MORE\n"
+"0x0000890C SIOCDELRT\t\t\tconst struct rtentry *\t\t// MORE\n"
+"0x00008910 SIOCGIFNAME\t\t\tchar []\n"
+"0x00008911 SIOCSIFLINK\t\t\tvoid\n"
+"0x00008912 SIOCGIFCONF\t\t\tstruct ifconf *\t\t// MORE\t// I-O\n"
+"0x00008913 SIOCGIFFLAGS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4 SIOCSIFFLAGS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5 SIOCGIFADDR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6 SIOCSIFADDR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7 SIOCGIFDST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8 SIOCSIFDSTADDR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9 SIOCGIFBRD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A SIOCSIFBRDADDR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B SIOCGIFNETMASK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C SIOCSIFNETMASK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D SIOCGIFMETRIC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E SIOCSIFMETRIC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F SIOCGIFMEM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0 SIOCSIFMEM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21 SIOCGIFMTU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2 SIOCSIFMTU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23 OLD_SIOCGIFHW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4 SIOCSIFHWADDR\t\tconst struct ifreq *\t\t// MORE\n"
+"0x00008925 SIOCGIFENCAP\t\tint *\n"
+"0x00008926 SIOCSIFENCAP\t\tconst int *\n"
+"0x00008927 SIOCGIFHW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9 SIOCGIFSLAVE\t\tvoid\n"
+"0x00008930 SIOCSIFSLAVE\t\tvoid\n"
+"0x00008931 SIOCADDMULTI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32 SIOCDELMULTI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40 SIOCADDRTOLD\t\tvoid\n"
+"0x00008941 SIOCDELRTOLD\t\tvoid\n"
+"0x00008950 SIOCD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51 SIOCGARP\t\t\tstruct arp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52 SIOCS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60 SIOCDR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61 SIOCGRARP\t\t\tstruct arp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62 SIOCSR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70 SIOCGIFMAP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71 SIOCSIFMAP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ockios.hE<gt>\n"
+"0x0000890B SIOCADDRT\t\t\tconst struct rtentry *\t\t// MORE\n"
+"0x0000890C SIOCDELRT\t\t\tconst struct rtentry *\t\t// MORE\n"
+"0x00008910 SIOCGIFNAME\t\t\tchar []\n"
+"0x00008911 SIOCSIFLINK\t\t\tvoid\n"
+"0x00008912 SIOCGIFCONF\t\t\tstruct ifconf *\t\t// MORE\t// I-O\n"
+"0x00008913 SIOCGIFFLAGS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4 SIOCSIFFLAGS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5 SIOCGIFADDR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6 SIOCSIFADDR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7 SIOCGIFDST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8 SIOCSIFDSTADDR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9 SIOCGIFBRD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A SIOCSIFBRDADDR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B SIOCGIFNETMASK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C SIOCSIFNETMASK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D SIOCGIFMETRIC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1E SIOCSIFMETRIC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1F SIOCGIFMEM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0 SIOCSIFMEM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21 SIOCGIFMTU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2 SIOCSIFMTU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23 OLD_SIOCGIFHW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4 SIOCSIFHWADDR\t\tconst struct ifreq *\t\t// MORE\n"
+"0x00008925 SIOCGIFENCAP\t\tint *\n"
+"0x00008926 SIOCSIFENCAP\t\tconst int *\n"
+"0x00008927 SIOCGIFHWADDR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29 SIOCGIFSLAVE\t\tvoid\n"
+"0x00008930 SIOCSIFSLAVE\t\tvoid\n"
+"0x00008931 SIOCADDMULTI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32 SIOCDELMULTI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0x00008940 SIOCADDRTOLD\t\tvoid\n"
+"0x00008941 SIOCDELRTOLD\t\tvoid\n"
+"0x00008950 SIOCD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51 SIOCGARP\t\t\tstruct arp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52 SIOCS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60 SIOCDR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61 SIOCGRARP\t\t\tstruct arp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62 SIOCSRARP\t\t\tconst struct arpreq *\n"
+"0x00008970 SIOCGIFMAP\t\t\tstruct ifreq *\t\t\t// I-O\n"
+"0x00008971 SIOCSIFMAP\t\t\tconst struct ifreq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11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soundcard.hE<gt>\n"
+"0x00005100 SNDCTL_SEQ_RESET\t\tvoid\n"
+"0x00005101 SNDCTL_SEQ_SYNC\t\tvoid\n"
+"0xC08C5102 SNDCTL_SYNTH_INFO\t\tstruct synth_info *\t\t// I-O\n"
+"0xC0045103 SNDCTL_SEQ_CTRLRAT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45104 SNDCTL_SEQ_GETOUTCOUNT\tint *\n"
+"0x80045105 SNDCTL_SEQ_GETINCOUNT\tint *\n"
+"0x40045106 SNDCTL_SEQ_PERCMODE\t\tvoid\n"
+"0x40285107 SNDCTL_FM_LOAD_INSTR\tconst struct sbi_instrument *\n"
+"0x40045108 SNDCTL_SEQ_TESTMIDI\t\tconst int *\n"
+"0x40045109 SNDCTL_SEQ_RESETSAMPLES\tconst int *\n"
+"0x8004510A SNDCTL_SEQ_NRSYNTHS\t\tint *\n"
+"0x8004510B SNDCTL_SEQ_NRMIDIS\t\tint *\n"
+"0xC074510C SNDCTL_MIDI_INFO\t\tstruct midi_info *\t\t// I-O\n"
+"0x4004510D SNDCTL_SEQ_THRESHOLD\tconst int *\n"
+"0xC004510E SNDCTL_SYNTH_MEMAVL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4004510F SNDCTL_FM_4OP_ENABLE\tconst int *\n"
+"0xCFB85110 SNDCTL_PMGR_ACCESS\t\tstruct patmgr_info *\t\t// I-O\n"
+"0x00005111 SNDCTL_SEQ_PANIC\t\tvoid\n"
+"0x40085112 SNDCTL_SEQ_OUTOFBAND\tconst struct seq_event_rec *\n"
+"0xC0045401 SNDCTL_TMR_TIMEBAS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5402 SNDCTL_TMR_START\t\tvoid\n"
+"0x00005403 SNDCTL_TMR_STOP\t\tvoid\n"
+"0x00005404 SNDCTL_TMR_CONTINUE\t\tvoid\n"
+"0xC0045405 SNDCTL_TMR_TEMPO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406 SNDCTL_TMR_SOURC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40045407 SNDCTL_TMR_METRONOME\tconst int *\n"
+"0x40045408 SNDCTL_TMR_SELEC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FB85001 SNDCTL_PMGR_IFACE\t\tstruct patmgr_info *\t\t// I-O\n"
+"0xC0046D00 SNDCTL_MIDI_PRETIM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6D01 SNDCTL_MIDI_MPUMODE\t\tconst int *\n"
+"0xC0216D02 SNDCTL_MIDI_MPUCMD\t\tstruct mpu_command_rec *\t// I-O\n"
+"0x00005000 SNDCTL_DSP_RESET\t\tvoid\n"
+"0x00005001 SNDCTL_DSP_SYNC\t\tvoid\n"
+"0xC0045002 SNDCTL_DSP_SPEED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3 SNDCTL_DSP_STEREO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4 SNDCTL_DSP_GETBLKSIZ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6 SOUND_PCM_WRITE_CHANNELS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7 SOUND_PCM_WRITE_FILTER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5008 SNDCTL_DSP_POST\t\tvoid\n"
+"0xC0045009 SNDCTL_DSP_SUBDIVID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A SNDCTL_DSP_SETFRAGMEN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4500B SNDCTL_DSP_GETFMTS\t\tint *\n"
+"0xC0045005 SNDCTL_DSP_SETFM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C500C SNDCTL_DSP_GETOSPACE\tstruct audio_buf_info *\n"
+"0x800C500D SNDCTL_DSP_GETISPACE\tstruct audio_buf_info *\n"
+"0x0000500E SNDCTL_DSP_NONBLOCK\t\tvoid\n"
+"0x80045002 SOUND_PCM_READ_RATE\t\tint *\n"
+"0x80045006 SOUND_PCM_READ_CHANNELS\tint *\n"
+"0x80045005 SOUND_PCM_READ_BITS\t\tint *\n"
+"0x80045007 SOUND_PCM_READ_FILTER\tint *\n"
+"0x00004300 SNDCTL_COPR_RESET\t\tvoid\n"
+"0xCFB04301 SNDCTL_COPR_LOAD\t\tconst struct copr_buffer *\n"
+"0xC0144302 SNDCTL_COPR_RDATA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C0144303 SNDCTL_COPR_RCODE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40144304 SNDCTL_COPR_WDATA\t\tconst struct copr_debug_buf *\n"
+"0x40144305 SNDCTL_COPR_WCODE\t\tconst struct copr_debug_buf *\n"
+"0xC0144306 SNDCTL_COPR_RUN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C0144307 SNDCTL_COPR_HALT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4FA44308 SNDCTL_COPR_SENDMSG\t\tconst struct copr_msg *\n"
+"0x8FA44309 SNDCTL_COPR_RCVMSG\t\tstruct copr_msg *\n"
+"0x80044D00 SOUND_MIXER_READ_VOLUME\tint *\n"
+"0x80044D01 SOUND_MIXER_READ_BASS\tint *\n"
+"0x80044D02 SOUND_MIXER_READ_TREBLE\tint *\n"
+"0x80044D03 SOUND_MIXER_READ_SYNTH\tint *\n"
+"0x80044D04 SOUND_MIXER_READ_PCM\tint *\n"
+"0x80044D05 SOUND_MIXER_READ_SPEAKER\tint *\n"
+"0x80044D06 SOUND_MIXER_READ_LINE\tint *\n"
+"0x80044D07 SOUND_MIXER_READ_MIC\tint *\n"
+"0x80044D08 SOUND_MIXER_READ_CD\t\tint *\n"
+"0x80044D09 SOUND_MIXER_READ_IMIX\tint *\n"
+"0x80044D0A SOUND_MIXER_READ_ALTPCM\tint *\n"
+"0x80044D0B SOUND_MIXER_READ_RECLEV\tint *\n"
+"0x80044D0C SOUND_MIXER_READ_IGAIN\tint *\n"
+"0x80044D0D SOUND_MIXER_READ_OGAIN\tint *\n"
+"0x80044D0E SOUND_MIXER_READ_LINE1\tint *\n"
+"0x80044D0F SOUND_MIXER_READ_LINE2\tint *\n"
+"0x80044D10 SOUND_MIXER_READ_LINE3\tint *\n"
+"0x80044D1C SOUND_MIXER_READ_MUTE\tint *\n"
+"0x80044D1D SOUND_MIXER_READ_ENHANCE\tint *\n"
+"0x80044D1E SOUND_MIXER_READ_LOUD\tint *\n"
+"0x80044DFF SOUND_MIXER_READ_RECSRC\tint *\n"
+"0x80044DFE SOUND_MIXER_READ_DEVMASK\tint *\n"
+"0x80044DFD SOUND_MIXER_READ_RECMASK\tint *\n"
+"0x80044DFB SOUND_MIXER_READ_STEREODEVS\tint *\n"
+"0x80044DFC SOUND_MIXER_READ_CAPS\tint *\n"
+"0xC0044D00 SOUND_MIXER_WRITE_VOLUM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1 SOUND_MIXER_WRITE_BASS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2 SOUND_MIXER_WRITE_TREBL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3 SOUND_MIXER_WRITE_SYNTH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4 SOUND_MIXER_WRITE_PCM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5 SOUND_MIXER_WRITE_SPEAKER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6 SOUND_MIXER_WRITE_LIN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7 SOUND_MIXER_WRITE_MIC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8 SOUND_MIXER_WRITE_CD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9 SOUND_MIXER_WRITE_IMIX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A SOUND_MIXER_WRITE_ALTPCM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B SOUND_MIXER_WRITE_RECLEV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C SOUND_MIXER_WRITE_IGAIN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D SOUND_MIXER_WRITE_OGAIN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E SOUND_MIXER_WRITE_LINE1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F SOUND_MIXER_WRITE_LINE2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0 SOUND_MIXER_WRITE_LINE3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C SOUND_MIXER_WRITE_MUT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D SOUND_MIXER_WRITE_ENHANC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E SOUND_MIXER_WRITE_LOUD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FF SOUND_MIXER_WRITE_RECSRC\tint *\t\t\t\t// I-O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soundcard.hE<gt>\n"
+"0x00005100 SNDCTL_SEQ_RESET\t\tvoid\n"
+"0x00005101 SNDCTL_SEQ_SYNC\t\tvoid\n"
+"0xC08C5102 SNDCTL_SYNTH_INFO\t\tstruct synth_info *\t\t// I-O\n"
+"0xC0045103 SNDCTL_SEQ_CTRLRAT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45104 SNDCTL_SEQ_GETOUTCOUNT\tint *\n"
+"0x80045105 SNDCTL_SEQ_GETINCOUNT\tint *\n"
+"0x40045106 SNDCTL_SEQ_PERCMODE\t\tvoid\n"
+"0x40285107 SNDCTL_FM_LOAD_INSTR\tconst struct sbi_instrument *\n"
+"0x40045108 SNDCTL_SEQ_TESTMIDI\t\tconst int *\n"
+"0x40045109 SNDCTL_SEQ_RESETSAMPLES\tconst int *\n"
+"0x8004510A SNDCTL_SEQ_NRSYNTHS\t\tint *\n"
+"0x8004510B SNDCTL_SEQ_NRMIDIS\t\tint *\n"
+"0xC074510C SNDCTL_MIDI_INFO\t\tstruct midi_info *\t\t// I-O\n"
+"0x4004510D SNDCTL_SEQ_THRESHOLD\tconst int *\n"
+"0xC004510E SNDCTL_SYNTH_MEMAVL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4004510F SNDCTL_FM_4OP_ENABLE\tconst int *\n"
+"0xCFB85110 SNDCTL_PMGR_ACCESS\t\tstruct patmgr_info *\t\t// I-O\n"
+"0x00005111 SNDCTL_SEQ_PANIC\t\tvoid\n"
+"0x40085112 SNDCTL_SEQ_OUTOFBAND\tconst struct seq_event_rec *\n"
+"0xC0045401 SNDCTL_TMR_TIMEBAS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5402 SNDCTL_TMR_START\t\tvoid\n"
+"0x00005403 SNDCTL_TMR_STOP\t\tvoid\n"
+"0x00005404 SNDCTL_TMR_CONTINUE\t\tvoid\n"
+"0xC0045405 SNDCTL_TMR_TEMPO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406 SNDCTL_TMR_SOURC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40045407 SNDCTL_TMR_METRONOME\tconst int *\n"
+"0x40045408 SNDCTL_TMR_SELEC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FB85001 SNDCTL_PMGR_IFACE\t\tstruct patmgr_info *\t\t// I-O\n"
+"0xC0046D00 SNDCTL_MIDI_PRETIME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6D01 SNDCTL_MIDI_MPUMODE\t\tconst int *\n"
+"0xC0216D02 SNDCTL_MIDI_MPUCMD\t\tstruct mpu_command_rec *\t// I-O\n"
+"0x00005000 SNDCTL_DSP_RESET\t\tvoid\n"
+"0x00005001 SNDCTL_DSP_SYNC\t\tvoid\n"
+"0xC0045002 SNDCTL_DSP_SPEED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3 SNDCTL_DSP_STEREO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4 SNDCTL_DSP_GETBLKSIZ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6 SOUND_PCM_WRITE_CHANNELS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7 SOUND_PCM_WRITE_FILTER\tint *\t\t\t\t// I-O\n"
+"0x00005008 SNDCTL_DSP_POST\t\tvoid\n"
+"0xC0045009 SNDCTL_DSP_SUBDIVID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500A SNDCTL_DSP_SETFRAGMEN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4500B SNDCTL_DSP_GETFMTS\t\tint *\n"
+"0xC0045005 SNDCTL_DSP_SETFMT\t\tint *\t\t\t\t// I-O\n"
+"0x800C500C SNDCTL_DSP_GETOSPACE\tstruct audio_buf_info *\n"
+"0x800C500D SNDCTL_DSP_GETISPACE\tstruct audio_buf_info *\n"
+"0x0000500E SNDCTL_DSP_NONBLOCK\t\tvoid\n"
+"0x80045002 SOUND_PCM_READ_RATE\t\tint *\n"
+"0x80045006 SOUND_PCM_READ_CHANNELS\tint *\n"
+"0x80045005 SOUND_PCM_READ_BITS\t\tint *\n"
+"0x80045007 SOUND_PCM_READ_FILTER\tint *\n"
+"0x00004300 SNDCTL_COPR_RESET\t\tvoid\n"
+"0xCFB04301 SNDCTL_COPR_LOAD\t\tconst struct copr_buffer *\n"
+"0xC0144302 SNDCTL_COPR_RDATA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C0144303 SNDCTL_COPR_RCODE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40144304 SNDCTL_COPR_WDATA\t\tconst struct copr_debug_buf *\n"
+"0x40144305 SNDCTL_COPR_WCODE\t\tconst struct copr_debug_buf *\n"
+"0xC0144306 SNDCTL_COPR_RUN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C0144307 SNDCTL_COPR_HALT\t\tstruct copr_debug_buf *\t\t// I-O\n"
+"0x4FA44308 SNDCTL_COPR_SENDMSG\t\tconst struct copr_msg *\n"
+"0x8FA44309 SNDCTL_COPR_RCVMSG\t\tstruct copr_msg *\n"
+"0x80044D00 SOUND_MIXER_READ_VOLUME\tint *\n"
+"0x80044D01 SOUND_MIXER_READ_BASS\tint *\n"
+"0x80044D02 SOUND_MIXER_READ_TREBLE\tint *\n"
+"0x80044D03 SOUND_MIXER_READ_SYNTH\tint *\n"
+"0x80044D04 SOUND_MIXER_READ_PCM\tint *\n"
+"0x80044D05 SOUND_MIXER_READ_SPEAKER\tint *\n"
+"0x80044D06 SOUND_MIXER_READ_LINE\tint *\n"
+"0x80044D07 SOUND_MIXER_READ_MIC\tint *\n"
+"0x80044D08 SOUND_MIXER_READ_CD\t\tint *\n"
+"0x80044D09 SOUND_MIXER_READ_IMIX\tint *\n"
+"0x80044D0A SOUND_MIXER_READ_ALTPCM\tint *\n"
+"0x80044D0B SOUND_MIXER_READ_RECLEV\tint *\n"
+"0x80044D0C SOUND_MIXER_READ_IGAIN\tint *\n"
+"0x80044D0D SOUND_MIXER_READ_OGAIN\tint *\n"
+"0x80044D0E SOUND_MIXER_READ_LINE1\tint *\n"
+"0x80044D0F SOUND_MIXER_READ_LINE2\tint *\n"
+"0x80044D10 SOUND_MIXER_READ_LINE3\tint *\n"
+"0x80044D1C SOUND_MIXER_READ_MUTE\tint *\n"
+"0x80044D1D SOUND_MIXER_READ_ENHANCE\tint *\n"
+"0x80044D1E SOUND_MIXER_READ_LOUD\tint *\n"
+"0x80044DFF SOUND_MIXER_READ_RECSRC\tint *\n"
+"0x80044DFE SOUND_MIXER_READ_DEVMASK\tint *\n"
+"0x80044DFD SOUND_MIXER_READ_RECMASK\tint *\n"
+"0x80044DFB SOUND_MIXER_READ_STEREODEVS\tint *\n"
+"0x80044DFC SOUND_MIXER_READ_CAPS\tint *\n"
+"0xC0044D00 SOUND_MIXER_WRITE_VOLUM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1 SOUND_MIXER_WRITE_BASS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2 SOUND_MIXER_WRITE_TREBL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3 SOUND_MIXER_WRITE_SYNTH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4 SOUND_MIXER_WRITE_PCM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5 SOUND_MIXER_WRITE_SPEAKER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6 SOUND_MIXER_WRITE_LIN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7 SOUND_MIXER_WRITE_MIC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8 SOUND_MIXER_WRITE_CD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9 SOUND_MIXER_WRITE_IMIX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A SOUND_MIXER_WRITE_ALTPCM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B SOUND_MIXER_WRITE_RECLEV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C SOUND_MIXER_WRITE_IGAIN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D SOUND_MIXER_WRITE_OGAIN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E SOUND_MIXER_WRITE_LINE1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0F SOUND_MIXER_WRITE_LINE2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0 SOUND_MIXER_WRITE_LINE3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C SOUND_MIXER_WRITE_MUT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D SOUND_MIXER_WRITE_ENHANCE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1E SOUND_MIXER_WRITE_LOUD\tint *\t\t\t\t// I-O\n"
+"0xC0044DFF SOUND_MIXER_WRITE_RECSRC\tint *\t\t\t\t// I-O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24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umsdos_fs.hE<gt>\n"
+"0x000004D2 UMSDOS_READDIR_DOS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3 UMSDOS_UNLINK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4 UMSDOS_RMDIR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5 UMSDOS_STAT_DOS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6 UMSDOS_CREAT_EMD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7 UMSDOS_UNLINK_EMD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8 UMSDOS_READDIR_EMD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9 UMSDOS_GETVERSION\t\t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A UMSDOS_INIT_EMD\t\tvoid\n"
+"0x000004DB UMSDOS_DOS_SETUP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C UMSDOS_RENAME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umsdos_fs.hE<gt>\n"
+"0x000004D2 UMSDOS_READDIR_DOS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3 UMSDOS_UNLINK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4 UMSDOS_RMDIR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5 UMSDOS_STAT_DOS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6 UMSDOS_CREAT_EMD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7 UMSDOS_UNLINK_EMD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8 UMSDOS_READDIR_EMD\t\tstruct umsdos_ioctl *\t\t// I-O\n"
+"0x000004D9 UMSDOS_GETVERSION\t\t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A UMSDOS_INIT_EMD\t\tvoid\n"
+"0x000004DB UMSDOS_DOS_SETUP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"0x000004DC UMSDOS_RENAME_DOS\t\tconst struct umsdos_ioctl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37
+#, no-wrap
+msgid ""
+"// E<lt>include/linux/vt.hE<gt>\n"
+"0x00005600 VT_OPENQRY\t\t\tint *\n"
+"0x00005601 VT_GETMODE\t\t\tstruct vt_mode *\n"
+"0x00005602 VT_SETMODE\t\t\tconst struct vt_mode *\n"
+"0x00005603 VT_GETSTATE\t\t\tstruct vt_stat *\n"
+"0x00005604 VT_SENDSIG\t\t\tvoid\n"
+"0x00005605 VT_RELDISP\t\t\tint\n"
+"0x00005606 VT_ACTIVATE\t\t\tint\n"
+"0x00005607 VT_WAITACTIVE\t\tint\n"
+"0x00005608 VT_DISALLOCATE\t\tint\n"
+"0x00005609 VT_RESIZE\t\t\tconst struct vt_sizes *\n"
+"0x0000560A VT_RESIZEX\t\t\tconst struct vt_consize *\n"
+msgstr ""
+"// E<lt>include/linux/vt.hE<gt>\n"
+"0x00005600 VT_OPENQRY\t\t\tint *\n"
+"0x00005601 VT_GETMODE\t\t\tstruct vt_mode *\n"
+"0x00005602 VT_SETMODE\t\t\tconst struct vt_mode *\n"
+"0x00005603 VT_GETSTATE\t\t\tstruct vt_stat *\n"
+"0x00005604 VT_SENDSIG\t\t\tvoid\n"
+"0x00005605 VT_RELDISP\t\t\tint\n"
+"0x00005606 VT_ACTIVATE\t\t\tint\n"
+"0x00005607 VT_WAITACTIVE\t\tint\n"
+"0x00005608 VT_DISALLOCATE\t\tint\n"
+"0x00005609 VT_RESIZE\t\t\tconst struct vt_sizes *\n"
+"0x0000560A VT_RESIZEX\t\t\tconst struct vt_consize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41
+#, no-wrap
+msgid "// More arguments.\n"
+msgstr "// 더 필요한 인자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44
+#, no-wrap
+msgid ""
+"Some ioctl's take a pointer to a structure which contains additional\n"
+"pointers. These are documented here in alphabetical order.\n"
+msgstr ""
+"어떤 ioctl은 추가적인 포인터를 멤버로 가지는 구조체 포인터를 인자로 취한다. \n"
+"이 문서는 알파벳순으로 기술되어 있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47
+#, no-wrap
+msgid ""
+"CDROMREADAUDIO takes an input pointer 'const struct cdrom_read_audio *'.\n"
+"The 'buf' field points to an output buffer of length\n"
+msgstr ""
+"CDROMREADAUDIO는 입력 포인터로 'const struct cdrom_read_audio *'를\n"
+"취한다. 'buf' 필드는 출력 버퍼 'nframes * CD_FRAMESIZE_RAW'의 길이를 \n"
+"가지는 포인터를 취한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55
+#, no-wrap
+msgid ""
+"CDROMREADCOOKED, CDROMREADMODE1, CDROMREADMODE2, and CDROMREADRAW take\n"
+"an input pointer 'const struct cdrom_msf *'. They use the same pointer\n"
+"as an output pointer to 'char []'. The length varies by request. For\n"
+"CDROMREADMODE1, most drivers use 'CD_FRAMESIZE', but the Optics Storage\n"
+"driver uses 'OPT_BLOCKSIZE' instead (both have the numerical value\n"
+"2048).\n"
+msgstr ""
+"CDROMREADCOOKED, CDROMREADMODE1, CDROMREADMODE2 그리고\n"
+"CDROMREADRAW는 입력 포인터로 'const struct cdrom_msf *'를\n"
+"취하고 이 포인터 타입을 출력 버퍼로는 'char []'처럼 사용한다.\n"
+"길이는 요구에 따라 다양하다. CDROMREADMODE1의 경우, 대부분의\n"
+"드라이버가 'CD_FRAMESIZE'를 사용하지만 광학 저장 드라이버에는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60
+#, no-wrap
+msgid ""
+"\t CDROMREADCOOKED\t\tchar [CD_FRAMESIZE]\n"
+"\t CDROMREADMODE1\t\tchar [CD_FRAMESIZE or OPT_BLOCKSIZE]\n"
+"\t CDROMREADMODE2\t\tchar [CD_FRAMESIZE_RAW0]\n"
+"\t CDROMREADRAW\t\tchar [CD_FRAMESIZE_RAW]\n"
+msgstr ""
+"\t CDROMREADCOOKED\t\tchar [CD_FRAMESIZE]\n"
+"\t CDROMREADMODE1\t\tchar [CD_FRAMESIZE or OPT_BLOCKSIZE]\n"
+"\t CDROMREADMODE2\t\tchar [CD_FRAMESIZE_RAW0]\n"
+"\t CDROMREADRAW\t\tchar [CD_FRAMESIZE_RAW]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64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EQL_ENSLAVE, EQL_EMANCIPATE, EQL_GETSLAVECFG, EQL_SETSLAVECFG,\n"
+"EQL_GETMASTERCFG, and EQL_SETMASTERCFG take a 'struct ifreq *'.\n"
+"The 'ifr_data' field is a pointer to another structure as follows:\n"
+msgstr ""
+"EQL_ENSLAVE, EQL_EMANCIPATE, EQL_GETSLAVECFG, EQL_SETSLAVECFG,\n"
+"EQL_GETMASTERCFG 그리고 EQL_SETMASTERCFG는 'struct ifreq *'취한다.\n"
+"The 'ifr_data' field is a pointer to another structure as follows: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71
+#, no-wrap
+msgid ""
+"\t EQL_ENSLAVE\t\t\tconst struct slaving_request *\n"
+"\t EQL_EMANCIPATE\t\tconst struct slaving_request *\n"
+"\t EQL_GETSLAVECFG\t\tstruct slave_config *\t\t// I-O\n"
+"\t EQL_SETSLAVECFG\t\tconst struct slave_config *\n"
+"\t EQL_GETMASTERCFG\t\tstruct master_config *\n"
+"\t EQL_SETMASTERCFG\t\tconst struct master_config *\n"
+msgstr ""
+"\t EQL_ENSLAVE\t\t\tconst struct slaving_request *\n"
+"\t EQL_EMANCIPATE\t\tconst struct slaving_request *\n"
+"\t EQL_GETSLAVECFG\t\tstruct slave_config *\t\t// I-O\n"
+"\t EQL_SETSLAVECFG\t\tconst struct slave_config *\n"
+"\t EQL_GETMASTERCFG\t\tstruct master_config *\n"
+"\t EQL_SETMASTERCFG\t\tconst struct master_config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76
+#, no-wrap
+msgid ""
+"FDRAWCMD takes a 'struct floppy raw_cmd *'. If 'flags & FD_RAW_WRITE'\n"
+"is non-zero, then 'data' points to an input buffer of length 'length'.\n"
+"If 'flags & FD_RAW_READ' is non-zero, then 'data' points to an output\n"
+"buffer of length 'length'.\n"
+msgstr ""
+"FDRAWCMD는 'struct floppy raw_cmd *'를 취한다. 만약 'flags & FD_RAW_WRITE'가 \n"
+"0이 아니면 'data' 입력 버퍼를, 'length'는 입력 버퍼의 길이를 나타낸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78
+#, no-wrap
+msgid "GIO_FONTX and PIO_FONTX take a 'struct console_font_desc *' or a\n"
+msgstr "GIO_FONTX와 PIO_FONTX는 각각 'struct console_font_desc *' 또는 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81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a buffer of 'char [charcount]'. This is an output buffer for GIO_FONTX\n"
+"and an input buffer for PIO_FONTX.\n"
+msgstr "GIO_FONTX 경우에는 출력 버퍼가, PIO_FONTX 의 경우에는 입력 버퍼가 된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83
+#, fuzzy, no-wrap
+msgid "GIO_UNIMAP and PIO_UNIMAP take a 'struct unimapdesc *' or a\n"
+msgstr "GIO_UNIMAP 와 PIO_UNIMAP는 각각 'struct unimapdesc *' 또는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86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of 'struct unipair [entry_ct]'. This is an output buffer for GIO_UNIMAP\n"
+"and an input buffer for PIO_UNIMAP.\n"
+msgstr "이는 GIO_UNIMAP에는 출력 버퍼가, PIO_UNIMAP에는 입력 버퍼가 된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89
+#, no-wrap
+msgid ""
+"KDADDIO, KDDELIO, KDDISABIO, and KDENABIO enable or disable access to\n"
+"I/O ports. They are essentially alternate interfaces to 'ioperm'.\n"
+msgstr ""
+"KDADDIO, KDDELIO, KDDISABIO 그리고 KDENABIO는 I/O 포트에 제어가\n"
+"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. 이들은 원래 'ioperm'에 대한 대안책이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92
+#, no-wrap
+msgid ""
+"KDMAPDISP and KDUNMAPDISP enable or disable memory mappings or I/O port\n"
+"access. They are not implemented in the kernel.\n"
+msgstr ""
+"KDMAPDISP와 KDUNMAPDISP는 I/O 포트에 대한 제어 또는 메모리 맵핑을 가능하게 \n"
+"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. 이는 커널에 구현되어 있지 않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96
+#, no-wrap
+msgid ""
+"SCSI_IOCTL_PROBE_HOST takes an input pointer 'const int *', which is a\n"
+"length. It uses the same pointer as an output pointer to a 'char []'\n"
+"buffer of this length.\n"
+msgstr ""
+"SCSI_IOCTL_PROBE_HOST은 길이를 나타내는 'const int *'를 입력 포인터로 취한다. \n"
+"그리고 같은 타입 포인터가 출력 포인터에서는 'char []' 타입의 버퍼 길이를 \n"
+"나타내는데 사용한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599
+#, no-wrap
+msgid ""
+"SIOCADDRT and SIOCDELRT take an input pointer whose type depends on\n"
+"the protocol:\n"
+msgstr "SIOCADDRT와 SIOCDELRT는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 포인터가 결정된다: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03
+#, no-wrap
+msgid ""
+"\t Most protocols\t\tconst struct rtentry *\n"
+"\t AX.25\t\t\tconst struct ax25_route *\n"
+"\t NET/ROM\t\t\tconst struct nr_route_struct *\n"
+msgstr ""
+"\t 대부분의 프로토콜\tconst struct rtentry *\n"
+"\t AX.25\t\t\t\tconst struct ax25_route *\n"
+"\t NET/ROM\t\t\t\tconst struct nr_route_struct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07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SIOCGIFCONF takes a 'struct ifconf *'. The 'ifc_buf' field points to a\n"
+"buffer of length 'ifc_len' bytes, into which the kernel writes a list of\n"
+"type 'struct ifreq []'.\n"
+msgstr ""
+"SIOCGIFCONF는 'struct ifconf *'을 취한다. 'ifc_buf' 필드는 바이트 단위 길이 \n"
+"타입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09
+#, no-wrap
+msgid "SIOCSIFHWADDR takes an input pointer whose type depends on the protocol:\n"
+msgstr "SIOCSIFHWADDR은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 포인터가 결정된다: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12
+#, no-wrap
+msgid ""
+"\t Most protocols\t\tconst struct ifreq *\n"
+"\t AX.25\t\t\tconst char [AX25_ADDR_LEN]\n"
+msgstr ""
+"\t 대부분의 프로토콜\tconst struct ifreq *\n"
+"\t AX.25\t\t\t\tconst char [AX25_ADDR_LEN]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16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TIOCLINUX takes a 'const char *'. It uses this to distinguish several\n"
+"independent sub-cases. In the table below, 'N + foo' means 'foo' after\n"
+"an N-byte pad. 'struct selection' is implicitly defined in\n"
+msgstr ""
+"TIOCLINUX은 'const char *'을 취한다. 이것은 여러가지 독립적인 세부적인 경우를 \n"
+"구별하는데 사용된다. 아래 테이블에서 'N + foo'는 N-byte 다음의 'foo'를 의미한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25
+#, no-wrap
+msgid ""
+"\t TIOCLINUX-2\t\t\t1 + const struct selection *\n"
+"\t TIOCLINUX-3\t\t\tvoid\n"
+"\t TIOCLINUX-4\t\t\tvoid\n"
+"\t TIOCLINUX-5\t\t\t4 + const struct { long [8]; } *\n"
+"\t TIOCLINUX-6\t\t\tchar *\n"
+"\t TIOCLINUX-7\t\t\tchar *\n"
+"\t TIOCLINUX-10\t\t1 + const char *\n"
+msgstr ""
+"\t TIOCLINUX-2\t\t\t1 + const struct selection *\n"
+"\t TIOCLINUX-3\t\t\tvoid\n"
+"\t TIOCLINUX-4\t\t\tvoid\n"
+"\t TIOCLINUX-5\t\t\t4 + const struct { long [8]; } *\n"
+"\t TIOCLINUX-6\t\t\tchar *\n"
+"\t TIOCLINUX-7\t\t\tchar *\n"
+"\t TIOCLINUX-10\t\t1 + const char *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31
+#, no-wrap
+msgid "// Duplicate ioctls\n"
+msgstr "// 이중의 ioctl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34
+#, no-wrap
+msgid ""
+"This list does not include ioctls in the range SIOCDEVPRIVATE and\n"
+"SIOCPROTOPRIVATE.\n"
+msgstr ""
+"다음 목록은 SIOCDEVPRIVATE와 SIOCPROTOPRIVATE 사이의 범위에 있는 ioctl에 \n"
+"포함되지 않는다.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octl_list.2:640
+#, no-wrap
+msgid ""
+"0x00000001 FDSETPRM\t\t\tFIBMAP\n"
+"0x00000002 FDDEFPRM\t\t\tFIGETBSZ\n"
+"0x00005382 CDROMAUDIOBUFSIZ\t\tSCSI_IOCTL_GET_IDLUN\n"
+"0x00005402 SNDCTL_TMR_START\t\tTCSETS\n"
+"0x00005403 SNDCTL_TMR_STOP\t\tTCSETSW\n"
+"0x00005404 SNDCTL_TMR_CONTINUE\t\tTCSETSF\n"
+msgstr ""
+"0x00000001 FDSETPRM\t\t\tFIBMAP\n"
+"0x00000002 FDDEFPRM\t\t\tFIGETBSZ\n"
+"0x00005382 CDROMAUDIOBUFSIZ\t\tSCSI_IOCTL_GET_IDLUN\n"
+"0x00005402 SNDCTL_TMR_START\t\tTCSETS\n"
+"0x00005403 SNDCTL_TMR_STOP\t\tTCSETSW\n"
+"0x00005404 SNDCTL_TMR_CONTINUE\t\tTCSETSF\n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mlockall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mlockall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9c0346e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mlockall.2.po
@@ -0,0 +1,292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26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m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MLOCKALL"
+msgstr "MLOCKALL"
+
+#. type: TH
+#: m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1995-11-26"
+msgstr "1995년 11월 26일"
+
+#. type: TH
+#: m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.43"
+msgstr "리눅스 1.3.43"
+
+#. type: TH
+#: m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29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31
+msgid "mlockall - disable paging for calling process"
+msgstr "mlockall - 호출한 프로세스의 페이징을 금지시킨다.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31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34
+#, no-wrap
+msgid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msgstr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36
+#, no-wrap
+msgid "B<int mlockall(int >I<flags>B<);>\n"
+msgstr "B<int mlockall(int >I<flags>B<);>\n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37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54
+msgid ""
+"B<mlockall> disables paging for all pages mapped into the address space of "
+"the calling process. This includes the pages of the code, data and stack "
+"segment, as well as shared libraries, user space kernel data, shared memory "
+"and memory mapped files. All mapped pages are guaranteed to be resident in "
+"RAM when the B<mlockall> system call returns successfully and they are "
+"guaranteed to stay in RAM until the pages are unlocked again by B<munlock> or "
+"B<munlockall> or until the process terminates or starts another program with "
+"B<exec>. Child processes do not inherit page locks across a B<fork>."
+msgstr ""
+"B<mlockall>은 호출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대응되는 모든 페이지에 대한 페이징"
+"을 금지시킨다. 여기에는 코드, 데이터와 스택 페이지 또한 공유 라이브러리, 사용"
+"자 영역 커널 데이터, 공유 메모리, 메모리에 대응된 파일이 포함된다. 모든 페이지"
+"는 B<mlockall>이 성공했을 때 RAM에 상주하는 것이 보장된다. 그리고 B<munlock>이"
+"나 B<munlockall>에 의해 다시 잠금이 풀릴 때까지 또는 프로세스가 종료할 때까지 "
+"또는 B<exec>에 의해 다른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까지 RAM에 상주하는 것이 보장된"
+"다. B<fork>에 의한 자식 프로세스는 페이지 잠금을 상속받지 않는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69
+msgid ""
+"Memory locking has two main applications: real-time algorithms and high-"
+"security data processing. Real-time applications require deterministic "
+"timing, and, like scheduling, paging is one major cause of unexpected program "
+"execution delays. Real-time applications will usually also switch to a real-"
+"time scheduler with B<sched_setscheduler>. Cryptographic security software "
+"often handles critical bytes like passwords or secret keys as data "
+"structures. As a result of paging, these secrets could be transfered onto a "
+"persistent swap store medium, where they might be accessible to the enemy "
+"long after the security software has erased the secrets in RAM and "
+"terminated. For security applications, only small parts of memory have to be "
+"locked, for which B<mlock> is available."
+msgstr ""
+"메모리 잠금은 주로 두 가지 경우에 응용된다: 실시간 알고리즘과 high-security 데"
+"이타 처리. 실시간 응용프로그램의 경우는 결정론적인 타이밍과 스케줄링 같은 것"
+"이 요구되는데, 이 때 페이징은 예상치 못한 프로그램 실행 지연을 야기하는 주요 "
+"원인이다. 또한 실시간 응용프로그램은 보통 B<sched_setscheduler>로 실시간 스케"
+"쥴러를 사용한다. 암호 보안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로 암호나 보안키 같은 중요 바이"
+"트를 처리한다. 페이징 결과, 이 데이터가 지속적인 스왑 저장 장치에 저장되며 보"
+"안 소프트웨어가 RAM에서 이 데이터를 지우고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외부에 노출될 "
+"수 있다. 보안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은 메모리 영역만을 잠가야하고, 이 때는 "
+"B<mlock>을 이용하기 적당하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74
+msgid ""
+"The I<flags> parameter can be constructed from the logical OR of the "
+"following constants:"
+msgstr "I<flags> 인자는 다음 상수를 논리 OR를 하여 지정될 수 있다:"
+
+#. type: TP
+#: mlockall.2:74
+#, no-wrap
+msgid "B<MCL_CURRENT>"
+msgstr "B<MCL_CURRE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78
+msgid ""
+"Lock all pages which are currently mapped into the address space of the "
+"process."
+msgstr "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현재 대응되는 모든 페이지를 잠근다."
+
+#. type: TP
+#: mlockall.2:78
+#, no-wrap
+msgid "B<MCL_FUTURE>"
+msgstr "B<MCL_FUTUR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84
+msgid ""
+"Lock all pages which will become mapped into the address space of the process "
+"in the future. These could be for instance new pages required by a growing "
+"heap and stack as well as new memory mapped files or shared memory regions."
+msgstr ""
+"앞으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대응될 모든 페이지를 잠근다. 예를 들어 새로운 메"
+"모리 대응 파일이나 공유 메모리 영역 뿐만아니라 늘어난 힙과 스택의 페이지에 사"
+"용되는 페이지에 해당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94
+msgid ""
+"If B<MCL_FUTURE> has been specified and the number of locked pages exceeds "
+"the upper limit of allowed locked pages, then the system call which caused "
+"the new mapping will fail with B<ENOMEM>. If these new pages have been "
+"mapped by the the growing stack, then the kernel will deny stack expansion "
+"and send a B<SIGSEGV>."
+msgstr ""
+"만약 B<MCL_FUTURE>이 지정되고 잠긴 페이지 수가 허용된 한계를 초과하면 시스템 "
+"콜은 B<ENOMEM> 에러로 실패할 것이다. 스택이 늘어나 새 페이지가 대응되면, 커널"
+"은 스택 확장을 거부하고 B<SIGSEGV> 시그널을 보낸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03
+msgid ""
+"Real-time processes should reserve enough locked stack pages before entering "
+"the time-critical section, so that no page fault can be caused by function "
+"calls. This can be achieved by calling a function which has a sufficiently "
+"large automatic variable and which writes to the memory occupied by this "
+"large array in order to touch these stack pages. This way, enough pages will "
+"be mapped for the stack and can be locked into RAM. The dummy writes ensure "
+"that not even copy-on-write page faults can occur in the critical section."
+msgstr ""
+"실시간 프로세스는 시간 임계 영역을 수행하기 전에 충분한 스택 페이지를 잠가두"
+"어, 그 함수 호출에 의해 페이지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. 이는 충분히 큰 지역 변"
+"수를 가지고, 스택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이 큰 배열이 차지한 메모리에 쓰기를 하"
+"는 함수를 호출하여서 이룰 수 있다. 이런 방법으로 충분한 페이지를 스택에 대응시"
+"켜 RAM에 잠가둘 수 있다. 이 쓰기는 임계 영역에서 copy-on-write 페이지 오류가 "
+"발생하지 않게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14
+msgid ""
+"Memory locks do not stack, i.e., pages which have been locked several times "
+"by calls to B<mlockall> or B<mlock> will be unlocked by a single call to "
+"B<munlockall>. Pages which are mapped to several locations or by several "
+"processes stay locked into RAM as long as they are locked at least at one "
+"location or by at least one process."
+msgstr ""
+"메모리 잠근은 스택이 아니다. 즉, B<mlock>이나 B<mlockall>이 여러번 호출되어 "
+"여러번 잠겼던 페이지는 상응하는 범위에 대한 B<munlock>이나 B<munlockall>를 단 "
+"한번 호출하여 잠금을 풀 수 있다. 여러 위치나 여러 프로세스에 의해 잠겨진 페이"
+"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나 프로세스에 의해 잠겨져 있는 한 RAM에서 계속적으로 잠"
+"금이 유지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22
+msgid ""
+"On POSIX systems on which B<mlockall> and B<munlockall> are available, "
+"B<_POSIX_MEMLOCK> is defined in E<lt>unistd.hE<gt>."
+msgstr ""
+"B<mlockall>과 B<munlockall>를 이용할 수 있는 POSIX 시스템에서 "
+"B<_POSIX_MEMLOCK>은 E<lt>unistd.hE<gt>에 정의되어 있다.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122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28
+msgid ""
+"On success, B<mlockall> returns zero. On error, -1 is returned, I<errno> is "
+"set appropriately."
+msgstr ""
+"성공시, B<mlockall>은 0을 리턴한다. 에러시, -1 을 리턴하며, I<errno>는 적절한 "
+"값으로 설정된다.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128
+#, no-wrap
+msgid "ERRORS"
+msgstr "에러"
+
+#. type: TP
+#: mlockall.2:129
+#, no-wrap
+msgid "B<ENOMEM>"
+msgstr "B<ENOME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33
+msgid "The process tried to exceed the maximum number of allowed locked pages."
+msgstr "프로세스가 허용되는 잠금 페이지의 최대 수를 초과했다."
+
+#. type: TP
+#: mlockall.2:133
+#, no-wrap
+msgid "B<EPERM>"
+msgstr "B<EPER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37
+msgid ""
+"The calling process does not have appropriate privileges. Only root processes "
+"are allowed to lock pages."
+msgstr ""
+"호출한 프로세스가 올바른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. 단지 루트 프로세스에만 페이지"
+"의 잠금을 허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mlockall.2:137
+#, no-wrap
+msgid "B<EINVAL>"
+msgstr "B<EINVA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40
+msgid "Unknown flags were specified."
+msgstr "잘못된 flags가 지정되었다.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140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42
+msgid "POSIX.1b, SVr4. SVr4 documents an additional EAGAIN error code."
+msgstr "POSIX.1b, SVr4. SVr4는 EAGAIN 에러 조건을 추가적으로 기술한다."
+
+#. type: SH
+#: mlockall.2:142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lockall.2:145
+msgid "B<munlockall>(2), B<mlock>(2), B<munlock>(2)"
+msgstr "B<munlockall>(2), B<mlock>(2), B<munlock>(2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9b1c39f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.2.po
@@ -0,0 +1,183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20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munlock.2:28
+#, no-wrap
+msgid "MUNLOCK"
+msgstr "MUNLOCK"
+
+#. type: TH
+#: munlock.2:28
+#, no-wrap
+msgid "1995-11-26"
+msgstr "1995년 11월 26일"
+
+#. type: TH
+#: munlock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.43"
+msgstr "리눅스 1.3.43"
+
+#. type: TH
+#: munlock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29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31
+msgid "munlock - reenable paging for some parts of memory"
+msgstr "munlock - 메모리의 일정 부분에 대한 페이징을 다시 가능하게 한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31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34
+#, no-wrap
+msgid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msgstr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36
+#, no-wrap
+msgid "B<int munlock(const void *>I<addr>B<, size_t >I<len>B<);>\n"
+msgstr "B<int munlock(const void *>I<addr>B<, size_t >I<len>B<);>\n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37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47
+msgid ""
+"B<munlock> reenables paging for the memory in the range starting at I<addr> "
+"with length I<len> bytes. All pages which contain a part of the specified "
+"memory range can after calling B<munlock> be moved to external swap space "
+"again by the kernel."
+msgstr ""
+"B<munlock>은 I<addr>부터 I<len> 바이트만큼 범위의 메모리에 대한 페이징을 다시 "
+"가능하게 한다. 지정된 메모리 범위의 일부를 포함하는 모든 페이지들은 "
+"B<munlock>이 호출된 후 커널에 의해 다시 외부 스왑 공간으로 이동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60
+msgid ""
+"Memory locks do not stack, i.e., pages which have been locked several times "
+"by calls to B<mlock> or B<mlockall> will be unlocked by a single call to "
+"B<munlock> for the corresponding range or by B<munlockall>. Pages which are "
+"mapped to several locations or by several processes stay locked into RAM as "
+"long as they are locked at least at one location or by at least one process."
+msgstr ""
+"메모리 잠근은 스택이 아니다. 즉, B<mlock>이나 B<mlockall>이 여러번 호출되어 "
+"여러번 잠겼던 페이지는 상응하는 범위에 대한 B<munlock>이나 B<munlockall>를 단 "
+"한번 호출하여 잠금을 풀 수 있다. 여러 위치나 여러 프로세스에 의해 잠겨진 페이"
+"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나 프로세스에 의해 잠겨져 있는 한 RAM에서 계속적으로 잠"
+"금이 유지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70
+msgid ""
+"On POSIX systems on which B<mlock> and B<munlock> are available, "
+"B<_POSIX_MEMLOCK_RANGE> is defined in E<lt>unistd.hE<gt> and the value "
+"B<PAGESIZE> from E<lt>limits.hE<gt> indicates the number of bytes per page."
+msgstr ""
+"B<mlock>과 B<munlock>를 이용할 수 있는 POSIX 시스템에서 "
+"B<_POSIX_MEMLOCK_RANGE>는 E<lt>unistd.hE<gt>에 정의되어 있으며 E<lt>limits."
+"hE<gt>에서 B<PAGESIZE>는 페이지당 바이트 수를 가리킨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70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77
+msgid ""
+"On success, B<munlock> returns zero. On error, -1 is returned, I<errno> is "
+"set appropriately, and no changes are made to any locks in the address space "
+"of the process."
+msgstr ""
+"성공시, B<munlock>은 0을 리턴한다. 에러시, -1이 리턴되며, I<errno>는 적절한 값"
+"으로 설정된다. 그리고 해당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의 잠금에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"
+"지 않는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77
+#, no-wrap
+msgid "ERRORS"
+msgstr "에러"
+
+#. type: TP
+#: munlock.2:78
+#, no-wrap
+msgid "B<ENOMEM>"
+msgstr "B<ENOME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82
+msgid ""
+"Some of the specified address range does not correspond to mapped pages in "
+"the address space of the process."
+msgstr ""
+"지정된 주소의 일정 부분이 해당 프로세스 주소 공간의 페이지와 일치하지 않는다."
+
+#. type: TP
+#: munlock.2:82
+#, no-wrap
+msgid "B<EINVAL>"
+msgstr "B<EINVA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86
+msgid "I<len> was not a positive number."
+msgstr "I<len>이 양수가 아니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86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88
+msgid "POSIX.1b, SVr4"
+msgstr "POSIX.1b, SVr4"
+
+#. type: SH
+#: munlock.2:88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.2:91
+msgid "B<mlock>(2), B<mlockall>(2), B<munlockall>(2)"
+msgstr "B<mlock>(2), B<mlockall>(2), B<munlockall>(2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all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all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46c2991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munlockall.2.po
@@ -0,0 +1,145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5-26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mun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MUNLOCKALL"
+msgstr "MUNLOCKALL"
+
+#. type: TH
+#: mun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1995-11-26"
+msgstr "1995년 11월 26일"
+
+#. type: TH
+#: mun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.43"
+msgstr "리눅스 1.3.43"
+
+#. type: TH
+#: munlockall.2:28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29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31
+msgid "munlockall - reenable paging for calling process"
+msgstr "munlockall - 호출한 프로세스에 대한 페이징을 다시 가능하게 한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31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34
+#, no-wrap
+msgid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msgstr "B<#include E<lt>sys/mman.hE<gt>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36
+#, no-wrap
+msgid "B<int munlockall(void);>\n"
+msgstr "B<int munlockall(void);>\n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37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41
+msgid ""
+"B<munlockall> reenables paging for all pages mapped into the address space of "
+"the calling process."
+msgstr ""
+"B<munlockall>은 호출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대응되는 모든 페이지에 대한 페이"
+"징을 다시 가능하게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52
+msgid ""
+"Memory locks do not stack, i.e., pages which have been locked several times "
+"by calls to B<mlock> or B<mlockall> will be unlocked by a single call to "
+"B<munlockall>. Pages which are mapped to several locations or by several "
+"processes stay locked into RAM as long as they are locked at least at one "
+"location or by at least one process."
+msgstr ""
+"메모리 잠근은 스택이 아니다. 즉, B<mlock>이나 B<mlockall>이 여러번 호출되어 "
+"여러번 잠겼던 페이지는 단 한번의 B<munlockall>를 호출로 잠금을 풀 수 있다. 여"
+"러 위치나 여러 프로세스에 의해 잠겨진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나 프로세스"
+"에 의해 잠겨져 있는 한 RAM에서 계속적으로 잠금이 유지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61
+msgid ""
+"On POSIX systems on which B<mlockall> and B<munlockall> are available, "
+"B<_POSIX_MEMLOCK> is defined in I<E<lt>unistd.hE<gt> .>"
+msgstr ""
+"B<mlockall>과 B<munlockall>를 이용할 수 있는 POSIX 시스템에서 "
+"B<_POSIX_MEMLOCK>는 E<lt>unistd.hE<gt>에 정의되어 있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61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67
+msgid ""
+"On success, B<munlockall> returns zero. On error, -1 is returned and "
+"I<errno> is set appropriately."
+msgstr ""
+"성공시, B<munlockall>은 0을 리턴한다. 에러시, -1이 리턴되며, I<errno>는 적절"
+"한 값으로 설정된다. 그리고 해당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의 잠금에 어떠한 변화도 일"
+"어나지 않는다.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67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69
+msgid "POSIX.1b, SVr4"
+msgstr "POSIX.1b, SVr4"
+
+#. type: SH
+#: munlockall.2:69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munlockall.2:72
+msgid "B<mlockall>(2), B<mlock>(2), B<munlock>(2)"
+msgstr "B<mlockall>(2), B<mlock>(2), B<munlock>(2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obsolete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obsolete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91f8498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obsolete.2.po
@@ -0,0 +1,121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02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obsolete.2:29
+#, no-wrap
+msgid "OBSOLETE"
+msgstr "OBSOLETE"
+
+#. type: TH
+#: obsolete.2:29
+#, no-wrap
+msgid "22 July 1995"
+msgstr "1995년 6월 22일"
+
+#. type: TH
+#: obsolete.2:29
+#, no-wrap
+msgid "Linux 1.3.6"
+msgstr "리눅스 1.3.6"
+
+#. type: TH
+#: obsolete.2:29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메뉴얼"
+
+#. type: SH
+#: obsolete.2:30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32
+msgid ""
+"oldfstat, oldlstat, oldstat, oldolduname, olduname - obsolete system calls"
+msgstr ""
+"oldfstat, oldlstat, oldstat, oldolduname, olduname - 사용되지 않는 구식의 시스"
+"템 콜들"
+
+#. type: SH
+#: obsolete.2:32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34
+msgid "Obsolete system calls."
+msgstr "사용되지 않는 구식 시스템 콜들."
+
+#. type: SH
+#: obsolete.2:34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39
+msgid ""
+"The Linux 2.0 kernel implements these calls to support old executables. "
+"These calls return structures which have grown since their first "
+"implementation, but old executables must continue to receive old smaller "
+"structures."
+msgstr ""
+"리눅스 2.0 커널은 예전 실행들을 지원하기 위해 이 시스템 콜들을 수행한다. 이"
+"들 함수들은 그것들이 처음 실행된후 생성된 구조체를 반환한다. 그러나 예전 실행"
+"들은 예전의 작은 구조체를 받기 위해 계속해야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42
+msgid ""
+"Current executables should be linked with current libraries and never use "
+"these calls."
+msgstr ""
+"현재의 실행들은 현재 라이브러리들과 연결되어야 하며 이 시스템 콜들을 결코 사용"
+"해서는 안된다."
+
+#. type: SH
+#: obsolete.2:42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44
+msgid ""
+"These calls are unique to Linux and should not be used at all in new programs."
+msgstr ""
+"이들 시스템 콜들은 리눅스에서 유일하며 새로운 모든 프로그램에서는 사용되서는 "
+"안된다."
+
+#. type: SH
+#: obsolete.2:44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bsolete.2:50
+msgid ""
+"B<fstat>(2), B<lstat>(2), B<stat>(2), B<uname>(2), B<undocumented>(2), "
+"B<unimplemented>(2)"
+msgstr ""
+"B<fstat>(2), B<lstat>(2), B<stat>(2), B<uname>(2), B<undocumented>(2), "
+"B<unimplemented>(2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2/undocumented.2.po b/po/ko/archive/po/man2/undocumented.2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f050e91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2/undocumented.2.po
@@ -0,0 +1,120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4-1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임종균 <hermes44@secsm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undocumented.2:36
+#, no-wrap
+msgid "UNDOCUMENTED"
+msgstr "UNDOCUMENTED"
+
+#. type: TH
+#: undocumented.2:36
+#, no-wrap
+msgid "12 April 1996"
+msgstr "1996년 4월 12일"
+
+#. type: TH
+#: undocumented.2:36
+#, no-wrap
+msgid "Linux 2.0.34"
+msgstr "리눅스 2.0.34"
+
+#. type: TH
+#: undocumented.2:36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37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39
+msgid "none - undocumented system calls"
+msgstr "none - 문서화되지 않은 시스템 콜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39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41
+msgid "Undocumented system calls."
+msgstr "문서화되지 않은 시스템 콜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4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47
+msgid ""
+"As of Linux 2.0.34, there are 164 system calls listed in I</usr/include/asm/"
+"unistd.h>. This man page mentions those calls which are implemented in the "
+"kernel but not yet documented in man pages. Some of these calls do not yet "
+"have prototypes in the libc include files."
+msgstr ""
+"리눅스 2.0.34에서 I</usr/include/asm/unistd.h>에 나열된 164개의 시스템 콜이 있"
+"다. 이 맨페이지는 커널에 구현되었지만 아직 맨페이지로 문서화되지 않은 시스템 "
+"콜을 나열한다. 이런 시스템 콜은 몇몇 개는 libc 헤더 파일에 프로토타입도 없다.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47
+#, no-wrap
+msgid "SOLICITATION"
+msgstr "요청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54
+msgid ""
+"If you have information about these system calls, please look in the kernel "
+"source code, write a man page (using a style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"
+"Linux section 2 man pages), and send it to B<aeb@cwi.nl> for inclusion in the "
+"next man page release from the Linux Documentation Project."
+msgstr ""
+"이런 시스템 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커널 소스 코드를 살펴보고 맨페이지"
+"를 작성하여 (다른 섹션 2 맨페이지와 유사한 형식으로) B<aeb@cwi.nl>로 보내주"
+"길 바란다. 다음 리눅스 문서화 프로젝트의 맨페이지 발표시에 포함될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54
+#, no-wrap
+msgid "STATUS"
+msgstr "상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56
+msgid "There are presently no undocumented system calls."
+msgstr "현재는 문서화되지 않은 시스템 콜은 없다."
+
+#. type: SH
+#: undocumented.2:56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ndocumented.2:58
+msgid "B<obsolete>(2), B<unimplemented>(2)"
+msgstr "B<obsolete>(2), B<unimplemented>(2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3/strcat.3.po b/po/ko/archive/po/man3/strcat.3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e60795fe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3/strcat.3.po
@@ -0,0 +1,410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, 2001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3-08-27 17:24+0200\n"
+"PO-Revision-Date: 2001-02-2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정강훈 <skyeyes@soback.kornet.net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STRCAT"
+msgstr "STRCAT"
+
+#. type: T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2017-09-15"
+msgstr "2017년 9월 15일"
+
+#. type: T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GNU"
+msgstr "GNU"
+
+#. type: T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strcat, strncat - concatenate two strings"
+msgstr "strcat, strncat - 두 문자열을 연결시킨다.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요약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B<#include E<lt>string.hE<gt>>\n"
+msgstr "B<#include E<lt>string.hE<gt>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B<char *strcat(char *>I<dest>B<, const char *>I<src>B<);>\n"
+msgstr "B<char *strcat(char *>I<dest>B<, const char *>I<src>B<);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B<char *strncat(char *>I<dest>B<, const char *>I<src>B<, size_t >I<n>B<);>\n"
+msgstr "B<char *strncat(char *>I<dest>B<, const char *>I<src>B<, size_t >I<n>B<);>\n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fuzzy
+#| msgid ""
+#| "The B<strcat()> function appends the I<src> string to the I<dest> string "
+#| "overwriting the `\\e0' character at the end of I<dest>, and then adds a "
+#| "terminating `\\e0' character. The strings may not overlap, and the "
+#| "I<dest> string must have enough space for the result."
+msgid ""
+"The B<strcat>() function appends the I<src> string to the I<dest> string, "
+"overwriting the terminating null byte (\\(aq\\e0\\(aq) at the end of "
+"I<dest>, and then adds a terminating null byte. The strings may not "
+"overlap, and the I<dest> string must have enough space for the result. If "
+"I<dest> is not large enough, program behavior is unpredictable; I<buffer "
+"overruns are a favorite avenue for attacking secure programs>."
+msgstr ""
+"B<strcat()> 함수는 I<dest>의 마지막 `\\e0' 문자를 겹쳐서 I<src> 문자열을 "
+"I<dest> 문자열에 추가시킨다. 그리고 마지막에 `\\e0' 문자를 추가시킨다. 문자"
+"열은 중첩되지 않으며 I<dest> 문자열은 결과를 위해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어"
+"야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The B<strncat>() function is similar, except that"
+msgstr ""
+
+#. type: IP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*"
+msgstr "*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it will use at most I<n> bytes from I<src>; and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I<src> does not need to be null-terminated if it contains I<n> or more bytes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As with B<strcat>(), the resulting string in I<dest> is always null-"
+"terminat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If I<src> contains I<n> or more bytes, B<strncat>() writes I<n+1> bytes to "
+"I<dest> (I<n> from I<src> plus the terminating null byte). Therefore, the "
+"size of I<dest> must be at least I<strlen(dest)+n+1>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A simple implementation of B<strncat>() might be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char *\n"
+"strncat(char *dest, const char *src, size_t n)\n"
+"{\n"
+" size_t dest_len = strlen(dest);\n"
+" size_t i;\n"
+msgstr ""
+"char *\n"
+"strncat(char *dest, const char *src, size_t n)\n"
+"{\n"
+" size_t dest_len = strlen(dest);\n"
+" size_t i;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 for (i = 0 ; i E<lt> n && src[i] != \\(aq\\e0\\(aq ; i++)\n"
+" dest[dest_len + i] = src[i];\n"
+" dest[dest_len + i] = \\(aq\\e0\\(aq;\n"
+msgstr ""
+" for (i = 0 ; i E<lt> n && src[i] != \\(aq\\e0\\(aq ; i++)\n"
+" dest[dest_len + i] = src[i];\n"
+" dest[dest_len + i] = \\(aq\\e0\\(aq;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 return dest;\n"
+"}\n"
+msgstr ""
+" return dest;\n"
+"}\n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RETURN VALUE"
+msgstr "반환값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The B<strcat>() and B<strncat>() functions return a pointer to the "
+"resulting string I<dest>."
+msgstr ""
+"B<strcat>()와 B<strncat>() 함수는 결과 스트링 I<dest>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한"
+"다.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ATTRIBUTES"
+msgstr "속성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For an explanation of the terms used in this section, see B<attributes>(7)."
+msgstr ""
+"이 섹션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은 B<attributes>(7)을 참조하십시오.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Interface"
+msgstr "상호 작용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Attribute"
+msgstr "속성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Value"
+msgstr "번호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B<strcat>(),\n"
+"B<strncat>()"
+msgstr ""
+"B<strcat>(),\n"
+"B<strncat>()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Thread safety"
+msgstr ""
+
+#. type: tbl table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MT-Safe"
+msgstr "MT-Safe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CONFORMING TO"
+msgstr "호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POSIX.1-2001, POSIX.1-2008, C89, C99, SVr4, 4.3BSD."
+msgstr "POSIX.1-2001, POSIX.1-2008, C89, C99, SVr4, 4.3BSD.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NOTES"
+msgstr "주의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Some systems (the BSDs, Solaris, and others) provide the following function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 size_t strlcat(char *dest, const char *src, size_t size);\n"
+msgstr " size_t strlcat(char *dest, const char *src, size_t size);\n"
+
+#. https://lwn.net/Articles/506530/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This function appends the null-terminated string I<src> to the string "
+"I<dest>, copying at most I<size-strlen(dest)-1> from I<src>, and adds a "
+"terminating null byte to the result, I<unless> I<size> is less than "
+"I<strlen(dest)>. This function fixes the buffer overrun problem of "
+"B<strcat>(), but the caller must still handle the possibility of data loss "
+"if I<size> is too small. The function returns the length of the string "
+"B<strlcat>() tried to create; if the retur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"
+"to I<size>, data loss occurred. If data loss matters, the caller I<must> "
+"either check the arguments before the call, or test the function return "
+"value. B<strlcat>() is not present in glibc and is not standardized by "
+"POSIX, but is available on Linux via the I<libbsd> library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EXAMPLE"
+msgstr "예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Because B<strcat>() and B<strncat>() must find the null byte that "
+"terminates the string I<dest> using a search that starts at the beginning of "
+"the string, the execution time of these functions scales according to the "
+"length of the string I<dest>. This can be demonstrated by running the "
+"program below. (If the goal is to concatenate many strings to one target, "
+"then manually copying the bytes from each source string while maintaining a "
+"pointer to the end of the target string will provide better performance.)"
+msgstr ""
+
+#. type: SS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Program source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#include E<lt>string.hE<gt>\n"
+"#include E<lt>time.hE<gt>\n"
+"#include E<lt>stdio.hE<gt>\n"
+msgstr ""
+"#include E<lt>string.hE<gt>\n"
+"#include E<lt>time.hE<gt>\n"
+"#include E<lt>stdio.hE<gt>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int\n"
+"main(int argc, char *argv[])\n"
+"{\n"
+"#define LIM 4000000\n"
+" int j;\n"
+" char p[LIM];\n"
+" time_t base;\n"
+msgstr ""
+"int\n"
+"main(int argc, char *argv[])\n"
+"{\n"
+"#define LIM 4000000\n"
+" int j;\n"
+" char p[LIM];\n"
+" time_t base;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 base = time(NULL);\n"
+" p[0] = \\(aq\\e0\\(aq;\n"
+msgstr ""
+" base = time(NULL);\n"
+" p[0] = \\(aq\\e0\\(aq;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"
+" for (j = 0; j E<lt> LIM; j++) {\n"
+" if ((j % 10000) == 0)\n"
+" printf(\"%d %ld\\en\", j, (long) (time(NULL) - base));\n"
+" strcat(p, \"a\");\n"
+" }\n"
+"}\n"
+msgstr ""
+" for (j = 0; j E<lt> LIM; j++) {\n"
+" if ((j % 10000) == 0)\n"
+" printf(\"%d %ld\\en\", j, (long) (time(NULL) - base));\n"
+" strcat(p, \"a\");\n"
+" }\n"
+"}\n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추가 참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B<bcopy>(3), B<memccpy>(3), B<memcpy>(3), B<strcpy>(3), B<string>(3), "
+"B<strncpy>(3), B<wcscat>(3), B<wcsncat>(3)"
+msgstr ""
+"B<bcopy>(3), B<memccpy>(3), B<memcpy>(3), B<strcpy>(3), B<string>(3), "
+"B<strncpy>(3), B<wcscat>(3), B<wcsncat>(3)"
+
+#. type: SH
+#: opensuse-leap-15-6
+#, no-wrap
+msgid "COLOPHO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opensuse-leap-15-6
+msgid ""
+"This page is part of release 4.16 of the Linux I<man-pages> project. A "
+"description of the project, information about reporting bugs, and the latest "
+"version of this page, can be found at \\%https://www.kernel.org/doc/man-"
+"pages/."
+msgstr "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4/console.4.po b/po/ko/archive/po/man4/console.4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08739d20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4/console.4.po
@@ -0,0 +1,181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console.4:10
+#, no-wrap
+msgid "CONSOLE"
+msgstr "CONSOLE"
+
+#. type: TH
+#: console.4:10
+#, no-wrap
+msgid "October 31, 1994"
+msgstr ""
+
+#. type: TH
+#: console.4:10
+#, no-wrap
+msgid "Linux"
+msgstr "리눅스"
+
+#. type: TH
+#: console.4:10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console.4:1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13
+msgid "console - console terminal and virtual consoles"
+msgstr "console - 콘솔 터미날과 가상 콘솔"
+
+#. type: SH
+#: console.4:13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22
+msgid ""
+"A Linux system has up to 63 I<virtual consoles> (character devices with major "
+"number 4 and minor number 1 to 63), usually called B</dev/tty>I<n> with 1 "
+"\\(E<lt>= I<n> \\(E<lt>= 63. The current console is also addressed by B</dev/"
+"console> or B</dev/tty0>, the character device with major number 4 and minor "
+"number 0. The device files /dev/* are usually created using the script "
+"MAKEDEV, or using mknod(1), usually with mode 0622 and owner root.tty."
+msgstr ""
+"리눅스 시스템은 63개가 넘는 I<가상 콘솔>을 가지고 있다. (주 번호4번과 보조 번"
+"호 1부터 63까지 가진 문자 장치), 일반적으로 B</dev/tty>I<n>라고 부르고 n의 범"
+"위는1 \\(E<lt>= I<n> \\(E<lt>= 63이다. 현제 콘솔은 B</dev/console> 이나 주 번"
+"호 4와 보조 번호 0을 가진 문자 장치 B</dev/tty0>, 로 지칭하기도 한다. 장치 파"
+"일 /dev/* 는 보통 0622모드나 root.tty 권한의 루트로 스크립트MAKEDEV이나 "
+"mknod(1)를 사용하여 생긴다,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28
+msgid ""
+"Before kernel version 1.1.54 the number of virtual consoles was compiled into "
+"the kernel (in tty.h: #define NR_CONSOLES 8) and could be changed by editing "
+"and recompiling. Since version 1.1.54 virtual consoles are created on the "
+"fly, as soon as they are needed."
+msgstr ""
+"커널 버전1.1.54이전에는 수많은 가상 콘솔이 커널안에 컴파일 되어 있었다. "
+"(itty.h안에: #define NR_CONSOLES 8) 그래서 편집하고 다시 컴파일해서 바꿀 수 "
+"있었다. 버전 1.1.54부터는 가상 콘솔이 필요할 땐 언제나 사용 중에 만들어진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34
+msgid ""
+"Common ways to start a process on a console are: (a) tell init(8) (in "
+"inittab(5)) to start a getty(8) on the console; (b) ask open(1) to start a "
+"process on the console; (c) start X - it will find the first unused console, "
+"and display its output there. (There is also the ancient doshell(8).)"
+msgstr ""
+"콘솔상에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접은: (a) init(8)에게 (inittab(5)"
+"안에서) stagetty(8)을 콘솔상에서 실행하도록 하거나; (b) open(1)에게 작업을 콘"
+"솔상에서 시작하도록 하거나; (c)X를 실행한다 - 이것은 첫번째 작업하지 않는 콘솔"
+"을 찾아서 표시해준다. (옛날에 쓰던 doshell(8)도 있다.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43
+msgid ""
+"Common ways to switch consoles are: (a) use Alt+FI<n> or Ctrl+Alt+FI<n> to "
+"switch to console I<n>; AltGr+FI<n> might bring you to console I<n>+12 [here "
+"Alt and AltGr refer to the left and right Alt keys, respectively]; (b) use "
+"Alt+RightArrow or Alt+LeftArrow to cycle through the presently allocated "
+"consoles; (c) use the program chvt(1). (The key mapping is user settable, "
+"see loadkeys(1); the above mentioned key combinations are according to the "
+"default settings.)"
+msgstr ""
+"콘솔을 바꾸는 일반적인 방법은: (a)콘솔I<n>으로 바꾸기 위해 Alt+FI<n>이나 "
+"Ctrl+Alt+FI<n>를 사용한다; ; AltGr+FI<n>는 아마 콘솔I<n>+12로 옮길 것이다. "
+"[여기서 Alt와 AltGr는 Alt키의 좌,우를 뜻한다]; (b) 현제 할단된 콘솔들을 돌아"
+"볼 때는 Alt+RightArrow나 Alt+LeftArrow을 사용한다.; (c) chvt(1)를 사용할 수도 "
+"있다.. (키 맵핑을 사용하면 편리다. loadkeys(1)을 참조하자; 위에서 언급한 키 "
+"조합은 디폴트 상태인 경우이다.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47
+msgid ""
+"The command B<deallocvt>(1) (formerly B<disalloc>) will free the memory "
+"taken by the screen buffers for consoles that no longer have any associated "
+"process."
+msgstr ""
+"B<deallocvt>(1)명령어는 (일반적으로 B<disalloc>) 과정과 상관없는 콘솔을 위한 "
+"화면 버퍼에게 쓰이는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."
+
+#. type: SH
+#: console.4:48
+#, no-wrap
+msgid "PROPERTI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55
+msgid ""
+"Consoles carry a lot of state. I hope to document that some other time. The "
+"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 consoles simulate vt100 terminals. In "
+"particular, a console is reset to the initial state by printing the two "
+"characters ESC c. All escape sequences can be found in B<console_codes>(4)."
+msgstr ""
+"콘솔은 많은 상태를 표시한다. 나는 그것에 대해 다음기회에 상세히 다뤄보고 싶"
+"다. 가장 중요한 사실은 콘솔이 vt100 터미널을 흉내낸 것이라는 점이다. 특히, "
+"콘솔은 ESC c라는 두 글자를 씀으로써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. 모든 escape 시퀀스"
+"는 B<console_codes>(4). 에서 찾을 수 있다."
+
+#. type: SH
+#: console.4:57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59
+msgid "I</dev/console>"
+msgstr "I</dev/conso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61
+msgid "I</dev/tty*>"
+msgstr "I</dev/tty*>"
+
+#. type: SH
+#: console.4:61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console.4:76
+msgid ""
+"B<chvt>(1), B<deallocvt>(1), B<loadkeys>(1), B<mknod>(1), B<open>(1), "
+"B<console_codes>(4), B<console_ioctl>(4), B<tty>(4), B<ttys>(4), "
+"B<charsets>(7), B<getty>(8), B<init>(8), B<mapscrn>(8) B<resizecons>(8), "
+"B<setfont>(8),"
+msgstr ""
+"B<chvt>(1), B<deallocvt>(1), B<loadkeys>(1), B<mknod>(1), B<open>(1), "
+"B<console_codes>(4), B<console_ioctl>(4), B<tty>(4), B<ttys>(4), "
+"B<charsets>(7), B<getty>(8), B<init>(8), B<mapscrn>(8) B<resizecons>(8), "
+"B<setfont>(8),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ftpconversions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ftpconversions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bd7d89d3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ftpconversions.5.po
@@ -0,0 +1,116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conversions.5:20
+#, no-wrap
+msgid "ftpconversions"
+msgstr "ftpconversions"
+
+#. type: SH
+#: ftpconversions.5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23
+msgid "ftpconversions - ftpd conversions database"
+msgstr "ftpconversions - ftpd 변환 목록"
+
+#. type: SH
+#: ftpconversions.5:23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31
+msgid ""
+"The conversions known by B<ftpd>(8) and their attributes are stored in an "
+"ASCII file that is structured as below. Each line in the file provides a "
+"description for a single conversion. Fields are separated by colons (:)."
+msgstr ""
+"B<ftpd>(8) 에 의해 알려진 conversions와 그들의 속성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 "
+"ASCII file안에 저장되어 있다. file 의 각 line은 콜론(:)으로 구분되어진 하나"
+"의 I<conversion.> field 에 대한 설명을 보여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34
+#, no-wrap
+msgid ""
+" %s:%s:%s:%s:%s:%s:%s:%s\n"
+" 1 2 3 4 5 6 7 8\n"
+msgstr ""
+" %s:%s:%s:%s:%s:%s:%s:%s\n"
+" 1 2 3 4 5 6 7 8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44
+#, fuzzy
+msgid ""
+" Field Description\n"
+" 1 strip prefix\n"
+" 2 strip postfix\n"
+" 3 addon prefix\n"
+" 4 addon postfix\n"
+" 5 외부 명령\n"
+" 6 형식\n"
+" 7 옵션\n"
+" 8 설명\n"
+msgstr ""
+" Field Description\n"
+" 1 strip prefix\n"
+" 2 strip postfix\n"
+" 3 addon prefix\n"
+" 4 addon postfix\n"
+" 5 외부 명령\n"
+" 6 형식\n"
+" 7 옵션\n"
+" 8 설명\n"
+
+#. type: SH
+#: ftpconversions.5:44
+#, no-wrap
+msgid "KNOWN PROBLEMS"
+msgstr "알려진 문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47
+msgid ""
+"The conversions mechanism does not currently support the strip prefix and "
+"addon prefix fields."
+msgstr ""
+"conversions mechanism에서 strip prefix와 addon prefix field는 아직까지 지원되"
+"지 못한다."
+
+#. type: SH
+#: ftpconversions.5:47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SH
+#: ftpconversions.5:49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conversions.5:51
+msgid "B<ftpd>(1), B<ftpaccess>(5)"
+msgstr "B<ftpd>(1), B<ftpaccess>(5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ftphosts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ftphosts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dd59b87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ftphosts.5.po
@@ -0,0 +1,129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hosts.5:20
+#, no-wrap
+msgid "ftphosts"
+msgstr "ftphosts"
+
+#. type: SH
+#: ftphosts.5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23
+msgid "ftphosts - ftpd individual user host access file"
+msgstr "ftphosts - ftpd에 접근하는 각 host에 대한 제한을 설정"
+
+#. type: SH
+#: ftphosts.5:23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26
+msgid ""
+"The ftphosts file is used to allow or deny access to certain accounts from "
+"various hosts."
+msgstr ""
+"ftphosts file은 여러 host로 부터 어떤 계정으로 접근을 하는 것을 허락하거나 거"
+"절하는데 사용이 된다."
+
+#. type: SH
+#: ftphosts.5:26
+#, no-wrap
+msgid "ACCESS CAPABILITIES"
+msgstr "접근 사용법"
+
+#. type: TP
+#: ftphosts.5:27
+#, no-wrap
+msgid "B<allow E<lt>usernameE<gt> E<lt>addrglobE<gt> [E<lt>addrglobE<gt> ...]>"
+msgstr "B<allow E<lt>usernameE<gt> E<lt>addrglobE<gt> [E<lt>addrglobE<gt> ...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31
+#, fuzzy
+msgid ""
+"Only allow host(s) matching E<lt>addrglobE<gt> to log in as "
+"E<lt>usernameE<gt>."
+msgstr ""
+"allow host(s)는 오직 E<lt>usernameE<gt> 으로 로그를 하기 위한 "
+"E<lt>addgolbE<gt> 만을 비교한다."
+
+#. type: TP
+#: ftphosts.5:31
+#, no-wrap
+msgid "B<deny E<lt>usernameE<gt> E<lt>addrglobE<gt> [E<lt>addrglobE<gt> ...]>"
+msgstr "B<deny E<lt>usernameE<gt> E<lt>addrglobE<gt> [E<lt>addrglobE<gt> ...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35
+msgid ""
+"Always deny host(s) matching E<lt>addrglobE<gt> to log in as "
+"E<lt>usernameE<gt>."
+msgstr ""
+"deny host(s)는 항상 E<lt>usernameE<gt> 으로 log를 하기 위한 E<lt>addglobE<gt> "
+"를 비교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40
+msgid "A username of B<anonymous> or B<ftp> specifies the anonymous user."
+msgstr "B<anonymous> 또는 B<ftp> 와 같은 username은 익명 login user를 의미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43
+msgid ""
+"The E<lt>addrglobE<gt> may be also be specified as address/cidr or address:"
+"netmask."
+msgstr ""
+"E<lt>addrglobE<gt>는 또한 address/cidr 또는 address:netmask 로서 지정될수도 있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45
+#, fuzzy
+msgid "For example: 10.0.0.0/8 or 10.0.0.0:255.0.0.0"
+msgstr "예를 들면 : 10.0.0.0/8 or 10.0.0.0:255.0.0.0"
+
+#. type: SH
+#: ftphosts.5:45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47
+msgid "FTPLIB/ftphosts"
+msgstr "FTPLIB/ftphosts"
+
+#. type: SH
+#: ftphosts.5:4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hosts.5:53
+msgid ""
+"B<ftpd>(8), B<ftpaccess>(5), B<ftplog>(5), B<ftpconversions>(5), B<ftpshut>(8)"
+msgstr ""
+"B<ftpd>(8), B<ftpaccess>(5), B<ftplog>(5), B<ftpconversions>(5), B<ftpshut>(8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ftpservers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ftpservers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d8132f9d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ftpservers.5.po
@@ -0,0 +1,218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servers.5:20
+#, no-wrap
+msgid "ftpservers"
+msgstr "ftpservers"
+
+#. type: SH
+#: ftpservers.5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23
+#, fuzzy
+msgid "ftpservers - ftpd 가상 호스트 설정을 정의하는 file"
+msgstr "ftpservers - ftpd 가상 호스트 설정을 정의하는 file"
+
+#. type: SH
+#: ftpservers.5:24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31
+#, fuzzy
+msgid ""
+"ftpservers file은 B<ftpd(8)> server가 사용하던 가상호스트 설정 파일을 지정하는"
+"데 사용되어 진다. 가상 호스트 지원을 가능하게 compile했을때, wu-ftpd는 각 "
+"virtual domain에 대한 설정 파일을 분리해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."
+msgstr ""
+"ftpservers file은 B<ftpd(8)> server가 사용하던 가상호스트 설정 파일을 지정하는"
+"데 사용되어 진다. 가상 호스트 지원을 가능하게 compile했을때, wu-ftpd는 각 "
+"virtual domain에 대한 설정 파일을 분리해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36
+#, fuzzy
+msgid ""
+"현재, 설정 파일들은 분리되어진 가상 domain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다. 설정 파일"
+"에서 사용되어 지는 directory 경로와 IP address는 ftpservers file에 나열이 된"
+"다. 실제 설정 파일들은 해당 디렉토리 안에 아래의 이름을 가진 파일들을 포함하"
+"고 있어야 한다:"
+msgstr ""
+"현재, 설정 파일들은 분리되어진 가상 domain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다. 설정 파일"
+"에서 사용되어 지는 directory 경로와 IP address는 ftpservers file에 나열이 된"
+"다. 실제 설정 파일들은 해당 디렉토리 안에 아래의 이름을 가진 파일들을 포함하"
+"고 있어야 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43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 ftpaccess - 가상 doamin 접근 파일\n"
+" ftpusers - 접근을 거부할 계정들을 설정\n"
+" ftpgroups - SITE GROUP and SITE GPASS 지원\n"
+" ftphosts - 가상 도메인에 접근 가능한 대역을 설정\n"
+" ftpconversions - 가상 도메인에서 사용 가능한 전환 명령을을 최적화\n"
+msgstr ""
+" ftpaccess - 가상 doamin 접근 파일\n"
+" ftpusers - 접근을 거부할 계정들을 설정\n"
+" ftpgroups - SITE GROUP and SITE GPASS 지원\n"
+" ftphosts - 가상 도메인에 접근 가능한 대역을 설정\n"
+" ftpconversions - 가상 도메인에서 사용 가능한 전환 명령을을 최적화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49
+#, fuzzy
+msgid ""
+"각 가상 domain directory에 모든 설정 파일들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. 만약 "
+"주 도메인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려 한다면, ftpconversions file 같은 것들을 예"
+"를 든다면,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구태여 이 파일을 넣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"
+"다. 이렇게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설정파일들은 주 도메인"
+"의 설정 파일을 불러들이게 된다."
+msgstr ""
+"각 가상 domain directory에 모든 설정 파일들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. 만약 "
+"주 도메인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려 한다면, ftpconversions file 같은 것들을 예"
+"를 든다면,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구태여 이 파일을 넣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"
+"다. 이렇게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설정파일들은 주 도메인"
+"의 설정 파일을 불러들이게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54
+#, fuzzy
+msgid ""
+"B<주의!!!:>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들어가는 파일들은 위의 list와 정확하게 "
+"match되어져야 한다. 만약 이름에 오타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하게 "
+"되며 주 도메인 설정 파일로 대체를 하게 된다."
+msgstr ""
+"B<주의!!!:> 가상 도메인 directory에 들어가는 파일들은 위의 list와 정확하게 "
+"match되어져야 한다. 만약 이름에 오타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하게 "
+"되며 주 도메인 설정 파일로 대체를 하게 된다."
+
+#. type: SH
+#: ftpservers.5:55
+#, fuzzy, no-wrap
+msgid "ftpservers file 형식"
+msgstr "ftpservers file 형식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58
+#, fuzzy
+msgid "각 entry에는 2개의 field가 존재한다."
+msgstr "각 entry에는 2개의 field가 존재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60
+msgid "B<ipaddr/hostname directory-containing-configuration-files>"
+msgstr "B<ipaddr/hostname directory-containing-configuration-file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65
+#, no-wrap
+msgid ""
+"Example:\n"
+" 10.196.145.10 /etc/ftpd/ftpaccess.somedomain/\n"
+" 10.196.145.200 /etc/ftpd/ftpaccess.someotherdomain/\n"
+" some.domain INTERNAL\n"
+msgstr ""
+"예제:\n"
+" 10.196.145.10 /etc/ftpd/ftpaccess.somedomain/\n"
+" 10.196.145.200 /etc/ftpd/ftpaccess.someotherdomain/\n"
+" some.domain INTERNAL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68
+#, fuzzy
+msgid ""
+"ftp client가 server로 접속을 할때, ftpd는 ftpservers file에서 발견한 ftp "
+"client가 접속을 할 ip address를 매치시키려 한다."
+msgstr ""
+"ftp client가 server로 접속을 할때, ftpd는 ftpservers file에서 발견한 ftp "
+"client가 접속을 할 ip address를 매치시키려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72
+#, fuzzy
+msgid ""
+"매치가 되는 것을 발견을 하면, 해당 도메인에 대한 디렉토리 경로와 설정 파일들"
+"을 반환하게 된다. ftpd는 이 디렉토리에 들어 있는 설정 파일들을 사용하게 된다."
+msgstr ""
+"매치가 되는 것을 발견을 하면, 해당 도메인에 대한 디렉토리 경로와 설정 파일들"
+"을 반환하게 된다. ftpd는 이 디렉토리에 들어 있는 설정 파일들을 사용하게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77
+#, fuzzy
+msgid ""
+"설정 파일에 match되는 것이 없거나, directory 경로가 정의가 잘못 되어 있을 경"
+"우, 설정 파일의 기본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. 위의 예제중 INTERNAL의 사용은 주 "
+"도메인의 설정 파일을 사용하도록 하게 한다."
+msgstr ""
+"설정 파일에 match되는 것이 없거나, directory 경로가 정의가 잘못 되어 있을 경"
+"우, 설정 파일의 기본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. 위의 예제중 INTERNAL의 사용은 주 "
+"도메인의 설정 파일을 사용하도록 하게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82
+#, fuzzy
+msgid ""
+"가상 도메인을 지정할때 실제 IP address와 hostname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. 다만 "
+"hostname으로 지정할 경우 DNS lookup이 필요하고 또한 DNS 버그와도 관련이 되어 "
+"질수 있으므로 왠만하면 ip address로 지정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."
+msgstr ""
+"가상 도메인을 지정할때 실제 IP address와 hostname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. 다만 "
+"hostname으로 지정할 경우 DNS lookup이 필요하고 또한 DNS 버그와도 관련이 되어 "
+"질수 있으므로 왠만하면 ip address로 지정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85
+#, no-wrap
+msgid ""
+" 10.196.145.20 /etc/ftpd/config/faqs.org/\n"
+" ftp.some.domain /etc/ftpd/config/faqs.org/\n"
+msgstr ""
+" 10.196.145.20 /etc/ftpd/config/faqs.org/\n"
+" ftp.some.domain /etc/ftpd/config/faqs.org/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88
+#, fuzzy
+msgid ""
+"주석처리시에는 # 표시를 사용하며, 중복 주석 라인과 공백 라인은 무시되어 진다."
+msgstr ""
+"주석처리시에는 # 표시를 사용하며, 중복 주석 라인과 공백 라인은 무시되어 진다."
+
+#. type: SH
+#: ftpservers.5:89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ervers.5:95
+msgid ""
+"B<ftpd>(8), B<ftpaccess>(5), B<ftplog>(5), B<ftpconversions>(5), "
+"B<ftphosts>(5)"
+msgstr ""
+"B<ftpd>(8), B<ftpaccess>(5), B<ftplog>(5), B<ftpconversions>(5), "
+"B<ftphosts>(5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initscript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initscript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1924963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initscript.5.po
@@ -0,0 +1,164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initscript.5:1
+#, no-wrap
+msgid "INITSCRIPT"
+msgstr "INITSCRIPT"
+
+#. type: TH
+#: initscript.5:1
+#, no-wrap
+msgid "December 23, 1995"
+msgstr "1995년 12월 23일"
+
+#. type: TH
+#: initscript.5:1
+#, no-wrap
+msgid "Linux System Administrator's Manual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2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4
+msgid "initscript - script that executes inittab commands."
+msgstr "initscript - inittab 명령을 실행하는 스크립트.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4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6
+msgid "/bin/sh /etc/initscript id runlevels action process"
+msgstr "/bin/sh /etc/initscript id runlevels action process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6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11
+msgid ""
+"When the shell script I</etc/initscript> is present, B<init> will use it to "
+"execute the commands from I<inittab>. This script can be used to set things "
+"like B<ulimit> and B<umask> default values for every process."
+msgstr ""
+"I</etc/initscript> 파일이 존재하면, B<init>는 I<inittab>으로 부터 명령을 실행"
+"하기 위해 이 파일을 사용한다. 이 스크립트는 모든 프로세스를 위한 B<ulimit>나 "
+"B<umask> 초기값같은 것을 지정하는데, 사용될 수 있다.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11
+#, no-wrap
+msgid "EXAMPL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14
+msgid ""
+"This is a sample initscript, which might be installed on your system as I</"
+"etc/initscript.sample>."
+msgstr ""
+"아래는 initscript의 한 예제이다. 이 파일은 자신의 시스템에 I</etc/initscript."
+"sample> 파일로 있을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25
+#, no-wrap
+msgid ""
+"#\n"
+"# initscript Executed by init(8) for every program it\n"
+"# wants to spawn like this:\n"
+"#\n"
+"# /bin/sh /etc/initscript E<lt>idE<gt> E<lt>levelE<gt> E<lt>actionE<gt> E<lt>processE<gt>\n"
+"#\n"
+msgstr ""
+"#\n"
+"# initscript Executed by init(8) for every program it\n"
+"# wants to spawn like this:\n"
+"#\n"
+"# /bin/sh /etc/initscript E<lt>idE<gt> E<lt>levelE<gt> E<lt>actionE<gt> E<lt>processE<gt>\n"
+"#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31
+#, no-wrap
+msgid ""
+" # Set umask to safe level, and enable core dumps.\n"
+" umask 022\n"
+" ulimit -c 2097151\n"
+" PATH=/bin:/sbin:/usr/bin:/usr/sbin\n"
+" export PATH\n"
+msgstr ""
+" # Set umask to safe level, and enable core dumps.\n"
+" umask 022\n"
+" ulimit -c 2097151\n"
+" PATH=/bin:/sbin:/usr/bin:/usr/sbin\n"
+" export PATH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34
+#, no-wrap
+msgid ""
+" # Execute the program.\n"
+" eval exec \"$4\"\n"
+msgstr ""
+" # Execute the program.\n"
+" eval exec \"$4\"\n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37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40
+msgid "/etc/inittab, /etc/initscript."
+msgstr "/etc/inittab, /etc/initscript.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40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42
+msgid "Miquel van Smoorenburg ,E<lt>miquels@cistron.nlE<gt>"
+msgstr "Miquel van Smoorenburg, E<lt>miquels@cistron.nlE<gt>"
+
+#. type: SH
+#: initscript.5:42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script.5:43
+msgid "init(8), inittab(5)."
+msgstr "init(8), inittab(5).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inittab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inittab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1e42deb5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inittab.5.po
@@ -0,0 +1,608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Unknown <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inittab.5:3
+#, no-wrap
+msgid "INITTAB"
+msgstr "INITTAB"
+
+#. type: TH
+#: inittab.5:3
+#, no-wrap
+msgid "May 19, 1998"
+msgstr "1998년 5월 19일"
+
+#. type: TH
+#: inittab.5:3
+#, no-wrap
+msgid "Linux System Administrator's Manual"
+msgstr ""
+
+#. }}}
+#. {{{ Name
+#. type: SH
+#: inittab.5:6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}}}
+#. {{{ Description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1
+msgid ""
+"inittab - format of the inittab file used by the sysv-compatible init process"
+msgstr ""
+"inittab - 시스템 운영 시작에서 사용되는 init 프로세스의 처리 방법을 지정하고 "
+"있는 파일."
+
+#. type: SH
+#: inittab.5:1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9
+msgid ""
+"The B<inittab> file describes which processes are started at bootup and "
+"during normal operation (e.g.\\& /etc/init.d/boot, /etc/init.d/rc, "
+"gettys...). B<Init>(8) distinguishes multiple I<runlevels>, each of which "
+"can have its own set of processes that are started. Valid runlevels are B<0>-"
+"B<6> plus B<A>, B<B>, and B<C> for B<ondemand> entries. An entry in the "
+"B<inittab> file has the following format:"
+msgstr ""
+"B<inittab> 파일은 시스템이 가동될 때 일반적인 운영 방법의 처리에 대한 것을 설"
+"명하고 있는 파일이다. (예를 들면, /etc/rc, gettys.. 등의 처리). init 프로세스"
+"는 다양한 I<runlevels>을 구별해서 사용한다. 이 I<runlevels>은 시스템의 부팅과 "
+"종료등에 사용된다. I<runlevels> 값은 B<0>-B<6>이며, B<ondemand> 위해 B<A>, "
+"B<B>, B<C> 가 쓰인다. B<inittab>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2
+msgid "I<id>:I<runlevels>:I<action>:I<process>"
+msgstr "I<id>:I<runlevels>:I<action>:I<process>"
+
+#. {{{ id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6
+msgid "Lines beginning with `#' are ignored."
+msgstr "`#'로 시작하는 문장은 주석으로 처리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26
+#, no-wrap
+msgid "I<id>"
+msgstr "I<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31
+msgid ""
+"is a unique sequence of 1-4 characters which identifies an entry in "
+"B<inittab> (for versions of sysvinit compiled with libraries E<lt> 5.2.18 or "
+"a.out libraries the limit is 2 characters)."
+msgstr ""
+"inittab 안에서의 각 항목들에 대한 식별자. 최대 4자리. (libc의 버전이 5.2.18보"
+"다 낮은 버전이나, a.out 라이브러리로 컴파일 했다면,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문자 "
+"갯수는 2개다."
+
+#. }}}
+#. {{{ runlevels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37
+msgid ""
+"Note: For gettys or other login processes, the I<id> field should be the tty "
+"suffix of the corresponding tty, e.g.\\& B<1> for B<tty1>. Otherwise, the "
+"login accounting might not work correctly."
+msgstr ""
+"주의: getty나 다른 로그인 프로세스의 사용에서는 I<id> 필드에는 그 프로세스에"
+"서 사용하는 tty의 끝자리 숫자가 와야한다. 예를 들면, B<tty1>은 B<1>. 그렇지 "
+"않으면 바르게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37
+#, no-wrap
+msgid "I<runlevels>"
+msgstr "I<runlevels>"
+
+#. }}}
+#. {{{ action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41
+msgid "lists the runlevels for which the specified action should be taken."
+msgstr "진행할 runlevel 지정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41
+#, no-wrap
+msgid "I<action>"
+msgstr "I<action>"
+
+#. }}}
+#. {{{ process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45
+msgid "describes which action should be taken."
+msgstr "action 지정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45
+#, no-wrap
+msgid "I<process>"
+msgstr "I<process>"
+
+#. }}}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53
+#, fuzzy
+msgid ""
+"specifies the process to be executed. If the process field starts with a `+' "
+"character, B<init> will not do utmp and wtmp accounting for that process. "
+"This is needed for gettys that insist on doing their own utmp/wtmp "
+"housekeeping. This is also a historic bug."
+msgstr ""
+"실행할 프로세스 지정. 이 필드에 `+' 문자가 제일 앞에 오면, B<init>는 그 처리과"
+"정에서 utmp, wtmp 처리를 하지 않게 한다. 이것은 gettys에서 스스로 utmp/wtmp"
+"를 처리할 경우 필요하다. 사용하는 gettys를 확인하기 바란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60
+msgid ""
+"The I<runlevels> field may contain multiple characters for different "
+"runlevels. For example, B<123> specifies that the process should be started "
+"in runlevels 1, 2, and 3. The I<runlevels> for B<ondemand> entries may "
+"contain an B<A>, B<B>, or B<C>. The I<runlevels> field of B<sysinit>, "
+"B<boot>, and B<bootwait> entries are ignored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64
+msgid ""
+"When the system runlevel is changed, any running processes that are not "
+"specified for the new runlevel are killed, first with \\s-2SIGTERM\\s0, then "
+"with \\s-2SIGKILL\\s0."
+msgstr ""
+
+#. {{{ respawn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67
+msgid "Valid actions for the I<action> field are:"
+msgstr "I<action>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은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67
+#, no-wrap
+msgid "B<respawn>"
+msgstr "B<respawn>"
+
+#. }}}
+#. {{{ wai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71
+msgid "The process will be restarted whenever it terminates (e.g.\\& getty)."
+msgstr "그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항상 다시 시작하게 한다.(예, getty)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71
+#, no-wrap
+msgid "B<wait>"
+msgstr "B<wait>"
+
+#. }}}
+#. {{{ once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77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started once when the specified runlevel is entered and "
+"B<init> will wait for its termination."
+msgstr ""
+"지정한 runlevel이 되면 그 프로세스가 실행되고, B<init>는 그 프로세스가 종료되"
+"기를 기다린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77
+#, no-wrap
+msgid "B<once>"
+msgstr "B<once>"
+
+#. }}}
+#. {{{ boo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82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once when the specified runlevel is entered."
+msgstr "지정한 runlevel이 되면 한번만 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82
+#, no-wrap
+msgid "B<boot>"
+msgstr "B<boot>"
+
+#. }}}
+#. {{{ bootwai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87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during system boot. The I<runlevels> field is "
+"ignored."
+msgstr ""
+"시스템 부팅 때에 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. 이때는 I<runlevel> 값이 무시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87
+#, no-wrap
+msgid "B<bootwait>"
+msgstr "B<bootwait>"
+
+#. }}}
+#. {{{ off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94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during system boot, while B<init> waits for its "
+"termination (e.g.\\& /etc/rc). The I<runlevels> field is ignored."
+msgstr ""
+"시스템 부팅 때에 그 프로세스가 실행되는데, 이때 B<init>는 그 프로세스가 종료되"
+"기를 기다린다.(예, /etc/rc). 이때는 I<runlevel> 값이 무시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94
+#, no-wrap
+msgid "B<off>"
+msgstr "B<off>"
+
+#. }}}
+#. {{{ ondemand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98
+msgid "This does nothing."
+msgstr "아무것도 아니다. 단지 id만 존재하는 것뿐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98
+#, no-wrap
+msgid "B<ondemand>"
+msgstr "B<ondemand>"
+
+#. }}}
+#. {{{ initdefaul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05
+msgid ""
+"A process marked with an B<ondemand> runlevel will be executed whenever the "
+"specified B<ondemand> runlevel is called. However, no runlevel change will "
+"occur (B<ondemand> runlevels are `a', `b', and `c')."
+msgstr ""
+"지정한 B<ondemand> runlevel이 호출 될 때마다 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. 하지만 "
+"runlevel 값은 바뀌지 않는다. (B<ondemand> runlevel 값은 'a', 'b', 'c' 이다.)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05
+#, no-wrap
+msgid "B<initdefault>"
+msgstr "B<initdefault>"
+
+#. }}}
+#. {{{ sysini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12
+msgid ""
+"An B<initdefault> entry specifies the runlevel which should be entered after "
+"system boot. If none exists, B<init> will ask for a runlevel on the console. "
+"The I<process> field is ignored."
+msgstr ""
+"시스템 부팅 뒤에 실행될 runlevel을 지정한다. 만약 이 부분이 없으면, 어떤 "
+"runlevel로 실행할 것이지, 콘솔에서 물어본다. I<process> 필드는 무시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12
+#, no-wrap
+msgid "B<sysinit>"
+msgstr "B<sysinit>"
+
+#. }}}
+#. {{{ powerwai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18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during system boot. It will be executed before "
+"any B<boot> or B< bootwait> entries. The I<runlevels> field is ignored."
+msgstr ""
+"시스템 부팅을 할 때에 그 프로세스가 실행된다. 이것은 B<boot>, B< bootwait>로 "
+"지정된 프로세스보다 먼저 실행된다. I<process> 필드는 무시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18
+#, no-wrap
+msgid "B<powerwait>"
+msgstr "B<powerwait>"
+
+#. }}}
+#. {{{ powerfail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24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when the power goes down. Init is usually "
+"informed about this by a process talking to a UPS connected to the computer. "
+"B<Init> will wait for the process to finish before continuing."
+msgstr ""
+"B<init>가 SIGPWR 시그날을 받았을 때 그 프로세스가 실행된다. SIGPWR은 전원 공"
+"급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시그날이다. B<Init>는 그 프로세스 작업이 끝날 "
+"때까지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24
+#, no-wrap
+msgid "B<powerfail>"
+msgstr "B<powerfail>"
+
+#. }}}
+#. {{{ powerokwai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29
+msgid ""
+"As for B<powerwait>, except that B<init> does not wait for the process's "
+"completion."
+msgstr ""
+"B<powerwait>와 같지만, B<init>는 그 프로세스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29
+#, no-wrap
+msgid "B<powerokwait>"
+msgstr "B<powerokwait>"
+
+#. }}}
+#. {{{ powerfailnow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34
+msgid ""
+"This process will be executed as soon as B<init> is informormed that the "
+"power has been restored."
+msgstr ""
+"B<init>가 SIGPWR 시그날을 받았을 때 그 프로세스가 실행된다. B<OK>라는 단어를 "
+"포함하고 있는 B</etc/powerstatus> 파일이 SIGPWR 시그날을 제공한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34
+#, no-wrap
+msgid "B<powerfailnow>"
+msgstr "B<powerfailnow>"
+
+#. }}}
+#. {{{ ctrlaltdel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40
+msgid ""
+"This process will be executed when B<init> is told that the battery of the "
+"external UPS is almost empty and the power is failing (provided that the "
+"external UPS and the monitoring process are able to detect this condition)."
+msgstr "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40
+#, no-wrap
+msgid "B<ctrlaltdel>"
+msgstr "B<ctrlaltdel>"
+
+#. }}}
+#. {{{ kbrequest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48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when B<init> receives the SIGINT signal. This "
+"means that someone on the system console has pressed the B<CTRL-ALT-DEL> key "
+"combination. Typically one wants to execute some sort of B<shutdown> either "
+"to get into single-user level or to reboot the machine."
+msgstr ""
+"B<init>가 SIGINT 시그날을 받았을 때 그 프로세스가 실행된다. SIGINT는 시스템 "
+"콘솔에서 누군가가 B<CTRL-ALT-DEL> 글쇠를 눌렀을 때 발생하는 시스날이다. 이것"
+"은 전형적으로 컴퓨터를 리부팅하거나, 단일 사용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된"
+"다."
+
+#. type: IP
+#: inittab.5:148
+#, no-wrap
+msgid "B<kbrequest>"
+msgstr "B<kbreques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52
+msgid ""
+"The process will be executed when B<init> receives a signal from the keyboard "
+"handler that a special key combination was pressed on the console keyboard."
+msgstr ""
+"콘솔 글쇠판에서 특별하게 지정된 글쇠가 눌려졌을 때, 발생하는 한 시그날을 init"
+"가 받았을 때, 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58
+msgid ""
+"The documentation for this function is not complete yet; more documentation "
+"can be found in the kbd-x.xx packages (most recent was kbd-0.94 at the time "
+"of this writing). Basically you want to map some keyboard combination to the "
+"\"KeyboardSignal\" action. For example, to map Alt-Uparrow for this purpose "
+"use the following in your keymaps file:"
+msgstr ""
+"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여기서 자세히 다루지는 못한다. 좀더 자세한 정보"
+"를 원하면 kbd-x.xx 팻키지의 문서들을 참고한다. (이 문서는 kbd-0.94 팻키지를 바"
+"탕으로 쓰여졌다.) 보통, 글쇠지정은 \"Spawn_Console\" action으로 한다. 예를 "
+"들어, Alt-윗화살표글쇠를 지정하고 싶으면, 글쇠지정파일(keymap)에 다음 내용을 "
+"추가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61
+msgid "alt keycode 103 = KeyboardSignal"
+msgstr "alt keycode 103 = KeyboardSignal"
+
+#. }}}
+#. }}}
+#. {{{ Examples
+#. type: SH
+#: inittab.5:166
+#, no-wrap
+msgid "EXAMPL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68
+msgid "This is an example of a inittab which resembles the old Linux inittab:"
+msgstr "이것은 옛날 linux에서 사용하던 inittab 파일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79
+#, no-wrap
+msgid ""
+"# inittab for linux\n"
+"id:1:initdefault:\n"
+"rc::bootwait:/etc/rc\n"
+"1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1\n"
+"2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2\n"
+"3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3\n"
+"4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4\n"
+msgstr ""
+"# inittab for linux\n"
+"id:1:initdefault:\n"
+"rc::bootwait:/etc/rc\n"
+"1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1\n"
+"2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2\n"
+"3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3\n"
+"4:1:respawn:/etc/getty 9600 tty4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84
+msgid ""
+"This inittab file executes B</etc/rc> during boot and starts gettys on tty1-"
+"tty4."
+msgstr ""
+"이 파일은 시스템이 부팅되는 동안 B</etc/rc> 파일을 실행하고, tty1-tty4에서 "
+"getty를 실행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87
+msgid ""
+"A more elaborate B<inittab> with different runlevels (see the comments "
+"inside):"
+msgstr "다음 부분은 다른 runlevel에서의 각 설정들을 지정한다(주석 부분을 참고)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93
+#, no-wrap
+msgid ""
+"# Level to run in\n"
+"id:2:initdefault:\n"
+msgstr ""
+"# 2 단계 정의 \n"
+"id:2:initdefault: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196
+#, no-wrap
+msgid ""
+"# System initialization before anything else.\n"
+"si::sysinit:/etc/rc.d/bcheckrc\n"
+msgstr ""
+"# 최우선으로 시스템 초기화\n"
+"si::sysinit:/etc/rc.d/bcheckrc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02
+#, no-wrap
+msgid ""
+"# Runlevel 0,6 is halt and reboot, 1 is maintenance mode.\n"
+"l0:0:wait:/etc/rc.d/rc.halt\n"
+"l1:1:wait:/etc/rc.d/rc.single\n"
+"l2:2345:wait:/etc/rc.d/rc.multi\n"
+"l6:6:wait:/etc/rc.d/rc.reboot\n"
+msgstr ""
+"# runlevel 0,6은 각각 halt와 reboot, 1은 단일 사용자 모드\n"
+"l0:0:wait:/etc/rc.d/rc.halt\n"
+"l1:1:wait:/etc/rc.d/rc.single\n"
+"l2:2345:wait:/etc/rc.d/rc.multi\n"
+"l6:6:wait:/etc/rc.d/rc.reboo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05
+#, no-wrap
+msgid ""
+"# What to do at the \"3 finger salute\".\n"
+"ca::ctrlaltdel:/sbin/shutdown -t5 -rf now\n"
+msgstr ""
+"# \"3 finger salute\"에서 어떻게....\n"
+"ca::ctrlaltdel:/sbin/shutdown -t5 -rf now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12
+#, no-wrap
+msgid ""
+"# Runlevel 2&3: getty on console, level 3 also getty on modem port.\n"
+"1:23:respawn:/sbin/getty tty1 VC linux\n"
+"2:23:respawn:/sbin/getty tty2 VC linux\n"
+"3:23:respawn:/sbin/getty tty3 VC linux\n"
+"4:23:respawn:/sbin/getty tty4 VC linux\n"
+"S2:3:respawn:/sbin/uugetty ttyS2 M19200\n"
+msgstr ""
+"# runlevel 2&3: 콘솔 getty, level 3: 모뎀 getty\n"
+"1:23:respawn:/sbin/getty tty1 VC linux\n"
+"2:23:respawn:/sbin/getty tty2 VC linux\n"
+"3:23:respawn:/sbin/getty tty3 VC linux\n"
+"4:23:respawn:/sbin/getty tty4 VC linux\n"
+"S2:3:respawn:/sbin/uugetty ttyS2 M19200\n"
+
+#. }}}
+#. {{{ Files
+#. type: SH
+#: inittab.5:218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}}}
+#. {{{ Author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22
+msgid "/etc/inittab"
+msgstr "/etc/inittab"
+
+#. type: SH
+#: inittab.5:222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}}}
+#. {{{ See also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29
+msgid ""
+"B<Init> was written by Miquel van Smoorenburg (miquels@cistron.nl). This "
+"manual page was written by Sebastian Lederer (lederer@francium.informatik.uni-"
+"bonn.de) and modified by Michael Haardt (u31b3hs@pool.informatik.rwth-aachen."
+"de).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inittab.5:229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nittab.5:231
+msgid "B<init>(8), B<telinit>(8)"
+msgstr "B<init>(8), B<telinit>(8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ipc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ipc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6430386a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ipc.5.po
@@ -0,0 +1,730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9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ASPLINUX <man@asp-linux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ipc.5:23
+#, no-wrap
+msgid "IPC"
+msgstr "IPC"
+
+#. type: TH
+#: ipc.5:23
+#, no-wrap
+msgid "November 1, 1993"
+msgstr "1993년 11월 1일"
+
+#. type: TH
+#: ipc.5:23
+#, no-wrap
+msgid "Linux 0.99.13"
+msgstr "리눅스 0.99.13"
+
+#. type: TH
+#: ipc.5:23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ipc.5:24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6
+msgid "ipc - System V interprocess communication mechanisms"
+msgstr "ipc - System V 상호프로세스(interprocess) 통신 메카니즘."
+
+#. type: SH
+#: ipc.5:26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8
+#, no-wrap
+msgid ""
+"B<# include E<lt>sys/types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ipc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msg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sem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shm.hE<gt>>\n"
+msgstr ""
+"B<# include E<lt>sys/types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ipc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msg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sem.hE<gt>>\n"
+"B<# include E<lt>sys/shm.hE<gt>>\n"
+
+#. type: SH
+#: ipc.5:3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45
+msgid ""
+"The manual page refers to the Linux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V "
+"interprocess communication mechanisms: message queues, semaphore sets and "
+"shared memory segments. In the following, the word B<resource> means an "
+"instantiation of one among such mechanisms."
+msgstr ""
+"메뉴얼은 메시지큐, 신호설정과 공유메모리분할과 같은 System V 상호프로세스"
+"(interprocess) 통신 메카니즘의 리눅스 구현을 참조한다. B<자원> 은 이러한 메"
+"카니즘에서 하나의 예이다. I<E<lt>sys/ipc.hE<gt>> 시스템 헤더파일에 의해 정의"
+"되는 B<ipc_perm> 구조는 다음의 멤버들을 포함한다:"
+
+#. type: SS
+#: ipc.5:45
+#, no-wrap
+msgid "Resource Access Permission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55
+msgid ""
+"For each resource the system uses a common structure of type B<struct "
+"ipc_perm> to store information needed in determining permissions to perform "
+"an ipc operation. The B<ipc_perm> structure, defined by the I<E<lt>sys/ipc."
+"hE<gt>> system header file, includes the following member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59
+msgid "B<\tushort cuid;\t> /* creator user id */"
+msgstr "B<\tushort cuid;\t> /* 만든 사용자 id */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63
+msgid "B<\tushort cgid;\t> /* creator group id */"
+msgstr "B<\tushort cgid;\t> /* 만든 그룹 id */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67
+msgid "B<\tushort uid;> /* owner user id */"
+msgstr "B<\tushort uid;> /* 소유자 id */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71
+msgid "B<\tushort gid;> /* owner group id */"
+msgstr "B<\tushort gid;> /* 소유그룹 id */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75
+msgid "B<\tushort mode;> /* r/w permissions */"
+msgstr "B<\tushort mode;> /* 읽기/쓰기 권한 */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83
+#, fuzzy
+msgid ""
+"The B<mode> member of the B<ipc_perm> structure defines, with its lower 9 "
+"bits, the access permissions to the resource for a process executing an ipc "
+"system call. The permissions are interpreted as follows:"
+msgstr ""
+"B<mode> member of the B<ipc_perm> 구조는 ipc시스템 호출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"
+"위한 자원의 접근 권한을 정의한다. 권한은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87
+#, no-wrap
+msgid ""
+"\t0400\tRead by user.\n"
+"\t0200\tWrite by user.\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90
+#, no-wrap
+msgid ""
+"\t0040\tRead by group.\n"
+"\t0020\tWrite by group.\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93
+#, no-wrap
+msgid ""
+"\t0004\tRead by others.\n"
+"\t0002\tWrite by others.\n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01
+msgid ""
+"Bits 0100, 0010 and 0001 (the execute bits) are unused by the system. "
+"Furthermore \"write\" effectively means \"alter\" for a semaphore set."
+msgstr ""
+"비트 0100, 0010 and 0001 (실행 비트)는 시스템의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. ‰C붙여 "
+"\"write\" 는 시그널 설정을 위한 \"alter\"를 의미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04
+msgid ""
+"The same system header file defines also the following symbolic constants:"
+msgstr "같은 시스템 헤더파일은 또한 다음의 심볼릭 상수를 정의한다."
+
+#. type: TP
+#: ipc.5:104
+#, no-wrap
+msgid "B<IPC_CREAT>"
+msgstr "B<IPC_CREA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07
+msgid "Create entry if key doesn't exists."
+msgstr "키(key)가 없다면 entry를 생성한다."
+
+#. type: TP
+#: ipc.5:107
+#, no-wrap
+msgid "B<IPC_EXCL>"
+msgstr "B<IPC_EXC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10
+msgid "Fail if key exists."
+msgstr "키가 있으면 실패한다."
+
+#. type: TP
+#: ipc.5:110
+#, no-wrap
+msgid "B<IPC_NOWAIT>"
+msgstr "B<IPC_NOWAI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13
+msgid "Error if request must wait."
+msgstr "요청이 대기되어져야만 에러가 난다."
+
+#. type: TP
+#: ipc.5:113
+#, no-wrap
+msgid "B<IPC_PRIVATE>"
+msgstr "B<IPC_PRIVAT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16
+msgid "Private key."
+msgstr "개인 키."
+
+#. type: TP
+#: ipc.5:116
+#, no-wrap
+msgid "B<IPC_RMID>"
+msgstr "B<IPC_RM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19
+msgid "Remove resource."
+msgstr "자원 삭제."
+
+#. type: TP
+#: ipc.5:119
+#, no-wrap
+msgid "B<IPC_SET>"
+msgstr "B<IPC_SE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22
+msgid "Set resource options."
+msgstr "자원 옵션 설정."
+
+#. type: TP
+#: ipc.5:122
+#, no-wrap
+msgid "B<IPC_STAT>"
+msgstr "B<IPC_STA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25
+msgid "Get resource options."
+msgstr "자원 옵션을 갖는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34
+msgid ""
+"Note that B<IPC_PRIVATE> is a B<key_t> type, while all the others symbolic "
+"constants are flag fields or-able into an B<int> type variable."
+msgstr ""
+
+#. type: SS
+#: ipc.5:134
+#, no-wrap
+msgid "Message Queue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42
+msgid ""
+"A message queue is uniquely identified by a positive integer (its I<msqid>) "
+"and has an associated data structure of type B<struct msquid_ds>, defined in "
+"I<E<lt>sys/msg.hE<gt>>, containing the following member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45
+msgid "B<\tstruct ipc_perm msg_perm;>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49
+msgid "B<\tushort msg_qnum;\t> /* no of messages on queu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53
+msgid "B<\tushort msg_qbytes;\t> /* bytes max on a queu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57
+msgid "B<\tushort msg_lspid;\t> /* pid of last msgsnd call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61
+msgid "B<\tushort msg_lrpid;\t> /* pid of last msgrcv call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65
+msgid "B<\ttime_t msg_stime;\t> /* last msgsnd tim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69
+msgid "B<\ttime_t msg_rtime;\t> /* last msgrcv tim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73
+msgid "B<\ttime_t msg_ctime;\t> /* last change time */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173
+#, no-wrap
+msgid "B<msg_perm>"
+msgstr "B<msg_per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78
+msgid ""
+"B<ipc_perm> structure that specifies the access permissions on the message "
+"queue."
+msgstr "메세지 큐에 접근권한을 지정하는 B<ipc_perm> 구조."
+
+#. type: TP
+#: ipc.5:178
+#, no-wrap
+msgid "B<msg_qnum>"
+msgstr "B<msg_qnu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81
+msgid "Number of messages currently on the message queue."
+msgstr "메세지 큐의 메세지 번호."
+
+#. type: TP
+#: ipc.5:181
+#, no-wrap
+msgid "B<msg_qbytes>"
+msgstr "B<msg_qbyte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85
+msgid "Maximum number of bytes of message text allowed on the message queue."
+msgstr "메세지 큐에 허용된 메세지 텍스트의 최대크기."
+
+#. type: TP
+#: ipc.5:185
+#, no-wrap
+msgid "B<msg_lspid>"
+msgstr "B<msg_lsp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90
+msgid "ID of the process that performed the last B<msgsnd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msgsnd> 시스템 호출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ID."
+
+#. type: TP
+#: ipc.5:190
+#, no-wrap
+msgid "B<msg_lrpid>"
+msgstr "B<msg_lrp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195
+msgid "ID of the process that performed the last B<msgrcv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msgrcv> 시스템 호출을 실행하는 프로세스의 ID."
+
+#. type: TP
+#: ipc.5:195
+#, no-wrap
+msgid "B<msg_stime>"
+msgstr "B<msg_s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00
+msgid "Time of the last B<msgsnd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msgsnd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200
+#, no-wrap
+msgid "B<msg_rtime>"
+msgstr "B<msg_r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05
+msgid "Time of the last B<msgcv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msgcv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205
+#, no-wrap
+msgid "B<msg_ctime>"
+msgstr "B<msg_c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11
+msgid ""
+"Time of the last system call that changed a member of the B<msqid_ds> "
+"structure."
+msgstr "B<msqid_ds> 구조의 멤버를 바꾸는 마지막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SS
+#: ipc.5:211
+#, no-wrap
+msgid "Semaphore Set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19
+msgid ""
+"A semaphore set is uniquely identified by a positive integer (its I<semid>) "
+"and has an associated data structure of type B<struct semid_ds>, defined in "
+"I<E<lt>sys/sem.hE<gt>>, containing the following member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22
+msgid "B<\tstruct ipc_perm sem_perm;>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26
+msgid "B<\ttime_t sem_otime;\t> /* last operation tim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30
+msgid "B<\ttime_t sem_ctime;\t> /* last change tim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34
+msgid "B<\tushort sem_nsems;\t> /* count of sems in set */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234
+#, no-wrap
+msgid "B<sem_perm>"
+msgstr "B<sem_per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39
+msgid ""
+"B<ipc_perm> structure that specifies the access permissions on the semaphore "
+"set."
+msgstr "시그널 설정의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B<ipc_perm> 구조."
+
+#. type: TP
+#: ipc.5:239
+#, no-wrap
+msgid "B<sem_otime>"
+msgstr "B<sem_o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44
+msgid "Time of last B<semop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semop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244
+#, no-wrap
+msgid "B<sem_ctime>"
+msgstr "B<sem_c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50
+#, fuzzy
+msgid ""
+"Time of last B<semctl> system call that changed a member of the above "
+"structure or of one semaphore belonging to the set."
+msgstr "마지막 B<semctl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250
+#, no-wrap
+msgid "B<sem_nsems>"
+msgstr "B<sem_nsem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58
+msgid ""
+"Number of semaphores in the set. Each semaphore of the set is referenced by "
+"a non-negative integer ranging from B<0> to B<sem_nsems-1>.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62
+msgid ""
+"A semaphore is a data structure of type B<struct sem> containing the "
+"following member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66
+msgid "B<\tushort semval;\t> /* semaphore valu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70
+msgid "B<\tshort sempid;\t> /* pid for last operation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74
+msgid "B<\tushort semncnt;\t> /* no. of awaiting semval to increase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78
+msgid "B<\tushort semzcnt;\t> /* no. of awaiting semval = 0 */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278
+#, no-wrap
+msgid "B<semval>"
+msgstr "B<semva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81
+msgid "Semaphore value: a non-negative integer."
+msgstr "시그널 값: 0이나 양의 정수."
+
+#. type: TP
+#: ipc.5:281
+#, no-wrap
+msgid "B<sempid>"
+msgstr "B<semp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85
+msgid ""
+"ID of the last process that performed a semaphore operation on this semaphore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285
+#, no-wrap
+msgid "B<semncnt>"
+msgstr "B<semnc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90
+msgid "Number of processes suspended awaiting for B<semval> to increase."
+msgstr "증가하는 B<semval> 를 위해 정지된 프로세스의 수."
+
+#. type: TP
+#: ipc.5:290
+#, no-wrap
+msgid "B<semznt>"
+msgstr "B<semz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295
+msgid "Number of processes suspended awaiting for B<semval> to become zero."
+msgstr ""
+
+#. type: SS
+#: ipc.5:295
+#, no-wrap
+msgid "Shared Memory Segments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03
+msgid ""
+"A shared memory segment is uniquely identified by a positive integer (its "
+"I<shmid>) and has an associated data structure of type B<struct shmid_ds>, "
+"defined in I<E<lt>sys/shm.hE<gt>>, containing the following members: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06
+msgid "B<\tstruct ipc_perm shm_perm;>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10
+msgid "B<\tint shm_segsz;\t> /* size of segment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14
+msgid "B<\tushort shm_cpid;\t> /* pid of creator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18
+msgid "B<\tushort shm_lpid;\t> /* pid, last operation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22
+msgid "B<\tshort shm_nattch;\t> /* no. of current attaches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26
+msgid "B<\ttime_t shm_atime;\t> /* time of last attach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30
+msgid "B<\ttime_t shm_dtime;\t> /* time of last detach */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34
+msgid "B<\ttime_t shm_ctime;\t> /* time of last change */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334
+#, no-wrap
+msgid "B<shm_perm>"
+msgstr "B<shm_perm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39
+msgid ""
+"B<ipc_perm> structure that specifies the access permissions on the shared "
+"memory segment."
+msgstr "고유메모리 구간에 접근 권한을 지정하는 B<ipc_perm> 구조."
+
+#. type: TP
+#: ipc.5:339
+#, no-wrap
+msgid "B<shm_segsz>"
+msgstr "B<shm_segsz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42
+msgid "Size in bytes of the shared memory segment."
+msgstr "공유메모리 구간의 크기."
+
+#. type: TP
+#: ipc.5:342
+#, no-wrap
+msgid "B<shm_cpid>"
+msgstr "B<shm_cp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45
+msgid "ID of the process that created the shared memory segment."
+msgstr "공유메모리 구간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의 ID."
+
+#. type: TP
+#: ipc.5:345
+#, no-wrap
+msgid "B<shm_lpid>"
+msgstr "B<shm_lp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52
+msgid "ID of the last process that executed a B<shmat> or B<shmdt> system call."
+msgstr "B<shmat> 나 B<shmdt> 시스템 호출을 실행하는 마지막 프로세스의 ID."
+
+#. type: TP
+#: ipc.5:352
+#, no-wrap
+msgid "B<shm_nattch>"
+msgstr "B<shm_nattc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55
+msgid "Number of current alive attaches for this shared memory segment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ipc.5:355
+#, no-wrap
+msgid "B<shm_atime>"
+msgstr "B<shm_a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60
+msgid "Time of the last B<shmat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shmat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360
+#, no-wrap
+msgid "B<shm_dtime>"
+msgstr "B<shm_d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65
+msgid "Time of the last B<shmdt> system call."
+msgstr "마지막 B<shmdt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TP
+#: ipc.5:365
+#, no-wrap
+msgid "B<shm_ctime>"
+msgstr "B<shm_c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71
+msgid "Time of the last B<shmctl> system call that changed B<shmid_ds>."
+msgstr "B<shmid_ds> 을 바꾸는 마지막 B<shmctl> 시스템 호출의 시간."
+
+#. type: SH
+#: ipc.5:371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ipc.5:383
+msgid ""
+"B<ftok>(3), B<msgctl>(2), B<msgget>(2), B<msgrcv>(2), B<msgsnd>(2), "
+"B<semctl>(2), B<semget>(2), B<semop>(2), B<shmat>(2), B<shmctl>(2), "
+"B<shmget>(2), B<shmdt>(2)."
+msgstr ""
+"B<ftok>(3), B<msgctl>(2), B<msgget>(2), B<msgrcv>(2), B<msgsnd>(2), "
+"B<semctl>(2), B<semget>(2), B<semop>(2), B<shmat>(2), B<shmctl>(2), "
+"B<shmget>(2), B<shmdt>(2).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5/xferlog.5.po b/po/ko/archive/po/man5/xferlog.5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811c11c4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5/xferlog.5.po
@@ -0,0 +1,422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1999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1999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xferlog.5:20
+#, no-wrap
+msgid "XFERLOG"
+msgstr "XFERLOG"
+
+#. type: SH
+#: xferlog.5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23
+msgid "xferlog - FTP server logfile"
+msgstr ""
+
+#. type: SH
+#: xferlog.5:23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36
+msgid ""
+"The B<xferlog> file contains logging information from the FTP server daemon, "
+"B<ftpd>(8). This file usually is found in /var/log but can be located "
+"anywhere by using a B<ftpd>(8) configuration directive. Each server entry is "
+"composed of a single line of the following form, with all fields being "
+"separated by spaces."
+msgstr ""
+"The B<xferlog> file은 FTP server daemon ( B<ftpd>(8) ) 의 logging 정보를 포함"
+"한다. 이 file은 보통 /usr/adm 에서 볼수 있으나, B<ftpd>(8) 의 options을 사용"
+"함에 따라 어디든지 위치되어 질수 있다. Each server entry is composed of a "
+"single line of the following form, with all fields being separated by "
+"spaces. 각 server 항목은 아래의 form으로 이루어진 한줄로 구성되어 지며, 모든 "
+"field는 space로 구분 되어 진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39
+msgid ""
+"I<current-time\\ \\ transfer-time\\ \\ remote-host\\ \\ file-size\\ \\ "
+"filename\\ \\ transfer-type\\ \\ special-action-flag\\ \\ direction\\ \\ "
+"access-mode\\ \\ username\\ \\ service-name\\ \\ authentication-method\\ \\ "
+"authenticated-user-id\\ \\ completion-status>"
+msgstr ""
+"I<current-time\\ \\ transfer-time\\ \\ remote-host\\ \\ file-size\\ \\ "
+"filename\\ \\ transfer-type\\ \\ special-action-flag\\ \\ direction\\ \\ "
+"access-mode\\ \\ username\\ \\ service-name\\ \\ authentication-method\\ \\ "
+"authenticated-user-id\\ \\ completion-status>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40
+#, no-wrap
+msgid "I<current-time>"
+msgstr "I<current-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45
+msgid ""
+"is the current local time in the form \"DDD MMM dd hh:mm:ss YYYY\". Where DDD "
+"is the day of the week, MMM is the month, dd is the day of the month, hh is "
+"the hour, mm is the minutes, ss is the seconds, and YYYY is the year."
+msgstr ""
+"은 \"DDD MMM dd hh:mm:ss YYYY\" 형식의 현재 local 시간이다. DDD는 주중의 요일"
+"을, MMM은 월을, dd는 날짜를, hh는 시를, mm은 분을, ss는 초를, 그리고 YYYY는 년"
+"도를 나타낸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45
+#, no-wrap
+msgid "I<transfer-time>"
+msgstr "I<transfer-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48
+msgid "is the total time in seconds for the transfer."
+msgstr "은 전송을 위한 총 시간을 말하며 초단위로 표시한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48
+#, no-wrap
+msgid "I<remote-host>"
+msgstr "I<remote-hos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51
+msgid "is the remote host name."
+msgstr "는 원격 host 이름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51
+#, no-wrap
+msgid "I<file-size>"
+msgstr "I<file-siz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54
+msgid "is the size of the transferred file in bytes."
+msgstr "는 byte단위의 전송된 file의 크기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54
+#, no-wrap
+msgid "I<filename>"
+msgstr "I<file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57
+#, fuzzy
+msgid ""
+"is the name of the transferred file. If the filename contains any spaces or "
+"control characters, each such character is replaced by an underscore ('_') "
+"character."
+msgstr "은 전송된 file의 이름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57
+#, no-wrap
+msgid "I<transfer-type>"
+msgstr "I<transfer-typ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60
+msgid "is a single character indicating the type of transfer. Can be one of:"
+msgstr "은 전송의 형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character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63 xferlog.5:116
+#, no-wrap
+msgid "B<a>"
+msgstr "B<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66
+msgid "for an ascii transfer"
+msgstr "는 ascii 전송을 뜻한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66
+#, no-wrap
+msgid "B<b>"
+msgstr "B<b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69
+msgid "for a binary transfer"
+msgstr "는 binary 전송을 뜻한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72
+#, no-wrap
+msgid "I<special-action-flag>"
+msgstr "I<special-action-fla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77
+msgid ""
+"is one or more single character flags indicating any special action taken. "
+"Can be one or more of:"
+msgstr ""
+"는 어떤 특정한 action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haracter "
+"flag 이다. 아래에 나열된 것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사용할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80
+#, no-wrap
+msgid "B<C>"
+msgstr "B<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83
+msgid "file was compressed"
+msgstr "file은 압축되어져 있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83
+#, no-wrap
+msgid "B<U>"
+msgstr "B<U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86
+msgid "file was uncompressed"
+msgstr "file은 압축이 되어져 있지 않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86
+#, no-wrap
+msgid "B<T>"
+msgstr "B<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89
+msgid "file was tar'ed"
+msgstr "file이 tar로 묶여져 있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89
+#, no-wrap
+msgid "B<_>"
+msgstr "B<_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92
+msgid "no action was taken"
+msgstr "아무런 action이 발생하지 않았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95
+#, no-wrap
+msgid "I<direction>"
+msgstr "I<direct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98
+msgid "is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. Can be one of:"
+msgstr "은 전송의 지시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01
+#, no-wrap
+msgid "B<o>"
+msgstr "B<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04
+msgid "outgoing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04 xferlog.5:168
+#, no-wrap
+msgid "B<i>"
+msgstr "B<i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07
+msgid "incoming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10
+#, no-wrap
+msgid "I<access-mode>"
+msgstr "I<access-mod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13
+msgid "is the method by which the user is logged in. Can be one of:"
+msgstr "는 user가 어떻게 login을 하는가에 대한 방법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19
+msgid "(anonymous) is for an anonymous guest user."
+msgstr "(anonymous) 는 익명 손님 user들을 위한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19
+#, no-wrap
+msgid "B<g>"
+msgstr "B<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27
+#, fuzzy
+msgid ""
+"(guest) is for an passworded guest user (see the (guest) 는 password를 소유한 "
+"손님 user들을 위한 것이다. ( B<ftpaccess(5)> 의 B<guestgroup> 명령을 참조하라)"
+msgstr ""
+"(guest) is for an passworded guest user (see the (guest) 는 password를 소유한 "
+"손님 user들을 위한 것이다. ( B<ftpaccess(5)> 의 B<guestgroup> 명령을 참조하라)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27
+#, no-wrap
+msgid "B<r>"
+msgstr "B<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30
+msgid "(real) is for a local authenticated user."
+msgstr "(real) 은 인증이 가능한 local user를 위한 것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33
+#, no-wrap
+msgid "I<username>"
+msgstr "I<user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37
+msgid "is the local username, or if guest, the ID string given."
+msgstr "은 local username 이다. 만약 손님 이라면, 주어진 ID 문자열을 뜻한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37
+#, no-wrap
+msgid "I<service-name>"
+msgstr "I<service-na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40
+msgid "is the name of the service being invoked, usually FTP."
+msgstr "은 발생되어지는 service의 이름이며 보통은 FTP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40
+#, no-wrap
+msgid "I<authentication-method>"
+msgstr "I<authentication-metho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43
+msgid "is the method of authentication used. Can be one of:"
+msgstr "는 인증에 사용되어 지는 방법이다. 아래중의 하나를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46
+#, no-wrap
+msgid "B<0>"
+msgstr "B<0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49
+msgid "none"
+msgstr "none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49
+#, no-wrap
+msgid "B<1>"
+msgstr "B<1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52
+msgid "RFC931 Authentication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55
+#, no-wrap
+msgid "I<authenticated-user-id>"
+msgstr "I<authenticated-user-i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59
+msgid ""
+"is the user id returned by the authentication method. A * is used if an "
+"authenticated user id is not available."
+msgstr ""
+"는 인증 방법에 의해 되돌려지는 user id 이다. 인증되어진 user id가 사용불가 하"
+"다면 * 이 사용되어 진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59
+#, no-wrap
+msgid "I<completion-status>"
+msgstr "I<completion-statu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62
+msgid ""
+"is a single characte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transfer. Can be one of:"
+msgstr "는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의 character이다.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65
+#, no-wrap
+msgid "B<c>"
+msgstr "B<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68
+msgid "complete transfer"
+msgstr "완전한 전송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71
+msgid "incomplete transfer"
+msgstr "불완전한 전송"
+
+#. type: SH
+#: xferlog.5:174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TP
+#: xferlog.5:176
+#, no-wrap
+msgid "I</usr/adm/xferlog>"
+msgstr "I</usr/adm/xferlog>"
+
+#. type: SH
+#: xferlog.5:178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xferlog.5:181
+msgid "B<ftpd>(8), B<ftpaccess>(5)"
+msgstr "B<ftpd>(8), B<ftpaccess>(5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ftprestart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ftprestart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4d802676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ftprestart.8.po
@@ -0,0 +1,98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7-2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restart.8:20
+#, no-wrap
+msgid "ftprestart"
+msgstr "ftprestart"
+
+#. type: SH
+#: ftprestart.8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23
+msgid "ftprestart − restart previously shutdown ftp servers"
+msgstr "ftprestart - ftp server를 shutdown한후 재시작을 하게 함"
+
+#. type: SH
+#: ftprestart.8:23
+#, no-wrap
+msgid "SYNTAX"
+msgstr "문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28
+msgid "B<ftprestart> [ B<-V> ]"
+msgstr "B<ftprestart> [ B<-V> ]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37
+#, fuzzy
+msgid ""
+"The command provides an automated way to restart previously shutdown ftp "
+"servers. is used when you are ready to re-enable your FTP server. It does the "
+"opposite of ftpshut and removes shutdown message files that were created by "
+"ftpshut. It will remove the system-wide shutdown message file as well as the "
+"shutdown message files in the anonymous ftp areas and any virtual ftp server "
+"areas."
+msgstr ""
+"B<ftprestart> 명령은 ftp server들을 shutdown 이후에 restart를 자동을 하는 방법"
+"을 제공한다. B<ftprestart> 는 FTP server를 재지삭을 하려고 준비를 할때 사용"
+"이 되어진다. 이것은 ftpshut의 반대이며 ftpshut에 의해 생성된 shutdown message"
+"를 삭제한다. 이것은 anonymous ftp 영역과 모든 가상 ftp server 영역의 "
+"shutdown message file들을 삭제하게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40
+msgid ""
+"The B<−V> option causes the program to display copyright and version "
+"information, then terminate."
+msgstr ""
+"B<-V> option은 프로그램 수행후에 copyright와 version 정보를 출력하게 한다."
+
+#. type: SH
+#: ftprestart.8:41
+#, no-wrap
+msgid "SAMPLE OUTPUT"
+msgstr "출력 예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46
+#, no-wrap
+msgid ""
+" ftprestart: /servers/some.domain/ftp/etc/shutmsg removed.\n"
+" ftprestart: /servers/other.domain/ftp/etc/shutmsg removed.\n"
+" ftprestart: /etc/shutmsg removed.\n"
+msgstr ""
+" ftprestart: /servers/some.domain/ftp/etc/shutmsg removed.\n"
+" ftprestart: /servers/other.domain/ftp/etc/shutmsg removed.\n"
+" ftprestart: /etc/shutmsg removed.\n"
+
+#. type: SH
+#: ftprestart.8:47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restart.8:49
+msgid "B<shutdown>(1), B<ftpshut>(8), B<ftpaccess>(5)"
+msgstr "B<shutdown>(1), B<ftpshut>(8), B<ftpaccess>(5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ftpshut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ftpshut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77668438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ftpshut.8.po
@@ -0,0 +1,215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ftpshut.8:20
+#, no-wrap
+msgid "ftpshut"
+msgstr "ftpshut"
+
+#. type: SH
+#: ftpshut.8:21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23
+msgid "ftpshut - shut down all proftpd servers at a given time"
+msgstr "ftpshut - 지정한 시간에 ftp server를 다운시킨다."
+
+#. type: SH
+#: ftpshut.8:23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문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33
+msgid ""
+"B<ftpshut> [ B<-V> ] [ B<-l> min] [ B<-d> min] I<time [ warning-message ... ]>"
+msgstr ""
+"B<ftpshut> [ B<-V> ] [ B<-l> min] [ B<-d> min] I<time [ warning-message ... ]>"
+
+#. type: SH
+#: ftpshut.8:33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37
+#, fuzzy
+msgid ""
+"The B<ftpshut> command provides an automated shutdown procedure that a "
+"superuser can use to automagically disconnect current proftpd connections, "
+"and deny new connections. The command creates a control file as /etc/shutmsg "
+"to inform proftpd processes about an impending shutdown."
+msgstr ""
+"B<ftpshut> 명령은 ftp server가 shut down을 할때 superuser가 ftp user 에게 공지"
+"할수 있는 자동 shutdown 진행을 준비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40
+#, fuzzy
+msgid "B<-V> 옵션은 저작권과 버젼 정보를 출력한다."
+msgstr "B<-V> 옵션은 저작권과 버젼 정보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51
+#, fuzzy
+msgid ""
+"I<time> 은 B<ftpshut> 이 ftp server를 다운시킬 시간을 말한다. \"now\"라는 단"
+"어를 사용하여 즉시 shutdown을 할수 있으며 또한 아래와 같은 하나 또는 두개의 형"
+"식으로서 미래의 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. : I<+ number> 또는 I<HHMM.>"
+msgstr ""
+"I<time> 은 B<ftpshut> 이 ftp server를 다운시킬 시간을 말한다. \"now\"라는 단"
+"어를 사용하여 즉시 shutdown을 할수 있으며 또한 아래와 같은 하나 또는 두개의 형"
+"식으로서 미래의 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. : I<+ number> 또는 I<HHMM.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53
+#, fuzzy
+msgid "첫번째 형식은 ftp server down 시간을"
+msgstr "첫번째 형식은 ftp server down 시간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57
+#, fuzzy
+msgid ""
+"minutes(분) 으로서 지정을 한다. 두번째는 24-시간 형식을 사용하여 지정할 날의 "
+"시간에 ftp server의 shutdown을 지정한다."
+msgstr ""
+"minutes(분) 으로서 지정을 한다. 두번째는 24-시간 형식을 사용하여 지정할 날의 "
+"시간에 ftp server의 shutdown을 지정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62
+#, fuzzy
+msgid ""
+"shutdown 10분전 또는 B<ftpshut> 이 10분이 안남았다면 새로운 ftp 접근은 즉시 거"
+"부된다. 이 시간은 -l flag 를 통해서 정의되어 진다."
+msgstr ""
+"shutdown 10분전 또는 B<ftpshut> 이 10분이 안남았다면 새로운 ftp 접근은 즉시 거"
+"부된다. 이 시간은 -l flag 를 통해서 정의되어 진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68
+#, fuzzy
+msgid ""
+"shutdown 5분전 또는 B<ftpshut> 이 5분이 남지 않았다면 현재 접속이 되어 있는 "
+"connections 들은 즉시 끊어지게 된다. 이 시간은 -d flag를 통해서 지정이 된다."
+msgstr ""
+"shutdown 5분전 또는 B<ftpshut> 이 5분이 남지 않았다면 현재 접속이 되어 있는 "
+"connections 들은 즉시 끊어지게 된다. 이 시간은 -d flag를 통해서 지정이 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74
+#, fuzzy
+msgid ""
+"I<[ warning-message ... ]> 은 75 문자의 길이의 형식을 취한다. B<ftpshut> 은 "
+"magic cookie의 실제 문자열 길이 역시 포함을 해서 인식을 한다."
+msgstr ""
+"I<[ warning-message ... ]> 은 75 문자의 길이의 형식을 취한다. B<ftpshut> 은 "
+"magic cookie의 실제 문자열 길이 역시 포함을 해서 인식을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82
+#, fuzzy
+msgid ""
+"shutdown을 하려 할때 어떠한 file을 생성하여 이 file의 유무에 대해 명령을 실행"
+"시킬수가 있다. 일단 shutdown이 되면 이 file이 제가 될때 까지 접속은 거부가 될 "
+"것이다. 이 file은 B<ftpaccess> file의 I<shutdown> 지시자에 의해서 위치와 file"
+"명이 지정된다."
+msgstr ""
+"shutdown을 하려 할때 어떠한 file을 생성하여 이 file의 유무에 대해 명령을 실행"
+"시킬수가 있다. 일단 shutdown이 되면 이 file이 제가 될때 까지 접속은 거부가 될 "
+"것이다. 이 file은 B<ftpaccess> file의 I<shutdown> 지시자에 의해서 위치와 file"
+"명이 지정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84
+#, fuzzy
+msgid "아래와 같이 magic cookie를 사용가능하다 :"
+msgstr "아래와 같이 magic cookie를 사용가능하다 :"
+
+#. type: ta
+#: ftpshut.8:85
+#, no-wrap
+msgid "\\w'Request 'u"
+msgstr "\\w'Request 'u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100
+#, fuzzy, no-wrap
+msgid ""
+" B<Cookie 설명>\n"
+" %s system이 다운되는 시간\n"
+" %r 새로운 접속이 거부되는 시간\n"
+" %d 현재 사용자들이 강제 logout 되는 시간\n"
+" %C 현재 작업중인 directory\n"
+" %E ftpaccess에서 지정한 서버 관리자의 Email address\n"
+" %F CWD 파티션의 남은 공간 (kbytes)\n"
+" [모든 system을 지원하지는 않음]\n"
+" %L local host name\n"
+" %M 현 class의 최대 접속 user 수\n"
+" %N 현 class의 현재 접속 user 수\n"
+" %R remote host name\n"
+" %T system의 시간 (form Thu Nov 15 17:12:42 1990)\n"
+" %U login시 주어진 username\n"
+msgstr ""
+" B<Cookie 설명>\n"
+" %s system이 다운되는 시간\n"
+" %r 새로운 접속이 거부되는 시간\n"
+" %d 현재 사용자들이 강제 logout 되는 시간\n"
+" %C 현재 작업중인 directory\n"
+" %E ftpaccess에서 지정한 서버 관리자의 Email address\n"
+" %F CWD 파티션의 남은 공간 (kbytes)\n"
+" [모든 system을 지원하지는 않음]\n"
+" %L local host name\n"
+" %M 현 class의 최대 접속 user 수\n"
+" %N 현 class의 현재 접속 user 수\n"
+" %R remote host name\n"
+" %T system의 시간 (form Thu Nov 15 17:12:42 1990)\n"
+" %U login시 주어진 username\n"
+
+#. type: SH
+#: ftpshut.8:101
+#, fuzzy, no-wrap
+msgid "제한"
+msgstr "제한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104
+#, fuzzy
+msgid ""
+"만약 절대 시간을 사용한다면, server는 현재부터 23:59 사이에만 shutdown을 할수 "
+"있다."
+msgstr ""
+"만약 절대 시간을 사용한다면, server는 현재부터 23:59 사이에만 shutdown을 할수 "
+"있다."
+
+#. type: SH
+#: ftpshut.8:104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ftpshut.8:108
+msgid "B<shutdown>(1), B<ftpaccess>(5), B<ftprestart>(8)"
+msgstr "B<shutdown>(1), B<ftpaccess>(5), B<ftprestart>(8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proftpd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proftpd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2dcbfb7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proftpd.8.po
@@ -0,0 +1,299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2000.
+# 김현철 <mindgame@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11-1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현철 <mindgame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proftpd.8:1
+#, no-wrap
+msgid "proftpd"
+msgstr "proftpd"
+
+#. type: TH
+#: proftpd.8:1
+#, no-wrap
+msgid "July 2000"
+msgstr "2000년 7월"
+
+#. Process with
+#. groff -man -Tascii proftpd.1
+#. type: SH
+#: proftpd.8: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
+msgid ""
+"proftpd - Professional configurable,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server"
+msgstr "proftpd - 전문적인 설정, 보안 File Transfer Protocol Server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18
+msgid ""
+"B<proftpd> [ B<-hlntv> ] [ B<-d>I< debuglevel> ] [ B<-c>I< config-file> ] "
+"[ B<-p>I< 0|1> ]"
+msgstr ""
+"B<proftpd> [ B<-hlntv> ] [ B<-d>I< debuglevel> ] [ B<-c>I< config-file> ] "
+"[ B<-p>I< 0|1> ]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1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29
+msgid ""
+"B<proftpd> is the Professional File Transfer Protocol (FTP) server daemon. "
+"The server may be invoked by the Internet \"super-server\" B<inetd>(8) each "
+"time a connection to the FTP service is made, or alternatively it can be run "
+"as a standalone daemon. When B<proftpd> is run in standalone mode and it "
+"receives a SIGHUP then it will reread its configuration file. When run in "
+"standalone mode without the B<-n> option, the main proftpd daemon writes its "
+"process ID to I</var/run/proftpd/proftpd.pid> to make it easy to know which "
+"process to SIGHUP."
+msgstr ""
+"B<proftpd> 는 전문적인 File Transfer Protocol (FTP) server daemon이다. server"
+"는 FTP service가 이루어지기 위해 접속될때마다 또는 stand-alone daemon으로서 실"
+"행 되는 것을 대체될때 Internet \"super-server\" B<inetd>(8) 에 의하여 시작된"
+"다. B<proftp> 가 standalone mode로 작동할때 그리고 SIGHUP를 받을때 proftp는 "
+"config file 을 다시 읽을 것이다. B<-n> option이 없이 standalone으로 작동할 경"
+"우 SIGHUP 신호를 진행할때 쉽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PID를 I</var/run/proftpd."
+"pid>에 기록하게 된다.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29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30
+#, no-wrap
+msgid "B<-h,--help>"
+msgstr "B<-h,--help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33
+msgid "Display a short usage description, including all available options."
+msgstr "간단한 사용설명을 보여주며, 가능한 모든 option들을 포함하고 있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33
+#, no-wrap
+msgid "B<-n,--nodaemon>"
+msgstr "B<-n,--nodaem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40
+msgid ""
+"Runs the proftpd process in standalone mode (must be configured as such in "
+"the configuration file), but does not background the process or disassociate "
+"it from the controlling tty. Additionally, all output (log or debug messages) "
+"are sent to stderr, rather than the syslog mechanism. Most often used with "
+"the B<-d option> for debugging."
+msgstr ""
+"standalone mode로 proftpd process를 실행한다.(configuration file에서 처럼 설"
+"정 되어져 있어야 한다) but does not background the process or disassociate it "
+"from the controlling tty. 게다가 모든 ourput (log 또는 debug 메세지들) 은 "
+"syslog maechanism 보다 오히려 stout으로 보내지게 된다. debugging을 위해서는 "
+"B<-d option> 을 가장 자주 사용하게 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40
+#, no-wrap
+msgid "B<-v,--version>"
+msgstr "B<-v,--versio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43
+msgid "Displays the version number of ProFTPD to stdout."
+msgstr "stdout으로 ProFTPD의 version number를 출력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43
+#, no-wrap
+msgid "B<-d,--debug>I< debuglevel>"
+msgstr "B<-d,--debug>I< debugleve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50
+msgid ""
+"Sets proftpd's internal debug level (normally 0). The I<debuglevel> should be "
+"an integer value from 0 to 10, with higher numbers producing more debug "
+"output. Normally, debug messages are sent to syslog using the B<DEBUG> "
+"facility, however if the B<-n option> is used, all such output is sent to "
+"stderr."
+msgstr ""
+"proftpd의 내부 debug lovel을 설정한다.(일반적으로 0 이다) I<debuglevel> 은 0에"
+"서 5 사이의 정수값을 가진며, debug stdout 보다 더 높은 숫자로서 가지게 된다. "
+"일반적으로 debug message들은 B<DEBUG> facility 를 이용하여 B<syslog> 로 보내지"
+"게 된다. 하지만 B<-n option> 을 이용하면 모든 output들은 stdout으로 보내지게 "
+"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50
+#, no-wrap
+msgid "B<-c,--config>I< config-file>"
+msgstr "B<-c,--config>I< config-fil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54
+msgid ""
+"Specifies an alternate I<config-file> to be parsed at startup, rather than "
+"the default configuration file. The default configuration file is I</etc/"
+"proftpd.conf>."
+msgstr ""
+"시작시에 I</etc/proftpd.conf> 에서 발견되는 기본 설정 file을 무시하고 다른 "
+"I<config-file> 로 지정할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54
+#, no-wrap
+msgid "B<-t,--configtest>"
+msgstr "B<-t,--configtes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57
+msgid "Read the configuration file, report any syntax errors, and exit."
+msgstr "설정 파일을 읽어서 문법 에러가 있는지 확인을 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57
+#, no-wrap
+msgid "B<-p,--persistent>I< 0|1>"
+msgstr "B<-p,--persistent>I< 0|1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63
+msgid ""
+"Disables (0) or enables (1) the default persistent password support, which is "
+"determined at configure time for each platform. This option B<only> affects "
+"the default support, it can still be overridden at run-time with the "
+"B<PersistentPasswd> directive."
+msgstr ""
+"default persistent password를 지원한다. Disables는 0, enable은 1 이며 각 "
+"platform을 통해 설정 시간을 결정한다. 이 option은 B<오직> default support에만 "
+"영향을 미치며, 실행시에 B<PersistentPasswd> 지시자에 의해서 무시되어 질수 있"
+"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d.8:63
+#, no-wrap
+msgid "B<-l,--list>"
+msgstr "B<-l,--lis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66
+msgid "Lists all modules compiled into proftpd."
+msgstr "proftpd에 compile되어진 module들의 list를 보여 준다.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66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69
+msgid "B</usr/sbin/proftpd>"
+msgstr "B</usr/sbin/proftp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1
+msgid "B</usr/bin/ftpwho>"
+msgstr "B</usr/bin/ftpwho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3
+msgid "B</usr/bin/ftpcount>"
+msgstr "B</usr/bin/ftpcou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5
+msgid "B</usr/sbin/ftpshut>"
+msgstr "B</usr/sbin/ftpshu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7
+msgid "B</var/log/xferlog>"
+msgstr "B</var/log/xferlog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79
+msgid "B</var/run/proftpd-[pid]>"
+msgstr "B</var/run/proftpd-[pid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81
+msgid "B</var/run/proftpd-inetd>"
+msgstr "B</var/run/proftpd-inetd>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82
+#, fuzzy, no-wrap
+msgid "저자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87
+#, fuzzy
+msgid ""
+"ProFTPD는 Floody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어 졌으나 현재는 MacGyver (aka Habeeb J. "
+"Dihu)에 의하여 개발되어 지고 있다. E<lt>macgyver@tos.netE<gt> [http://www."
+"macgyver.org]"
+msgstr ""
+"ProFTPD는 Floody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어 졌으나 현재는 MacGyver (aka Habeeb J. "
+"Dihu)에 의하여 개발되어 지고 있다. E<lt>macgyver@tos.netE<gt> [http://www."
+"macgyver.org]"
+
+#. type: SH
+#: proftpd.8:88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90
+msgid "B<inetd>(8), B<ftp>(1), B<ftpwho>(1), B<ftpcount>(1), B<ftpshut>(8)"
+msgstr "B<inetd>(8), B<ftp>(1), B<ftpwho>(1), B<ftpcount>(1), B<ftpshut>(8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92
+#, fuzzy
+msgid "proftpd 설정의 문서는 http://www.proftpd.net에서 볼수 있다."
+msgstr "proftpd 설정의 문서는 http://www.proftpd.net에서 볼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d.8:96
+#, fuzzy
+msgid ""
+"버그 리포트는 http://bugs.proftpd.net 으로 한다. 도움및 지원은 Proftpd 메일링 "
+"리스트를 이용하도록 한다. 메일링 리스트는 proftp@proftpd.net 이다. (http://"
+"www.proftpd.lists.html 을 참조하라)"
+msgstr ""
+"버그 리포트는 http://bugs.proftpd.net 으로 한다. 도움및 지원은 Proftpd 메일링 "
+"리스트를 이용하도록 한다. 메일링 리스트는 proftp@proftpd.net 이다. (http://"
+"www.proftpd.lists.html 을 참조하라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proftpshut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proftpshut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aec92886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proftpshut.8.po
@@ -0,0 +1,342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김정균 <admin@oops.org>, 1999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1999-05-03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김정균 <admin@oops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proftpshut.8:1
+#, no-wrap
+msgid "ftpshut"
+msgstr "ftpshut"
+
+#. type: TH
+#: proftpshut.8:1
+#, no-wrap
+msgid "March 2000"
+msgstr "2000년 3월"
+
+#. Process with
+#. groff -man -Tascii ftpshut.8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7
+#, fuzzy
+msgid "ftpshut - 지정한 시간에 모든 proftd server들을 shut down"
+msgstr "ftpshut - 지정한 시간에 모든 proftd server들을 shut down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18
+msgid ""
+"B<ftpshut> [ B<-l>I< min > ] [ B<-d>I< min > ] I<time> [ I<warning-message > ]"
+msgstr ""
+"B<ftpshut> [ B<-l>I< min > ] [ B<-d>I< min > ] I<time> [ I<warning-message > ]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18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25
+#, fuzzy
+msgid ""
+"B<ftpshut> 명령은 자동으로 shtudown 진행을 준비하며 superuser는 자동으로 현재 "
+"proftpd connection을 끊을수 있으며 새로운 connection을 거부하도록 할수 있다. "
+"명령은 suhtdown이 임박함을 proftpd process에 알리기 위하여 B</etc/shutmsg> 와 "
+"같은 control file을 이용하여 사용할수 있다."
+msgstr ""
+"B<ftpshut> 명령은 자동으로 shtudown 진행을 준비하며 superuser는 자동으로 현재 "
+"proftpd connection을 끊을수 있으며 새로운 connection을 거부하도록 할수 있다. "
+"명령은 suhtdown이 임박함을 proftpd process에 알리기 위하여 B</etc/shutmsg> 와 "
+"같은 control file을 이용하여 사용할수 있다.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25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26
+#, no-wrap
+msgid "B<time>"
+msgstr "B<tim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38
+#, fuzzy
+msgid ""
+"time은 ftp server를 down 시킬 시간을 말한다. 'now'라는 단어는 즉시 shutdown을 "
+"지시하며 I<number> 또는 I<HHMM.> 이라는 두개의 형식중 하나는 미래의 시간에 "
+"shut down을 지시한다. 첫번째 형식은 I<number> 분 후에 server를 down 하며 두번"
+"째 지시자는 하루중 정확한 시간을 지시하며 24-시간 형식을 사용한다. (예 오후3"
+"시 30분 : 1530 )"
+msgstr ""
+"time은 ftp server를 down 시킬 시간을 말한다. 'now'라는 단어는 즉시 shutdown을 "
+"지시하며 I<number> 또는 I<HHMM.> 이라는 두개의 형식중 하나는 미래의 시간에 "
+"shut down을 지시한다. 첫번째 형식은 I<number> 분 후에 server를 down 하며 두번"
+"째 지시자는 하루중 정확한 시간을 지시하며 24-시간 형식을 사용한다. (예 오후3"
+"시 30분 : 1530 )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38
+#, no-wrap
+msgid "B<-l min>"
+msgstr "B<-l mi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43
+#, fuzzy
+msgid ""
+"shutdown 전에 새로운 ftp access를 거부하는 것을 분단위의 숫자로 지정한다. 만"
+"약 -l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, 기본으로 10분이 적용된다. (만약 shutdown 까지 10"
+"분이 채 남지 않는다면 즉시 적용된다."
+msgstr ""
+"shutdown 전에 새로운 ftp access를 거부하는 것을 분단위의 숫자로 지정한다. 만"
+"약 -l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, 기본으로 10분이 적용된다. (만약 shutdown 까지 10"
+"분이 채 남지 않는다면 즉시 적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43
+#, no-wrap
+msgid "B<-d min>"
+msgstr "B<-d mi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48
+#, fuzzy
+msgid ""
+"shutdown 전에 현재 ftp connection들을 종료하는 것을 분단위의 숫자로 지정한"
+"다. -d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5분이 적용된다. shutdown이 5분이내로 "
+"남았 다면 즉시 접속이 종료된다."
+msgstr ""
+"shutdown 전에 현재 ftp connection들을 종료하는 것을 분단위의 숫자로 지정한"
+"다. -d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5분이 적용된다. shutdown이 5분이내로 "
+"남았 다면 즉시 접속이 종료된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48
+#, fuzzy, no-wrap
+msgid "B<warning-message(경고 메세지)>"
+msgstr "B<warning-message(경고 메세지)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52
+#, fuzzy
+msgid ""
+"새로운 접속을 거부 하거나 현재 연결되어 있는 session을 종료시킬때 부가적으로 "
+"메세지를 준비할수 있다. 메세지는 아래와 같은 변수를 이용해서 작성할수 있다."
+msgstr ""
+"새로운 접속을 거부 하거나 현재 연결되어 있는 session을 종료시킬때 부가적으로 "
+"메세지를 준비할수 있다. 메세지는 아래와 같은 변수를 이용해서 작성할수 있다.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54
+#, no-wrap
+msgid "B<%s>"
+msgstr "B<%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57
+#, fuzzy
+msgid "proftpd가 종료하는 시간"
+msgstr "proftpd가 종료하는 시간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58
+#, no-wrap
+msgid "B<%r>"
+msgstr "B<%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61
+#, fuzzy
+msgid "새로운 접속이 거부되기 시작하는 시간"
+msgstr "새로운 접속이 거부되기 시작하는 시간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61
+#, no-wrap
+msgid "B<%d>"
+msgstr "B<%d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64
+#, fuzzy
+msgid "현재 접속이 종료되는 시간"
+msgstr "현재 접속이 종료되는 시간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64
+#, no-wrap
+msgid "B<%C>"
+msgstr "B<%C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67
+#, fuzzy
+msgid "현재 작업중인 directory (where applicable)"
+msgstr "현재 작업중인 directory (where applicable)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67
+#, no-wrap
+msgid "B<%L>"
+msgstr "B<%L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70
+msgid "local host name (of virtualhost name)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70
+#, no-wrap
+msgid "B<%R>"
+msgstr "B<%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73
+msgid "remote host name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73
+#, no-wrap
+msgid "B<%T>"
+msgstr "B<%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76
+#, fuzzy
+msgid "local time (형식 : Thu Nov 15 17:12:42 1990)"
+msgstr "local time (형식 : Thu Nov 15 17:12:42 1990)"
+
+#. type: TP
+#: proftpshut.8:76
+#, no-wrap
+msgid "B<%U>"
+msgstr "B<%U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79
+#, fuzzy
+msgid "login time 시에 주어진 username"
+msgstr "login time 시에 주어진 username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80
+#, no-wrap
+msgid "CAVEATS"
+msgstr "경고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89
+#, fuzzy
+msgid ""
+"Proftpd server는 master demon이 I<standalone> mode로 동작시에는 ftpshut을 통해"
+"서만 shutdown을 할수가 있다. Server가 I<inetd> mode로 샐행이 된다면 ftpshut"
+"에 의해 생성된 shutdown message file을 사용할수 있다. 하지만 현재 동작중인 "
+"server는 chroot되어 질것이며, shutdown message control file을 읽지 못한다."
+msgstr ""
+"Proftpd server는 master demon이 I<standalone> mode로 동작시에는 ftpshut을 통해"
+"서만 shutdown을 할수가 있다. Server가 I<inetd> mode로 샐행이 된다면 ftpshut"
+"에 의해 생성된 shutdown message file을 사용할수 있다. 하지만 현재 동작중인 "
+"server는 chroot되어 질것이며, shutdown message control file을 읽지 못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94
+#, fuzzy
+msgid ""
+"현재 시간보다 B<이전> 의 시간을 절대적 shutdown 시간으로 지정할 수도 있는데 "
+"이 경우에는 다음날 지정한 시간이 되어야지 shutdown이 된다."
+msgstr ""
+"현재 시간보다 B<이전> 의 시간을 절대적 shutdown 시간으로 지정할 수도 있는데 "
+"이 경우에는 다음날 지정한 시간이 되어야지 shutdown이 된다.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94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97
+msgid "B</usr/sbin/ftpshut>"
+msgstr "B</usr/sbin/ftpshu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99
+msgid "B</etc/shutmsg>"
+msgstr "B</etc/shutmsg>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100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105
+#, fuzzy
+msgid ""
+"ProFTPD는 Floody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어 졌으나 현재는 MacGyver (aka Habeeb J. "
+"Dihu)에 의하여 개발되어 지고 있다. E<lt>macgyver@tos.netE<gt> [http://www."
+"macgyver.org]"
+msgstr ""
+"ProFTPD는 Floody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어 졌으나 현재는 MacGyver (aka Habeeb J. "
+"Dihu)에 의하여 개발되어 지고 있다. E<lt>macgyver@tos.netE<gt> [http://www."
+"macgyver.org]"
+
+#. type: SH
+#: proftpshut.8:106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108
+msgid "B<inetd>(8), B<ftp>(1), B<proftpd>(8), B<ftpwho>(1),B<ftpcount>(1)"
+msgstr "B<inetd>(8), B<ftp>(1), B<proftpd>(8), B<ftpwho>(1),B<ftpcount>(1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110
+#, fuzzy
+msgid "proftpd 설정의 문서는 http://www.proftpd.net에서 볼수 있다."
+msgstr "proftpd 설정의 문서는 http://www.proftpd.net에서 볼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roftpshut.8:114
+#, fuzzy
+msgid ""
+"버그 리포트는 http://bugs.proftpd.net 으로 한다. 도움및 지원은 Proftpd 메일링 "
+"리스트를 이용하도록 한다. 메일링 리스트는 proftp@proftpd.net 이다. (http://"
+"www.proftpd.lists.html 을 참조하라)"
+msgstr ""
+"버그 리포트는 http://bugs.proftpd.net 으로 한다. 도움및 지원은 Proftpd 메일링 "
+"리스트를 이용하도록 한다. 메일링 리스트는 proftp@proftpd.net 이다. (http://"
+"www.proftpd.lists.html 을 참조하라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pump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pump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5b9aa580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pump.8.po
@@ -0,0 +1,547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서성용 <pooh@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6-02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서성용 <pooh@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pump.8:17
+#, no-wrap
+msgid "PUMP"
+msgstr "PUMP"
+
+#. type: TH
+#: pump.8:17
+#, no-wrap
+msgid "March 22, 1999"
+msgstr "1999년 3월 22일"
+
+#. type: TH
+#: pump.8:17
+#, no-wrap
+msgid "Linux"
+msgstr "리눅스"
+
+#. type: TH
+#: pump.8:17
+#, no-wrap
+msgid "Linux Administrato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관리자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pump.8:18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20
+msgid "pump - configure network interface via BOOTP or DHCP protocol"
+msgstr "pump - BOOTP나 DH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"
+
+#. type: SH
+#: pump.8:20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22
+msgid "/sbin/pump [-krRst?] [-i I<iface>] [-l I<hours>] [--usage]"
+msgstr "/sbin/pump [-krRst?] [-i I<iface>] [-l I<hours>] [--usage]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22 pump.8:40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24
+msgid ""
+"B<pump> is a daemon that manages network interfaces that are controlled by "
+"either the DHCP or BOOTP protocol."
+msgstr ""
+"B<pump>는 DHCP나 BOOTP에 의해 조정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데몬이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27
+msgid ""
+"While B<pump> may be started manually, it is normally started automatically "
+"by the I</sbin/ifup> script for devices configured via BOOTP or DHCP."
+msgstr ""
+"B<pump>를 수동으로 시작할 수도 있지만, 보통 BOOTP나 DHCP에 의해 설정되는 장치"
+"에 대해 I</sbin/ifup> 스크립트에 의해서 자동으로 실행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31
+msgid ""
+"Once B<pump> is managing an interface, you can run pump to change the status "
+"of that interface. For example,"
+msgstr ""
+"일단 B<pump>가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게 되면, 그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질의하기 위"
+"해 pump를 실행시킬 수 있다. 예를 들면,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33
+msgid "CW</sbin/pump -i eth0 --status >"
+msgstr "CW</sbin/pump -i eth0 --status 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35
+msgid "will print the current status of device eth0."
+msgstr "은 장치 eth0의 현재 상태를 출력할 것이다."
+
+#. type: SH
+#: pump.8:36
+#, no-wrap
+msgid "COMMAND-LINE OPTIONS"
+msgstr "명령행 옵션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0
+#, no-wrap
+msgid "switch"
+msgstr "스위치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0
+#, no-wrap
+msgid "long option"
+msgstr "긴 옵션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1
+#, no-wrap
+msgid ".TH"
+msgstr ".TH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2
+#, no-wrap
+msgid "-c"
+msgstr "-c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2
+#, no-wrap
+msgid "--config-file=ARG"
+msgstr "--config-file=ARG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2
+#, fuzzy, no-wrap
+msgid "/etc/pump.conf 대신 사용할 설정 파일"
+msgstr "/etc/pump.conf 대신 사용할 설정 파일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3
+#, no-wrap
+msgid "-h"
+msgstr "-h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3
+#, no-wrap
+msgid "--hostname=hostname"
+msgstr "--hostname=hostname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3
+#, fuzzy, no-wrap
+msgid "요청할 호스트이름"
+msgstr "요청할 호스트이름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4
+#, no-wrap
+msgid "-i"
+msgstr "-i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4
+#, no-wrap
+msgid "--interface=iface"
+msgstr "--interface=iface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4
+#, no-wrap
+msgid "Interface to configure (normally eth0)"
+msgstr "설정할 인터페이스 (보통 eth0)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5
+#, no-wrap
+msgid "-k"
+msgstr "-k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5
+#, no-wrap
+msgid "--kill"
+msgstr "--kill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5
+#, no-wrap
+msgid "Kill daemon (and disable all interfaces)"
+msgstr "데몬을 죽임 (그리고 모든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함)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6
+#, no-wrap
+msgid "-l"
+msgstr "-l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6
+#, no-wrap
+msgid "--lease=hours"
+msgstr "--lease=hours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6
+#, no-wrap
+msgid "Lease time to request (in hours)"
+msgstr "요청할 Lease 시간 (시간으로)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7
+#, no-wrap
+msgid "--lookup-hostname"
+msgstr "--lookup-hostname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7
+#, no-wrap
+msgid "Always look up hostname and domain in DNS"
+msgstr "DNS에서 언제나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을 검색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8
+#, no-wrap
+msgid "-r"
+msgstr "-r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8
+#, no-wrap
+msgid "--release"
+msgstr "--release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8
+#, no-wrap
+msgid "Release interface"
+msgstr "인터페이스를 방출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9
+#, no-wrap
+msgid "-R"
+msgstr "-R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9
+#, no-wrap
+msgid "--renew"
+msgstr "--renew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49
+#, no-wrap
+msgid "Force immediate lease renewal"
+msgstr "강제로 즉시 lease 갱신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0
+#, no-wrap
+msgid "-s"
+msgstr "-s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0
+#, no-wrap
+msgid "--status"
+msgstr "--status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0
+#, no-wrap
+msgid "Display interface status"
+msgstr "인터페이스 상태를 출력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1
+#, no-wrap
+msgid "-?"
+msgstr "-?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1
+#, no-wrap
+msgid "--help"
+msgstr "--help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1
+#, no-wrap
+msgid "Show this help message"
+msgstr "이 도움말을 출력함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2
+#, no-wrap
+msgid "--usage"
+msgstr "--usage"
+
+#. type: tbl table
+#: pump.8:52
+#, no-wrap
+msgid "Display brief usage message"
+msgstr "간단한 사용 메시지를 출력"
+
+#. type: SH
+#: pump.8:54
+#, fuzzy, no-wrap
+msgid "기록하기"
+msgstr "기록하기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58
+#, fuzzy
+msgid ""
+"Pump는 충분한 양의 정보를 syslog에 전달하는데, DEBUG 수준에서 대부분이 기록된"
+"다. 만약 어떤 문제를 겪게 된다면, syslog의 기록 수준을 높이는 것도 좋은 생각"
+"이다."
+msgstr ""
+"Pump는 충분한 양의 정보를 syslog에 전달하는데, DEBUG 수준에서 대부분이 기록된"
+"다. 만약 어떤 문제를 겪게 된다면, syslog의 기록 수준을 높이는 것도 좋은 생각"
+"이다."
+
+#. type: SH
+#: pump.8:59
+#, no-wrap
+msgid "CONFIGURATION FILE"
+msgstr "설정 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63
+#, fuzzy
+msgid ""
+"Pump는 pump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단한 설정 파일을 지원한다. 기본값으"
+"로, I</etc/pump.conf>을 찾아보는데, B<-c> 옵션으로 설정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."
+msgstr ""
+"Pump는 pump의 행동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단한 설정 파일을 지원한다. 기본값으"
+"로, I</etc/pump.conf>을 찾아보는데, B<-c> 옵션으로 설정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69
+#, fuzzy
+msgid ""
+"설정 파일은 행 단위이며, 대부분의 행은 지시자(directive)를 포함하고, 그 뒤에"
+"는 인자가 없던가 많은 인자가 있을수도 잇다. 인자는 쉘이 명령 인자를 다루는 것"
+"과 비슷하게 다루어져서, 인용기호와 역슬래쉬 이스케이프를 사용할 수있다. 주석"
+"도 서용되며, # 문자로 시작해야 하며, 공백과 탭은 무시된다."
+msgstr ""
+"설정 파일은 행 단위이며, 대부분의 행은 지시자(directive)를 포함하고, 그 뒤에"
+"는 인자가 없던가 많은 인자가 있을수도 잇다. 인자는 쉘이 명령 인자를 다루는 것"
+"과 비슷하게 다루어져서, 인용기호와 역슬래쉬 이스케이프를 사용할 수있다. 주석"
+"도 서용되며, # 문자로 시작해야 하며, 공백과 탭은 무시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75
+#, fuzzy
+msgid ""
+"지시자는 두가지 수준으로 지정할 수 있는데, 전역적인(global) 것과 특정적인"
+"(specific) 것이다. 전역 지시자는 pump가 관리하는 모든 장치에 대해 pump의 행동"
+"을 변경하고, 특정 지시자는 단일 장치에 대해 pump의 행동을 변경한다. 나중에 지"
+"정한 특정 지시자는 먼저 지정한 전역 지시자보다 우선(override)한다."
+msgstr ""
+"지시자는 두가지 수준으로 지정할 수 있는데, 전역적인(global) 것과 특정적인"
+"(specific) 것이다. 전역 지시자는 pump가 관리하는 모든 장치에 대해 pump의 행동"
+"을 변경하고, 특정 지시자는 단일 장치에 대해 pump의 행동을 변경한다. 나중에 지"
+"정한 특정 지시자는 먼저 지정한 전역 지시자보다 우선(override)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77
+#, fuzzy
+msgid "이것은 /etc/pump.conf 의 예제이다.:"
+msgstr "이것은 /etc/pump.conf 의 예제이다.:"
+
+#. type: ta
+#: pump.8:79
+#, no-wrap
+msgid "+3i"
+msgstr "+3i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81
+#, fuzzy, no-wrap
+msgid "# 견본 /etc/pump.conf 파일\n"
+msgstr "# 견본 /etc/pump.conf 파일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84
+#, no-wrap
+msgid ""
+"domainsearch \"my.own.org own.org at.work.com\"\n"
+"retries 3\n"
+msgstr ""
+"domainsearch \"my.own.org own.org at.work.com\"\n"
+"retries 3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88
+#, no-wrap
+msgid ""
+"device eth1 {\n"
+" nodns\n"
+"}\n"
+msgstr ""
+"device eth1 {\n"
+" nodns\n"
+"}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95
+#, fuzzy
+msgid ""
+"이 설정 파일은 pump가 DHCP나 BOOTP 서버의 응답에서 얻어지는 DNS 검색 경로 대"
+"신 특정한 DNS 검색 경로를 사용하도록 하며, 각각의 요청은 3번 시도한다.(전체로"
+"는 4번) 그리고 eth1 장치를 설정할때 어떤 DNS 설정도 변경하지 않도록 한다."
+msgstr ""
+"이 설정 파일은 pump가 DHCP나 BOOTP 서버의 응답에서 얻어지는 DNS 검색 경로 대"
+"신 특정한 DNS 검색 경로를 사용하도록 하며, 각각의 요청은 3번 시도한다.(전체로"
+"는 4번) 그리고 eth1 장치를 설정할때 어떤 DNS 설정도 변경하지 않도록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97
+#, fuzzy
+msgid "지시자의 전체 목록이다."
+msgstr "지시자의 전체 목록이다."
+
+#. type: TP
+#: pump.8:98
+#, no-wrap
+msgid "B<device> I<device>"
+msgstr "B<device> I<device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05
+#, fuzzy
+msgid ""
+"지정된 장치에 대해 특정 지시자를 지정한다. 이 지시자는 { 이 뒤에 와야 하며, "
+"특정한 지시자의 목록은 } 만이 있는 줄로 끝나야 한다. 지정된 장치에 대해 특정 "
+"지시자를 지정한다. 이러한 지시자은 차례대로 있지 않을 수도 있다."
+msgstr ""
+"지정된 장치에 대해 특정 지시자를 지정한다. 이 지시자는 { 이 뒤에 와야 하며, "
+"특정한 지시자의 목록은 } 만이 있는 줄로 끝나야 한다. 지정된 장치에 대해 특정 "
+"지시자를 지정한다. 이러한 지시자은 차례대로 있지 않을 수도 있다."
+
+#. type: TP
+#: pump.8:106
+#, no-wrap
+msgid "B<domainsearch> I<searchpath>"
+msgstr "B<domainsearch> I<searchpat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12
+#, fuzzy
+msgid ""
+"DNS 검색 경로(/etc/resolv.conf에 대해)를 이끌어내기보다, 주어진 한가지를 사용"
+"한다. 단일 DNS 검색 경로를 가진 머신에서, 이 지시자는 전역적으로만 사용될 수 "
+"있다."
+msgstr ""
+"DNS 검색 경로(/etc/resolv.conf에 대해)를 이끌어내기보다, 주어진 한가지를 사용"
+"한다. 단일 DNS 검색 경로를 가진 머신에서, 이 지시자는 전역적으로만 사용될 수 "
+"있다."
+
+#. type: TP
+#: pump.8:113
+#, no-wrap
+msgid "B<nodns>"
+msgstr "B<nodn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17
+#, fuzzy
+msgid ""
+"이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이후 새로운 /etc/resolv.conf 파일을 만들지는 않는다. "
+"이 지시자는 오직 B<device> 지시자 안에서만 사용된다."
+msgstr ""
+"이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이후 새로운 /etc/resolv.conf 파일을 만들지는 않는다. "
+"이 지시자는 오직 B<device> 지시자 안에서만 사용된다."
+
+#. type: TP
+#: pump.8:118
+#, no-wrap
+msgid "B<retries> I<count>"
+msgstr "B<retries> I<cou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21
+#, fuzzy
+msgid "DHCP 프로세스의 각 단계를 I<count>번 재시도한다."
+msgstr "DHCP 프로세스의 각 단계를 I<count>번 재시도한다."
+
+#. type: TP
+#: pump.8:122
+#, no-wrap
+msgid "B<timeout> I<count>"
+msgstr "B<timeout> I<count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25
+#, fuzzy
+msgid "어떤 DHCP 프로세스의 한 단계도 I<count> 이상 걸리지 않도록 한다."
+msgstr "어떤 DHCP 프로세스의 한 단계도 I<count> 이상 걸리지 않도록 한다."
+
+#. type: SH
+#: pump.8:126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30
+msgid ""
+"Probably limited to Ethernet, might work on PLIP, probably not ARCnet and "
+"Token Ring."
+msgstr ""
+"아마도 이더넷에만 동작할 것이고, PLIP에서는 동작할 수도 있지만, ARCnet과 토큰 "
+"링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. 설정 파일은 당신이 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도"
+"록 도와줄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32
+msgid "Submit bug reports at the Bug Track link at http://developer.redhat.com/"
+msgstr "버그 레포트는 http://developer.redhat.com/의 Bug Track 링크에 제출하라."
+
+#. type: SH
+#: pump.8:132
+#, no-wrap
+msgid "QUIBBLE"
+msgstr "익살"
+
+#. type: Plain text
+#: pump.8:135
+msgid ""
+"A pump, like a boot[p], is something you wear on your foot. Hey, we were "
+"running out of names!"
+msgstr ""
+"pump 는 boot[p]처럼 발에 신는 것이다. 우리 중 누군가는 그 이름을 좋아한다(믿"
+"기 어렵지만 나는 알고 있다)!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rdev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rdev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3f98a20c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rdev.8.po
@@ -0,0 +1,358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, 2004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4-03-30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한글 Manpage 프로젝트 (http://man.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rdev.8:4
+#, no-wrap
+msgid "RDEV"
+msgstr "RDEV"
+
+#. type: TH
+#: rdev.8:4
+#, no-wrap
+msgid "20 November 1993"
+msgstr "1993년 11월 20일"
+
+#. type: TH
+#: rdev.8:4
+#, no-wrap
+msgid "Linux 0.99"
+msgstr "리눅스 0.99"
+
+#. type: TH
+#: rdev.8:4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rdev.8:5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7
+msgid ""
+"rdev - query/set image root device, swap device, RAM disk size, or video mode"
+msgstr ""
+"rdev - 이미지 root 장치, RAM 디스크 크기, 비디오 모드 등을 조사/설정한다."
+
+#. type: SH
+#: rdev.8:7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5
+#, no-wrap
+msgid ""
+"B<rdev [ -rsvh ]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valu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dev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root_devic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swapdev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swap_devic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amsize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siz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vidmode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mod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ootflags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flagsB< [ >offsetB< ] ] ]>\n"
+msgstr ""
+"B<rdev [ -rsvh ]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valu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dev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root_devic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swapdev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swap_devic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amsize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siz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vidmode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modeB< [ >offsetB< ] ] ]>\n"
+"B<rootflags [ -o >offsetB< ] [ >imageB< [ >flagsB< [ >offsetB< ] ] ]>\n"
+
+#. type: SH
+#: rdev.8:16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" for emacs hilit19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26
+msgid ""
+"With no arguments, B<rdev> outputs an I</etc/mtab> line for the current root "
+"file system. With no arguments, B<swapdev>, B<ramsize>, B<vidmode>, and "
+"B<rootflags> print usage information."
+msgstr ""
+"단독으로 B<rdev> 명령을 내리면 I</etc/mtab> 파일에서 root 파일 시스템 부분을 "
+"찾아 그 정보를 보여준다. 단독으로 B<swapdev>, B<ramsize>, B<vidmode>, "
+"B<rootflags> 명령을 내리면 그 사용법을 보여주고 마친다. 리눅스 커널을 위한 부"
+"트 이미지 안에는 root 장치, 비디오 모드, RAM 디스크 크기를 지정하는 여러 개의 "
+"2 바이트가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31
+#, fuzzy
+msgid ""
+"In a bootable image for the Linux kernel, there are several pairs of bytes "
+"which specify the root device, the video mode, the size of the RAM disk, and "
+"the swap device. These pairs of bytes, by default, begin at offset 504 "
+"(decimal) in the kernel image:"
+msgstr ""
+"초기값으로 이 바이트들은 아래와 같이 커널 이미지 안의 504(십진수) 옵셋(offset)"
+"에서 시작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40
+#, no-wrap
+msgid ""
+" 498 Root flags\n"
+"(500 and 502 Reserved)\n"
+" 504 RAM Disk Size\n"
+" 506 VGA Mode\n"
+" 508 Root Device\n"
+"(510 Boot Signature)\n"
+msgstr ""
+" 498 Root flags\n"
+"(500 and 502 Reserved)\n"
+" 504 RAM 디스크 크기\n"
+" 506 VGA 모드\n"
+" 508 Root 장치\n"
+"(510 Boot Signature)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45
+msgid "B<rdev> will change these values."
+msgstr "B<rdev> 명령으로 이들 값을 바꿀 수가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49
+msgid ""
+"Typical values for the I<image> parameter, which is a bootable Linux kernel "
+"image, are as follows:"
+msgstr ""
+"I<image> 인자는 리눅스 커널 이미지를 말하는데, 이것은 일반적으로 다음중 하나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58
+#, no-wrap
+msgid ""
+"/vmlinux\n"
+"/vmlinux.test\n"
+"/vmunix\n"
+"/vmunix.test\n"
+"/dev/fd0\n"
+"/dev/fd1\n"
+msgstr ""
+"/vmlinux\n"
+"/vmlinux.test\n"
+"/vmunix\n"
+"/vmunix.test\n"
+"/dev/fd0\n"
+"/dev/fd1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66
+msgid ""
+"When using the B<rdev>, or B<swapdev> commands, the I<root_device> or "
+"I<swap_device> parameter are as follows:"
+msgstr ""
+"B<rdev> 나 B<swapdev> 명령을 사용할 때, I<root_device> 나 I<swap_device> 인자 "
+"값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73
+#, no-wrap
+msgid ""
+"/dev/hda[1-8]\n"
+"/dev/hdb[1-8]\n"
+"/dev/sda[1-8]\n"
+"/dev/sdb[1-8]\n"
+msgstr ""
+"/dev/hda[1-8]\n"
+"/dev/hdb[1-8]\n"
+"/dev/sda[1-8]\n"
+"/dev/sdb[1-8]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81
+msgid ""
+"For the B<ramsize> command, the B<size> parameter specifies the size of the "
+"RAM disk in kilobytes."
+msgstr ""
+"B<ramsize> 명령에서 사용되는 B<size> 인자 값은 RAM 디스크의 KB 단위의 크기이"
+"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91
+msgid ""
+"For the B<rootflags> command, the B<flags> parameter contains extra "
+"information used when mounting root. Currently the only effect of these "
+"flags is to force the kernel to mount the root filesystem in readonly mode if "
+"B<flags> is non-zero."
+msgstr ""
+"B<rootflags> 명령에서 사용되는 B<flags> 인자 값은 root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"
+"때 추가적인 정보를 담고있는 값이다. 일반적으로 B<flags> 값이 0이 아니라면 이 "
+"값은 커널이 root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하도록 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97
+msgid ""
+"For the B<vidmode> command, the B<mode> parameter specifies the video mode:"
+msgstr ""
+"B<vidmode> 명령에서 사용되는 B<mode> 인자 값은 다음과 같은 비디오 모드를 지정"
+"한다: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07
+#, no-wrap
+msgid ""
+"-3 = Prompt\n"
+"-2 = Extended VGA\n"
+"-1 = Normal VGA\n"
+" 0 = as if \"0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1 = as if \"1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2 = as if \"2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n = as if \"n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msgstr ""
+"-3 = Prompt\n"
+"-2 = Extended VGA\n"
+"-1 = Normal VGA\n"
+" 0 = as if \"0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1 = as if \"1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2 = as if \"2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" n = as if \"n\" was pressed at the prompt\n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15
+msgid ""
+"If the I<value> is not specified, the I<image> will be examined to determine "
+"the current settings."
+msgstr ""
+"I<value> 인자 값이 지정되지 않으면, I<image> 인자 값은 단지 현재 설정을 알기 "
+"위해 쓰인다."
+
+#. type: SH
+#: rdev.8:115
+#, no-wrap
+msgid "OPTIONS"
+msgstr "옵션"
+
+#. type: TP
+#: rdev.8:116
+#, no-wrap
+msgid "B<-s>"
+msgstr "B<-s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22
+msgid "Causes B<rdev> to act like B<swapdev>."
+msgstr "B<rdev> 명령을 B<swapdev> 명령으로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dev.8:122
+#, no-wrap
+msgid "B<-r>"
+msgstr "B<-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28
+msgid "Causes B<rdev> to act like B<ramsize>."
+msgstr "B<rdev> 명령을 B<ramsize> 명령으로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dev.8:128
+#, no-wrap
+msgid "B<-R>"
+msgstr "B<-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34
+msgid "Causes B<rdev> to act like B<rootflags>."
+msgstr "B<rdev> 명령을 B<rootflags> 명령으로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dev.8:134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40
+msgid "Causes B<rdev> to act like B<vidmode>."
+msgstr "B<rdev> 명령을 B<vidmode> 명령으로 사용한다."
+
+#. type: TP
+#: rdev.8:140
+#, no-wrap
+msgid "B<-h>"
+msgstr "B<-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43
+msgid "Provides help."
+msgstr "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."
+
+#. type: SH
+#: rdev.8:143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46
+msgid ""
+"For historical reasons, there are two methods for specifying alternative "
+"values for the offset."
+msgstr ""
+"리눅스 환경이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이들 값을 지정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50
+msgid ""
+"The user interface is cumbersome, non-intuitive, and should probably be re-"
+"written from scratch, allowing multiple kernel image parameters to be changed "
+"or examined with a single command."
+msgstr ""
+"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인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한줄의 명령행으"
+"로 커널 이미지의 설정값들을 바꾸는 것도 바뀌어가야 할 것이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61
+#, fuzzy
+msgid ""
+"If LILO is used, B<rdev> is no longer needed for setting the root device and "
+"the VGA mode, since these parameters that B<rdev> modifies can be set from "
+"the LILO prompt during a boot. However, B<rdev> is still needed at this time "
+"for setting the RAM disk size. Users are encouraged to find the LILO "
+"documentation for more information, and to use LILO when booting their "
+"systems."
+msgstr ""
+"LILO를 사용한다면, VGA 모드와 root 장치 설정을 하는데에 더이상 B<rdev>가 필요 "
+"없을 것이다. 하지만, RAM 디스크 크기를 지정하는데는 아직도 이 명령이 필요하"
+"다. LILO에 대한 설명은 그 관련 문서를 읽어 보기 바란다."
+
+#. type: SH
+#: rdev.8:161
+#, no-wrap
+msgid "AUTHORS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rdev.8:166
+#, no-wrap
+msgid ""
+"Originally by Werner Almesberger (almesber@nessie.cs.id.ethz.ch)\n"
+"Modified by Peter MacDonald (pmacdona@sanjuan.UVic.CA)\n"
+"rootflags support added by Stephen Tweedie (sct@dcs.ed.ac.uk)\n"
+msgstr ""
+"Werner Almesberger (almesber@nessie.cs.id.ethz.ch)가 처음 만들었으며,\n"
+"Peter MacDonald (pmacdona@sanjuan.UVic.CA)가 수정했고,\n"
+"Stephen Tweedie (sct@dcs.ed.ac.uk) rootflag 부분을 추가했다.\n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setfdprm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setfdprm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2110e0a9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setfdprm.8.po
@@ -0,0 +1,207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3-28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한글 Manpage 프로젝트 <http://man.kldp.org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setfdprm.8:3
+#, no-wrap
+msgid "SETFDPRM"
+msgstr "SETFDPRM"
+
+#. type: TH
+#: setfdprm.8:3
+#, no-wrap
+msgid "1993.11.20."
+msgstr "1993년 11월 20일"
+
+#. type: TH
+#: setfdprm.8:3
+#, no-wrap
+msgid "Linux 0.99"
+msgstr "리눅스 0.99"
+
+#. type: TH
+#: setfdprm.8:3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푸돌이 지침서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4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6
+msgid "setfdprm - sets user-provided floppy disk parameters"
+msgstr "setfdprm - 플로피 디스크 사양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다.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6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9
+msgid "B<setfdprm [ -p ]> I<device name>"
+msgstr "B<setfdprm [ -p ]> I<장치이름 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12
+msgid ""
+"B<setfdprm [ -p ]> device size sectors heads tracks stretch gap rate spec1 "
+"fmt_gap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15
+msgid "B<setfdprm [ -c ]> I<device>"
+msgstr "B<setfdprm [ -c ]> I<장치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18
+msgid "B<setfdprm [ -y ]> I<device>"
+msgstr "B<setfdprm [ -y ]> I<장치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21
+msgid "B<setfdprm [ -n ]> I<device>"
+msgstr "B<setfdprm [ -n ]> I<장치이름>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21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26
+msgid ""
+"B<setfdprm> is a utility that can be used to load disk parameters into the "
+"auto-detecting floppy devices, to clear old parameter sets and to disable or "
+"enable diagnostic messages."
+msgstr ""
+"B<setfdprm> 풀그림은 플로피 장치를 자동 검색할 수 있도록 디스크 사양을 지정하"
+"거나, 옛 사양을 지우고, 검사 메시지를 보여줄 것인지, 보여주지 않을 것인지 지정"
+"하는데 사용된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40
+msgid ""
+"Without any options, B<setfdprm> loads the device (usually I</dev/fd0> or I</"
+"dev/fd1>) with a new parameter set with the name entry found in I</etc/fdprm> "
+"(usually named 360/360, etc.). These parameters stay in effect until the "
+"media is changed."
+msgstr ""
+"아무 옵션 없이, B<setfdprm> 명령을 사용하면, I</etc/fdprm> 파일에서 I<이름>을 "
+"찾아, 그에 해당되는 나머지 정보들을 사용해서 I<장치이름>을 가진 플로피 디스크 "
+"사양을 지정한다. I<이름>은 대게 360/360 이런 식이고, I<장치이름>은 대게 I</"
+"dev/fd0> 또는 I</dev/fd1> 이런 식이다. 이 인자들은 매체가 바뀌기 전까지 계속 "
+"그 영향이 지속된다."
+
+#. type: TP
+#: setfdprm.8:41
+#, no-wrap
+msgid "B<-p>I< device name>"
+msgstr "B<-p>I< 장치이름 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48
+msgid ""
+"Permanently loads a new parameter set for the specified auto-configuring "
+"floppy device for the configuration with name in I</etc/fdprm>. "
+"Alternatively, the parameters can be given directly from the command line."
+msgstr ""
+"이 옵션을 사용하면, 아에 I</etc/fdprm> 파일의 정보를 바꾸어 버린다. 이렇게 되"
+"면 다음번 플로피 디스크 자동 검색에서 여기서 지정한 값을 사용하게 된다. 물론 "
+"명령행에서 지정하는 각각의 정보가 그대로 지정된다."
+
+#. type: TP
+#: setfdprm.8:48
+#, no-wrap
+msgid "B<-c>I< device>"
+msgstr "B<-c>I< 장치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51
+msgid ""
+"Clears the parameter set of the specified auto-configuring floppy device."
+msgstr "플로피 디스크 장치의 자동 환경 설정 사양을 지운다."
+
+#. type: TP
+#: setfdprm.8:51
+#, no-wrap
+msgid "B<-y>I< device>"
+msgstr "B<-y>I< 장치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54
+msgid ""
+"Enables format detection messages for the specified auto-configuring floppy "
+"device."
+msgstr ""
+"플로피 디스크 자동 환경 설정을 지정한 포멧 검색 메시지를 사용 가능 상태로 한"
+"다."
+
+#. type: TP
+#: setfdprm.8:54
+#, no-wrap
+msgid "B<-n>I< device>"
+msgstr "B<-n>I< 장치이름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57
+msgid ""
+"Disables format detection messages for the specified auto-configuring floppy "
+"device."
+msgstr ""
+"플로피 디스크 자동 환경 설정을 지정한 포멧 검색 메시지를 사용 불가 상태로 한"
+"다.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57
+#, no-wrap
+msgid "BUGS"
+msgstr "버그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59
+msgid "This documentation is grossly incomplete."
+msgstr "이 문서는 용어 설명에는 불충분하다.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59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61
+msgid "I</etc/fdprm>"
+msgstr "I</etc/fdprm>"
+
+#. type: SH
+#: setfdprm.8:61
+#, no-wrap
+msgid "AUTHOR"
+msgstr "저자"
+
+#. type: Plain text
+#: setfdprm.8:62
+msgid "Werner Almesberger (almesber@nessie.cs.id.ethz.ch)"
+msgstr "Werner Almesberger (almesber@nessie.cs.id.ethz.ch)"
diff --git a/po/ko/archive/po/man8/umount.8.po b/po/ko/archive/po/man8/umount.8.po
new file mode 100644
index 00000000..ce02b5d2
--- /dev/null
+++ b/po/ko/archive/po/man8/umount.8.po
@@ -0,0 +1,246 @@
+# Korean translation of manpages
+# This file is distributed under the same license as the manpages-l10n package.
+# Copyright © of this file:
+# <freeyong@soback.kornet.nm.kr>, 2000.
+# 이 만 용 <geoman@nownuri.nowcom.co.kr>, 2000.
+msgid ""
+msgstr ""
+"Project-Id-Version: manpages-l10n\n"
+"POT-Creation-Date: 2022-11-14 19:24+0100\n"
+"PO-Revision-Date: 2000-08-04 08:57+0900\n"
+"Last-Translator: 이 만 용 <geoman@nownuri.nowcom.co.kr>\n"
+"Language-Team: Korean <translation-team-ko@googlegroups.com>\n"
+"Language: ko\n"
+"MIME-Version: 1.0\n"
+"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\n"
+"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\n"
+"Plural-Forms: nplurals=1; plural=0;\n"
+
+#. type: TH
+#: umount.8:26
+#, no-wrap
+msgid "UMOUNT"
+msgstr "UMOUNT"
+
+#. type: TH
+#: umount.8:26
+#, no-wrap
+msgid "26 July 1997"
+msgstr "1997년 7월 26일"
+
+#. type: TH
+#: umount.8:26
+#, no-wrap
+msgid "Linux 2.0"
+msgstr "리눅스 2.0"
+
+#. type: TH
+#: umount.8:26
+#, no-wrap
+msgid "Linux Programmer's Manual"
+msgstr "리눅스 프로그래머 매뉴얼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27
+#, no-wrap
+msgid "NAME"
+msgstr "이름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29
+msgid "umount - unmount file systems"
+msgstr "umount - 화일 시스템을 언마운트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29
+#, no-wrap
+msgid "SYNOPSIS"
+msgstr "사용법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31
+msgid "B<umount [-hV]>"
+msgstr "B<umount [-hV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33
+msgid "B<umount -a [-nrv] [-t >I<vfstype>B<]>"
+msgstr "B<umount -a [-nrv] [-t >I<화일시스템유형>B<]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35
+msgid "B<umount [-nrv] >I<device >B<|>I< dir >B<[...]>"
+msgstr "B<umount [-nrv] >I<장치 >B<|>I< 디렉토리 >B<[...]>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35
+#, no-wrap
+msgid "DESCRIPTION"
+msgstr "설명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41
+msgid ""
+"The B<umount> command detaches the file system(s) mentioned from the file "
+"hierarchy. A file system is specified either by giving the directory where "
+"it has been mounted, or by giving the special device on which it lives."
+msgstr ""
+"B<umount> 명령은 화일 계층구조로부터 화일 시스템을 떼어낸다. 화일 시스템 지정"
+"방법은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명시하거나 또는 직접 장치명을 적어주는 방법 2 가지"
+"가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49
+msgid ""
+"Note that a file system cannot be unmounted when it is `busy' - for example, "
+"when there are open files on it, or when some process has its working "
+"directory there, or when a swap file on it is in use. The offending process "
+"could even be B<umount> itself - it opens libc, and libc in its turn may open "
+"for example locale files."
+msgstr ""
+"만약 사용 중(`busy') - 예를 들어 화일 시스템 상의 화일이 열려 있거나 어떤 프로"
+"세스가 작업 디렉토리로 사용중이거나 그 위에 있는 스왑 화일이 사용중-인 경우에"
+"는 언마운트시킬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. 또는 B<umount> 명령 자체가 libc 를 "
+"열고 libc가 예를 들어 로케일(locale)화일을 여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다.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53
+msgid "Options for the B<umount> command:"
+msgstr "B<umount> 명령에 대한 옵션은 다음과 같다: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53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56
+msgid "Print version and exit."
+msgstr "버전을 출력하고 종료한다.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56
+#, no-wrap
+msgid "B<-h>"
+msgstr "B<-h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59
+msgid "Print help message and exit."
+msgstr "도움말 메세지를 출력하고 종료한다.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59
+#, no-wrap
+msgid "B<-v>"
+msgstr "B<-v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62
+msgid "Verbose mode."
+msgstr "자세한 출력 모드.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62
+#, no-wrap
+msgid "B<-n>"
+msgstr "B<-n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66
+msgid "Unmount without writing in I</etc/mtab>."
+msgstr "I</etc/mtab> 를 갱신하지 않고 언마운트한다.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66
+#, no-wrap
+msgid "B<-r>"
+msgstr "B<-r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69
+msgid "In case unmounting fails, try to remount read-only."
+msgstr "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69
+#, no-wrap
+msgid "B<-a>"
+msgstr "B<-a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78
+#, fuzzy
+msgid ""
+"All of the file systems described in I</etc/mtab> are unmounted. (With "
+"B<umount> version 2.7 and later: the I<proc> filesystem is not unmounted.)"
+msgstr "I</etc/mtab> 화일에 명시한 모든 화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한다."
+
+#. type: TP
+#: umount.8:78
+#, no-wrap
+msgid "B<-t>I< vfstype>"
+msgstr "B<-t>I< 화일시스템유형>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85
+msgid ""
+"Indicate that the actions should only be taken on file systems of the "
+"specified type. More than one type may be specified in a comma separated "
+"list. The list of file system types can be prefixed with B<no> to specify "
+"the file system types on which no action should be taken."
+msgstr ""
+"특정 화일시스템유형에만 적용하도록 지정한다. 둘 이상의 유형에 대해서는 콤마(,)"
+"로 구분한다. 화일 시스템 목록에 대해서는 B<no> 를 접두사로 씀으로써 그것을 제"
+"외시킬 수도 있다.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86
+#, no-wrap
+msgid "THE LOOP DEVICE"
+msgstr "루프 장치(THE LOOP DEVICE)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94
+msgid ""
+"The B<umount> command will free the loop device (if any) associated with the "
+"mount, in case it finds the option `loop=...' in I</etc/mtab>. Any pending "
+"loop devices can be freed using `losetup -d', see B<losetup>(8)."
+msgstr ""
+"B<umount> 명령은 만약 사용 중인 루프 장치가 있다면 그것을 해제한다. I</etc/"
+"mtab> 에 `loop=...'이라는 옵션을 찾을 때 그렇게 한다.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은 "
+"장치에 대해서는 `losetup -d'를 사용한다. B<losetup>(8) 를 읽어보기 바란다.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96
+#, no-wrap
+msgid "FILES"
+msgstr "파일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99
+msgid "I</etc/mtab> table of mounted file systems"
+msgstr "I</etc/mtab> 마운트된 화일 시스템에 대한 테이블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100
+#, no-wrap
+msgid "SEE ALSO"
+msgstr "관련 항목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104
+msgid "B<umount>(2), B<mount>(8), B<losetup>(8)."
+msgstr "B<umount>(2), B<mount>(8), B<losetup>(8)."
+
+#. type: SH
+#: umount.8:105
+#, no-wrap
+msgid "HISTORY"
+msgstr ""
+
+#. type: Plain text
+#: umount.8:108
+msgid "A B<umount> command appeared in Version 6 AT&T UNIX."
+msgstr "B<umount> 명령은 AT&T UNIX 버전 6 에서 생겼다."